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적 배움공동체 실행 여정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 Pedagogical Journey of One Principal mak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B Child Care Center : Focus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김윤숙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적 배움공동체 실행 여정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 Pedagogical Journey of One Principal mak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B Child Care Center : Focus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2019 개정 누리과정
  • 어린이집원장
  • 여정
  • 유아중심·놀이중심
  • 전문적 배움공동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90 0

0.0%

'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적 배움공동체 실행 여정 :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 Pedagogical Journey of One Principal mak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B Child Care Center : Focus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의 참고문헌

  •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사연수자료: 컨설턴트 양성연수 자료 집 [2019]
  •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이연선 정혜영 교육인류학연 구, 21(1), 193-224 [2018]
  • 홀리스틱교육 관점에서 학교장의 분산적 리더십이 전문가학습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김희규 류춘근 홀리스틱교육연구, 19(3), 17-40 [2015]
  • 혼돈의 시대 리더의 탄생〔Leadership: In turbulent times〕. 강주현(역)
    Goodwin, D. K. 서울: 로크미디어(원전은 2018에 출판) [2020]
  •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18(4), 1-49 [2015]
  • 핵심개념의 이해 증진을 위한 해외 중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 및 디자인 분석
    김덕순 문공주 이현주 황요한 조형미디어학, 21(4), 150-158 [2018]
  • 해석수준에 따른 비전소통,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성과 간의 관계. 제주 대학교 대학원
    이은국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실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효과적 실 천의 저해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승호 정바울 한국교원교육연구, 34(4), 183-212 [2017]
  • 한국보육진흥원 2019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2019]
  • 한국보육진흥원 2017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2017]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유엔아동권리협약 제 3・4차 국가보고서 및 권고사항 자료집
    세종: 보건복지부 [2011]
  • 한국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전선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한국 유아교육과정의 과거, 현재, 미래에 한 조망.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이기숙 중앙대학교 아트센터(2015.4.11.). 19-47 [2015]
  • 한국 교사교육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셀프 연구(self-study)의 도입
    황혜영 한 국교원교육연구, 30(1), 59-80 [2013]
  • 학습하는 조직〔The fifth discipline: The art &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강혜정(역)
    Senge, P. M. 서울: 에이지(원전은 2006에 출판) [2014]
  •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린이집교사의 인식 연구
    최남정 생태유아교육 연구, 10(3), 199-219 [2011]
  • 학습공동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문현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학교조직에서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학습조직화에 미치는 영향
    박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학습공동체의 활 성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
    신승인 평생교육・HRD 연구, 13(4), pp85-114 [2017]
  •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 효과성의 관계
    고광혁 인하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학교장의 변혁적리더십이 학교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조직과 전문 적학습공동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미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승오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학교장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가치의 결합 유형 효과성의 인과관 계 분석
    이정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학교에 배움이 있습니까
    정현지 서울 : 쌤앤파커스 [2016]
  • 학교변화에 성공하는 20가지 핵심원리.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이찬승 교육저널 특별호(2018.12.5.) [2018]
  • 학교교육에서 놀이교육! 현황과 과제(이슈페이퍼 CP 2018-29)
    임부연 한국교육 개발원 [2018]
  • 학교교육과정 개발 사례에 나타난 교사학습공동체의 전문적 자본구축에 관 한 연구
    현성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학교교육 역량 강 화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지원 방안 연구(연구보고 2016-03)
  • 학교공동체의 개념적 요인 탐색
    김범규 주철안 지방교육경영, 11, 4-6 [2006]
  • 학교공동체구성원의 역할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허학도 교육행정학연구. 23(2), 281-302 [2005]
  •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학습조직의 이론적 함의
    김희규 교육사상연구, 27(1), 69-91 [2013]
  • 학교공동체 구성원의 역할 탐색을 위한 조사연구
    허학도 수산해양교육연구, 18(3), 364-373 [2006]
  • 학교 혁신의 미시동원으로서 하늘별초의 전문적 학습 공동체: 교 사 인문학 연구 동아리 사례연구
    김용우 정바울 교육정치학연구, 25(2), 27-53 [2018]
  • 학교 안과 밖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분석. 경기도 교육연구원
    김은영 서지연 이범우 정책진단 2016-08 [2016]
  •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원. 25(2), 53-80 [2008]
  • 학교 교육과정 설계론의 새 지평.〔Designing the school curriculum〕. 강현석, 박영무, 이원희, 박창언, 유제순, 이자현(역)
    Hlebowitsh, P. S. 서울: 아카데 미프레스(원전은 2004에 출판) [2006]
  •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 및 개발방안에 대한 제고-교원의 전문성과 자 율성을 중심으로
    조덕주 교육과정연구, 20(3). 23-44 [2002]
  • 학교 공동체 만들기: 배움과 돌봄을 위한 도전〔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주철안(역)
    Sergiovanni, T. J. 서울: 에듀케어(원전은 1994에 출판) [2004]
  • 프루스트와 기호들〔Proust et les signes〕. 서동욱, 이충민(역)
    Deleuze, G. 서 울: 민음사(원전은 1964에 출판) [2004]
  • 프레이의 교사론: 기꺼이 가르치려는 이들에게 보내는 편지 〔Teachers as cultural workers: Letters to those who dare teach〕. 교육문화 연구회(역)
