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세기 加耶 諸國의 동향과 국제관계

신가영 2020년
' 4~6세기 加耶 諸國의 동향과 국제관계'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400년 고구려군의 남정(南征)
  • Aragaya(阿羅伽倻)
  • Battle of Gwansan Fortress
  • Bogukjanggun Bongukwang(輔國將軍 本國王)
  • Daegaya(大伽倻)
  • Gaya countries
  • Geumgwangaya(金官伽倻)
  •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in 400
  • Sabi Conference
  • The Process of Fall of the Gaya
  • Twelve Songs of Ureuk(于勒)
  • baekje
  • silla
  • 가야 제국(諸國)
  • 가야의 소멸 과정
  • 관산성전투
  • 금관가야
  • 대가야
  • 백제
  • 보국장군 본국왕(輔國將軍 本國王)
  • 사비회의
  • 신라
  • 아라가야
  • 우륵12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35 0

0.0%

' 4~6세기 加耶 諸國의 동향과 국제관계' 의 참고문헌

  • 李賢惠, ?韓國 古代의 생산과 교역?
    一潮閣 [1998]
  • 李賢惠, ?三韓의 對外交易體系? ?
    李基白先生古稀紀念韓國史學論叢(上)? [1994]
  • 李賢惠, ?4세기 加耶社會의 交易體系의 변천? ?
    韓國古代史硏究? 1 [1988]
  • 李璟子, ?大加耶系 古墳 出土 耳飾의 副葬樣相에 대한 一考察? ?
    嶺南考古學? 24 [1999]
  • 李熙濬, ?토기로 본 大伽耶의 圈域과 그 변천? ?加耶史硏究-대가야의 政治와 文化-?
    慶尙北道 [1995]
  • 李熙濬, ?낙동강 以東 지방 4, 5세기 고분 자료의 定型性과 그 해석? ?4 5세기 한일고고학?
    (영남고고학회 구주고고학회 제2회 합동고고학대회) [1996]
  • 李熙濬, ?김해 禮安里 유적과 新羅의 낙동강 西岸 진출? ?
    韓國考古學報? 39 [1998]
  • 李熙濬, ?경주 月城路 가-13호 積石木槨墓의 연대와 의의-? ?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 李熙濬, ?4~5세기 창녕 지역 정치체의 읍락 구성과 동향? ?
    嶺南考古學? 37 [2005]
  • 李炯基, ?阿羅伽耶聯盟體의 成立과 그 推移? ?
    사학연구? 57 [1999]
  • 李炯基, ?星山伽耶聯盟體의 成立과 그 推移-加耶史에서의 地域聯盟體에 대한 一試論-? ?
    民族文化論叢? 18 19 [1998]
  • 李炯基, ?小伽耶聯盟體의 成立과 그 推移? ?
    民族文化論叢? 17 [1997]
  • 李炯基, ?大加耶의 形成과 發展 硏究?
    景仁文化社 [2009]
  • 李炯基, ?4~5세기 大加耶의 발전에 대한 고찰? ?
    韓國古代史硏究? 26 [2002]
  • 李漢祥, ?新羅의 古代國家 形成과 威勢品? ?국가 형성의 고고학?(한국고고학회 학술총서4)
    사회평론 [2008]
  • 李漢祥, ?大加耶圈 裝身具의 編年과 分布? ?
    韓國古代史硏究? 18 [2000]
  • 李漢祥, ?5~6世紀 新羅의 邊境支配方式-裝身具 分析을 중심으로-? ?韓國史論? 33
    서울대 국사학과 [1995]
  • 李永植, ?대가야의 영역과 국제관계? ?
    伽倻文化? 10 [1997]
  • 李永植, ?伽倻諸國의 國家形成問題-?伽倻聯盟說?의 再檢討와 戰爭記事分析을 中心으로-? ?
    白山學報? 32 [1985]
  • 李明植, ?6세기 新羅의 洛東江流域進出考? ?
    啓明史學? 8 [1997]
  • 盧重國, ?高句麗?百濟?新羅사이의 力關係變化에 대한 一考察? ?
    東方學志? 28 [1981]
  • 盧重國, ?大加耶의 政治 社會構造? ?加耶史硏究-대가야의 政治와 文化-?
    慶尙北道 [1995]
  • 金龍星, ?新羅의 高塚과 地域集團-大丘 慶山의 例-?
    춘추각 [1998]
  • 金鉉球, ?神功紀 加羅七國 平定記事에 관한 一考察? ?
    史叢? 39 [1991]
  • 金鉉球, ?4세기 가야와 백제 야마토왜의 관계? ?韓國古代史論叢 6?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4]
  • 金海大成洞古墳群Ⅰ-槪報?
    [2000]
  • 金泰植, ?가야의 社會發展段階?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民音社 [1990]
  • 金泰植, ?後期加耶諸國의 성장기반 고찰? ?
    釜山史學? 11 [1986]
  • 金泰植, ?初期 古代國家論? ?강좌한국고대사 2?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2003]
  • 金泰植, ?5世紀 後半 大加耶의 發展에 대한 硏究? ?韓國史論? 12
    서울大 國史學科 [1985]
  • 金大煥, ?부산 지역 금관가야설의 검토? ?
    嶺南考古學? 33 [2003]
  • 金周龍, ?昌原地域 古墳의 推移와 性格?
    釜山大 碩士學位論文 [2007]
  • 金亨坤, ?阿羅伽耶의 形成過程 硏究-考古學的 資料를 중심으로-? ?
    加羅文化? 12 [1995]
  • 호리 도시카즈(堀敏一) 지음, 정병준 이원석 채지혜 옮김, ?중국과 고대 동아시아 세계-중화적 세계와 여러 민족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완료 약보고서? [2019]
  • 질서 인식의 역사적 배경-? ?
    韓國古代史硏究? 95
  • 지음 하일식 옮김, ?朝鮮社會經濟史?
    백남운 이론과 실천 [1994]
  • 웨이정 시게미 야스시, ?아라가야의 역사와 공간?
  • 영남매장문화재연구원, ?
    高靈快賓洞古墳群? [1996]
  • 양기석, ?百濟 武寧王代의 自尊的 天下觀? ?
    중원문화연구? 16 17 [2011]
  • 양기석, ?5世紀 後半 韓半島 情勢와 大加耶?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대가야학술총서 5)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2001]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2000]
  • 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편, ?
    김해양동리고분? [1989]
  • 문창로, ?‘변한과 가야’ 연구의 동향과 과제? ?
    韓國古代史硏究? 89 [2018]
  • 동북아역사재단 편, ?三國志?晉書 外國傳?(譯註 中國 正史 外國傳 4)
    동북아역사재단 [2009]
  • 대성동고분박물관, ?
    金海 大成洞古墳群 : 85호분~91호분? [2015]
  • 대가야박물관, ?대가야, 섬진강으로 진출하다?
    (제13회 대가야박물관 기획특별전) [2015]
  • 대가야박물관, ?
    土器로 본 大加耶? [2004]
  • 국립중앙박물관, ?가야, 동아시아 교류와 네트워크의 중심지들?(‘가야본성
    칼과 현’ 학술도록) [2019]
  • 국립전주박물관, ?전북에서 만나는 가야이야기?
