의학적 상황에서의 고통관에 대한 전인적 성찰 : 과학주의에 대한 종교-철학적 비판을 통하여

김종우 2020년
' 의학적 상황에서의 고통관에 대한 전인적 성찰 : 과학주의에 대한 종교-철학적 비판을 통하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entrism
  • contradiction
  • de-centrism
  • faith community
  • homo fidei
  • homo religiosus
  • idolatry
  • medical situation
  • mutual encounter
  • object
  • paradox
  • scientism
  • solidarity in interrelationship
  • suffering
  • the cross
  • the whole person
  • 고통
  • 과학주의
  • 대상
  • 모순
  • 상관적 연대
  • 상대
  • 신앙 공동체
  • 신앙하는 인간
  • 십자가
  • 역설
  • 우상숭배
  • 의학적 상황
  • 전인성
  • 종교적 인간
  • 중심주의
  • 탈중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47 0

0.0%

' 의학적 상황에서의 고통관에 대한 전인적 성찰 : 과학주의에 대한 종교-철학적 비판을 통하여' 의 참고문헌

  • 히포크라테스/여인석, 이기백 옮김. 『히포크라테스 선집』
    파주: 나남 [2011]
  • 헤센/허재윤 옮김. 『종교 철학의 체계적 이해』
    서울: 서광사 [1994]
  • 헉슬리, 올더스/이덕형 옮김. 『멋진 신세계』
    서울: 문예출판사 [1998]
  • 허 경. “근대 임상의학 및 생명 담론의 변화: 미셸 푸코의 『임상의학의 탄생』을 중심으로
    ” 생명연구 23 [2012]
  • 한국의료윤리학회. 『의료윤리학』
    서울: 정담미디어 [2015]
  •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과 : 사람과 사회 중심』. 서울: 한국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협회 [2017]
  • 한국민속학회. 『민간신앙. 1』
    서울: 민속원 [2008]
  • 한국민속학회. 『무속신앙』
    서울: 민속원 [2008]
  • 플뤼게, 헤르베르트/김희상 옮김. 『아픔에 대하여 : 몸과 병듦에 대한 성찰』
    파주: 돌베개 [2017]
  • 플렉스너, 에이브러햄/김선 옮김. 『플렉스너 보고서 : 미국과 캐나다의 의학교육』
    파주: 한 길사 [2005]
  • 플래너건, 조지프/김재영, 이숙희 옮김. 『자기 앎의 탐구 : 로너건 사상에 대한 하나의 시 도』
    파주: 서광사 [2014]
  • 프로이트, 지크문트/이윤기 옮김. 『프로이트 전집. 13 : 종교의 기원』
    서울: 열린책들 [2012]
  • 프로이트, 지크문트/김석희 옮김. 『프로이트 전집. 15 : 문명속의 불만』
    서울: 열린책들 [1997]
  • 프랭크, 아서/메이 옮김. 『아픈 몸을 살다』
    서울: 봄날의책 [2017]
  • 푸코, 미셸/홍성민 옮김. 『임상의학의 탄생』
    부천: 인간사랑 [1993]
  • 푸코, 미셸/홍성민 옮김. 『임상의학의 탄생 : 의학적 시선에 대한 고고학』
    서울: 이매진 [2006]
  • 푸코, 미셸/이규현 옮김.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파주: 나남출판 [2010]
  • 폰 리히트/배철영 옮김. 『설명과 이해』
    서울: 서광사 [1995]
  • 포터, 로이/여인석 옮김. 『의학 : 놀라운 치유의 역사』
    서울: 네모북스 [2010]
  • 포이어바흐, 루트비히/강대석 옮김.『기독교의 본질』
    파주: 한길사 [2011]
  • 편집부. “21세기 생의학과 생명정치
    ” 과학기술학연구 14/1 [2014]
  • 페인 주니어, 프랭클린/김민철 옮김. 『의료의 성경적 접근 : 현대 의학에 성경적 가르침을 어 떻게 적용할 것인가?』
    서울: 한국누가회출판부 [2001]
  • 퍼트넘, 힐러리/원만희 옮김. 『과학주의 철학을 넘어서』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8]
  • 파머, 브라이언/신기섭 옮김. 『오늘의 세계적 가치 : 세계의 지식인 16인과 하버드대생의 대 화』