    Freire, P. 서울: 아침이슬(원전은 2000에 출판) [2003]
  • 프레이리의 배움에 대한 소고
    이경숙 교육철학, 61, 51-78 [2016]
  • 프레이리의 교사론 연구
    전일균 교육철학, 46, 211-230 [2009]
  • 프레이리와 교육〔Paulo Freire: Pedagogue of Liberation〕. 김명희, 김석규, 김언순, 심성보, 유성상, 이성우, 이우진(역)
    Elias, J. L. 서울: 살림터(원전은 1993에 출판) [2014]
  • 프레네의 페다고지 불변요소 읽기: 페다고지를 위하여
    박찬영 서울: 살림터 [2017]
  • 페다고지〔Pedagogy of the oppressed〕. 남경택(역)
    Freire, P. 서울: 그린비 (원전은 1971에 출판) [2003]
  • 페다고지〔Pedagogy of the oppressed: 50th anniversary edition〕. 남경태, 허진(역)
    Freire, P. 서울: 그린비(원전은 1970에 출판) [2018]
  • 파울로 프레이리, 한국 교육을 만나다: 파울로 프레이리 교육 사상과 한국 민중교육운동
    홍은광 서울: 학이시습 [2010]
  • 통합의 시대를 향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정선아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 논문집, 55-70 [2016]
  • 초임교사의 체육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협력적 탐구공동체 의 실천 과정과 효과 탐색
    장경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학교조직문화, 교사헌신 간의 관계.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임재택 (2001).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임영애 경기: 양서원 [2013]
  • 초등학교의 분산적 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 관계
    박희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초등학교 내 교사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와 교장 주도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사례 비교 연구
    김여경 오지연 최진영 교원교육, 32(2), 213-241 [2016]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 저해요 인에 대한 개념도 분석
    고영규 권동택 박희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651-674 [2018]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수업활동 간의 관계
    김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실태와 발전적 운영 방안 모색: 서울시교육청 소속 교사들을 중심으로
    박경애 신은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415-443 [2018]
  • 천개의 고원: 자본주의와 정신분열증 2〔Mille plateaux: capialism et schizophrenie 2〕. 김재인(역)
    Deleuze, G. Guattari, F. 서울: 새물결(원전은 1980 에 출판) [2001]
  • 차이와 반복〔Diff rence et R p tition〕. 김상환(역)
    Deleuze, G. 서울: 민음사 (원전은 1968에 출판) [2004]
  •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한 접근 교사학습공동체
    서경혜 서울: 학지사 [2015]
  • 지적생산연구회 부하를 움직이는 말 한마디. 박명숙(역)
    서울: 비즈니북스(원전은 2008에 출판) [2011]
  • 지속기능발전 관점에서 조망한 뉴리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한 탐색적 고찰
    지옥정 유아교육연구, 39(2), 213-233 [2019]
  •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남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19 개정 누리과정 시범어린이집 운영 사례집
    서울: 중앙 육아종합지원센터 [2019]
  • 중등학교에서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의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송숙영 인하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중등직업교육기관 학교장들이 인식하는 리더십 유 형과 직무수행 특성 간 관계
    류지은 윤경신 이찬 임소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9(1), 1-21 [2017]
  •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 가 연구(Ⅲ): 중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평가와 초・중학교급간 교과 교육과정 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제7차 교육과정의 현장 운영 실태 분석(Ⅲ): 중등학교 국민공통기본교과를 중심으로(총론)
  •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조난심 교육비평, 39, 330-347 [2017]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이선영 한국교육학연구, 23(1), 231-260 [2017]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유아교사의 역할
    전귀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47-72 [2018]
  • 정치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놀이생태: 유아교육을 중심으로
    손연주 임부연 유아교 육학논집, 23(3), 323-352 [2019]
  • 전문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육과정 개혁: 하향식 및 상향식 의사결정의 균형 과 통합을 중심으로
    김두정 교육과정연구, 33(3), 179-198 [2015]
  • 전문적학습공동체 실천 연구: 농촌지역 혁신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채원 서울대 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6(3), 75-95 [2007]
  • 전문적학습공동체 공동연구・연수이야기
    홍석희 경기: 부크크 [2017]
  • 전문적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를 통한 성공요인 분석(수시연구 2016-08)
  •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지속성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정바울 교육정치학연구, 23(2), 127-151 [2016]
  •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변화과정과 변화 동인에 대한 사례 연구: 새물결 중 학교의 공동 수업 디자인 및 나눔 모임을 중심으로
    이종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9]
  • 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
    이경호 교육행정학연구원. 29(3), 195-221 [2011]
  • 전문가 학습공동체 구현양상에 관한 질적 연구: 혁신학교를 중심 으로
    이경호 이준희 교육문제연구, 28(2), 231-259 [2015]
  •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에 대하여.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정기 학술대회 자료집
    백정미 가천대학교 예음홀(2018.4.28.), 151-153 [2018]
  •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오채선 유아교육연구, 38(4), 415-443 [2018]
  • 자유의 교육학〔Pedagogy of Freedom: Ethics, Democracy, and Civic Courage〕
    Freire, P. 서울: 아침이슬(원전은 1998에 출판) [2007]
  • 자문화기술지: 방법론적 특징을 통해 본 교육인류학적 가 치의 탐색
    박순용 장희원 조민아 교육인류학연구, 13(2), 55-79 [2010]
  • 자기연구(self-study)를 통한 초임 교사교육자의 교수 경험 성찰
    박영은 한국교원 교육연구, 31(3), 221-243 [2014]
  • 자기연구(Self-study)의 방법적 탐구
    김영천 박창민 초등교육연구, 30(4), 75-104 [2017]
  • 자기 성찰과 공유를 통해 함께 성장해가는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고영미 구성주의 유아교육연구, 4(1), 67-84 [2017]
  • 일본의 학교공동체 실천사례.(한대동, 김대현, 김정섭, 안경식, 유순화, 주 철안, 손우정, 전현곤 공저. 배움과 돌봄의 학교공동체. pp.333-360)
    손우정 서울: 학지사 [2009]
  • 유치원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양상
    고영미 조부경 유아교육연구, 26(1), 69-100 [2006]
  • 유치원교사의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 교사리더십 및 교직헌신 간의 인과 관계
