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존엄성의 전인성 회복을 위한 초월성의 의미 : 유한한 초월에 대한 종교-철학적 재구성을 통하여

이세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인간 존엄성의 전인성 회복을 위한 초월성의 의미 : 유한한 초월에 대한 종교-철학적 재구성을 통하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reatureliness
  • Finite Transcendence
  • Finitude
  • Holistic Integration
  • Human Dignity
  • transcendence
  • 유한성
  • 유한한 초월
  • 인간 존엄성
  • 전인성
  • 종교철학
  • 초월성
  • 피조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13 0

0.0%

' 인간 존엄성의 전인성 회복을 위한 초월성의 의미 : 유한한 초월에 대한 종교-철학적 재구성을 통하여' 의 참고문헌

  • 히포크라테스/여인석 이기백 옮김. 『히포크라테스 선집』. 서울: 나남
    논문 [2011]
  • 호건, 존/김동광 옮김. 『과학의 종말』
    서울: 까치 [1997]
  • 프리틀라인, 쿠르트/강영계 옮김. 『서양철학사』
    서울: 서광사 [1995]
  • 프랭클, 빅토르 E./박현용 옮김. 『책에 쓰이지 않은 이야기』
    서울: 책세상 [2012]
  • 폰 괴테, 요한 볼프강/이인웅 옮김. 『파우스트』
    서울: 문학동네 [2014]
  • 포이어바흐, 루드비히/강대석 옮김. 『기독교의 본질』
    서울: 한길사 [2016]
  • 편집부. “[헌법]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행복추구권
    ” 「고시계」 : 109-115 [2016]
  • 페터, 비에리/문항심 옮김. 『삶의 격』
    서울: 은행나무 [2014]
  • 페스팅거, 레온/김창대 옮김. 『인지부조화 이론』
    서울: 나남 [2016]
  • 파스칼, 블레즈/김형길 옮김. 『팡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파니카, R/정재현 옮김. 『종교간의 대화』
    서울: 서광사 [2008]
  • 틸리히, 폴/황필호 옮김. 『종교란 무엇인가?』
    서울: 전망사 [1983]
  • 틸리히, 폴/유장환 옮김. 『조직신학 I』
    서울: 한들출판사 [2001]
  • 틸리히, 폴/남성민 옮김. 『문화의 신학』
    서울: IVP [2018]
  • 크레이그/장호준 옮김. 『오늘을 위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반즈 서울: 복있는 사 람 [2016]
  • 콕스, 하비/구덕관 옮김. 『세속도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7]
  • 칸트, 임마누엘/백종현 옮김. 『실천이성비판』
    서울: 아카넷 [2016]
  • 칸트, 임마누엘./백종현 옮김. 『판단력 비판』
    서울: 아카넷 [2017]
  • 카우프만, 스튜어트/김명남 옮김. 『다시 만들어진 신』
    서울: 사이언스북스 [2012]
  • 지오르지오 아감벤, 양창렬, 김상운. “인권을 넘어
    ” 「오늘의 문예비평」 : 234- 244 [2006]
  • 존슨, 앨버트 스티브 툴민/권복규 박인숙 옮김. 『결의론의 남용』
    서울: 로도스 [1998]
  • 존스, 마틴 로이드/정득실 옮김. 『의학과 치유』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1]
  • 조규만. “교의신학 관점에서의 인간 생명 존엄성의 문제 고찰
    ”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 : 5-33 [1992]
  • 이환. “파스칼의 회심
    ” 「프랑스고전문학연구」 4 : 62-84 [2001]
  • 이경선.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 담 모델(MCA)
    이원경 ” 「연세상담코칭」 8 : 93-114 [2017]
  • 옮김. 『품위있는 사회』
    마갈릿 신성린 아비샤이 서울: 동녁 [2008]
  • 옮김. 『이정표 1』
    마르틴 신상희 하이데거 서울: 한길사 [2005]
  • 옮김. 『신학해제』
    김광식 오트 하인리히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3]
  • 옮김. 『세계인권사상사』
    미셸린 이샤이 조효제 서울: 길 [2010]
  • 옮김. “하이데거의 실존철학 개념에 대한 연구
    라너 이영덕 ” 「신학전망」 172 : 85-113 [2011]