    서울: 문예출판사 [2007]
  • 파니카, 라이문도/김승철 옮김. 『종교간의 대화』
    서울: 서광사 [1992]
  • 틸리히, 폴/유장환 옮김. 『조직신학. 1』
    서울: 한들출판사 [2001]
  • 토폴, 에릭/박재영 외 옮김. 『청진기가 사라진다 : 디지털 혁명이 바꿔놓을 의학의 미래』
    서 울: 청년의사 [2012]
  • 타이쎈, 게르트 외/손성현 옮김. 『역사적 예수 : 예수의 역사적 삶에 대한 총체적 연구』
    서 울: 다산글방 [2001]
  • 클라인만, 아서 외/안종설 옮김. 『사회적 고통 : 인간의 고통에 대한 사회학적, 의학적, 문화 인류학적 접근』
    서울: 그린비 [2002]
  • 크로산, 존 도미닉/한인철 옮김.『예수는 누구인가? : 역사적 예수에 관한 질문들에 대한 대 답』
    서울: 한국기독교연구소 [1998]
  • 쿤, 토머스/김명자, 홍성욱 옮김. 『과학혁명의 구조』
    서울: 까치 [2013]
  • 콩트, 오귀스트/김점석 옮김. 『실증주의 서설』
    서울: 한길사 [2001]
  • 캉길렘, 조르주/여인석 옮김. 『정상적인 것과 병리적인 것』
    서울: 그린비 [2018]
  • 칼빈, 존/고영민 옮김. 『기독교 강요 1』
    서울: 기독교문사 [2008]
  • 카이저, 에른스트/강영계 옮김. 『파라켈수스』
    서울: 한길사 [1997]
  • 카우프만, 고든/기독교통합학문연구소 옮김. 『신학방법론』
    서울: 한들 [1999]
  • 카셀, 에릭/강신익 옮김. 『고통받는 환자와 인간에게서 멀어진 의사를 위하여』
    서울: 들 녘 [2007]
  • 카를/송지영 외 옮김.『정신병리학 총론. 1-4』
    야스퍼스 서울: 아카넷 [2014]
  • 지강유철. 『장기려, 그 사람』
    서울: 홍성사 [2007]
  • 주아나, 자크/서홍관 옮김. 『히포크라테스』
    서울: 아침이슬 [2004]
  • 존-레텔, 알프레드/황태연, 윤길순 옮김. 『정신노동과 육체노동 : 철학적 인식론 비판』
    서 울: 학민사 [1986]
  • 조영란. “라메트리의 「인간기계론」에 나타난 심신이론과 18세기 생물학
    ” 한국과학사학회지 13 [1991]
  • 정 민. “간호학생이 경험한 의료현장의 윤리적 문제
    ” 한국의료윤리학회지 4/2 [2001]
  • 전쟁과의료윤리검증추진회/스즈키 아키라 옮김. 『731부대와 의사들』
    서울: 건강미디어협동 조합 [2014]
  • 이 범. “파라켈수스의 신비주의적 지식관 : 경험적 자연 연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과학 사학회지 17 [1995]
  • 유발/김명주 옮김. 『호모 데우스 : 미래의 역사』
    하라리 파주: 김영사 [2017]
  • 윌킨슨, 존/김태수 옮김. 『성서와 치유』
    서울: 기독교연합신문사 [2001]
  • 윌슨, 에드워드/최재천, 장대익 옮김. 『통섭 : 지식의 대통합』
    서울: 사이언스북스 [2013]
  • 월프, 헨릭 외/이종찬 옮김. 『의철학의 개념과 이해』
    서울: 아르케 [2007]
  • 옷토, 루돌프/길희성 옮김. 『성스러움의 의미 : 신관념에 있어서의 비합리적 요소 그리고 그 것과 합리적 요소와의 관계에 대하여』
    왜관: 분도출판사 [2003]
  • 옮김.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박진우 아감벤 조르조 서울: 새물결 [2008]
  • 옮김. 『증거기반의학의 철학 : 의학의 새로운 패러다 임』
  • 옮김. 『졸리콘 세미나』
    마르틴 이강희 하이데거 순천: 롤링스톤 [2016]
  • 옮김. 『놀이와 현실』
    도날드 위니캇 이재훈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 옮김. 『나와 너』
    마르틴 부버 표재명 서울: 문예출판사 [1990]
  • 옮김. 『과학, 과학주의 그리고 기독교』
    모어랜드 황을호 서울: 생명의말씀사 [2019]
  • 옮김. 『WBC 성경주석 로마서(상)』
    김철 제임스 채천석 서울: 솔로몬 [2003]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HOMO PATIENS 고통받는 인간, 의미를 묻다』
    프로시 딩 [2017]