    통천문화사 [2018]
  • 국립문화재연구소, ?가야 문헌 사료편?
    (가야자료총서) [2018]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가야 발굴조사 자료편Ⅰ~Ⅳ?
    (가야자료총서) [2018]
  • 계사연구논집 1)
    景仁文化社
  • 경성대학교박물관, ?
    김해대성동고분군Ⅰ? [2000]
  •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와 주변제국?
    학연문화사 [2013]
  • 경남고고학연구소, ?
    봉황토성? [2005]
  • 魏加耶, ?5~6世紀 百濟와 新羅의 ‘軍事協力體制’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高靈 池山洞古墳群 V ?
    [2006]
  • 高句麗廣開土王碑文の硏究 ? ? 朝鮮史硏究會論文集 ?
    11 [1974]
  • 高句麗史と東アジア ?
    [1989]
  • 韓國文化史大系 1 : 民族·國家史 ?
  • 韓國古代社會硏究所 편,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Ⅰ-고구려 백제 낙랑 편-?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 韓國古代史硏究 ?
    [1976]
  • 釜山大學校 博物館, ?先史와 古代의 文化?
    (釜山大學校 開校 50周年記念) [1996]
  • 金鍾完, ?中國南北朝史硏究-朝貢 交聘關係를 중심으로-?
    一潮閣 [1995]
  • 金鍾完, ?《梁職貢圖》百濟國記의 文獻的 檢討?, ?東아시아 歷史의 還流?
    지식산업사 [2000]
  • 金鉉球, ?百濟의 加耶進出에 관한 一考察? ?
    東洋史學硏究? 70 [2000]
  • 金貞淑, ?大伽耶의 성립과 발전? ?加耶史硏究?
    慶尙北道 [1995]
  • 金秉南, ?百濟의 加耶 進出과 ‘沙?會議’? ?
    百濟硏究? 55 [2012]
  • 金海 禮安里 古墳群Ⅱ ?
    [1993]
  • 金海 禮安里 古墳群Ⅰ ?
    [1985]
  • 金泰植, ?가야사 연구의 시간적 공간적 범위? ?韓國古代史論叢 2?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1]
  • 金泰植, ?百濟의 加耶地域 關係史-交涉과 征服-? ?百濟의 中央과 地方?(백제연구총서 5)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1997]
  • 金泰植, ?廣開土王陵碑文의 任那加羅와 安羅人戌兵? ?韓國古代史論叢 6?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4]
  • 金泰植, ?廣開土大王代 高句麗와 加耶의 關係? ?廣開土太王과 高句麗 南進政策(고구려연구회 학술총서3)?
    학연문화사 [2002]
  • 金泰植, ?咸安 安羅國의 成長과 變遷? ?
    韓國史硏究? 86 [1994]
  • 金榮珉, ?金官加耶의 考古學的 硏究?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金斗喆, ?신라 가야의 경계로서 경주와 부산? ?
    嶺南考古學? 70 [2014]
  • 金斗喆, ?大加耶古墳의 編年 檢討? ?
    韓國考古學報? 45 [2001]
  • 金廷鶴, ?古代國家의 發達(伽耶)? ?
    韓國考古學報? 12 [1982]
  • 金奎運, ?5世紀 漢城期 百濟와 加耶 關係? ?
    중앙고고연구? 9 [2011]
  • 金哲埈, ?新羅 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 ?
    歷史學報? 1 2 [1952]
  • 金世基, ?大加耶의 발전과 周邊諸國? ?大加耶와 周邊諸國?
    高靈郡 韓國上古史學會 [2002]
  • 鄭澄元 洪潽植, ?昌寧地域의 古墳文化? ?
    韓國文化硏究? 7 [1995]
  • 鄭朱喜, ?4세기대 전남 동부지역 출토 가야 토기의 분포와 의미? ?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30周年 紀念 考古學論叢? [2011]
  • 鄭仁盛, ?弁韓 加耶의 對外交涉-樂浪郡과의 교섭관계를 중심으로-? ?가야 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2003]
  • 郭長根, ?湖南 東部地域의 加耶勢力과 그 成長過程? ?
    湖南考古學報? 20 [2004]
  • 郭長根, ?湖南 東部地域 山城 및 烽燧의 分布樣相? ?
    嶺南學? 13 [2008]
  • 趙榮濟, ?阿羅加耶의 考古學?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와 주변제국?
    학연문화사 [2013]
  • 趙仁成, ?6世紀 阿羅加耶(安羅國)의 支配勢力의 動向과 政治形態? ?
    加羅文化? 13 [1996]
  • 赵威(2013), 「留学生旅游汉语课程学习动机和态度调查研究」, 广西民族大学 硕士学位论文.
  • 繼體紀·欽明紀の ? 百濟本記 ? 關係記事 ? ? 古代朝鮮諸國と倭國 ?
    雄山閣出版 [1997]
  • 筒形銅器硏究 ? ? 福岡大學總合硏究所報 ?
    240 [2000]
  • 禹炳喆, ?新羅 및 加耶式 鐵鏃의 成立과 擴散? ?
    韓國考古學報? 58 [2006]
  • 百濟 政治史 硏究 ?
    [1988]
  • 白承玉, ?比斯伐加耶의 形成과 國家的 性格? ?
    韓國文化硏究? 7 [1995]
  • 白承玉, ?新羅 百濟 각축기의 比斯伐加耶? ?
    釜大史學? 15 16 [1992]
  • 白承玉, ?加耶各國史硏究?
    혜안 [2003]
  • 白承玉, ?加羅國과 주변 加耶諸國-연맹체론의 검토와 加羅國의 縣-? ?大加耶와 周邊諸國?
    高靈郡 韓國上古史學會 [2002]
  • 白承玉, ?加羅 擬制縣의 存在와 그 政治的 性格-국가적 성격 논의와 관련하여-? ?
    伽倻文化? 12 [1999]
  • 白承玉, ??卓淳?의 位置와 性格-《日本書紀》관계기사 검토를 중심으로-? ?
    釜大史學? 19 [1995]
  • 白承忠, ?加耶의 地域聯盟史 硏究?
    釜山大 博士學位論文 [1995]
  • 白承忠, ?加羅 新羅 ‘결혼동맹’과 그 추이? ?
    釜大史學? 20 [1996]
  • 白承忠, ?于勒十二曲의 해석문제? ?韓國古代史論叢 3?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 白承忠, ?≪일본서기≫ 神功紀 소재 한일관계 기사의 성격? ?광개토대왕비와 한일관계?
    (한일관 [2005]
  • 白承忠, ?‘加耶’의 用例 및 時期別 분포상황-‘加耶聯盟體’ 개념의 적용과 관련하여-? ?
    釜山史學? 22 [1992]
  • 白承忠, ??任那復興會義?의 전개와 그 성격? ?
    釜大史學? 17 [1993]
  • 白承忠, ?6세기 전반 백제의 가야진출과정? ?
    百濟硏究? 31 [2000]
  • 白承忠, ?3~4세기 한반도 남부지방의 제세력 동향-초기가야세력권의 변화를 중심으로-? ?