  • 에얼릭, 폴 R. 로버트 온스타인/고기탁 옮김. 『공감의 진화』
    서울: 에이도스 [2012]
  • 알렌, 디오게네스/정재현 옮김. 『신학을 이해하기 위한 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5]
  • 스키너, B.F./차재호 옮김. 『자유와 존엄을 넘어서』
    서울: 탐구당 [1986]
  • 스미스, 윌프레드 캔트웰/길희성 옮김. 『종교의 의미와 목적』
    서울: 분도출판사 [2009]
  • 슈바이크, 윌리엄/문시영 옮김. 『책임윤리란 무엇인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슈미트, 칼 외/김효전 옮김. 『독일 헌법학의 원천』
    서울: 산지니 [2018]
  • 슈마허, E.F./송대원 옮김. 『당혹한 이들을 위한 안내서-신을 찾아가는 철학적 사색의 길』
    서울: 따님 [2007]
  • 슈니윈드, 제롬 B./김성호 옮김, 『근대도덕철학의 역사 1』
    서울: 나남 [2018]
  • 쇼펜하우어, 아르투어/김미영 옮김, 『도덕의 기초에 관하여』
    서울: 책세상 [2014]
  • 서광선, 몰트만, 박봉랑. “오늘의 정치 신학을 말한다
    ” 「기독교사상」 19 : 92-104 [1975]
  • 비첨, 탐 제임스 췰드리스/박찬구 외 옮김. 『생명의료윤리의 원칙들』
    서울: 부크크 [2017]
  • 블로흐, 에른스트/박설호 옮김. 『자연법과 인간의 존엄성』
    서울: 열린책들 [2011]
  • 브롬버트, 빅터/이민주 옮김. 『유한성에 관한 사유들』
    서울: 사람의 무늬 [2015]
  • 벨레, 베른하르트/오창선 옮김. 『종교철학』
    서울: 분도출판사 [2015]
  • 법해석학
    양천수 서울: 한국문화사 [2017]
  • 뮐러, J. J./윤흥식 역. 『신학방법론』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0]
  • 무어, 케이스 L./이원복 외 옮김. 『인체발생학, 제7판』
    서울: 퍼블릭 [2010]
  • 몰트만, J.. “인권에 대한 기독교적 선언
    ” 「기독교사상」 21 : 20-32 [1977]
  • 몰트만, J.. “압제자의 해방
    ” 「기독교사상」 23 : 89-101 [1979]
  • 몰트만, J.. “블로호 추모사
    ” 「기독교사상」 22 : 151-155 [1978]
  • 몰트만, J.. “복음의 정치학적 해석학
    ” 「기독교사상」 14 : 118-133 [1970]
  • 맥그라스, 앨리스터/정성희 김주현 옮김. 『과학과 종교』
    서울: 도서출판 린 [2010]
  • 망치로 신-학하기
    정재현 파주: 한울아카데미 [2006]
  • 마저리/정재현 옮김. 『신성과 다양성』
    수하키 서울: 한들출판사 [2010]
  • 릭켄, 프리도/이중진 옮김. 『종교철학』
    서울: 하우 [2011]
  • 리처드/이한음 옮김. 『만들어진 신』
    도킨스 서울: 김영사 [2017]
  • 로티, 리처드/신 중섭 옮김. 『구원의 진리, 문화문학, 그리고 도덕철학』
    서울: 아카넷 [2001]
  • 로젠, 마이클/공진성. 송석주 옮김. 『존엄성』
    서울: 아포리아 [2016]
  • 로스, 퀴블러. 『인간의 죽음』
    서울: 분도출판사 [1979]
  • 레비나스, 에마뉘엘/김도형 외 옮김. 『신, 죽음 그리고 시간』
    서울: 그린비 [2013]
  • 라이너/최상욱 옮김. 『인간의 유한성』
    마르텐 서울: 서광사 [2017]
  • 드워킨, 로널드/김성훈 옮김. 『신이 사라진 세상』
    서울: 블루엘리펀트 [2014]
  • 드워킨, 로널드./박경신 옮김. 『정의론』
    서울: 민음사 [2015]
  • 데리다, 자크/진태원 옮김. 『법의 힘』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6]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3판』
    서울: 아이엠이즈컴퍼니 [2017]
  • 닐. 『오늘의 신학과 신학자들』
    오메로드 서울: 한들출판사 [2008]
  • 니체, 프리드리히/두행숙 옮김. 『안티크리스트』
    서울: 부북스 [2016]
  • 니체, 프리드리히/강두식 곽복록 옮김. 『선악을 넘어서』
    서울: 동서문화사 [2018]
  • 그롱댕, 장/최성환. 『현대해석학의 지평』
    서울: 동녘 [2019]
  • 게이이치, 니시타니/정병조 옮김. 『종교란 무엇인가』
    서울: 대원정사 [1993]
  • 崔範澈. “Karl Rahner의 〈익명의 그리스도인〉論
    ” 「신학과세계」 6 : 297-333 [1980]
  • 『티끌만도 못한 주제에』
    정재현 서울: 분도출판사 [2010]
  • 『종교신학강의』
    정재현 서울: 비아 [2017]
  • 『자유가 너희를 진리하게 하리라』