  •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한국 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서울: 역사공간 [2016]
  • 연세 과학 기술과 사회 연구 포럼. 『멋진 신세계와 판도라의 상자 : 현대 과학 기술 낯설게 보 기』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9]
  • 엘리아데, 미르치아/이용주 옮김. 『세계종교사상사.1 : 석기시대에서부터 엘레우시스의 비의까 지』
    서울: 이학사 [2005]
  • 앨버트 외/황상익, 권복규 옮김. 『세계의학의 역사』
    라이언즈 서울: 도서출판 한울 [1994]
  • 알튀세르, 루이/김동수 옮김. 『아미엥에서의 주장』
    서울: 솔 [1991]
  • 아롱/서민원 옮김. 『의학적 추론 : 인지-사회학적 접근』
    시쿠엘 서울: 동문선 [2003]
  • 식수, 엘렌/박혜영 옮김. 『메두사의 웃음/출구』
    서울: 동문선 [2004]
  • 식수, 엘렌 외/이봉지 옮김. 『새로 태어난 여성』
    파주: 나남 [2008]
  • 스퐁, 존 쉘비/최종수 옮김. 『새 시대를 위한 새 기독교 : 전통적인 신앙은 왜 죽어가고 있으 며 새로운 신앙은 어떻게 태어나고 있는가』
    고양: 한국기독교연구소 [2005]
  • 스키너/이신영 옮김. 『(스키너의) 행동심리학』
    서울: 교양인 [2017]
  • 스미스, 윌프레드 캔트웰/길희성 옮김. 『종교의 의미와 목적』
    왜관: 분도출판사 [1991]
  • 스노, 찰스 퍼시/오영환 옮김. 『두 문화』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1]
  • 블리클리, 앨런/김준혁 옮김. 『의료인문학과 의학교육 : 의료인문학이 더 나은 의사를 만드는 방법』
    서울: 학이시습 [2018]
  • 블리스, 마이클/박인서 옮김. 『윌리엄 오슬러 경 : 생애와 사상』
    서울: 메디안북 [2013]
  • 불트만, 루돌프/허혁 옮김. 『학문과 실존 제3권』
    서울: 성광문화사 [1981]
  • 불트만, 루돌프/허혁 옮김. 『학문과 실존 제1권』
    서울: 성광문화사 [1980]
  • 불트만, 루돌프/유동식, 허혁 옮김. 『성서의 실존론적 이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9]
  • 본회퍼, 디트리히/손규태, 정지련 옮김. 『저항과 복종』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 본회퍼, 디트리히/김재진, 정지련 옮김. 『행위와 존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 보스, 메다드/이죽내 옮김. 『정신분석과 현존재분석』
    서울: 하나의학사 [2003]
  • 보그, 마커스/한인철 옮김.『새로 만난 하느님』
    서울: 한국기독교연구소 [2001]
  • 보그, 마커스/김기석, 정준화 옮김. 『놀라움과 경외의 나날들 : 21세기에 어떻게 기독교인이 될 것인가?』
    고양: 한국기독교연구소 [2019]
  • 보그, 마커스/김기석 옮김. 『예수 새로 보기』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2]
  • 보그, 마커스/구자명 옮김. 『미팅 지저스』
    서울: 홍성사 [1995]
  • 베이컨, 프랜시스/진석용 옮김. 『신기관 : 자연의 해석과 인간의 자연 지배에 관한 잠언』
    서 울: 한길사 [2001]
  • 베르나르, 클로드/이영택 옮김. 『실험의학의 원리』
    서울: 한국번역도서 [1959]
  • 버나드/서정돈, 이희원 옮김. 『치유의 예술을 찾아서』
    라운 서울: 몸과 마음 [2003]
  • 박은진. “베살리우스 ? 해부학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다
    ” 지식의 지평 17 [2014]
  • 바우어, 배리/박영태 옮김. 『과학의 방법 : 역사적 철학적 고찰』
    서울: 이학사 [2013]
  • 바르트, 칼/신준호 옮김. 『(칼 바르트) 교의학 개요 : 사도신경에 담긴 기독교 진리』
    서울: 복 있는 사람 [2015]
  • 몰트만, 위르겐/김균진 옮김.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 : 기독교 신학의 근거와 비판으로서의 예수의 십자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출판부 [1981]