    장영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159-179 [2005]
  • 유치원교사의 수업 성찰을 통한 자기연구
    이서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9]
  •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직원의 누리과정 운영에 관한 인식분석: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화․다양화를 중심으로
    박창현 양미선 육아정책연구, 11(1), 209-237 [2017]
  •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유아 자율행동 검사도구 개발
    이학선 한국교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박은혜 이성희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319-353 [2012]
  •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공동체 모형
    고영 조부경 교육 학연구, 44(2), 287-296 [2006]
  • 유아의 놀이성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최옥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 유아를 위한 사회도덕교육〔Moral classrooms moral children〕. 이은화, 이 경우, 곽향림(역)
    DeVries, R. Zan, B. 서울: 창지사(원본 1994에 출판) [1997]
  • 유아교육의 정치학〔The poli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염 지숙, 신옥순(역)
    Lang, P. 서울: 창지사(원전 2000년에 출판) [2003]
  • 유아교육에서 놀이와 학습과의 역동성
    강민정 곽정인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43-164 [2009]
  • 유아교육기관의 서번트리더십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지각 차이 및 이직 의 도와의 관계
    윤지영 한국영유아보육학, 45, 227-249 [2006]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체험하는 공간의 의미
    이효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8]
  • 유아교육기관 종사자의 복지를 위한 서번트리더십에 관한 연구
    최남례 한국가 족복지학, 1(2), 79-93 [2005]
  • 유아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살펴본 ‘놀이~배움’의 의 미
    손연주 임부연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9(3), 265-287 [2019]
  • 유아교육과정과 놀이 페다고지: 유아의 행위주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 해. (임부연, 정낙림, 조상식, 정광순, 곽영순, 최승현, 류미향, 전가일, 이진희, 이연 선 공저.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pp. 307-340)
    이진희 경기: 교육과학사 [2020]
  • 유아교육과정 속 나(교사)의 운동성 의미 탐구
    이정은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9]
  • 유아교사학습공동체의 성장과 발달에 관한 연구
    임부연 최남정 유아교육연구, 33(5), 401-429 [2013]
  •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해 알아본 자율성의 의미
    양지애 이소정 유아교육연구, 39(2). 565-592 [2019]
  • 유아교사들의 5세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
    김윤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4]
  • 유아교사교육: 생태적 접근
    권미량 김은주 고양: 공동체 [2008]
  • 유・초 연계의 관점에서 본 개정누리과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 대회 자료집
    이신영 경북대학교 비전홀(2019.11.9.), 31-42 [2019]
  •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보육교사 임파원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 현 유아교육연구, 35(1), 5-28 [2015]
  • 우상과 실상: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의 모순된 결과와 해결방안 탐색
    홍원표 교육 과정연구, 29(2), 23-43 [2011]
  • 우리는 왜 이런 방식으로 수업하고 있을까?: 유아교사양성과정에 서의 수업융합사례
    이연선 정혜영 어린이교육비평, 10(1), 7-34 [2020]
  • 오픈 리더십〔Open Leadership〕. 정지훈(역)
    Charlene, L. 서울: 한국경제신문 사(원전은 2010에 출판) [2011]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육공동체에 대한 인식 및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이미지
    견주연 윤갑정 정계숙 유아교육학논집, 20(2), 5-28 [2016]
  •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실습과 연계된 대학 강좌 개 발에 관한 실행연구
    장효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영유아사교육 문제 해결을 위한 조사연구 11회 연속토론회: 생태유아교육 에서 본 누리과정 분석 및 유아교육과정 운영 자율화를 위한 제언. 제 8차 토론화 자료집(2013.9.24.)
    김은주 사교육걱정없는세상 [2013]
  •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원장 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조직 냉소주의, 임파워먼트 간의 구조 적관계
    예남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 화
    김숙령 여인우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3). 247-266 [2019]
  • 영아반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경험과 그 의미
    최효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9]
  •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변인으로
    양희정 대구가톨릭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어린이의 놀이와 배움을 잇기 위한 기록 ‘다시 보기’의 실행과정과 의미 생성
    이진희 장은정 허정민 유아교육연구, 40(1), 291-318 [2020]
  •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리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 해〔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De Te Whāriki and curricular understandings〕. 손유진,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이진희, 임부 연, 전가일, 한선아(역)
    Sellers, M. 서울: 창지사(원전은 2013에 출판) [2018]
  •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이기와 되기〔Listening to children: being and becoming〕. 변윤희,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임부연(역)
    Davis, B. 서울: 창 지사(원전은 2014에 출판) [2017]
  • 실험과 배움 그리고 유아 놀이의 생태성. (임부연, 정낙림, 조상식, 정광순, 곽영순, 최승현, 류미향, 전가일, 이진희, 이연선 공저.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 육. pp. 205-236)
    최승현 경기: 교육과학사 [2020]
  • 실행연구자(action researcher)로서의 유아교사: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 을 위한 일고
    김희연 유아교육연구, 24(6), 235-255 [2004]
  • 실행연구를 통한 유아과학교육 학습공동체의 의미
    김민정 조형숙 유아교육연구, 31(4), 119-141 [2011]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에서 교직의 전문성
    박상완 교원교육, 31(1), 227-245 [2015]
  • 수직적 리더십(vertical leadership)과 공유적 리더십(shared leadership)이 팀 몰입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 료집
    심덕섭 양동민 코엑스(2014.11.28.). 163-178 [2014]
  • 수업의 중핵으로 한 ‘배움’의 학교공동체에 관한 연구
    김대현 손우정 교육과정 연구, 23(4), 132 [2005]
  • 센 세대, 낀 세대, 신 세대, 3세대 전쟁과 평화
    김성회 서울: 쌤앤파커스 [2020]
  • 세상을 움직이는 숨겨진 질서읽기: 복잡계 개론
    윤영수 채승병 서울: 삼성경제연 구소 [2005]
  • 세대차이와 갈등: 이론과 현실
