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청소년을 위한 탈인습적 통일교육 모형 연구

이문아 2020년
' 기독교 청소년을 위한 탈인습적 통일교육 모형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 Conventional Unification Consciousness
  • Critical Reflection
  • Postconvention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Model
  • Postconventional Unification Consciousness
  • Postconventionality
  • Reconciliation
  • Youth
  •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 기독교 통일교육
  • 비판적 성찰
  • 인습적 통일의식
  • 청소년
  • 탈인습성
  • 탈인습적 기독교통일교육 모형
  • 탈인습적 통일의식
  • 학교통일교육
  • 화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214 0

0.0%

' 기독교 청소년을 위한 탈인습적 통일교육 모형 연구' 의 참고문헌

  • 히즈키아스/이재영 옮김. ?평화와 화해의 새로운 패러다임?
    아세파 춘천: 코리아 아나뱁티스트 출판사 [2014]
  •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신수진 최준식 서울: 집문당 [2002]
  • 헤이너, 프리실라/주혜경 옮김. ?국가폭력과 세계의 진실위원회?
    서울: 역사비평사 [2008]
  •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 심리학』
    서울: 양서원 [1997]
  • 한국청소년개발원 편. 『청소년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2014]
  • 한국교회의 평화통일 교육방안과 성인 교재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용우 한신대학교 대학원 [1994]
  • 한국 교회의 이중적 위기 극복을 위한 ‘페리코레시스’ 기독교교육모 델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성수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 하비거스트, R./김재은 옮김.『인간발달과 교육』
    서울: 배영사 [1951]
  • 하버마스와 교육
    한기철 서울: 학지사 [2008]
  • 프레리, 파울로/김쾌상 옮김.『민중교육론: 제3세계의 시각』
    서울: 한길사 [1979]
  • 펠트만, 릴리 가드너/동북아역사재단 옮김. 『 역사 대화로 열어가는 동아시아 역사화 해』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08]
  • 파이너, 윌리엄/정정훈. 김영천 옮김. 『윌리엄 파이너와 교육과정이론 』
    파주 : 아 카데미프레스 [2013]
  •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43
  • 통일부.『국민의 정부 통일교육 기본방향』
    서울: 통일부 [1998]
  • 통일부. 『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7 [2017]
  •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의식 설문조사
    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7]
  •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의식 설문조사
    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8]
  •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의식 설문조사
    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19]
  • 통일교육협의회.『년 청소년 통일의식 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 통일교육협의 회, 2014 [2014]
  • 통일교육원.『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통일교육원, 2016 [2016]
  • 크레인, 윌리엄/서봉역 옮김. 『발달이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83]
  • 청소년의 통일의식과 바람직한 통일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이병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 청소년 평화통일교육
    “나는야 통일짱”워크북. http://www.ymcakorea.org/
  • 존, 크레스웰 /조흥식 옮김.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
    서울: 학지사 [2015]
  • 조 민. “통일비전과 통일담론의 확산 ?통일의 새벽이 동터오는가.”통일부 통일교육 원
    / https://lib.uniedu.go.kr/libeka/elec/0001469860.pdf [2014]
  • 제주 4?