  • 멜러니/노승영 옮김. 『통증 연대기』
    선스트럼 서울: 에이도스출판사 [2011]
  • 맥그리거, 제디스/김화영 옮김. 『사랑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1]
  • 맥그래스, 앨리스터/국제제자훈련원 옮김. 『고난이 묻다, 신학이 답하다』
    서울: 국제제자훈 련원 [2014]
  • 리처드/홍영남, 이상임 옮김. 『이기적 유전자』
    도킨스 서울: 을유문화사 [2018]
  • 르네/김진식 옮김. 『문화의 기원』
    지라르 서울: 기파랑 [2006]
  • 로버트 외/조경환 외 옮김. 『라켈 가정의학』
    라켈 서울: 엠디월드 [2013]
  • 로너간, 버나드/김인숙, 이순희, 정현아 옮김. 『신학 방법』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2]
  • 레비나스, 엠마누엘/김연숙, 박한표 옮김.『존재와 다르게 : 본질의 저편』
    고양: 인간사랑 [2010]
  • 들뢰즈, 질 외/김재인 옮김. 『천개의 고원 : 자본주의와 분열증 2』
    서울: 새물결 [2003]
  • 데카르트, 르네/소두영 옮김. 『방법서설 [외]』
    서울: 동서문화사 [2016]
  • 데이비스, 마델레인 외/이재훈 옮김. 『울타리와 공간 : 도날드 위니캇의 정신분석학』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 대한통증학회. 『통증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0]
  • 대한가정의학회. 『가정의학 <총론편>』
    서울: 계축문화사 [2003]
  • 니체, 프리드리히/백승영 옮김. 『니체전집. 15 : 바그너의 경우 [외]』
    서울: 책세상 [2002]
  • 니체, 프리드리히/곽복록 옮김. 『비극의 탄생/즐거운 지식』
    서울: 동서문화사 [2017]
  • 니이버, 리처드/김재준 옮김. 『그리스도와 文化』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5]
  • 깡귀엠, 조르주/여인석 옮김. 『생명과학의 역사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와 합리성』
    서울: 아카 넷 [2010]
  • 기독교의 이해 편찬위원회. 『기독교, 묻고 답하다』
    서울: 청송미디어 [2019]
  • 글렌/이정태 옮김. 『역동정신의학』
    가바드 서울: 하나의학사 [2016]
  • 게이이치, 니시타니/정병조 옮김. 『종교란 무엇인가-종교와 절대무』
    서울: 대원정사 [1993]
  • 가조, 기타모리/이원재 옮김. 『하나님의 아픔의 신학』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 가다머, 한스 게오르그/이유선 옮김. 『(철학자 가다머) 현대의학을 말하다』
    서울: 몸과마음 [2002]
  • 가다머, 한스 게오르그/공병혜 옮김. 『고통 : 의학적, 철학적, 치유적 관점에서 본 고통』
    서 울: 철학과 현실사 [2005]
  • 『히포크라테스의 발견 : 그리스 학문과 예술 속에 숨쉬는 그를 만나다』
    반덕진 서울: 휴머 니스트 [2005]
  • 『히포크라테스 선서 : 2500년 만에 다시 만나는 의학의 근본 정신』
    반덕진 서울: 사이언스 북스 [2006]
  • 『호모 테크니쿠스 : 기술 환경 윤리』
    양명수 천안: 한국신학연구소 [1995]
  • 『함석헌선집. 3 인간혁명』
    함석헌 파주: 한길사 [2016]
  • 『한국민간신앙연구』
    김태곤 서울: 집문당 [1983]
  • 『한국기독교의료사』
    이만열 서울: 아카넷 [2003]
  • 『티끌만도 못한 주제에 : ‘사람됨’을 향한 신학적 인간학』
    정재현 칠곡: 분도출판사, , 2010 [2003]
  • 『쿵쿵: 다시 뛰는 생명의 북소리』
    고진하 서울: 넥서스크로스 [2014]
  • 『콰인의 자연주의 인식론』
    김영남 서울: 서광사 [1994]
  • 『최신정신의학』
    민성길 서울: 일조각 [2015]
  • 『종교적 인간, 상징적 인간 : 우리는 여전히 상징을 사용하는 종교적 인간이다』
    유요한 서 울: 이학사 [2010]
  • 『의학적 인간학 : 의학철학의 기초』