    박재흥 진주: 경상대학교출판부 [2017]
  • 성공하는 CEO의 습관
    김성회 서울: 페이퍼로드 [2006]
  • 서울형 교사 학습공동체의 리더십-전문가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교장의 역할 탐색
    이경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3-148 [2017]
  • 서번트리더십이 종업원의 비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자긍심의 매 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서번트리더십이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 향
    정선영 허영림 생태유아교유견구, 8(3), 77-95 [2009]
  • 서번트 리더십〔The servant: Asimple story about the true essence of leadership〕. 김광수(역)
    Hunter, J. C. 서울: 시대의창(원전은 2012에 출판) [2018]
  • 새로운 교육담론과 실험적 실천: 뇌과학, 놀이 그리고 페다고지.(임부연, 정낙림, 조상식, 정광순, 곽영순, 최승현, 류미향, 전가일, 이진희, 이연선 공저. 미 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pp. 341-372)
    이연선 경기: 교육과학사 [2020]
  • 새 시대‧새 정부의 영유아보육‧교육과정의 혁신, 획일화에서 다양화로. 한 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춘계정기학술대회자료집
    임영애 광주대학교 대강당(2017.6.11.), 11-35 [2017]
  • 사토 마나부 학교를 철학하다〔Gakko kaikaku no tetsugaku〕. 신지원(역)
    서울: 에듀니티(원전은 2012에 출판) [2019]
  • 사토 마나부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授業を変える学校が変わる…総合学 習からカリキュラムの創造へ〕. 손우정(역)
    서울: 에듀니티(원전은 2000에 출판) [2011]
  • 사토 마나부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学び」から逃走する子どもたち〕 손우 정, 김미란(역)
    성남: 북코리아(원전은 2000에 출판) [2003]
  • 사건의 철학: 삶, 죽음, 운명
    이정우 서울: 그린비 [2011]
  • 분산적 지도성이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사 헌신에 미치는 영향
    홍세영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분산적 지도성의 이론적 탐색
    김규태 주영효 교육행정학연구, 27(2), 25-54 [2009]
  • 분산적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전남형 혁신학교(무지개 학교)와 일반학교를 중심으로
    안병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분산적 리더십〔Distributed school leadership: Developing tomorrow’s leader〕 이석열, 김규태, 주영효, 손보라(역)
    Harris, A.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 은 2008에 출판) [2011]
  • 분산적 리더십 진단 도구 개발 연구
    문성윤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부산대학교 직장어린이집 놀이공간의 경계 허물기: 통합자유놀이 이야기(개정 누 리과정 시범 어린이집 운영 결과보고서. pp 37-48)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i-nuri.go.kr/main/board/index.do?menu_idx=106&manage_idx=49&h ow_show=each [2020]
  • 복잡한 세계 숨겨진 패턴〔Simply complexity: A clear guide to complexity theory〕. 한국복잡계학회(역)
    Johnson, N. 서울: 바다(원전은 1961에 출판) [2015]
  • 복잡성이론의 패러다임과 그 교육적 의의.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백남진 (2013).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교육과정 잠재력
    배재학 교육과정연구, 31(3), 201-225 [2009]
  • 복잡계로 바라본 조직관리
    최창현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5]
  • 보육시설의 조직문화가 보육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순득 서울한 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보육서비스 질과 보육시설 조직문화의 관계 분석
    조인숙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서주희 전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현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4]
  • 보육교사의 보육신념, 직무환경, 사회적 지지가 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김혜화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보육교사들의 누리과정 실행경험과 지원요구
    고경미 이선경 한국유아교육・보육 복지연구, 17(4), 104-129 [2013]
  •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 성의 매개효과
    박봉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913-928 [2018]
  •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신념 및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최은영 위덕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병원 간호사의 조직침묵의 구성과 맥락
    이경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찬중 이길환 채주석 대한경영학회지, 24(5), 2617-2640 [2011]
  •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감성적 지능과 인지적 지능의 조절효과 분석
    홍표근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배움의 존재론적 의미
    이관춘 배움학연구, 1(1), 17-29 [2009]
  • 배움의 의미
    김성길 서울: 학지사 [2009]
  • 배움의 공동체. 서울: 해냄. 송경오, 최진영 (2010). 초 중등학교 교사학습공동체 의 측정모형 및 수준 분석
    손우정 한국교 원교육연구, 27(1), 179-201 [2012]
  • 배움에 관하여: 비판적 성찰의 일상화
    강남순 파주: 동녘 [2017]
  • 배움 공동체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연구
    김성길 미래교육연구, 17(2), 15-33 [2004]
  • 미래사회를 위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개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이정욱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1), 19-35 [2018]
  • 미래사회 준비를 위한 ‘놀이’중심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개정방향 모색
    임부연 교육혁신연구. 27(4), 59-78 [2017]
  • 문해교육은 자유의 실천이다.(김민남, 김부태, 손종현, 이경숙, 이훈도, 조세형, 조정봉, 천성호 공저. 프레이리의 사상과 실천. pp.275-299)
    천성호 서울: 살림 터 [2017]
  • 문복진 (2019). 유아 눈높이에서 ‘놀이’로 배우는 즐거움 「2019 개정 누리과정」. http://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nttId=9379&b bsId=BBSMSTR_000000005083 행복한 교육에서 2020.4.15. 인출
    [2019]
  • 만3세 유아 교사의 누리과정 인식과 실행
    권세경 서동미 성은영 한국보육학회 지, 14(4), 39-70 [2014]
  • 만 5세 장미반 교사의 기록화 과정과 교사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 경 험
    강진주 인문학논총, 35, 73-111 [2014]
  • 만 5세 유아들의 놀이 여정: 놀이 공간 경계 허 물기를 중심으로.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김윤숙 안세정 이주영 정나영 수성대학교 대강당 (2019.11.16.), 150-151 [2019]
  • 리더의 위치적 권력에 따른 리더십 스타일과 조직의 병리적 문화
    송준헌 원광대 학교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레지오 유아교육기관과 생태유아교육기관의 교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 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이연선 중앙대학교 아트센터(2014.3.22.), 307-322 [2014]
  • 들뢰즈의 배움론: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강선보 최승현 교육문제연구, 39, 1-22 [2011]