    정재현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6]
  • 『인가존엄성의 철학』
    김용해 서울: 서강대출판부 [2015]
  • 『우산과 신앙』
    정재현 파주: 한울 [2019]
  • 『신학은 인간학이다』
    정재현 서울: 분도출판사 [2012]
  • 『생명과학의 철학』
    유선경 서울: 생각의 힘 [2014]
  • 『미워할 수 없는 신은 신이 아니다』
    정재현 서울: 동연 [2019]
  • 『미국법 이해』
    조은향 서울: 법문사 [2008]
  • 『묻지마 믿음 그리고 물음』
    정재현 서울: 동연 [2014]
  • 『TO ERROR IS HUMAN
    [2000]
  • 『Religionsphilosophie Kant ’ s von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bis zur Religion innerhalb der Grenzen der Blossen Vernunft』 Freiburg
    [1899]
  • 『MARTIN HEIDEGGER : SEIN UND ZEIT.』 Berlin : de Gruyter
    [2015]
  • 『Human dignity.』Cambridge
    [2011]
  • 『FINITUDE AND FREEDOM IN THE ONTOLOGY OF PAUL TILLICH : TOWARD AN AUTHENTIC SELF-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Atlanta
    [1985]
  • 『Einfuhrung in die Religionsphilosophie.』 Darmstadt :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70]
  • 『Dying right : the death with dignity movement.』 New York
    [2001]
  • 『Dignity : a histor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The existential background of human dignity.』Cambridge
    [2017]
  • 『CASEBOOK ONBENEFIT AND HARM , BioethicsCoreCurriculumCasebook Series
    No . 2』 Paris [2011]
  • 『CASEBOOK ON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2011]
  • “현대 한국의 종교와 다문화사회, 그리고 다문화교육.”
    고병철 「인간연구」 36 : 33-58 [2018]
  • “헤겔 법철학의 추상법에 나타난 인격과 인간 존엄성.”
    유덕수 「철학연구」 55 : 161-182 [2001]
  • “함석헌의 생명 사상 : 그 역설적 자유의 종교적 함의.”
    정재현 「한국기독교와 역사」 24 [2006]
  • “한국사상에 나타난 인간의 존엄성.”
    박종홍 「동아문화」 2 : 187-189 [1964]
  • “하이데거의 휴머니즘비판에 대한 고찰.”
    이서규 「범한철학」 86 : 263-298 [2017]
  • “피코의 『인간 존엄성에 관한 연설』 다시 읽기.”
    임병철 「프랑스사 연구」 37 : 5-32 [2017]
  • “폴 틸리히에게 있어서 인간, 신 그리고 자기초월의 영성.”
    김정두 「신학과 실천」 53 : 387-410 [2017]
  • “포이에르바흐의 종교비판과 인간이해.”
    이서규 「철학논총」 74 : 431-456 [2013]
  •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이재숭 「철학논총」 94 : 21-40 [2018]
  • “파스칼의 『팡세』에 나타난 ‘인간’ 읽기.”
    김화영 「한국프랑스학논집」 90 : 1-40 [2015]
  • “파농의 탈식민화 이론.”
    오근창 「문화과학」 96 : 341-356 [2018]
  • “칸트철학에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관점.”
    정태일 「서석사회과학논총」 3 : 59- 184 [2010]
  • “칸트의 윤리학에 나타난 인간 존엄성의 근거와 보편 가능성으로서의 도덕법칙 의 요청.”
    김광연 「철학연구」 138 : 1-30 [2016]
  • “칸트의 숭고함과 타자의 존엄성.”
    최준호 「철학」 64 : 137-160 [2000]
  • “칸트 인간 존엄성의 원칙에 비춰 본 자살의 문제.”
    백종현 「칸트연구」 32 : 12 [2013]
  • “초월론적 자아의 유한성.”
    김태희 「철학사상」 40 : 135-166 [2011]
  • “진리와 해석: 신앙의 진정성을 향하여.”
    정재현 「조직신학논총」 3 [1998]
  • “죽음에 대한 철학적-종교적 이해.”