    진교훈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 『의학의 세계사』
    이종찬 서울: 몸과마음 [2009]
  • 『의학사상사』
    여인석 파주: 살림 [2007]
  • 『의학 오디세이 ? 인간의 몸, 과학을 만나다』
    강신익 서울: 역사비평사 [2012]
  • 『예수, 先生으로 만나다』
    한인철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6]
  • 『알기 쉽게 풀어쓴 정밀의학 이야기 : 유전체, 다가온 미래 의학』
    김경철 서울: 메디게이트 뉴스 [2020]
  • 『신화학강의』
    안진태 서울: 열린책들 [2001]
  • 『신학은 인간학이다 : 철학 읽기와 신학하기』
    정재현 칠곡: 분도출판사 [2012]
  • 『성경의 눈으로 본 첨단의학과 의료』
    김민철 서울: 아바서원 [2014]
  • 『생명과학의 철학』
    유선경 파주: 생각의 힘 [2014]
  • 『생명과학, 신에게 도전하다』
    김종우 서울: 동아시아 [2017]
  • 『사물의 분류와 지식의 탄생』
    김상환 서울: 이학사 [2014]
  • 『비루효의 생애와 사상 : 그의 뜨거운 인간애, 과학정신, 개혁의지』
    김영제 서울: 범문사 [1980]
  • 『망치로 신-학하기 : ‘말씀’이 말이 되게 하기 위하여』
    정재현 파주: 한울 [2006]
  • 『기독교 조직신학 Ⅲ』
    김균진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4]
  • 『고통받는 인간 : 고통문제에 대한 철학적 성찰』
    손봉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 『(의료선교사가 현장에서 쓴) 의료선교학』
    전우택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 “히포크라테스 의학에서 엠페도클레스의 영향: 가정(hypothesis)과 인간의 본질 (physis) 문제.”
    이기백 의사학 22 [2013]
  • “현상학적 정신의학을 위한 메를로-퐁티의 상호신체성 이론.”
    신인섭 철학연구 76 [2007]
  • “현상학적 정신병리학.”
    백명재 신경정신의학 50 [2011]
  •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
    김소윤 신학사상 178 [2017]
  • “현대 의료실천에서의 몸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공병혜 인문학연구 37 [2009]
  • “현 의료계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조사.”
    김미주 한국의료윤리학회지 4/1 [2001]
  • “합성 생물학 시대에 신학담론의 위치.”
    방연상 신학사상 174 [2016]
  • “함석헌의 생명 사상 : 그 역설적 자유의 종교적 함의.”
    정재현 한국기독교와 역사 24 [2006]
  • “한국의 인간 유전체 연구에 있어 개인 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김소윤 한국의료법학회지 23 [2015]
  • “한국 의료계의 권위주의적 매커니즘에 대한 분석과 생명의료윤리교육1 ? 에리히 프롬 의 입장을 중심으로.”
    정창록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7/2 [2014]
  • “한국 의과대학내 선후배간 위계질서 강화 프로그램 조사.”
    김익중 한국의료윤리학회지 4/1 [2001]
  • “폴-조제프 바르테즈(1734~1806)의 생기론.”
    한희진 의사학 19 [2010]
  • “파스퇴르와 푸쉐의 자연 발생설 논쟁과 그 함의.”
    김경호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 [2006]
  • “파블로프(I. P. Pavlov)의 조건반사 이론의 형성과정.”
    김옥주 의사학 1 [1992]
  • “클로드 베르나르의 일반생리학 : 형성과정과 배경.”
    한기원 의사학 19 [2010]
  • “클로드 베르나르의 실험 의학 ? 19세기 유럽 문학에 나타난 자연주의와 근대성의 기원 연구.”
    이찬규 의사학 22 [2013]
  • “캉길렘의 생명철학에서 개체성과 내재적 규범의 문제.”