  • 들뢰즈의 기호와 배움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들의 얽힌 되기: 프로젝트 기반 STEM 교육 중심으로
    김현수 안효진 열린교육연구, 26(4), 113-132 [2018]
  • 들뢰즈와 미디어
    최영송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Going beyond the theory/Practice Divi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roducing an intra-active pedagogy〕. 신은미,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진 희, 임부연, 전가일, 한선아, 변윤희(역)
    Taguchi, H. L. 서울: 창지사(원전은 2010에 출판) [2018]
  • 들뢰즈와 교육: 차이생성의 배움론
    김재춘 배지현 서울: 학이시습 [2016]
  •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한 유아교육 읽기-운동과 실험〔Movement and experimentation in young children’s learning〕. 이연선, 이경화, 손유진, 김영연(역)
    Olsson, L. M. 서울: 살림터(원전은 2009에 출판) [2017]
  • 들뢰즈 철학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의미와 관계 탐색
    김재춘 배지현 교육학연 구, 50(3), 126-149 [2012]
  • 돌봄과 유아 교사 전문성
    권귀염 김현미 아동교육, 25(3), 135-156 [2016]
  • 도시공동체운동의 현황과 전망
    신명호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3]
  • 대중의 지혜〔The Wisdom of Crowd〕. 홍대운, 이창근(역)
    Surowiecki,J. 서울: 랜덤하우스 중앙(원전은 2004에 출판) [2005]
  • 누리과정에게 묻는다
    김영옥 한국유아교육학회소식, 71, 1-9 [2018]
  • 누리과정에 따른 단위유치원 교육과정설계: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곽향림 유아교육연구, 39(2), 333-359 [2019]
  • 누리과정 질 제고를 위한 운영 다양화방안(연구보고 2016-25)
    박창현 양미선 조혜주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6]
  • 누리과정 정책 성과 분석(연구보고 2016-2)
    김지현 이민경 이윤진 육아정책연구 소 [2016]
  • 누리과정 재정 구조를 통해서 본 유아교육 공교육체제 분석 과 미래 방향
    박은혜 신은수 한국교육, 39(2), 55-78 [2012]
  • 누리과정 개정의 배경과 개정 내용
    김은영 육아정책포럼, 62, 6-15 [2019]
  • 누리과정 개정안의 주요 특징 및 쟁점 분석
    이정욱 유아교육연구, 39(2), 255-277 [2019]
  • 누리과정 개정 정책 연구(수탁연구 2019-03)
  • 놀이와 배움의 의미 이어가기. 한국보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이진희 아이코 리아 소강당(2019.7.1.), 49-60 [2019]
  • 놀이를 활용한 기독교 아동상담에 관한 연구
    채옥현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3]
  • 놀이로 세상을 배우다: 아동기관에서의 놀이와 자발성.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자료집
    정선아 서울상상나라 공연장 [2014]
  • 놀이는 쓸데 있는 짓이다〔Balanced and barefoot〕. 오필선 (역)
    Hanscom, A. J. 서울: 목수책방(원전은 2016에 출판) [2019]
  • 놀이기반 배움의 방향에 관한 탐색: 표상을 넘어 사건으로
    유혜령 한국어린이교 육문화비평학회. 9(2). 57-85 [2019]
  • 기록 작업을 통한 교사의 귀 기울이기
    김경철 김안나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67-89 [2009]
  • 국정기획자문위원회 (2017).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http://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167096&topic= 2020.4.14. 출력
    [2017]
  •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 성격에 부응하는 누리과정 운영개선 방안. 연구보고, 2017-18
    박창현 이경화 이민희 육아정책연구소 [2017]
  • 국가수준 영 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탐색
    이경화 한국교육, 41(2), 107-137 [2014]
  •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의미와 누리과정 발전 방향에 대한 성찰
    김명희 서현정 조부경 유아교육연구, 40(1), 185-213 [2020]
  •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흐름과 교사의 자율성
    김진욱 이용환 교육연구, 38, 29-55 [2015]
  • 구성주의 교실공동체에서 또래 간 갈등해결을 위한 유아들의 사회도덕적 능력
    곽향림 유아교육학논집, 13(6), 277-302 [2009]
  • 교장의 체면행동이 교장-교사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정은선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교육현장 개선과 함께 하 는 실행연구방법
  • 교육행정가의 변혁적 리더십과 진단 및 육성방안 연구
    노종희 교육행정학연구. 14(3). 265-284 [1996]
  • 교육생태계의 시각으로 유아교육과정 바라보가: 복잡성 철학을 중심으로. (임부연, 이조은, 강승지, 김민우, 김정미, 김희진, 박선영, 소애제, 손연주, 제희선, 최윤경, 연희정 공저. 미래학교를 위한 놀이와 교육. pp. 95-126)
    김정미 경기: 교육과학 사 [2020]
  • 교육부 보도자료(2015
    교육부 9.23.) [2015]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고시문
    세종: 보건복지부 [2012]
  • 교육과학기술부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세종: 교육과학기술부 [2013]
  • 교육과정의 위상과 교사의 대응 방식: 교육과정의 주인으로 살 것인가 아 니면 교육과정의 노예로 살 것인가
    서명석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연차학술대회 자 료집: 국가수준 교육과정(누리과정) 실행과 기관평가의 딜레마, 3-20 [2014]
  •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조승제 서울: 교육과학사 [2007]
  • 교육과정 재구성의 개념적 애매성과 모호성 비판
    서명석 교육과정연구, 29(3), 75-91 [2011]
  • 교육과정 자율화와 책무성 확보를 통한 유아교육 선진화의 의미와 쟁점
    정지현 유아교육연구, 31(6), 285-308 [2011]
  •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고찰
    이근호 정연근 교육과정 연구, 29(3), 93-119 [2011]
  • 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에 가정된 교사 자율성 재개념화: Foucault의 ‘자기 배려’ 논의에 기초하여
    소경희 최유리 허예지 교육과정연구, 35(2), 119-141 [2017]
  • 교육과정 실행 주체자로서의 유치원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염지숙 유아교육학논 집, 15(6), 295-310 [2011]
  •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서근원 교육 인류학연구, 8(2), 127-179 [2005]
  • 교육 보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의 성과와 내실화 방안
    김경은 조부경 유아교육연 구, 19(3), 1-22 [2017]
  • 교실공동체를 지원하는 구성주의교사의 위치
    곽향림 유아교육연구, 28(4), 289-312 [2008]
  • 교수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수업전문성 사례연구
    김현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교사학습공동체의 속성에 관한 질적 메타 분석
  • 교사학습공동체의 개혁확산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오찬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교육 및 교육과정 혁신
    곽영순 김종윤 황필아 한 국교육과정평가원 정책포럼 자료집: 교사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교육개선, 3-11 [2015]
  • 교사학습공동체,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리더십, 학교개선 간의 구 조적 관계 분석
    윤지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9]
  •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성찰적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유태명 이경숙 가족과환경연구, 54(4), 365-384 [2016]
  • 교사학습공동체
    서경혜 서울: 학지사 [2018]
  • 교사자율연구모임을 통해 본 교직문화의 새로운 가능성: 구성배경 과 참여 동기를 중심으로