    3평화제단 https://www.jeju43peace.or.kr/
  • 인성교육진흥법 법률 제 15958호
    서울: 교육부. http://www.law.go.kr/
  • 이슬기. 『다문화시대의 통일교육』
    박성춘 서울: 집문당 [2017]
  • 이문아.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실천신학의 해석적 접근: Richard Robert Osmer의 실천신학의 4가지 중심과제를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 6 [2018]
  • 워커, 윌리스턴/강근환 외 옮김. 『세계기독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6]
  • 와이코프, 캠벨/송광택 옮김. 『기독교교육학』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82]
  • 옮김. 『종교교육과 신학』
    마이클 손승희 제임스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0]
  • 예레미아스, 요아킴/정충하 옮김. 『신약신학』
    서울: 새순출판사 [1991]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 ,8,27 [2019]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http://www
    yinks.or.kr/
  • 연구소, 제3차 기독교대안학교 실태조사 세미나.”고신뉴스
    년 10월 2일자 [2017]
  • 에드워드, 조나단/서문강 옮김. 『신앙과 정서』
    서울: 지평서원 [2009]
  • 앤서니/류호준 옮김. 『개혁주의 구원론』
    호크마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1993]
  • 앤서니/김봉석 옮김. 『사회학의 핵심 개념들』
    기든스 서울: 동녘 [2015]
  • 앤서니/권기돈 옮김.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기든스 서울: 새물결 [1997]
  • 심인선 외. “경남의 청소년 통일 안보의식 실태와 과제
    ”「정책포커스」: 2 [2013]
  • 쉐릴, 루이스/장기옥 옮김. 『만남의 기독교교육』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1]
  • 손 문. “국내 외국인학교의 종교교육과 학습활동에 관한 연구
    ”「기독교교육논총」 60 : 115 [2019]
  • 세계화 시대의 희년 공동체 형성을 위한 탈인습적 기독교 성인교육 연 구. 박사학위논문
    유은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 성경사전
    두란노 http://www.duranno.com/bdictionary
  • 성 백 외.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기독교교육정보」55 : 114 [2017]
  • 보프, 레오나르도/황종렬 옮김. 『해방자 예수 그리스도: 우리 시대의 비판적 그리스 도론』
    경북: 분도출판사 [1993]
  • 보프, 레오나르도/편집부 옮김. 『해방신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논장 [1988]
  • 베르까우어, 헤리트 꼬르넬리스/조동진 옮김.『칼 바르트의 신학-은총의 승리』
    서 울:도서출판 별 [1996]
  • 문화 간 갈등해소를 위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김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 몰트만, 위르겐/이신건 옮김.『삼위일체와 하나님의 역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 몰트만, 위르겐/김균진 옮김. 『신학의 방법과 형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몰트만, 위르겐/김균진 옮김.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82]
  • 메이어, 리차드/임미라 옮김. 「멀티미디어 러닝」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 메드, 마가렛/박자영 옮김.『사모아의 청소년』
    파주: 한길사 [2008]
  • 머스, 로우프/송종두 옮김. 『청소년 이론』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981]
  • 레드, 조지 앨던/이남종 옮김. 『신약의 중심사상』
    서울: 새순출판사 [1990]
  • 듀이, 죤/이홍우 옮김.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철학 개론』
    파주: 교육과학사 [2007]
  • 뉴먼, BM & 뉴먼,PR/박아청 옮김.『현대발달심리학』
    서울: 형설출판사 [1985]
  • 나인선. “삼위일체 예배에서 실행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관계성 ― 삼위일체 페리 코레시스와 음양 상징의 공동체적 관계에 관한 상호 비교 연구
    ”「신학사상」182 : 328 [2018]
  • 기독교학교교육연구소
    “제 3차 기독교대안학교 실태조사 세미나 자료집.”: 10 [2017]
  • 기독교교육 실천으로서의 기독교교육컨설팅 연구: 기독교학교 수업컨 설팅 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정기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 기독교 교육과정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류삼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 그룸, 토마스/한미라 옮김. 『나눔의 교육과 목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 국어대백과사전 http://www
    두산 doopedia.co.kr/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 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 국가인권위원회
    https://www.humanrights.go.kr/site
  • 국가법령정보센터
    /2013 [1987]
  • 구티에레즈, 구스타보/김수복 옮김. 『가난한 사람들의 역사적 위력』
    서울: 분도출 판사 [1987]
  • 교과 교실수업 연구의 학문 동향과 학술연구 발전 방향: 질적연 구를 중심으로
    조영달 「교육인류학연구」1 : 85 [1998]