    황수영 의철학연구 15 [2013]
  • “철학적 인간학과 의학적 인간학 ? 「고대 의학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반덕진 의철학연구 9 [2010]
  • “철학 속의 과학주의 ? 과학철학의 자연화 ?.”
    조인래 과학철학 9/2 [2006]
  • “질병 체험과 서사.”
    황임경 의철학연구 10 [2010]
  • “진화의학의 철학.”
    강병수 의철학연구 5 [2008]
  • “진리와 해석: 신앙의 진정성을 향하여.”
    정재현 조직신학논총 3 [1998]
  • “중환자실에서의 몸의 현상학과 네러티브.”
    공병혜 동서사상 8 [2010]
  • “죽음에 대한 철학적-종교적 이해.”
    정재현 가톨릭철학 12 [2009]
  • “죠르쥬 깡길렘 : 병리적인 것에 대한 인식론적 규범성.”
    조병준 프랑스학연구 16 [1998]
  •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무신론’을 다시 보며.”
    정재현 신학과 실천 12 [2007]
  • “제3의 정신의학 토대로서 메를로-퐁티의 살의 공동체.”
    신인섭 철학 93 [2007]
  • “자리에르 비샤의 의학사상 : 프랑스 생기론의 역사적 맥락에서.”
    황수영 의사학 21 [2012]
  • “인체유래물과 유전정보에 대한 권리 및 분배 기준.”
    김소윤 한국의료법학회지 23 [2015]
  • “인간적 취약함의 의미 ? 인간 강화 시대의 인간.”
    조태구 가톨릭철학 32 [2019]
  • “의학적 인간학과 윤리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의사-환자 관계.”
    정대성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8/4 [2015]
  • “의학적 인간학과 심리분석(정신분석)의 관계.”
    진교훈 생명윤리 2/1 [2001]
  • “의학적 시선에서 기술적 시선으로.”
    권상옥 의철학연구 7 [2009]
  • “의학의 이데올로기와 합리성 ? 조르주 깡귀엠의 과학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
    여인석 의철학연구 9 [2010]
  • “의학의 세 차원 ? 자연의학, 사회의학 그리고 인문의학.”
    강신익 의철학연구 6 [2008]
  • “의학의 두 문화: 환원인가 구성인가?.”
    강신익 의사학 11 [2002]
  • “의철학 3대 논쟁점의 재구성 ? 의철학 교과서를 위한 철학적 기초.”
    최종덕 의철학연구 20 [2015]
  •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김환석 과학기술학연구 14 [2014]
  • “의료윤리 문제에 관한 우리나라 의사들의 의식 조사.”
    구영모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1 [1999]
  • “의료 현장에서의 내러티브 윤리.”
    공병혜 대한질적연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1 [2012]
  • “의료 인문학의 성격과 전망.”
    권상옥 의철학연구 5 [2008]
  • “의료 인문학의 개념과 의학 교육에서의 역할.”
    권상옥 한국의학교육 17/3 [2005]
  • “은유 표현을 통해 본 한국인의 질병관.”
    전혜영 한국문화연구 30 [2016]
  • “유전체 맞춤 의학 연구와 위험의 개념 이해.”
    김소윤 생명윤리정책연구 6 [2012]
  • “유전정보 차별금지의 법적 문제.”
    김소윤 의료법학 18 [2017]
  • “유전정보 기증으로 발생 가능한 피해의 유형과 확률.”
    김소윤 생명윤리정책연구 8 [2014]
  • “유전자 맞춤의학의 사회적 함의.”
    김소윤 생명윤리 14 [2013]
  • “우상파괴를 통한 종교해방 ? 니시타니의 공(空)과 포이어바흐의 투사를 잇댐으 로써.”
    정재현 신학사상 166 [2014]
  • “우리나라 의과대학병원 교수들의 의료윤리 문제들에 대한 견해.”
    고윤석 한국의료윤리학회 지 7/2 [2004]
  •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의술과 히포크라테스 의학.”
    성영곤 서양고대사연구 46 [2016]
  • “아스클레피오스 신앙과 초기 기독교의 관계에서 본 병원의 기원.”
    여인석 의사학 26 [2017]
  • “아스클레피오스 숭배와 치유의 도상.”