    김성천 양정호 한국교육, 34(3), 51-74 [2007]
  • 교사의 학습기회가 교직신념 및 교수법 활용에 미치는 영 향 분석
    송경오 허은정 한국교원교육연구, 28(4), 89-116 [2011]
  •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색
    김남수 심영택 이혁규 이현명 교육문 화연구, 18(2), 5-43 [2012]
  • 교사의 상상력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 관 한 연구
    이정금 임부연 유 아교육연구, 38(1). 137-165 [2018]
  • 교사에 관한 배움학적 단상
    최항석 배움학연구, 3(1), 33-48 [2011]
  • 교사리더십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재구성 교사공동체에서의 경험 을 중심으로
    김성아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er〕. 강성우, 부경순, 심영택, 양갑렬, 오세규, 이경화, 이혁규, 임진영, 허영식(역)
    Mills, E. J. 서울: 우리교육(원전은 2002에 출판) [2005]
  • 교사들이 기대하는 ‘교육과정 자율권’ 탐색
    김선영 소경희 아시아교육연구, 15(4), 55-79 [2014]
  •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서경혜 교육과정연구, 27(3), 159-189 [2009]
  • 교사들의 ‘반 (半) 자발성’에서 출발한 학교내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사례 연구
    김남균 김민조 김종원 심영택 한국교원교육연구, 33(4), 223-248 [2016]
  •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21-148 [2010]
  • 교사가 바라본 놀이 속 영아와 물질의 행위주체성 탐구
    채민주 부산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서경혜 교육과학연구, 44(3), 161-191 [2013]
  • 교사 전문성-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오욱환 경기: 교육과학사 [2005]
  •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 체의 가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2009]
  • 교사 그리고 질적 연구: 앎에서 삶으로. 서울: 교육과학사. 곽영순 (2015). 교사 학습공동체의 발달 단계 탐색
    곽영순 교육과정평가연구, 18(2), 83-104 [2014]
  • 과학교사들의 교사모임에의 참여 경험과 교사 정체성 형 성과정에 대한 탐색: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김효정 이현주 정가윤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90-404 [2013]
  • 공동체로서의 학교: 그 구성 요건
    김영화 한국교원, 32(2), 17-18 [2005]
  • 공공성과 공동체: 한국사회의 결핍에 대한 진단과 회복을 위한 담론
    이종수 한국 살기좋은 지역공동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
  •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
    교육부 서울: 교육부 [2017]
  • 공공기관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 향: 심리적 웰빙의 매개효과와 개인-환경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용범 울산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경험중심의 시각문화교육: 프레이리의 문해력 교육이 주는 시사점
    백윤소 미술과 교육, 14(2), 81-99 [2013]
  • 경기도교육청 놀이 2019 놀이로 유아의 삶을 담다
    경기: 경기도교육청 [2019]
  • 경기도교육청 2015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계획
    경기: 경기도교육청 [2015]
  • 경기도 교육청의 교사 학습공동체와 학교교육 혁신: 경기도 혁신 학교 정책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교사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교육 및 교육과정 혁 신 정책포럼. (pp 15-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서길원 허승대 연구자료 2015-79 [2015]
  • 개정 누리과정 시범 유치원 및 어린이집 연수 자료집
    임부연 서울교육대학교 종 합문화관(2019.4.6.) [2019]
  • 가르침과 배움의 철학
    심승환 경기도: 교육과학사 [2007]
  • 가르침-배움의 두 차원
    서명석 초등교육학연구, 7(1), 109-125 [1999]
  • 가르친다는 것〔To teach: The journey of a teacher〕. 홍한별 (역)
    Ayers, W. 서울: 양철북(원전은 2010에 출판) [2012]
  • 真木佑介 (마키 유스케, 기류가 울리는 소리
    千曲川書房(치쿠마쇼보) [2003]
  • “한국사회의 세대집단에 대한 심리학적 탐색: 전이적 공존 관점을 통한 대학생 집단의 세대 이미지 분석.”
    양진영 황상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3), 75-93 [2002]
  • What is “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61 ( 6 ) , 6-11 [2004]
  • What is teaching ?
    3 ( 1 ) , 5-18 . [1971]
  • What is collective intelligence and will do about it ? . In Mark Tovey . Collective intelligence : Creating a prosperous world at peace ( pp . 1-4 ) . Oakton , Virginia : Earth Intelligence Network
    [2006]
  • What is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 In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pp . 17-36 [2013]
  • Variabilities and dualities in distributed leadership : Findings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32 ( 4 ) , 439-457 . [2004]
  • Understanding student
    14 ( 2 ) , 171-185 [1999]
  • UN아동권리협약 https://www.unicef.or.kr/child-rights/outline.asp(2020.4.15
    인출) [1991]
  • Two decad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8 ( 1 ) , 9-32 [1999]
  •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transactional leadership , locus of control , and support for innovation : key predictors of consolidated-business-unit performance
    78 ( 6 ) , 891-902 [1993]
  • Transformational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
    [1985]
  • Toward a theory of instruction
    [1966]
  • The supervisor ’ s educational platform . Supervision : A redefinition ( 8th ed. )
    [2007]
  • The paradox of professional community : Tales from two high schools
    38 ( 1 ) , 45-76 . [2002]
  •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2001]
  • The new 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4 th edition [2007]
  • The future of Distributed leadership
    46 ( 2 ) , 141-158 [2008]
  • The art of educational evaluation
    [1985]
  • The Teacher 's `` Practical Knowledge '' : Report of a Case Study
    11 ( 4 ) , 43-71 [1981]
  •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1983]
  • The Promethean literacy : Paulo Freire ’ s pedagogy of reading
    [1994]
  • Teachers ’ role in curiculm development : An altemative approach
    5 ( 2 ) , 52-62 [1980]
  • Teachers ’ professional community in restructuring schools
    33 , 757-798 [1996]
  • Teacher thinking : A study of practional knowledge
    [1983]
  • Structural validity of the multi 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54 ( 3 ) , 734-744 [1994]
  • Shared leadership : Reframing the hows and whys of leadership .