  • 공론장과 심의 민주주의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 위르겐 하버마스의 사 회이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황재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 가르치는 일의 의미: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락시스'를 바탕으로 한 가 르침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철학적 탐구. 박사학위논문
    김현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2]
  • 『하나님 나라를 꿈꾸는 기독교통일교육』
    양금희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8]
  • 『프락시스와 기독교 교육과정』
    손원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통일이 되면 우리는 함께 어울려 잘 살 수 있을까?』
    민성길 서울: 연세대학교 출 판부 [2004]
  • 『통일의식조사』
    박병규 서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0 [2010]
  • 『통일의 의미와 통일의식의 내적구조』
    김현옥 서울: 금왕출판사 [2001]
  • 『통일교육의 성립과 과정』
    박찬석 경기: 한국학술정보 [2006]
  • 『통일교육론』
    오기성 이근철 서울: 엑스퍼트월드 [2000]
  • 『통일교육 실태 조사와 활성화 방안 연구』
    한만길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9]
  • 『통일과 남북청소년』
    민성길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0]
  • 『통계학』
    류근관 서울: 법문사 [2013]
  • 『탈인습성과 기독교교육』
    김현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 『타자를 향한, 타자와 함께하는 선교 : 21세기 포스트모던 선교신학』
    방연상 서 울: 동연 [2016]
  • 『칼 바르트의 신학』
    김명용 서울: 이레서원 [2007]
  • 『칼 바르트-하느님 말의 신학』
    최종호 서울: 한들출판사 [2010]
  • 『칼 바르트 신학 해부』
    김재진 서울: 한들출판사 [1998]
  • 『청소년목회학 총론』
    이영운 서울: 도서출판 한빛 [2006]
  • 『청소년 발달의 이해』
    정옥분 서울: 학지사 [1998]
  • 『청소년 문제론
    도종수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조화로운 통일을 위한 기독교교육』
    김도일 서울: 나눔사 [2013]
  • 『정치학 개론』
    한종수 서울: 새창출판사 [2006]
  • 『이야기 예술 기독교교육』
    양금희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 『신약성서신학』
    전경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7]
  • 『새로운 패러다임의 통일교육론』
    황인표 서울: 울력 [2014]
  • 『사회학』
    정인석 서울: 박영사 [1991]
  • 『사람의 통일, 땅의 통일』
    전우택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 『발달심리학』
    민영순 서울: 교육출판부 [1990]
  • 『디지털 환경과 기독교교육』
    강희천 서울: 나남출판사 [2002]
  • 『도덕교육과 통일교육: 북한 이해와 교과 교육의 통일교육』
    황인표 서울: 울력 [2006]
  • 『다문화 시대의 통일교육』
    박성춘 파주: 집문당 [2016]
  • 『남북한 사회통합의 길-그 현황과 전망』
    전성우 서울: 금왕출판사 [2001]
  • 『남북 및 남남 갈등시대의 통일교육론』
    배장오 경기: 서현사 [2015]
  •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강희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 『기독교교육사상』
    강희천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87]
  • 『敎育的 經驗의 理解』
    이돈희 서울: 교육과학사 [1993]
  • 『30주제로 풀어 쓴 기독교 강요』
    문병호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3]
  • 『 인간론 』
    최홍석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5]
  • “후기 현대사회와 자아 정체성의 문제.”
    정석환 「현대와 신학」 25 : 171 [2000]
  • “효과적인 교실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학습자 특성, 교육내용, 교 수방법,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소연희 「교육방법연구」18 : 3 [2006]
  • “화해의 신학 ? 통일을 넘어 화해를 추구하는 교회와 신학의 역할,”
    방연상 「신학 과 사회」 32 : 9 [2018]
  • “현대사회와 기독교적 자아정체성.”
    김현숙 「기독교언어문화논집」7 : 165 [2003]
  • “한국인의 나라사랑과 안보의식: 현황과 과제.”
    양정훈 「한국보훈논총」14 : 164 [2015]
  • “한국에서의 평생교육체제 정립에 관한 연구.”
    김종서 남정걸 이용환 정지웅 「연구논총」 : 173~193 [1982]
  • “한국어교육에서의 멀티미디어 활용 연구 동향 분석.”
    박진철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19 , 489 [2019]
  • “한국기독교의 통일논의의 역사와 통일의 실천적 과제: 한국기독교학회와 한국기독교회협의회를 중심으로.”
    허호익 「한국기독교신학논총」 61 : 96 [2009]
  • “학교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방향.”
    정희태 「통일전략」10 : 71 [2010]
  • “학교 통일교육의 변천과 그 대안에 대한 연구.”
    박찬석 「시민교육연구」 34 : 141 [2002]
  • “평화통일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과제와 교육모델.”
    김영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논문발표회 자료집 [2002]
  • “평화통일을 위한 기독교 교육의 과제와 교육모델.”
    김영대 http://cafe.naver.com/practicalth/698
  • “통일이후를 준비하는 교회의 통일교육.”
    양금희 「교육교회」422 : 4 [2013]
  • “통일을 준비하는 교회교육의 실제.”
    임창복 「교육교회」411 : 4 [2012]
  • “통일에 관한 기독교인의 의식과 통일교육의 실태조사.”