    조은정 미술사학보 37 [2011]
  • “아루루르 요레스(Arthur Jores)의 의학적 인간학.”
    진교훈 의료?윤리?교육 4/1 [2001]
  • “신앙성찰과 신학하기?한국 기독교 신앙에 대한 종교문화적 분석을 통하여.”
    정재현 신학논 단 53 [2008]
  • “소아정신의학 역사 속의 진단기준 발전과 현상학적 기술정신의학.”
    반건호 소아청소년정신 의학 26 [2015]
  • “서양의학의 질병관에 대한 사상사적 고찰.”
    이종찬 과학사상 14 [1995]
  • “서사에 대한 의철학적 비판.”
    황임경 의철학연구 19 [2015]
  • “서사 의학의 철학적 기초로서 의학적 해석학의 가능성과 한계.”
    황임경 의철학연구 26 [2018]
  • “생명정치 시대의 신학 ? 푸코와 아감벤의 생명정치론을 중심으로.”
    방연상 신학과 사회 30 [2016]
  • “생명산업 시대의 신학적 생명: CRISPR 기술을 중심으로”
    방연상 신학연구 70 [2017]
  • “비판적 의료인문학과 거꾸로 의학교육.”
    강신익 의철학연구 25 [2018]
  • “부정성의 극단화로서의 노년 : 노년의 철학적 규정에 대한 연구.”
    이관표 현대유럽철학연구 45 [2017]
  • “바이쯔젝커(Viktor von Weizsacker)의 의학적 인간학.”
    진교훈 의료?윤리?교육 3/2 [2000]
  • “미셸 푸코의 파놉티시즘에서 인식, 권력, 윤리의 관계.”
    한희진 의철학연구 13 [2012]
  • “무엇이 과잉진료를 부추기는가?: 과잉진료의 원인 고찰과 대책.”
    정유석 한국의료윤리학회 지 19/3 [2016]
  • “몸에 대한 생의학적 개입과 생명정치.”
    이을상 인문과학 54 [2014]
  • “몸, 권력, 이미지 ; 현대 의료실천에서의 몸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공병혜 인문학연구 37 [2009]
  • “만성병 수치화의 생명정치.”
    김태우 한국문화인류학 47 [2014]
  • “돌봄의 학문과 해석학.”
    공병혜 인문학연구 54 [2017]
  • “대학병원에서 교수에 의한 전공의 성희롱.”
    박창범 한국의료윤리학회지 21/1 [2018]
  • “니체의 “커다란 건강”에 대한 연구.”
    이상범 니체연구 29 [2016]
  • “니체에 있어서 병과 건강의 의미.”
    이상엽 대동철학 73 [2015]
  • “끌로드 베르나르는 생기론자인가? - 『실험의학연구서설』을 중심으로.”
    박찬웅 의철학연구 22 [2016]
  • “김기동 계열의 귀신론과 질병관.”
    목창균 한국기독교 연구논총 8 [1987]
  • “기독교 수용이 한국인 질병관의 변화에 미친 영향과 한계.”
    여인석 기독교사상 674 [2015]
  • “근대적 생명정치의 계보학적 계기들.”
    이진경 시대와 철학 18 [2007]
  • “국제 인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활성화와 지적재산권 제도의 변화.”
    김소윤 한국의료법 학회지 24 [2016]
  • “국제 공공재의 특징을 갖는 유전체 의료.”
    김소윤 비판사회정책 50 [2016]
  • “국내 인터넷 사용자들의 의료윤리 문제에 대한 의식 조사 "병원이 비윤리적이라고 느끼게 되었던 경우"에 대한 질적 분석.”
    정유석 한국의료윤리학회지 3/1 [2000]
  • “과학주의에 대한 신학적 ? 윤리적 비판.”
    강원돈 기독교사회윤리 29 [2004]
  • “겝자텔(V.E. von Gebsattel)에 의한 의학적 인간학.”
    진교훈 인간연구 3 [2002]
  • “갈레노스의 질병개념.”
    여인석 의사학 12 [2003]
  • ““죽지 않을 것처럼 살지 말라!”-몸이 가르치는 삶의 뜻을 배우며-.”
    정재현 한국정신과학 회 학술대회논문집 29 [2008]
  • ““좋은 의사는 또한 철학자이다” 의사-철학자 모델 갈레노스를 중심으로.”