    釜山史學? 19 [1990]
  • 町田章, ?加耶の環頭大刀と王權? ?加耶諸國의 王權?
    신서원 [1997]
  • 申敬澈, ?金海大成洞 東萊福泉洞古墳群 點描-金官加耶 이해의 一端-? ?
    釜大史學? 19 [1995]
  • 申敬澈, ?韓國考古資料로 본 日本 古墳時代 年代論의 諸問題? ?韓日古墳時代의年代觀Ⅲ?
    釜山 [2009]
  • 申敬澈, ?金海大成洞 東萊福泉洞古墳群 點描-金官伽倻 理解의 一端-? ?
    釜大史學? 19 [1995]
  • 洪潽植, ?문물로 본 가야와 백제의 교섭과 교역? ?
    湖西考古學? 18 [2008]
  • 洪潽植, ?金官加耶와 倭? ?
    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古代東アジアにおける倭と加耶の交流-? 110 [2004]
  • 永樂10年 , 高句麗廣開土王の新羅救援戰について ? ? 朝鮮史硏究會論文集 ?
    27 [1990]
  • 權鶴洙, ?加耶諸國의 相互關係와 聯盟構造? ?
    韓國考古學報? 31 [1994]
  • 權珠賢, ?阿羅加耶의 成立과 發展? ?
    啓明史學? 4 [1993]
  • 梁起錫, ?管山城 戰鬪의 樣相과 影響? ?
    中原文化論叢? 12 [2009]
  • 東萊福泉洞古墳群Ⅰ ?
    [1983]
  • 李鎔賢, ?加羅(大加耶)를 둘러싼 국제적 환경과 그 대외교섭?, ?
    韓國古代史硏究? 18 [2000]
  • 李道學, ?弁韓 ‘國出鐵’ 論의 檢證과 意味? ?
    단군학연구? 39 [2018]
  • 李盛周, ?新羅 伽倻社會의 起源과 成長?
    學硏文化社 [1998]
  • 李熙濬, ?대가야 토기 양식 확산 재론? ?
    嶺南學? 13 [2008]
  • 李熙濬, ?경주 皇南大塚의 연대? ?
    嶺南考古學? 17 [1995]
  • 李永植, ?가야와 고구려의 교류사 연구? ?
    韓國史學報? 25 [2006]
  • 李永植, ?가야국명의 재검토(Ⅰ)? ?
    伽倻文化? 17 [2004]
  • 李永植, ?百濟의 加耶進出過程? ?韓國古代史論叢 7?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5]
  • 李永植, ?五世紀 倭國王의 爵號에 보이는 韓南部 諸國名의 意味? ?
    史叢? 34 [1988]
  • 李永植, ?九干社會와 駕洛國의 成立? ?
    伽倻文化? 7 [1994]
  • 李文基, ?大加耶의 對外關係? ?加耶史硏究-대가야의 政治와 文化-?
    慶尙北道 [1995]
  • 李成珪, ?中國의 分裂體制模式과 東아시아 諸國? ?韓國古代史論叢 8?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6]
  • 朴天秀, ?考古資料를 통해 본 古代 韓半島와 日本列島의 相互作用? ?
    韓國古代史硏究? 27 [2002]
  • 朴天秀, ?考古學 資料를 통해 본 大加耶? ?考古學을 통해 본 加耶?
    韓國考古學會 [2000]
  • 朴天秀, ?大加耶圈 墳墓의 編年? ?
    韓國考古學報? 39 [1998]
  • 朴天秀, ?大伽耶의 古代國家形成? ?
    碩晤尹容鎭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996]
  • 朴天秀, ?地域間 竝行關係로 본 加耶古墳의 編年? ?가야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2003]
  • 朴天秀, ?三國時代 昌寧地域 集團의 性格硏究? ?
    嶺南考古學? 13 [1993]
  • 朴升圭, ?考古學을 통해 본 小加耶? ?考古學을 통해본 加耶?
    韓國考古學會 [2000]
  • 朱甫暾, ?새로운 大加耶史의 定立을 위하여-硏究上의 跳躍을 기대하며-? ?동 서 가야문화벨트의 역사적 의미와 그 활용방안 모색?
    고령군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08]
  • 朱甫暾, ?麻立干時代 新羅의 地方統治? ?
    嶺南考古學? 19 [1996]
  • 朱甫暾, ?高句麗 南進의 性格과 그 影響-廣開土王 南征의 實相과 그 意義-? ?
    大丘史學? 82 [2006]
  • 朱甫暾, ?新羅 地方統治體制의 整備過程과 村落?
    신서원 [1998]
  • 朱甫暾, ?序說-加耶史의 새로운 定立을 위하여-? ?加耶史硏究-대가야의 政治와 문화-?
    慶尙北道 [1995]
  • 朱甫暾, ?加耶滅亡問題에 대한 一考察-新羅의 膨脹과 關聯하여-? ?
    慶北史學? 4 [1982]
  • 朱甫暾, ?《日本書紀》의 編纂 背景과 任那日本府設의 成立? ?
    韓國古代史硏究? 15 [1999]
  • 朱甫暾, ?4∼5世紀 釜山地域의 政治的 向方? ?복천동고분군의 재조명?
    (제1회 부산광역시립복천 박물관 학술발표대회) [1997]
  • 末松保和, 1956 ?任那興亡史?, 吉川弘文館
  • 朝鮮民族史槪論 ( 上 ) ?
    [1948]
  • 昌原 加音丁洞古墳群 發掘調査報告 ? ? 昌原加音丁洞遺蹟 ?
    [1994]
  • 弁辰と加耶の鐵 ? ? 國立歷史民俗博物館硏究報告 ?
    110 [2004]
  • 延敏洙, ?金官國의 멸망과 東아시아? ?
    伽倻文化? 10 [1997]
  • 延敏洙, ?廣開土王碑文에 보이는 倭關係 記事의 檢討? ?
    東國史學? 21 [1987]
  • 延敏洙, ?任那日本府論?소위 日本府官人의 出自를 중심으로-? ?
    東國史學? 24 [1990]
  • 廣開土王陵碑文 再論 ? ? 全海宗博士 華甲紀念史學論叢 ?
    [1979]
  • 廣開土王碑墨本の硏究 ?
    [2009]
  • 崔光植, ?百濟의 國家祭祀와 竹幕洞 祭祀遺蹟의 性格? ?扶安 竹幕洞 祭祀遺蹟 硏究?
    國立全州博物館 [1998]
  • 尹龍九, ?三韓의 對中交涉과 그 性格? ?
    國史館論叢? 85 [1999]
  • 定森秀夫, ?陶質土器からみた倭と阿羅加耶? ?
    지역과 역사? 35 [2014]
  • 宋源永, ?金官加耶와 廣開土王碑文 庚子年 南征記事-김해 지역 고고학 발굴성과를 중심으로-?
    부산대 석사학위논문 [2010]
  • 安在晧 宋桂鉉, ?古式陶質土器에 관한 약간의 考察-義昌 大坪里出土品을 通하여-? ?
    嶺南考古學? 1 [1986]
  • 姜賢淑, ?考古學에서 본 4 5세기 高句麗와 伽耶의 成長? ?加耶와 廣開土大王?