    이현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224 [2017]
  • “통일대비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과제.”
    김규식 「신학과 목회」 38 : 173 [2010]
  • “통일당위성 담론유형 집단별 특성과 통일교육적 함의.”
    김희정 임수진 「교육문화연구」23 : 27~48 [2017]
  • “통일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문태성 「북한선교」25 : 3 [2014]
  • “통일교육의 필요성.”
    오인탁 「교육교회」157 : 13 [1989]
  • “통일교육에서 평화인문학 및 통일인문학의 함의.”
    오기성 「초등도덕교육」61 : 575~577 [2018]
  • “통일교육시범학교와 일반학교 통일교육 비교 연구.”
    김재기 정지윤 「동북아연 구」29 : 231 [2014]
  • “통일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융합지향.”
    박찬석 「도덕윤리과 교육연구」66 , 141~143 [2020]
  • “통일교육 현장보고서: 새 천년 통일교육의 화두는 평화와 화해.”
    이장원 「통일한 국」193 : 85 [2000]
  • “통일교육 지도자료.”
    교육부 「장학자료」89 : 5 [1993]
  • “탈인습 세대의 형성과 분화- 사회변동 주체의 탐색.”
    한상진 「사회와 이론」11 : 20-21 [2007]
  • “칼빈의 화목(Reconciliation)의 신학이 기독교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조만준 「기독교교육논총」50 : 201 [2017]
  • “칼 바르트의 화해론 연구.”
    최종호 「신학사상」134 : 200 [2006]
  • “초등학교 체험학습 운영 개선방안.”
    김영진 김영환 김지원 「교과교육학연구」12 [2008]
  • “청소년 통일의식과 학교통일교육의 진화.”
    변종헌 「윤리교육연구」29 : 165 [2012]
  •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조영남 「초등교육연구논총」17 : 316 [2001]
  • “제임스 W. 파울러의 신앙발달단계 이론의 기독(목회)상담적 적용.”
    가요한 「한국 기독교상담학회지」24 : 9 [2013]
  • “제5장 학교통일교육의 이념과 실제.”
    박상욱 박창언 「통일전략」15 : 134 [2015]
  • “제2장 북한인권법 제정의 당위성과 향후 과제에 관한 연구.”
    박광득 「한국통일전 략학회」 13 : 120 [2013]
  • “정의윤리와 배려윤리의 상호 관련성 연구.”
    박병춘 「倫理硏究」93 : 135 [2013]
  • “전국 개신교 사학 496개 현황.”
    이승현 뉴스앤조이, 년 8월 26일자 [2017]
  •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한 도덕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법.”
    김현수 「도 덕윤리과교육」60 : 349 [2018]
  • “유아교육의 본질을 향한 서로 다른 목소리: 다학문적 접근의 갈등과 희망을 함께 하며.”
    유혜령 「유아교육연구」30 : 298 [2010]
  • “유아교사의 창의 인성 교육에 관한 실천적 지식의 인식 변화과정.”
    박희숙 송영인 송윤나 「열린유아교육연구」 24 : 114 [2019]
  • “용서, 화해 그리고 생명.”
    박혜순 「철학논집」 53 : 86 [2018]
  • “예수의 카리스마적 지도력과 마태공동체.”
    서중석 「신학논단」74 : 37~58 [2013]
  • “신학교육의 목적과 커리큘럼 개선.”
    김현숙 「기독교교육정보」 19 : 16~17 [2008]
  • “시민청소년관점에서의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향.”
    김윤나 「청소 년학연구」 17 : 30 [2010]
  • “성인초기의 발달과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신우정 이운영 장휘숙 한국심리학 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 “성인 기독교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
    안중회 「기독교교육논총」47 : 383~415 [2016]
  • “성경적 관점의 평화교육.”
    임창복 ?교육교회? 318 : 5 [2003]
  • “선교학의 회심: 성찰과 변혁.”
    방연상 이만형 「선교와 신학」40 : 158~159 [2016]
  • “사회통일교육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배영애 「통일전략」14 : 68 [2014]
  • “사회통일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성호 「한국정치외교사논총」22 : 376 [2001]
  • “사회적 통합을 지향하는 교회의 기독교 통일교육.”