    정재현 「가톨릭철학」 12 [2009]
  •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김은철 김태일 「미국헌법연구」 24 : 97- 124 [2013]
  • “종교적 인간, 프란츠 카프카.”
    편영수 「사회이론」 44 : 107-133 [2013]
  •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무신론’을 다시 보며.”
    정재현 「신학과 실천」 12 [2007]
  • “존엄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
    조영관 「제3시대」 132 : 17-18 [2018]
  • “일시적 죽음과 존재의 존엄성.”
    김석원 「미술세계」 : 120-121 [2012]
  • “인도네시아의 헌법과 법률에 나타난 종교문화 고찰.”
    이세경 「종교문화비평」 34 , 192-222 [2018]
  • “인권의 존엄성.”
    조선출 「기독교사상」 18 : 22-24 [1974]
  • “인간향상과 인간본성, 그리고 인간 존엄성-후쿠야마의 논증 비판.”
    신상규 「철학적 분 석」 27 : 107-132 [2013]
  • “인간존엄의 신학적 해석과 논증.”
    김형민 「신학과 사회」 31 : 41-68 [2017]
  • “인간존엄의 법사상사적 고찰.”
    차수봉 「법학연구」 16 : 1-22 [2016]
  • “인간존엄의 기본권성에 관한 고찰.”
    장영철 「서울법학」 26 : 1-33 [2018]
  •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성서학적 고찰.”
    이기락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7 : 34-53 [1992]
  • “인간의 존엄성과 역사의 합리성.”
    임지현 「중등우리교육」 : 72-75 [2000]
  • “인간의 존엄성 회복 한국교회 과제.”
    박종화 「기독교사상」 33 : 110-115 [1989]
  • “인간의 존엄과 생명가치에 대한 법적 판단의 문제.”
    이재명 「중앙법학」 19 : 115-149 [2017]
  • “인간의 존엄 개념에 관한 헌법이론적 고찰.”
    이부하 「성균관법학」 26 : 1-22 [2014]
  • “인간 존엄성과 인권을 근거 짓는 작업에서의 문제들.”
    김용해 「사회와 철학」 6 : 217-252 [2003]
  • “인간 존엄성.”
    김종엽 「현상학과 현대철학」 47 : 37-67 [2010]
  • “인간 존엄성 테제에 대한 칸트의 증명과 문제점.”
    문성학 「철학연구」 96 : 239-263 [2005]
  • “우상파괴를 통한 종교해방 ? 니시타니의 공(空)과 포이어바흐의 투사를 잇댐으 로써.”
    정재현 「신학사상」 166 [2014]
  • “우리 사회의 안락사와 존엄사 그리고 연명치료 중단.”
    손명세 「생명의 신학」 특성화 연구논문집 I : 117-148 [2003]
  • “에른스트 블로흐의 희망의 철학.”
    안성찬 「현대사상」 7 : 191-205 [2010]
  • “아직 존재하지 않는 것’의 존재론.”
    안성찬 「문화과학」 68 : 56-71 [2011]
  • “신앙성찰과 신학하기?한국 기독교 신앙에 대한 종교문화적 분석을 통하여.”
    정재현 「신학논단」 53 [2008]
  • “신과 무신론.”
    박종대 「서강인문논총」 4 : 25-54 [1995]
  • “성년 후견제도와 인간 존엄성의 보장.”
    이정식 「세계헌법연구」 16 : 335-366 [2010]
  • “생을 마감할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김하열 「저스티스」 152 : 5-62 [2016]
  • “생물학적 환원주의와 사회학적 환원주의를 넘어서.”
    김환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207-222 [2009]
  • “생명공학의 조작된 자연성과 종교적 초월성에 대한 칸트적 고찰. 현상과 현대 철학.”
    이진오 36 : 165-196 [2008]
  • “사회정의와 인간의 존엄성.”
    장은주 「철학사상」 19 : 197-229 [2004]
  • “블로흐 희망철학의 토대와 모순.”
    이종인 「범한철학」 92 : 207-225 [2019]
  •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간 존엄성 보장에 관한 연구 ?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이형석 「홍익법학」 18 : 131-158 [2017]
  • “마가복음 720-23에 나타난 인간의 마음과 Imitatio Christi의 길.”
    서동수 「신학과 목 회」 44 : 417-440 [2015]
  • “동아시아에서의 인권의 보편성 논쟁과 인간 존엄성.”