    (第9回 加耶史 國際學術會議) [2003]
  • 大學校 博物館·歷 史民俗博物館
  • 大加耶連盟の興亡と ? 任那 ? -加耶琴だけが殘った ?
    [1992]
  • 大伽倻 歷史館 新築敷地內 高靈池山洞古墳群-本文II : 橫穴 ( 口 ) 式石室墓?
    [2000]
  • 古代東アジアの日本と朝鮮 ?
    [1978]
  • 古代國家 , 安羅國 ? ? 伽倻文化 ?
    18 [2005]
  • 古代の日朝關係 ? , ? 書房
    [1989]
  • 南在祐, ?安邪國의 形成? ?
    釜山史學? 39 [2000]
  • 南在祐, ?安羅國史?
    혜안 [2003]
  • 南在祐, ?加耶史에서의 ‘聯盟’의 의미? ?
    昌原史學? 2 [1995]
  • 千寬宇, ?復元加耶史(上 中 下)? ?
    文學과 知性? 28 29 31 [1977]
  • 千寬宇, ?辰 弁韓諸國의 位置 試論? ?
    白山學報? 20 [1976]
  • 千寬宇, ?三韓의 國家形成(下)? ?
    韓國學報? 3 [1976]
  • 加耶聯盟史 ?
    [1993]
  • 加耶諸國と任那日本府 ?
    [1993]
  • 加耶史硏究 ?
    [1991]
  • 加耶史史料集成 ?
    [1992]
  • 加耶と倭の歷史環境 ? ? 朝鮮學報 ?
    196 [2005]
  • 加羅諸國の史的發展について ? ? 朝鮮史硏究會論文集 ?
    11 [1974]
  • 六世紀 安羅國史 硏究 ? ? 國史館論叢 ?
    62 [1995]
  • 全榮來, ?百濟南方境域의 變遷? ?千寬宇先生還曆紀念 韓國史學論叢?
    正音文化社 [1985]
  • 全德在, ?관산성전투에 대한 새로운 고찰? ?
    新羅文化? 34 [2009]
  • 全德在, ?新羅 州郡制의 成立背景硏究? ?
    韓國史論? 22 [1990]
  • 余昊奎, ?<廣開土王陵碑>에 나타난 高句麗 天下의 공간범위와 주변 族屬에 대한 인식? ?
    역사문화연구? 32 [2009]
  • 伽耶地域における4世紀の陶質土器と墓制 ? ? 古代を考える ?
    34 [1983]
  • 任那日本府硏究-韓半島南部經營論批判?
    [1993]
  • 任那に關する一試論 ? ? 古代東アジア史論集 ( 下卷 ) ?
    [1978]
  • 仁濟大學校 加耶文化硏究所 편, ?가야제국의 鐵?
    신서원 [1995]
  • 仁濟大學校 加耶文化硏究所 편, ?가야제국의 王權?
    신서원 [1997]
  • 井上主稅, ?김해 및 부산 지역 古墳 출토 倭系遺物에 대하여? ?
    韓國考古學報? 51 [2003]
  • 五世紀の外交-朝鮮關係を中心として? ? 東アジアの古代文化 ? 37
    [1983]
  • 于勒十二曲と大加耶聯盟 ? ? 東洋史硏究 ?
    [1990]
  • 中國正史 朝鮮傳 譯註 二 ?
    [1988]
  • 中國正史 朝鮮傳 譯註 一 ?
    [1987]
  • 丁仲煥, ?日本書紀 繼體 欽明紀의 加羅關係記事 硏究? ?
    釜山史學? 2 [1977]
  • 「장수가야의 발전과정과 그 역동성」
    전상학 湖南考古學報? 57 [2017]
  • 「기록으로 본 고대 창녕지역의 정치적 위상」
    남재우 石堂論叢? 53 [2012]
  • 「6세기 前半安羅國주도의 加耶諸國관계 이해를 위한 기초적 검토」
    위가야 韓國古代史硏究? 94 [2019]
  • 《新羅六部體制硏究》
    전덕재 一潮閣 [1996]
  • “4세기 전반 고구려의 해양활동과 황해: 고구려와 후조모용선비 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정빈 역사와 실학? 59 [2016]
  • ?후기 가야연맹체의 성립과 발전?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김태식 혜안 [2001]
  • ?현존 ?梁職貢圖? 百濟國記 三例? ?
    윤용구 百濟文化? 46 [2012]
  • ?해인사전권(田券)과 묘길상탑기(妙吉祥塔記)? ?
    하일식 역사와 현실? 24 [1997]
  • ?합천댐 수몰지구 고분 자료에 의한 대가야 국가론? ?가야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이희준 혜안 [2003]
  • ?함안양식 고식도질토기의 분포정형에 관한 연구?
    정주희 경북대 석사학위논문 [2008]
  • ?한반도 남부지역의 왜계 요소-기원후 3~6세기대를 중심으로-? ?
    홍보식 韓國古代史硏究? 44 [2006]
  • ?한국사 ‘시대구분론’과 고대사 ‘단계 구분’? ?한국고대사의 쟁점?
    하일식 (한국고대사학회 창립30주년 기념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7]
  • ?한국 고대사학과 신출토 문자자료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윤선태 역사학보? 219 [2013]
  •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고령? ?고령문화사대계 1?
    이문기 역락 [2008]
  • ?토기와 묘제로 고대 창녕의 정치적 동향? ?
    하승철 嶺南考古學? 70 [2014]
  • ?토기문화로 본 4세기대 양산 지역의 성격? ?고대 양산의 가야문화?
    조성원 양산시 (재)한반도문화재 연구원 [2017]
  • ?출토유뮬로 본 삼국시대 南原지역의 정치적 向方? ?가야와 백제, 그 조우(遭遇)의 땅 ‘남원’?
    박천수 남원시 湖南考古學會 [2014]
  • ?초기 등자의 발전? ?
    최병현 중앙고고연구? 14 [2014]
  • ?철기유물로 본 전북지역 가야의 교류? ?
    유영춘 湖南考古學報? 59 [2018]
  • ?진안고원 초기청자의 등장배경 연구? ?
    곽장근 전북사학? 42 [2013]
  • ?진안고원 가야의 지역성? ?
    전상학 湖南考古學報? 43 [2013]
  • ?지산동 고분군과 대가야?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
    이희준 대가야박물관 [2015]
  • ?전북지역 백제와 가야의 교통로 연구? ?
    곽장근 韓國古代史硏究? 68 [2011]
  • ?전북지역 가야고분의 현황과 특징? ?
    전상학 湖南考古學報? 59 [2018]
  • ?전북 동부지역의 가야문화? ?가야와 그 문화권:가야문화권 실체 규명을 위한 학술 연구?
    곽장근 가야문화권지역발전시장군수협의회 [2014]
  • ?전북 동부지역 출토 철제무기의 전개양상과 의미-남원 장수 삼국시대 분묘유적 출토품을 중심으로-? ?
    유영춘 湖南考古學報? 57 [2017]
  • ?전북 동부지역 가야와 백제의 역학관계? ?
    곽장근 百濟文化? 43 [2010]
  • ?전북 동부지역 가야 고분의 위세품과 그 위상? ?