    양금희 「기독교교육논총」46 : 231~263 [2016]
  • “사이버공간에서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학습 환경 설계.”
    허희옥 「교육공학연구」 19 : 197~223 [2003]
  • “분단을 넘어 통일을 준비하는 교회교육에 관한 연구.”
    서영준 「개혁논총」29 : 107~109 [2014]
  •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인식 비교연구 ? 인천지역을 중심으 로.”
    유해숙 이현숙 「인천학연구」20 : 350 [2014]
  • “북한 일상생활 중심의 통일교육 교재 개발.”
    이상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 231 [2017]
  •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를 활용한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자율화 모형 개발.”
    박채형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11 (2011): 135~155 [2009]
  • “미래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육시설 연구(Ⅰ): 학습자 중심의 학교시설 재구조화 방안.”
    박상철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1 [2018]
  • “문재인 정부의 통일교육: 변화와 지속성 탐색.”
    김홍수 조수경 「도덕 윤리과 교 육」62 : 186 [2019]
  •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의 비판적 이해.”
    김재진 「조직신학논총」 12 : 111 [2005]
  • “메타프락시스 관점에서 본 실과교과 내 농업생명과학교육의 의미와 가 치.”
    고인규 「한국실과교육학회지」30 : 1~15 [2017]
  • “대화적 패러다임과 현대 교육: 신학교육을 중심으로.”
    김현숙 「기독교언어문화논 집」 9 : 50~83 [2006]
  • “대학생의 통일관과 통일 교육의 방향.”
    한만길 「통일논총」15 : 32 [1997]
  • “대학생들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과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김재기 「한국 시 민윤리학회」26 : 77 [2013]
  • “담론에서 융합으로: 지식 패러다임의 변환,”
    윤평준 「철학과 현실」75 : 66 [2008]
  • “다문화 시대의 대학 선교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
    이윤석 「대학과 선교」20 : 41 [2011]
  • “남북한의 통일정책과 바람직한 학교통일교육의 방향.”
    서강식 「초등도덕교육」4 : 208 [1998]
  • “남북한 통일의 도전과 청소년의 통일의식.”
    변종헌 「윤리연구」1 : 117 [2017]
  •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 비교 분석.”
    김병로 최경희 「통일과 평화」4 : 87 [2012]
  • “남북한 상호문화이해를 통한 북한이해교육의 개선방안,”
    김병연 신원동 「도덕 윤리과교육」 65 : 130 [2019]
  • “기독교적 정체감 형성을 위한 대화 교육.”
    김현숙 「기독교교육정보」 3 : 237~238 [2001]
  • “기독교적 남북통일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 연구.”
    이현우 : 1~5 [2016]
  • “기독교교육과 여성심리.”
    김현숙 「신학논단」33 : 244 [2003]
  • “기독교 학교의 종교교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
    김정효 「기독교교 육논총」 52 : 182 [2017]
  • “기독교 평화통일교육을 위한 이론정립의 방향 모색.”
    윤응진 「한국기독교신학논 총」12 [1995]
  • “기독교 남북통일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한 방향성 연 구.”
    이현우 한상진 「대학과 선교」33 : 153~177 [2017]
  • “기독교 교육과정 이론과 프락시스 접근.”
    손원영 「기독교교육논총」6 : 251 [2000]
  • “교회의 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조만준 「기독교와 통일」8 : 72-73 [2017]
  • “교회교육 지도자들을 위한 전문지/이달의 주제글: 통일교육의 필요성.”
    오인탁 「교육교회」157 : 576 [1989]
  • “교육이론 성격 규명을 위한 교육과정의 세 가지 모형 분석 ? 목표모형, 내 용모형, ‘메타락시스’ 모형.”
    김정래 「교육문화연구」22 : 25 [2016]
  • “교육의 내재적 정당화: 메타프락시스 관점.”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지」19 , 102~103 [2007]
  • “교육논의에서 ‘메타 프락시스’의 구조와 의미.”
    김정래 「한국교육학연구」22 , 73~75 [2016]
  • “교육과정의 심성함양모형은 가능한가.”
    정혜진 「도덕교육연구」18 : 171~190 [2007]
  • “과정신학의 관점에서 성인의 성숙한 관계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백은미 「기독교 교육논총」33 : 301 [2013]
  • “공유적 권위와 기독교교육.”