    여인석 의철학연구 25 [2018]
  • ““자유가 너희를 진리하게 하리라” : 모순에서 역설로의 전환을 통한 ‘참된 종교’를 위하여.”
    정재현 조직신학 논총 10 [2004]
  • “‘종교적 인간’에서 ‘신앙하는 인간’으로 ? 종교신학에 대한 파니카의 비판을 통하여.”
    정재현 신학사상 146 [2009]
  • “‘종교간 만남’을 넘어 ‘신앙의 성숙’으로?종교관계유형에 대한 파니카의 성 찰을 통하여.”
    정재현 신학논단 55 [2009]
  • “‘올바름’에서 ‘베풀음’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정재현 중세철학 12 [2006]
  • “‘생각기계’의 유물론적 토대 : 라 메트리La Mettrie의 인간기계론.”
    박평종 프랑스학연구 89 [2019]
  • “Karl Jaspers와 정신병리학.”
    양병환 정신병리학 11 [2002]
  • “20세기 철학에서 과학주의: 과학적 경험주의와 자연화된 인식론.”
    한상기 범한철학 69 [2013]
  • a life in medicine and bacteriology
    [1999]
  • The Singularity Is Near : When Humans Transcend Biology
    [2006]
  • The Politics of Life Itself : Biomedicine , Power and Subjectiv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07]
  • The Meaning of Health : essays in existentialism , psychoanalysis , and religion
    [1984]
  • Systematic Theology , v.1
    [1955]
  • Social psychiatry acrossCultures : studies from North America , Asia , Europe , and Africa
    [1995]
  • Social psychiatry
    [1969]
  • Scientism and values
    [2018]
  • Scientism : Philosophy and Infatuation with Science
    [2017]
  • Medicine and Religion : a historical introduction
    [2014]
  • Medicine and Health Care in Early Christianity
    [2009]
  • Marvin K. Culture & social psychiatry
    [1967]
  • Man on his Nature
    [2009]
  • K. M. Time to heal : American medical education from the turn of the century to the era of managed care
    [1999]
  • Joan E. The body in biblical , christian and jewish texts
    [2014]
  • J. N. D. Early Christian Creeds
    [1972]
  • J. JESUS IN CONTEMPORARY SCHOLARSHIP
    [1994]
  • God and Human Suffering : An Exercise on the Theology of the Cross .
    [1986]
  • Darrel W. Medicine , Society , and Faith in the Ancient and Medieval Worlds
    [1996]
  • Conflict , Holiness , and Politics in the Teachings of Jesus
    [1998]
  • C. Not for Profit : Why Democracy Needs the Humanities
    [2010]
  • Benjamin D. Heidegger ’ s Religious Origins : destruction and authenticity
    [2006]
  • BODY : Biblical spirituality for the whole person
    [2016]
  • An Introduction to social psychiatry
    [1971]
  • Alexander H. Explorations in social psychiatry
    [1957]
  • A Theology of Embodiment
    [1995]
  • ?종교신학강의: 다종교 상황에서 그리스도교인이 가야할 길?
    정재현 서울: 비아 [2017]
  • ?우상과 신앙: 종교적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정재현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9]
  • ?미워할 수 없는 신은 신이 아니다: 틸리히의 역설적 통찰과 종교비판?
    정재현 서울: 동 연 [2019]
  • ..Caring andCuring : Health and Medicine in the Western Religious Traditions
    [1998]
  • .. What Is Disease ?
    [1997]
  • .. The Biopsychosocial Formulation Manual : A Guide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2006]
  • .. Scientism : The New Orthodoxy
    [2015]
  • .. Philosophy in Medicine :Conceptual and Ethical Issues in Medicine and Psychiatry
    [1982]
  • .. Oxford Textbook of Spirituality in HealthCare .
    [2012]
  • .. On Moral Medicine : Theological Perspectives in Medical Ethics
    [2012]
  • .. Health/Medicine and the Faith Traditions : An Inquiry into Religion and Medicine
    [1982]
  • .. HARRISON ’ 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008]
  • .. Exploring Vulnerability
    [2017]
  • .. Establishing Medical Reality , Essays in the metaphysics and epistemology of Biomedical science
    [2007]
  • .. Essential Readings in Medicine and Religion
    [2017]
  • .. Biological Psychiatry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