    김재홍 湖南考古學報? 59 [2018]
  • ?전북 가야문화유산의 역동성? ?전북에서 만나는 가야이야기?
    곽장근 국립전주박물관 [2018]
  • ?전남지역 마한 백제와 가야의 교류? ?
    하승철 湖南考古學報 ? 58 [2018]
  • ?전남 동부지역의 가야문화? ?가야와 그 문화권 :가야문화권 실체 규명을 위한 학술 연구?
    이동희 가야문화권지역발전시장군수협의회 [2014]
  • ?전남 동부지역 가야문화의 기원과 변천? ?
    이동희 百濟文化? 45 [2011]
  • ?전기 가야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
    남재우 韓國古代史硏究? 85 [2017]
  • ?장수군 제철유적의 분포양상과 그 의미? ?
    곽장근 湖南考古學報? 57 [2017]
  • ?일본속의 고대 한국 문화?
    박천수 진인진 [2011]
  • ?의기성 유물로 본 복천동고분군의 지역성? ?고대의 남동해안 국가 형성?
    김영민 (제8회 복천박물관 학술세미나) [2004]
  • ?유물을 통해 아라가야와 왜의 교섭? ?
    하승철 중앙고고연구? 25 [2018]
  • ?유물을 통해 본 대가야의 불교문화? ?
    이병호 한국불교학? 86 [2018]
  • ?웅진기 백제 영토 개척과 지방 지배-동쪽을 중심으로-? ?백제 웅진기 영역과 지방통치?
    곽장근 (백제학연구총서 쟁점백제사 13) [2018]
  • ?운봉고원의 제철유적과 그 역동성? ?
    곽장근 百濟文化? 52 [2015]
  • ?우리나라 甲?의 변화? ?고대의 전사와 무기?
    송계현 복천박물관 [1999]
  • ?우륵 출신지 省熱縣의 위치? ?
    김태식 樂師 于勒과 의령지역의 加耶史? [2009]
  • ?옥전고분군과 다라국?
    조영제 혜안 [2007]
  • ?연산동고분군과 복천동고분군? ?
    김두철 연산동고분군의 의의와 평가? [2013]
  • ?역주 일본서기 2?
  • ?역주 일본서기 1?
  • ?역사학으로 본 고령 가라국사?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김태식 혜안 [2000]
  • ?역사적으로 본 소가야의 정치체? ?묘제와 출토유물로 본 소가야?
    김태식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0]
  • ?역사적 공간으로서의 ‘遼東’과 고구려의 國際秩序 인식-?廣開土王碑?
    안정준 文에 보이는 국제 [2019]
  • ?안라국과 ‘임나일본부’, 그리고 백제? ?
    백승충 지역과 역사? 35 [2014]
  • ?악성 우륵의 생애와 대가야의 문화?
    노중국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6]
  • ?아라가야의 전쟁과 山城? ?아라가야의 산성?
    남재우 선인 [2018]
  • ?아라가야와 마한 백제?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와 주변제국?
    이동희 학연문화사 [2013]
  • ?신라의 남부가야 진출과 일본열도 왜의 대응? ?
    선석열 지역과 역사? 29 [2011]
  • ?신라와 전기 가야의 관계사? ?
    김태식 韓國古代史硏究? 57 [2010]
  • ?신라고분 편년의 제문제-경주 월성로 복천동 대성동고분의 상대편년을 중심으로-? ?
    최병현 韓國考古學報? 30 [1993]
  • ?신라고고학연구?
    이희준 사회평론 [2007]
  • ?신라 집권 관료제 연구?
    하일식 혜안 [2006]
  • ?신라 말, 고려 초의 지방사회와 지방세력-향촌 지배세력의 연속성에 대한 시론-? ?
    하일식 한국중세사연구? 29 [2010]
  • ?신라 가야의 移住資料와 移住類型? ?移住의 고고학?
    홍보식 (제34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2010]
  • ?신라 가야고분의 편년-일본열도 고분과의 병행관계를 중심으로-? ?한일고분시대의 연대관?
    박천수 역사민속박물관 [2006]
  • ?소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하승철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성왕 초기 가야 지역의 상황과 백제의 대응? ?
    김병남 韓國思想과 文化? 53 [2010]
  • ?서평: 국가성립사연구와 방법론-《한국고대국가의 형성》(한국고대사연구회, 1990, 민음사)-? ?
    하일식 역사와 현실? 4 [1990]
  • ?새로 쓰는 고대 한일교섭사?
    박천수 사회평론 [2007]
  • ?삼한 삼국시대 낙동강 하구 집단의 대외교류? ?금관가야의 국제교류와 외래계 유물?
    홍보식 주류성 [2014]
  • ?삼국시대의 이주와 생활 유형? ?
    홍보식 韓國考古學報? 87 [2013]
  • ?삼국시대 중국제 도자기 연구-鷄首壺와 盤口壺를 중심으로-?
    임혜빈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삼국시대 영남의 정세변동과 소가야고분군? ?경남의 가야고분과 동아시아?
    신경철 학연문화사 [2011]
  • ?삼국 고분시대의 연대관? ?한일 삼국 고분시대의 연대관Ⅰ?
    김두철 국립역사민속박물관 [2006]
  • ?사국시대의 사국관계사 연구?
    김태식 서경문화사 [2014]
  • ?사국시대의 가야사 연구?
    김태식 서경문화사 [2014]
  • ?부산지역 고분문화의 추이-가야에서 신라로-? ?
    김두철 港都釜山? 19 [2003]
  • ?백제의 사비회의 개최와 가야 諸國의 대응? ?
    신가영 사학연구? 131 [2018]
  • ?백제의 대외 교섭과 교류?
    노중국 지식산업사 [2012]
  • ?백제의 기문 대사 진출과정에 대한 재검토-513년 국제회의의 실상을 중심으로-? ?
    위가야 사림? 58 [2016]
  • ?백제의 가야 진출과 倭國-소위 ‘397년 체제’의 성립과 전개를 중심으로-? ?
    이재석 지역과 역사? 29 [2011]
  • ?백제와 동진의 교섭 항로? ?
    임동민 백제학보? 17 [2016]
  • ?백제 물질문화의 변동과 주민의 이주? ?移住의 고고학?
    이성준 (제34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2010]
  • ?반파국 위치 재론? ?
    백승옥 전북사학? 58 [2020]
  • ?미완의 문명 7백년 가야사 1?
    김태식 푸른역사 [2002]
  • ?문헌으로 본 가야의 국가적 성격? ?
    이형기 韓國上古史學報? 107 [2020]
  • ?문헌으로 본 가락국의 형성과 발전? ?김해 양동고분군과 고대 동아시아?
    남재우 주류성 [2012]
  • ?문헌으로 본 가락국사?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이영식 혜안 [2000]
  • ?마한 백제와 변 진한 및 가야 신라의 교류? ?영남지역 속에 스며든 마한 백제계 문물의 흔적?
    홍보식 대한문화재연구원 [2013]
  • ?동북아 문물교류의 허브 남원 유곡리 두락리 고분군? ?
    곽장근 문물연구? 34 [2018]
  • ?동 서가야문화밸트의 역사적 의미와 그 활용방안?