    김현숙 「기독교교육정보」17 : 203 [2007]
  • “고령화 시대의 노인 무연사와 탈인습적 교육과정 연구.”
    문수경 「대학과 선교」37 : 329 [2018]
  • “Post 맥락의 세계시민교육 담론 동향과 쟁점 분석.”
    김진희 「시민교육연 구」 47 (2015): 60 [2015]
  • “James Fowler의 신앙 발달단계에 대한고찰과 문제점 연구.”
    강문규 「기독교교육 논총」 : 49 [2008]
  • “6?15 남북 공동선언 이후 민족공동체 형성을 위한 통일교육의 방향 모색.”
    정세영 제3차 통일교육워크숍 자료집, : 1~10 [2001]
  • “4차 산업혁명, 기독교교육의 사회적 사명: 미래교육 환경 및 정책 변화 전망 과 기독교교육의 대응과제를 중심으로.”
    이은철 「기독교교육논총」 54 : 3 [2018]
  • https://www.sarang.org/index.asp
  • https://www.mois.go.kr
  •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 https://stdict.korean.go.kr/
  • http://www.youngnak.net/
  • http://www.ymcakorea.org/
  • http://www.nsgrace.org/
  • http://www.kncc.or.kr/
  • http://simri.edumoa.com
  • http://school.cbe.ab.ca/school/ArbourLake
  • [11] FEV, IMPACT-FREE OPERATION OF FUTURE DIESEL POWERTRAINS. SVEA Conference. 2018.
  • What does Good Citizenship Mean to Students.
    21 [1992]
  • Understanding by Design
    [2001]
  • Understanding Curriculum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Curriculum Discourses
    [2008]
  • Theologies of Religious Education
    [1995]
  • The age ? stage controversy. ” In Issues in Child Psychology
    [1980]
  • The Trinity and the Kingdom : The Doctrine of God . Translated by Margaret Kohl
    [1993]
  • The Trinity and the Kingdom : The Doctrine of God .
    [1981]
  • The Role of Practical Theology in Protestant Religious Education Theory.
    2 ( [2001]
  • The Prosecution of Human Rights Violations.
    13 ( [2010]
  • The Growth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 Clinical and Developmental Analyses
    [1980]
  •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 Tasks and Its Significance , for Education and Social Work.
    2 (54-63 [2004]
  • Teaching from the Heart : Theology and Eucational Method .
    [1991]
  • Teaching Ministry of Contemporary Christian Congregations : An Exercise in Practical Theological Reflection.
    3 ( [2002]
  • Systematic Theology I , II , III
    [1951]
  • Statistical models : theory and practice
    [2009]
  • Stages of faith :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1981]
  • SeekingCritical Hope in a Global Age : Religious Education in a Global Perspective.
    110 ( [2015]
  • Reuel L. The Miracle of Dialogue .
    [1963]
  • Reuel L. Man 's Need and God 's Action .
    [1953]
  • Responsibility and Education
    [1959]
  • Reckoning with Past Wrongs : A Normative Framework. ” In Ethics and International Affairs : A Reader . ed. , Joel H. Rosenthal
    [2008]
  • R. W. Basic Principles ofCurriculum and Instruction
    [1949]
  • R. Practical theology : an introduction
    [2008]
  • Psychologist of the Real
    [1977]
  • Process Theology and Religious Education . In Theologies of Religious Education
    [1995]
  • Practical theology : An Empirical Approach
    [1998]
  • Practical Theology for Life and Praxis.
    1 ( [2005]
  • Power and Authority. ” In A History of Sociological Analysis
    [1979]
  • Perry G. Teaching for Spiritual Growth : An Introduction to Christia n Education
    [1994]
  • Pedagogy of the Oppressed
    [1993]
  • Patriotism and cosmopolitanism. ” In For Love of Country
    [2002]
  • Paradigms of Personality
    [1987]
  • P. H. Theories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983]
  • P. H. Education , Knowledge and Practices
    [1992]
  • N.Y.
    [1976]
  • N. N. The Way of Response : Martin Buber
    [1966]
  • N. Der Schrei nach Gerechtigkeit : Elemente Einer Prophetischen Politischen Theologie .
    [1986]
  • Moral Consciousness and Communicative Action . Trans. , C. Lenhardt and S. W. Nicholsen
    [1990]
  • Margaret A. Jean Piaget . Ithaca , N.Y.