    [2003]
  • Servant leadership : Its origin , development , and application in organizations
    9 ( 2 ) , 57-64 . [2002]
  • Servant leadership :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 and multi-level assessment
    19 ( 2 ) , 161-177 [2008]
  • Servant leadership : A journey into the nature of legitimate power greatness
    [1970]
  • Servant as leader . republished in 1991 by The Robert K. GreenleafCenter in Indianapolis
    [1970]
  • Self-study through action research . In J. J. Loughram , M. L. Hamilton , V. K. Laboskey , T. Russell ( eds . ) , International handbook of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 943-977 [2004]
  • Self-study teacher research : Improving your practice throughCollaborative inquuiry
    [2011]
  • Self-study of teaching practice primer
    Freese, A. R. Samaras, A. P. NY: Peter Lang. https://books.google.co.kr/books?id=E5h9O1845WMC&pg=PA20&lpg=PA20& dq=Self-study+of+teaching+practice+primer&source=bl&ots=FIPaA68QnG&si g=ACfU3U2sM4MUM6GhC21gb-25FOIXmC3nhw&hl=ko&sa=X&ved=2ahUKEwj u_dXx6ILpAhVdIqYKHbt4AIsQ6AEwEnoECBcQAQ#v=onepage&q=Self-study% 20of%20teaching%20practice%20primer&f=false출처 [2006]
  • Self-study for teacher educators ;Crafting a pedagogy for educationalChange
    [2002]
  • Search , swing and see : Deleuze 's apprenticeship in signs and pedagogy of images . Nomadic education : Variations on a theme by Deleuze and Guattari
    [2008]
  • Scaled evelopment andConstructClarification of servant leadership
    31 ( 3 ) , 301-303 . [2006]
  • Rebel Leadership :Commitment andCharisma in the Revolutionary Process
    [1973]
  • Re-inventing Freire for the 21stCentury .
    9 , nr 1 , 8-17 . [2013]
  • Re-examining theComponent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using the multi 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72 ( 4 ) : 441-462 [1999]
  • Radical Pedagogy
    [2008]
  • Quality in America
    [1992]
  •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2001]
  • Project Zero & Reggio Child 기록작업을 통한 학습의 가시화: 개인과 잡단 학습자로서의 어린이〔Making learning visible children as individual and group learners〕. 오문자, 박병희, 박선희(역)
    경기: 양서원(원전은 2001에 출 판) [2016]
  • Profound improvement . BuildingCapacity for a learningCommunity
    [2000]
  • ProfessionalCommunity inChicago elementary schools : Facilitating factors and organizationalConsequences
    35 ( 5 ) , 751-781 [1999]
  • Professional learningCommunities :Communities of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1997]
  • Professional learningCommunitie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7 ( 4 ) , 221-258 [2006]
  • Professional learningCommunities
    [2007]
  • Professional LearningCommunities at Work :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1998]
  •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 2nd ed. )
    [1979]
  • Post-Capitalist Society
    [1993]
  • Positioning the principals in patterns of school leadership distributionDistributed leadership according to the evidence
    pp . 111-136 [2009]
  • Positioning : The Discursive Production of Selves
    20 ( 1 ) , 43-63 . [1990]
  • Play and pedagogy : AConflict of interests ? In S. Rogers ( Ed . ) , Rethinking play and pedagogy in earlyChildhood education :Concepts ,Contexts , andCultures
    pp . 5-18 [2011]
  • Personnalism and moral leadership : the servant leader with a transforming vision
    11 ( 4 ) , 385-392 [2002]
  •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Authority : A Comparative Analysis
    6 ( 4 ) , 463-482 . [1962]
  • Organizational silence : A barrier to change and development in a pluralistic world
    25 ( 4 ) , 706-725 . [2000]
  • OECD 8개국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의 놀이와 학습 관점 탐구
    권정윤 정미애 유아교육연구, 39(1), 195-226 [2019]
  •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http://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contact/E2030_Position_Paper (05.04.2018).pdf (2020.4.15. 인출).
    [2018]
  • Mustafa, Y. E., & Martina, R. (2010). Teacher-proof curriculum. http://knowledge.sagepub.com/view/curriculumstudies/n457.xml (2020.6.8. 인출).