    주보돈 고령군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2008]
  • ?대외관계로 본 가라국의 발전-5세기대를 중심으로-? ?
    유우창 지역과 역사? 16 [2005]
  • ?대성동고분군 발굴조사의성과와 과제? ?대성동고분군과 동아세아?
    신경철 (16회 가야사 국제학술회의) [2010]
  • ?대가야의 장신구? ?대가야의 유적과 유물?
    이한상 대가야박물관 [2004]
  • ?대가야의 연맹구조에 대한 시론? ?
    이형기 韓國古代史硏究? 18 [2000]
  • ?대가야의 발전과 우륵 12곡? ?
    김태식 樂師 于勒과 의령지역의 加耶史? [2009]
  • ?대가야의 국가발전과정? ?(쟁점 대가야사) 대가야의 국가발전 단계?
    노중국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재)대동문화재연구원 [2017]
  • ?대가야의 공간적 범위에 대한 고찰? ?
    이형기 韓國古代史探究? 33 [2019]
  • ?대가야의 건국과 성장?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
    백승충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6]
  • ?대가야와 신라, 혼인동맹의 전개과정과 성격? ?
    이영식 역사와 경계? 44 [2013]
  • ?대가야연맹에서 고대국가 대가야국으로?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대 가야학술총서 5)
    김세기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6]
  • ?대가야양식 유물의 분포양상과 의미? ?
    이한상 신라문화? 41 [2013]
  • ?대가야고고학연구?
    이희준 사회평론 [2017]
  • ?대가야(大伽耶)의 정치발전과 영역지배방식? ?加耶文化遺蹟 調査 및 整備計劃?
    김현숙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1998]
  • ?대가야 멸망 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신가영 韓國古代史硏究? 72 [2013]
  • ?대가야 들여다보기?
    노중국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6]
  • ?대가야 고대국가론? ?
    김세기 韓國古代史硏究? 85 [2017]
  • ?남해 남치리 백제고분 출현과 그 배경? ?
    하승철 百濟學報? 19 [2017]
  • ?남해 남치리 1호분 발굴조사 성과? ?
    김미영 류창환 百濟文化? 51 [2014]
  • ?낙동강 하구의 가야문화-금관가야를 중심으로-? ?가야와 그 문화권?
    홍보식 가야문화권지역 발전시장군수협의회 [2014]
  • ?낙동강 중류역 삼국시대 성곽의 변천과 방어체계? ?
    조효식 嶺南考古學? 44 [2008]
  • ?낙동강 中流域 西岸 삼국시대 城郭 조사보고? ?
    조효식 博物館年報? 14 15 [2005]
  • ?김해대성동고분군의 발굴성과? ?
    신경철 伽倻文化? 4 [1991]
  • ?김해 대성동고분군 출토 외래계 유물의 역사적 배경? ?금관가야의 국제교류와 외래계유물?
    이영식 주류성 [2014]
  • ?김해 대성동고분군 목곽묘의 변천과 특징? ?가야고분군Ⅰ?
    김일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8]
  • ?금관가야의 성립과 연맹의 형성?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신경철 혜안 [2000]
  • ?금관가야의 성립과 대외관계? ?가야와 동아시아?(伽耶史國際學術會議)
    신경철 김해시 [1992]
  • ?금관가야와 양동리고분군? ?김해 양동리고분군과 고대 동아세아?
    김영민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012]
  • ?금관가야(金官加耶)의 성립과 발전-참고자료를 중심으로-? ?加耶文化遺蹟 調査 및 整備計劃?
    홍보식 가야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1998]
  • ?금공품으로 본 가야의 왕권? ?가야의 수장들?(제15회 가야사학술회의)
    이한상 김해시 [2009]
  • ?금강 상류지역 산성 및 봉수의 분포양상과 성격? ?
    조명일 湖南考古學報? 41 [2012]
  • ?국읍으로서의 봉황동유적? ?김해봉황동유적과 고대 동아시아?
    이성주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018]
  • ?광개토왕비에 나타난 고구려의 남방 세계관?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연민수 동북아역사재단 [2013]
  • ?광개토왕비문의 고구려와 가야?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이용현 동북아역사재단 [2013]
  • ?광개토왕비문의 가야 관계 기사에 대한 재검토-400년 전쟁과 가야 諸國-? ?문자로본 가야?
    신가영 (국립김해박물관 한국역사연구회 공동 심포지움) [2019]
  • ?관산성전투 전후 시기 대가야 백제와 신라의 대립?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대가야학술총서 5)
    김영심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6]
  • ?고총고분시대의 연산동고분군? ?연산동 고총고분과 그 피장자들?
    김두철 부산대학교박물관 [2016]
  • ?고분 자료로 본 대가야?
    김세기 학연문화사 [2003]
  • ?고령 지산동 대가야고분군?
    이한상 이희준 대가야박물관 [2015]
  • ?고려와 후백제의 공산전투? ?
    신성재 한국중세사연구? 34 [2012]
  • ?고대한일관계사?
    연민수 혜안 [1998]
  • ?고대일본의 대한인식과 교류?
    연민수 역사공간 [2014]
  • ?고대사 연구의 주요 쟁점과 과제? ?한국사 연구 50년?
    하일식 혜안 [2005]
  • ?고대 부산 지역사 연구현황과 과제? ?
    유우창 港都釜山? 23 [2007]
  • ?고구려군의 남정과 가야? ?가야와 광개토대왕?(제9회 가야사국제학술회의)
    김두철 김해시 [2003]
  • ?고구려 평양 도성의 정치적 성격? ?
    임기환 韓國史硏究? 137 [2007]
  • ?고구려 남정 이후 김해 지역의 정치적 동향? ?
    허재혁 지역과 역사? 12 [2003]
  • ?고구려 남정 이후 가락국과 신라 관계의 변화? ?
    유우창 韓國古代史硏究? 59 [2010]
  • ?고구려 광개토왕릉비문 연구-광개토왕릉비문을 통한 고구려사-?
    이도학 서경 [2006]
  • ?고구려 고분 출토 와당의 변천 연구? ?
    강현숙 韓國考古學報? 64 [2007]
  • ?고고학을 통해 본 안라국의 형성과정과 영역 변화?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
    이동희 학연문화사 [2018]
  • ?고고학을 통해 본 아라가야?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이성주 한국고고학회 [2000]
  • ?고고학으로 본 소가야의 성립과 변천? ?
    하승철 東아시아 古代學? 51 [2018]
  • ?고고자료로 본 소가야의 권역과 변천? ?
    김규운 韓國古代史硏究? 92 [2018]
  • ?계수호와 초두를 통해 본 남원 월산리 고분군? ?운봉고원에 묻힌 가야무사?
    박순발 국립전주박물관 [2012]
  • ?가야제국의 발전단계와 초기고대국가론? ?
    이영식 韓國古代史硏究? 89 [2018]
  • ?가야제국사연구?
    이영식 생각과종이 [2016]
  • ?가야제국과 동아시아?
    이용현 통천문화사 [2007]
  • ?가야정치체에 대한 연맹론과 국가론? ?한국고대사연구의 새동향?
    백승충 서경문화사 [2007]
  • ?가야의 정치구조-‘부체제’ 논의와 관련하여-? ?