    [1977]
  • Letty M. Household of Freedom : Authority in Feminist Theology .
    [1987]
  • Lawrence kohlberg
    [1985]
  • Karl Barth and Jurgen Habermas : Transcendental Aporias of Global Civil Society. ” Political Theology 9/4
    [2008]
  • Jurgen Habermas , Communication and the Evolution of Society
    [1979]
  • John P. Understanding Early Adolescence : A Framework
    [1980]
  • James M. The Shape of Religious Instruction
    [1971]
  • Jack L. Contemporary Approaches to Christian Education
    [1982]
  • J.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1952]
  • J.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1972]
  • Intimacy of friendship , interpersonal competence , and adjustment during preadolescence and adolescence
    61 ( [1990]
  • In over our heads : The mental demands of modern life
    [1994]
  • In defense of piaget 's theory : A reply to 10 common criticisms.
    103 ( [1996]
  • In a Different Voice :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 's Development
    [1993]
  • Identity in adolescence . In J. Adelson ( Ed . ) ,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1980]
  • Henry A. Curriculum & Instruction : Alternatives in Education
    [1981]
  • Harry Stack Sullivan : Interpersonal theory and psychotherapy.
    23 [1997]
  • Harold W. Models of Religious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in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
    [2001]
  • Harold W. An Invitation to Religious Education
    [1975]
  • H.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1995]
  • G. W. The Promise of Narrative Theology .
    [1997]
  • G . Stanley Hall 's adolescence : Brilliance and nonsense. ” History of Psychology 9/3
    186 [2006]
  • Fritz K. Oser의 종교적 판단 발달이론에 관한 연구: 한국 청소년의 종교적 성향에 관하여. 박사학위논문
    김국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 Exceptional Maturity of Personality : An Emerging Field. In The Postconventional Personality
    [2011]
  • Evolving Self : Problem and Process in Human Development
    [1982]
  • Erik H. Childhood and Society
    [1950]
  • Empowering Children to Create a Culture in a World of Differences.
    70 [1994]
  • Ego development
    [1976]
  • Education for Peace : Issues , Principles , and Practice in the Classroom
    [1988]
  • Educating in a Postconventional Society.
    101 ( [2006]
  • Early Adolescence : A framework.
    3 [1983]
  • Dynamics of Faith
    [1957]
  • Developmental Approaches to Understanding Media Effects on Individuals. ” In Media Violence and Children , edited by D. A. Gentile
    [2003]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go-identity Status. ”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 D. E. Six Approaches to Child R earing
    [1977]
  •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 Expectation of Excellence.
    376-378 [1999]
  • Curriculum : Toward New Identities .
    [1998]
  • Cosmopolitanism : Ethics in a World of Strangers
    [2006]
  • Coming of Age in Samoa : A Psychological Study of Primitive Youth for Western Civilization
    [1973]
  •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1976]
  • Carol Lakey Education as an Art of Getting Dirty with Dignity. In The Arts of Ministry : Feminist- Womanist Approaches
    [1996]
  • Building Learning Communities in Cyberspace : Effective Strategies for the Online Classroom
    [1999]
  • Blythe M. Clinchy , Nancy R. Goldberger , and Jill M. Tarule . Knowledge , Difference , And Power : Essays Inspired By Women 's Ways Of Knowing
    [1996]
  • Between Man and Man
    [1948]
  • Berenice M. No Angel in the Classroom
    [2001]
  • Becoming Adult , Becoming Christian
    [2000]
  • B. Developmental Psychology
    [1975]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 and Sociology
    8 ( [2008]
  • Alister E. Theology : The Basics .
    [2012]
  • A. L. Theories of Child Development . 2nd ed
    [1980]
  •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93 ( [1993]
  • ?니고데모의 안경?
    신국원 서울: IVP [2015]
  • ?공적실천신학과 세계화시대 기독교교육?
    장신근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 부 [2007]
  • 4인. 『현대교육학』
    허은주 서울: 양서원 [2010]
  • 4인.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통일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박형서 ” 「기독교교육정 보」 55 : 97~119 [2017]
  • 3인. 『성경적 통일교육 이음』
    박상진 서울: 창조와 지식 [2017]
  • 2인. 『청소년 심리학』
    한상철 서울: 양서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