    김용해 「신학전망」 145 : 107-129 [2004]
  • “니체의 주인도덕과 노예도덕.”
    박상철 「도덕교육연구」 29 : 163-178 [2017]
  • “니체의 위버멘쉬와 고귀한 삶 그리고 정치.”
    최순영 「정치사상연구」 16 : 167- 190 [2010]
  • “그리스도인과 인문학 동물은 우리의 이웃인가.”
    서보명 「새가정」 65 : 44-47 [2018]
  • “그리스도교 사상 안에서의 인간 존엄성 근거.”
    김용해 「철학연구」 96 : 107 ? 133 [2005]
  • “『팡세』에 나타난 법효력의 문제.”
    조명애 「프랑스고전문학연구」 1 : 190-200 [1998]
  • “『주역』에 나타난 인간 이해.”
    김학권 「범한철학」 67 : 27-48 [2012]
  • ““죽지 않을 것처럼 살지 말라!”-몸이 가르치는 삶의 뜻을 배우며-.”
    정재현 「한국정 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9 [2008]
  • ““자유가 너희를 진리하게 하리라” : 모순에서 역설로의 전환을 통한 ‘참된 종교’를 위하여.”
    정재현 「조직신학 논총」 10 [2004]
  • “‘종교적 인간’에서 ‘신앙하는 인간’으로 ? 종교신학에 대한 파니카의 비판을 통하여.”
    정재현 「신학사상」 146 [2009]
  • “‘종교간 만남’을 넘어 ‘신앙의 성숙’으로?종교관계유형에 대한 파니카의 성 찰을 통하여.”
    정재현 「신학논단」 55 [2009]
  • “‘올바름’에서 ‘베풀음’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정재현 「중세철학」 12 [2006]
  • “‘나’의 인권이 아닌 우리들의 ‘인권들’.”
    장희국 「진보평론」 63 : 339-347 [2015]
  • “[세계인권선언 60주년 기념 4 사회권의 역사와 현실] 신자유주의가 파괴하는 인 간존엄성.”
    명숙 「말」 : 146-149 [2008]
  • “[박충구의 죽음의 윤리 이야기 08] 견딜 수 없는 고통에 대하여.”
    박충구 「기독교사 상」 721 : 140-151 [2019]
  • “(헌법)인간의 존엄과 가치.”
    오성계 「고시계」 32 : 247-250 [1987]
  • by Alphonso Lingis
    [2016]
  • Regina M .. 『Transcendence Philosophy , Literature , and Theology Approach the Beyond.』 New York
    [2004]
  • Recht und Freiheit.』 Berlin : Kreuz-Verlag
    [1979]
  • Ph.D dis .. 『Being and Freedom : A Problem in the Interpreation of Human Death.』 Atlanta
    [1991]
  • Pardo, Michael S. & Dennis, Patterson. 『Minds, Brains, and Law. The Conceptual Foundations of Law and Neuroscienc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2013]
  • OF GOD WHO COMES TO MIND』
    [1998]
  • Kant on human dignity.』 Boston : De Gruyter
    [2011]
  • K./성염 옮김. “인간의 존엄성
    라너 ” 「신학전망」 24 : 60-73 [1974]
  • K./朴鎭亮 옮김. “계시의 신학적 해석
    라너 ” 「신학전망」 50 : 18-30 [1980]
  • Jurgen./translated by M. Douglas Meeks . 『On human dignity : political theology and ethics.』 Philadelphia :
    [1984]
  • Haught, John F./최영종 옮김. “[인간학 자료 번역문] 다윈 시대 이후 인간의 존엄성
    ” 「인간연구」 26 : 229-245 [2014]
  • E.『Dignity and practical reason in Kant 's moral theory.』 Ithaca
    [1992]
  • C. Menschenwurde und Medizin : ein interdisziplinares Handbuch .
    [2013]
  • Beauchamp, Tom LJames F. Childress.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012]
  • A. F. Language and transcendence : a study in the philosophy of Martin Heidegger and Karl-Otto Apel. New York
    [1994]
  • A Primer for Christians. UK
    [2005]
  • A Practical Approach to Ethical Decisions in Clinical Medicine. New York
    [2015]
  • ?쉴라이에르마허에서 리꾀르까지?
    김영한 서울: 숭실대학교출판부 [2011]
  • /성염 옮김. 『피코델라 미란돌라, -인간 존엄성에 관한 연설-』
    미란돌라 피코델라 서 울: 경세원 [2009]
  • .. 『Transcendence and hermeneutics : an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y of Karl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