    백승충 韓國古代史硏究? 17 [2000]
  • ?가야의 유적과 유물?
  • ?가야의 외교?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김태식 동북아역사재단 [2019]
  • ?가야의 사회발전 동인과 발전단계? ?가야 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권학수 혜안 [2003]
  • ?가야의 말과 마구? ?가야고고학개론?
    이현정 진인진 [2016]
  • ?가야의 대외관계?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이용현 혜안 [2001]
  • ?가야와의 문물교류? ?
    이성주 백제문화사대계 10? [2007]
  • ?가야와의 관계? ?백제의 대외교섭?
    김태식 (백제문화사대계 연구총서 9) [2007]
  • ?가야와 양산의 고대? ?고대 양산의 가야문화?
    남재우 양산시 (재)한반도문화재연구원 [2017]
  • ?가야사의 시기구분과 공간적 범위? ?가야사총론?(가야고분군 연구총서1)
    이영식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8]
  • ?가야사 연구의 새로운 進展을 위한 提言? ?
    주보돈 韓國古代史硏究? 85 [2017]
  • ?가야사 연구와 ‘연맹’이라는 용어? ?
    신가영 學林? 40 [2017]
  • ?가야사 연구 서설-소국에서 영역국가로-? ?가야고고학개론?
    박천수 진인진 [2016]
  • ?가야사 새로 읽기?
    주보돈 주류성 [2017]
  • ?가야문화도록?
    노중국 경상북도 [1998]
  • ?가야, 관산성 전투에 참전하다? ?새로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시작 한강유역과 관산성?
    신가영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경북문화재단 [2019]
  • ?가야 철생산의 조사 연구 현황? ?가야 철문화의 특성과 변천?
    이남규 (제13회 한국철문화연구회 세미나) [2019]
  • ?가야 각국의 발전과정과 멸망? ?가야사총론?(가야고분군 연구총서1)
    남재우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9]
  • ?가야 각국사Ⅰ-비화가야-?
    박천수 진인진 [2019]
  • ?가야 諸國과 고구려의 관계? ?
    신가영 韓國古代史硏究? 98 [2020]
  • ?高句麗의 樂浪 帶方郡 故地 지배 연구?
    안정준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高句麗와 慕容燕의 朝貢 冊封關係 硏究? ?한국 고대국가와 중국왕조의 조공 책봉관계?
    여호규 고구려연구재단 [2006]
  • ?高句麗 古墳과 新羅 積石木槨墳 交叉編年에서의 몇 가지 論議? ?
    강현숙 한국상고사학보? 78 [2012]
  • ?馬具를 통해 본 阿羅加耶? ?古代 咸安의 社會와 文化?
    류창환 (國立昌原文化財硏究所 2002年度 學術大會 [2002]
  • ?韓國中世史硏究?
    하현강 一潮閣 [1988]
  • ?韓國 古代諸國의 對外交易-加耶를 中心으로-? ?
    김태식 震檀學報? 101 [2006]
  • ?韓國 古代國家의 政治體制發展論-‘부체제’ 논쟁에 대한 소견을 대신하여-? ?
    김영하 韓國古代史硏究? 17 [2000]
  • ?阿羅加耶에 대한 考古學的 檢討?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이주헌 혜안 [2000]
  • ?阿羅伽耶의 성립기반과 영역의 변천? ?
    김세기 大丘史學? 106 [2012]
  • ?金官加耶의 外來系 威勢品 受用과 意味? ?
    심재용 嶺南考古學? 74 [2016]
  • ?輔國將軍 本國王과 金官國? ?
    연민수 韓日關係史硏究? 38 [2011]
  • ?西部慶南 加耶諸國의 成立에 대한 考古學的 硏究?
    조영제 釜山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6]
  • ?考古學으로 본 金官加耶? ?고고학을 통해 본 加耶?
    홍보식 한국고고학회 [2000]
  • ?考古學으로 본 加羅國史?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박천수 혜안 [2000]
  • ?百濟聖王代의 郡令과 城主? ?
    김수태 百濟文化? 31 [2002]
  • ?百濟勢力의 加耶進出과 加耶의 對應? ?
    이희진 軍史? 33 [1996]
  • ?百濟 東城王代의 대외 진출과 영역의 확대? ?
    김병남 韓國思想과 文化? 22 [2003]
  • ?熊津 泗?期의 百濟와 大加羅? ?古代 東亞細亞와 百濟?(百濟硏究叢書 12)
    이근우 서경 [2003]
  • ?樂을 통해서 본 신라인의 복속 통합 관념? ?
    주운화 韓國古代史硏究? 38 [2005]
  • ?棺床과 전기가야의 묘제? ?
    김두철 韓國考古學報? 75 [2010]
  • ?新羅의 주변 지역 통합과 중앙집권화 과정?
    옥재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新羅의 새로운 경계, 加耶지역에 대한 신라 지배-아라가야를 중심으로? ?
    남재우 역사와 경계? 115 [2020]
  • ?斯盧國의 洛東江流域 進出-黃山津 戰鬪를 중심으로-? ?
    이형기 이형우 嶠南史學? 7 [1996]
  • ?文獻으로 본 安羅國史?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남재우 혜안 [2000]
  • ?弁辰走漕馬國의 형성과 변천? ?
    안홍좌 지역과 역사? 38 [2016]
  • ?廣開土大王의 南方政策과 韓半島 諸國 및 倭의 動向? ?
    이도학 韓國古代史硏究? 67 [2012]
  • ?己汶 帶沙의 위치비정과 6세기 전반대 加羅國과 百濟?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대가야?(대가야학술총서5)
    백승옥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7]
  • ?安邪國에서 安羅로의 변천? ?
    남재우 사림? 58 [2016]
  • ?安邪國에 대하여-3세기를 중심으로-? ?
    권주현 大丘史學? 50 [1995]
  • ?安羅會議의 전개와 倭의 대응? ?
    이형기 지역과 역사? 29 [2011]
  • ?安羅 新羅의 ‘接境’과 ‘耕種’ 문제? ?
    백승충 지역과 역사? 27 [2010]
  • ?大加耶의 성장기반-4세기를 중심으로-? ?대가야의 성장과 발전?
    노중국 서경문화사 [2004]
  • ?大加耶地域의 鐵製農器具-小形鐵製農器具와 살포를 중심으로-? ?大加耶와 成長과 發展?
    김재홍 고령군 한국고대사학회 [2004]
  • ?多羅國의 成立에 대한 硏究?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조영제 혜안 [2000]
  • ?固城 古資國의 성장과 변천? ?
    백승옥 韓國古代史硏究? 11 [1997]
  • ?四國時代論-한국 고대사 三國時代論의 代案-? ?
    김태식 韓國古代史硏究? 46 [2007]
  • ?咸安樣式 古式陶質土器의 分布定型과 意味? ?
    정주희 韓國考古學報? 73 [2009]
  • ?南北朝期 韓中 冊封 朝貢 관계의 성격-고구려 백제의 冊封 朝貢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임기환 韓國古代史硏究? 32 [2003]
  • ?卓淳國의 성립과 대외관계의 추이? ?
    김현미 역사와 경계? 57 [2005]
  • ?加耶聯盟體의 部體制 成立與否에 대한 小論? ?