    [2010]
  • Multi factor leadership questionnaire : Technical report , leader form , rater form , and scoring key for MLQ form 5x-short
    [2000]
  • Motivating individuals and groups at work : A social identity perspective on leadership and group performance
    29 , 459-478 [2004]
  • More Great Childcare : Raising Quality and Giving Parent More Choice
    [2013]
  • Moral classrooms moral children
    [2012]
  •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2007]
  • Loris Malaguzzi and the Schools of Reggio Emilia : A Selection of His Writings and Speeches , 1945-1993
    [2016]
  • Learning together , leading together . Austin , TX :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2004]
  • Lead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2008]
  • 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in the new millennium : Current theoretical trends and changing perspectives
    25 ( 1 ) , 36-62 [2014]
  • Leadership of inquiry : Building and sustaining capacity for school improvement
    25 ( 4 ) , 375-395 [2003]
  • Leadership as distributed : A matter of practice
    25 ( 4 ) , 349-366 [2005]
  • Leadership Configurations
    5 ( 3 ) , 381-394 . [2009]
  • Leadership & sustainability : System thinkers in action
    [2005]
  • Leadership
    [1978]
  • L vy, P.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L'intelligence collective: pour une anthropologie du cyberspace〕. 권수경(역)
    서울: 문학과 지성사(원 전은 1994에 출판) [2002]
  • L vy, P. 누스페어: 새로운 철학, 새로운 문명, 새로운 세계〔World philosophi e〕. 김동윤, 손주경, 조준형(역)
    서울: 생각의 나무 [2003]
  • Introduction to action research : Social research for social change ( 2nd ed. )
    [2007]
  • Introduction : One changing the structuring of public school . In Elmore , R , F. and Associates ( Ed. ) . Restructuring Schools : The Next Generation of Educational Reform
    [1990]
  • Interpreting the what , why and how of self-study i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In J. J. Loughran , M. L. Hamilton , V. K. LaBoskey & T. Russel ( Eds ) International Handbook or self-study of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practices
    pp . 1443-1481 [2004]
  • Insights on leadership : Service , stewardship , spirit , and servant-leadership
    [1995]
  • Inquiry as stance : Practitioner research for the next generation
    [2009]
  • Implementing change : Patterns , principles , and potholes
    [2006]
  •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eaves its influence on individual job performance : The role of identification and efficacy beliefs
    61 ( 4 ) , 793-825 [2008]
  • How teacher education matters
    51 ( 3 ) , 166-173 [2000]
  • Handbook of autoethnograpy
    [2016]
  • Handbook of Action research
    [2001]
  • Generational differences : Revisiting generational work values for the new millennium
    23 ( 4 ) , 363-382 . [2002]
  • From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networked learning community . In Stoll , L. , & Seashore Louis , K.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2007]
  • Four Ages of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Learning .
    6 ( 2 ) , 151-182 [2000]
  • Exploring complexity : An introduction
    [1989]
  • Ethics and politic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5]
  • Essentials of learning for instruction
    [1974]
  • Distributing leadership to make schools smarter : Taking the ego out of the system
    6 ( 1 ) , 37-67 [2007]
  • Distributed leadership in secondary schools in England : The impact on the role of the headteacher and other issues
    21 ( 2 ) , 21-27 [2007]
  • Distributed leadership and school performance
    [2009]
  • Distributed leadership : According to the evidence
    46 ( 2 ) , 172-188 . [2011]
  • Distributed Leadership
    [2006]
  • Dialogue in critical pedagogy : generative word as counter-hegemonic action
    8 ( 2 ) , 103-114 . [2014]
  • Dewey의 공동체 개념과 교육
    이주한 교육사상연구, 21(1), 157-179 [2007]
  • Developing the curriculum
    [2001]
  • Demystify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 School leadership at its best
    [2010]
  • Curriculum : Alternative Approaches , ongoing issues ( 4th ed )
    [2007]
  • Creating and sustaining effective professsional learning communities
    [2005]
  • Conducting research on practice
    23 ( 5 ) , 5-10 . [1994]
  •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2006]
  •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1994]
  • Board team leadership revisited : A conceptual model of shared leadership in the boardroom
    104 , 403-420 [2011]
  •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Languages of evaluation ( 2nd ed. )
    [2007]
  • Beyond an easy : A diffractive analysis
    26 ( 6 ) , 742-746 . [2014]
  • At home in the universe .
    [1995]
  • An Exploratory Case Study of an American-Style , Play-Based Curriculum in China
    31 ( 1 ) , 28-39 [2017]
  • Alternative narratives in early childhood : An introduction for students and practitioners
    [2019]
  • A review of servant leadership attributes : Developing a practical model
    23 ( 3 ) , 145-157 [2002]
  • A concept of teaching . Language and concepts in education
    [1961]
  • A comparison of distributed leadership readines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008]
  • : Getting Started . Reculturing Schools to become Professional learningCommunities
    [2002]
  • 90년생이 팀장의 성과를 만든다: 밀리니얼세대와 X세대 팀장의 사선문화 를 통한 소통
    김인옥 서울: 텔루스 [2019]
  •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지속가능과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 집
    김진형 국회의원 회관(2016.6.16.), 21-29 [2016]
  •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병찬 유경훈 임종헌 한국교육, 44(2), 5-32 [2017]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따른 정부 발행 교단지원 자료의 놀이 담론 비 판
    이경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8(1), 1-25 [2019]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개정(안) 개발 연구(연구보고 2017-26)
    강은진 김은영 염혜경 육아정책연구소 [2017]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5개 영역 및 교사용 지도서 생활 주제 간의 관계성에 대한 연구
    김가은 이재창 홍후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255-274 [2017]
  • 3-5세 누리과정의 한계와 유아교육자의 과제
    이경화 생태유아교육연구, 15(4), 1-23 [2016]
  • 3-5세 누리과정 이용 실태와 정책효과 분석(연구보고 2015-26)
    박창현 윤지연 이진화 육아정책연구소 [2015]
  • 3-5세 누리과정 개편 방안 연구(연구보고 2015-24)
    문무경 배윤진 송신영 육 아정책연구소 [2015]
  • 3,4세 누리과정 제정의 배경 및 특성
    장명림 육아정책포럼, 31, 6-14 [2012]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안착을 위해 우리는 어떤 고민을 해야 하는가. 한 국생태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김희연 수성대학교 대강당(2019.11.16.), 31-67 [2019]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이경화 어 린이교육비평, 9(2), 5-33 [2019]
  • 2019 개정 누리과정(안) 개발 배경 및 특성. 2019 개정 누리과정(안) 공청회 자료
    김은영 교육부・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019]
  • 2019 개정 누리과정 시행을 위한 교사 전문성 제고 방안
    강은진 육아정책포럼, 62, 16-23 [2019]
  • 2015 개정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세종: 교육부 [2015]
  • 2007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의 조직 체계와 운영 전략에 관 한 비판적 검토: 유치원교육과정 개편의 방향 설정을 위한 제언
    김희연 오문자 정선아 교육과정연구, 29(2), 69-98 [2012]
  •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김경자 이경진 교육과정연 구, 23(3), 57-8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