    김태식 韓國古代史硏究? 17 [2000]
  • ?加耶의 地域聯盟論? ?
    백승충 지역과 역사? 17 [2005]
  • ?加耶의 交易과 經濟-낙동강 하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이현혜 혜안 [2001]
  • ?加耶스케치? ?
    신경철 考古廣場? 1 [2007]
  • ?加耶諸國의 존재형태와 ‘加耶地域國家論’? ?
    백승옥 지역과 역사? 34 [2014]
  • ?加耶諸國의 사회발전단계? ?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권오영 혜안 [2001]
  • ?加耶諸國과 東아시아? ?한국고대사 속의 가야?
    연민수 혜안 [2001]
  • ?加耶政治史硏究?
    이희진 學硏文化社 [1998]
  • ?加耶史 연구의 흐름과 安羅國史? ?안라(아라가야)의 위상과 국제관계?
    백승옥 학연문화사 [2018]
  • ?加耶 新羅 古墳의 年代觀? ?
    김두철 考古廣場? 9 [2011]
  • ?加耶 ‘縣’의 성격과 省熱縣의 위치-于勒의 출신지에 대한 재검토-? ?
    백승옥 韓國民族文化? 30 [2007]
  • ?全南東部地域의 加耶系 土器와 歷史的 性格? ?
    이동희 韓國上古史學報? 46 [2004]
  • ?全北 東部地域 烽燧에 관한 一考察? ?
    조명일 湖南考古學報? 59 [2018]
  • ?三韓 소국 네트워크의 위계 구조와 斯盧國? ?
    남혜민 韓國古代史硏究? 92 [2018]
  • ?三國志? ?梁書? ?宋書? ?南齊書? ?魏書? ?南史? ?冊府元龜?
  • ?≪일본서기≫ 계체 23년조의 검토-고령가야와 반파 문제를 중심으로-? ?
    김현구 한국사연구? 123 [2003]
  • ?‘하부사리리’ 명문과 가야의 部? ?
    백승충 역사와 경계? 5 [2009]
  • ?‘임나일본부’ 활동과 안라국? ?
    이연심 지역과 역사? 35 [2014]
  • ?‘羅濟同盟’을 다시 검토한다? ?
    공석구 百濟學報? 30 [2019]
  • ?‘古自國’의 歷史的 展開와 그 文化? ?가야 각국사의 재구성?
    권주현 혜안 [2000]
  • ??삼국지?와 ?후한서? 韓傳의 ‘辰王’ 이해-出土文獻와 傳存文獻의 字句변화를 중심으로-? ?
    윤용구 역사와 담론? 92 [2019]
  • ??삼국사기?에 보이는 4~5세기의 加耶와 삼국과의 관계? ?
    권주현 신라문화? 38 [2011]
  • ??日本書紀?를 통해 본 안라국과 주변제국? ?
    이재석 한국민족문화? 51 [2014]
  • ??廣開土王碑文?과 ?宋書?로 본 倭의 加耶認識과 ‘任那日本府’? ?
    남재우 지역과 역사? 35 [2014]
  • ?6세기 중반 고구려와 신라의 통호와 이나사 마도? ?
    박윤선 역사와 현실? 77 [2010]
  • ?6세기 전반 남해안지역의 교역과 집단 동향? ?
    홍보식 嶺南考古學? 65 [2013]
  • ?6세기 전반 가라와 나제동맹의 대립-낙동강과 관련하여-? ?
    유우창 역사와 세계? 41 [2012]
  • ?6세기 우륵의 망명과정? ?
    유우창 역사와 경계? 108 [2018]
  • ?6세기 백제의 가야진출과 그 성격? ?
    김애경 梨花史學硏究? 27 [2000]
  • ?6세기 백제의 가야 진출에 대하여? ?
    장미애 韓國古代史硏究? 97 [2020]
  • ?6세기 新羅의 地方支配와 外位制? ?
    하일식 學林? 12 13 [1991]
  • ?5세기 동아시아에서의 책봉호의 정치적 의미-백제 및 남조 주변제국에 수여된 장군호를 중심으로-? ?
    정동준 역사와 세계? 52 [2017]
  • ?5~6세기 고성지역 고분문화의 이해? ?경남의 가야고분과 동아시아?
    하승철 학연문화사 [2011]
  • ?5~6세기 고고자료로 본 가야의 국가적 성격?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가야?(제1회 가야사 기획 학술심포지엄)
    박천수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8]
  • ?5~6세기 高句麗와 加耶의 관계? ?
    김태식 북방사논총? 11 [2006]
  • ?4호분 출토 토기의 명문? ?합천저포리E지구유적?
    채상식 경상남도 부산대학교박물관 [1987]
  • ?4세기 말~5세기 초엽 ‘백제왕(百濟王)’호의 책봉 배경과 ‘도독백제제군사(都督百濟諸軍事)’호의 의의? ?
    백길남 역사와 현실? 115 [2020]
  • ?4세기 금관가야의 대외관계 검토? ?
    조성원 考古廣場? 21 [2017]
  • ?4세기 加耶諸國과 百濟의 관계? ?
    노중국 釜大史學? 30 [2006]
  • ?4~6세기 百濟와 加耶諸國-?일본서기? 관련기사 검토를 중심으로-? ?
    백승옥 百濟學報? 7 [2012]
  • ?4~6세기 加耶의 對百濟 新羅 관계? ?
    백승옥 韓國古代史硏究? 94 [2019]
  • ?4~5세기 동아시아 국제정세와 백제의 외교정책? ?
    김기섭 百濟文化? 56 [2017]
  • ?4~5세기 남부가야제국과 전남동부 지역집단의 상호관계? ?
    김양훈 韓國古代史硏究? 77 [2015]
  • ?4~5세기 남부가야제국과 백제의 교섭 추이? ?
    김량훈 역사와 경계? 65 [2007]
  • ?472년 백제의 對北魏外交 관련 사료 분석과 請兵外交의 계기? ?
    박찬우 韓國史學報? 70 [2018]
  • ?472~475년 백제 고구려의 對북위 외교전과 한성 함락? ?
    위가야 高句麗渤海硏究? 66 [2020]
  • ?3~4세기 고고자료로 본 가야의 국가적 성격?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가야?(제1회 가야사 기획 학술심포지엄)
    하승철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8]
  • ?1930년대 전반 ‘고대사회’ 이론의 수용과 한국 고대사 연구-안재홍과 백남운을 중심으로-? ?
    채관식 역사와 실학? 57 [2015]
  • ?(쟁점 대가야사) 대가야의 국가발전 단계?
    김세기 노중국 백승옥 이영호 이형기 주보돈 고령군 대가야박물관 (재)대동문화재연구원 [2017]
  • ? 梁職貢圖 ? 百濟國使條の ? 旁小國 ? ? ? 朝鮮史硏究會論文集 ?
    37 [1999]
  • 5~6世紀 小加耶樣式 土器 設定 ? ? 韓國考古學報 ?
    76 [2010]
  • (재)중앙문화재연구원, ?가야고고학개론?
    진인진 [2016]
  • (재)경상문화재연구원, ?
    김해 원지리 고분군 3호분?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