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맥락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 고유어와 한자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Situational Context : Focused on Native Korean Vocabularies and Sino-Korean Vocabularies

김남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상황 맥락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 고유어와 한자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Situational Context : Focused on Native Korean Vocabularies and Sino-Korean Vocabulari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유어
  • 상황 맥락
  • 적절성
  • 한국어 어휘
  • 한자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9 0

0.0%

' 상황 맥락 기반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 고유어와 한자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Based on Situational Context : Focused on Native Korean Vocabularies and Sino-Korean Vocabularies' 의 참고문헌

  • 교육원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6-2』
    연세대 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6-1』
    연세대 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5-2』
    연세대 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5-1』
    연세대 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4-2』
    연세대 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4-1』
    연세대 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3-2』
    연세대 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3-1』
    연세대 연세대 출판문화원 [2013]
  •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노대규 국학자료원 [1996]
  •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담화의 상황 맥락 연구
    양재승 한하림 『이중언어학』, 55. 458-485 [2014]
  • 이화여대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5』
    이화여대 출판부 [2012]
  • 이화여대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4』
    이화여대 출판부 [2011]
  • 이화여대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3-2』
    이화여대 출판부 [2011]
  • 이화여대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3-1』
    이화여대 출판부 [2011]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6A
    문진미디어 [2015]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4B
    문진미디어 [2015]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4A
    문진미디어 [2015]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3B
    문진미디어 [2015]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3A
    문진미디어 [2015]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6B』
    문진미디어 [2015]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5B』
    문진미디어 [2015]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5A』
    문진미디어 [2015]
  • 상황맥락을 반영한 듣기 평가 텍스트 연구-한국어능력시험 II를 대상으로-
    전혜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제23차 국제학술대회』. 285-297 [2017]
  •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친절한 한국어 6』
    PNU Press [2016]
  •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친절한 한국어 5』
    PNU Press [2014]
  •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친절한 한국어 4』
    PNU Press [2018]
  • 부산대학교 언어교육원, 『친절한 한국어 3』
    PNU Press [2019]
  • 맥락 중심 문식성 교육 방법론 고찰
    이재기 『청람어문교육』, 34. 99-128 [2006]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김중섭 국립국어원 [2011]
  •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일상적 준구어 자료의 분석 을 바탕으로』
    박지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국어능력시험(TOPIK) 문제은행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김정숙 국립국제 [2013]
  • 『한국어교육을 위한 맥락 모형 연구』
    한하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문제 연구』
    한상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부사의 상황 맥락 연구』
    이시은 고려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7]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고유어와 한자어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양진경 영남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조남호 국립국어연구원 [2002]
  • 『한국어 어휘론』
    김창섭 서울: 아카넷 [2011]
  • 『한국어 어휘 교육』
    한재영 서울: 태학사 [2010]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조현용 서울: 박이정 [2005]
  • 『학습 목적별 한국어 교재의 의사소통 기능(Function) 연구』
    방종률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표현 의도의 표현 방식에 관한 화용론적 연구』
    이성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1994]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맥락 요인 중심의 상대높임법 교육 연구』
    강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유의어 교육 연구 –고유어와 한자어의 사 용 원리를 중심으로-』
    하설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 연구』
    이영희 서울: 소통 [2016]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구본관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 『연상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연구』
    김은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2]
  • 『수업설계』
    변영계 이상수 서울: 학지사 [2003]
  • 『상황맥락적인 분석을 통한 한국어 이동 동사 '가다/오다'의 사용 양상 연 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빙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상황맥락 기반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 연구: 피동사동을 중심으로』
    조영미 부 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상황 맥락의 도입을 통한 말하기 지도 연구』
    노은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1993]
  • 『비슷한 말 반대말 사전』
    김광해 서울: 낱말 [2000]
  • 『맥락으로 통합되는 국어교육의 길 찾기』
    김슬옹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 『말하기 듣기의 본질적 개념과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전은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듣기 말하기 교육에서 맥락 설정에 관한 연구』
    박창균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8]
  • 『담화 차원에서의 한국어 어휘 유창성 신장 방안 연구』
    이경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5]
  •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국립국어원 국립국어원 [2017]
  • 『국어지식탐구』
    김광해 서울: 박이정 [1999]
  • 『국어어휘론』
    심재기 서울: 집문당 [1982]
  • 『국어교육학사전』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서울: 대교출판 [1999]
  • 『국어 어휘와 의미』
    이광호 서울: 박문사 [2015]
  • 『국어 어휘론 개설』
    김광해 서울: 집문당 [1993]
  • 『국어 어휘론 개설』
    심재기 서울: 지식과 교양 [2011]
  • 『국어 어휘 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손영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 현상』
    김광해 서울: 탑출판사 [1989]
  • 「한국어능력시험 중급 듣기 문항 분석 연구-상황맥락을 중심으로 -」
    심혜령 황성은 『언어사실과 관점』, 32. 237-259 [2013]
  • 「한국어 이해능력 평가의 원리와 실제」
    이해영 『한국어교육』, 16(3). 275-304 [2005]
  • 「한국어 유의어의 의미 변별과 교육 방안」
    문금현 『한국어교육』, 15(3). 1-30 [2004]
  • 「한국어 어휘의 특징과 어휘 교육」
    조현용 『한국어교육』, 10(1). 265-282 [1999]
  • 「한국어 어휘교육 연구방법의 이론과 실제」
    강현화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제 17차 추계전국학술대회』. 19-34 [2013]
  •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대표 어휘 설정」
    이충우 『국어교육』, 85. 19-34 [1994]
  • 「한국어 숙달도 평가의 문제은행 도입을 위한 일반 정보 구축 방안 연구」
    김지영 『이중언어학』, 54. 75-98 [2014]
  • 「한국어 말하기 듣기 교육에서 “실제성 원리”의 적용 층위와 내용」
    전은주 『새 국어교육』, 89(0). 553-575 [2011]
  • 「한국어 교육에서 고유어의 위상과 등급화 –고유어 용언을 중심 으로-」
    서희정 홍윤기 『국어교육』, 132. 351-384 [2010]
  • 「한국 중국 미국 한국어 교재의 대화문 비교 연구: 『연세한국어 6』, 『韩 国语 4』, 『Integrated Korean - Advanced Intermediate 1』을 중심으로」
    임칠성 『국어 교육학연구』, 51(3). 185-219 [2016]
  • 「학문 목적 듣기 평가 과제에 관한 연구-국외 학문 목적 평가에 나타난 상황 맥락을 중심으로-」
    국지수 김서형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제21차 추계전국학술 대회』. 215-226 [2015]
  • 「표준국어대사전 수록 정보의 통계적 분석」
    정호성 『새국어생활』, 10(1). 55-72 [2000]
  • 「일반 한국어능력시험 고급 시험의 듣기 텍스트 연구 :상황 맥락을 중심으로」
    반소연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어휘의 텍스트 형성 기능과 어휘 지도의 방향」
    황미향 『언어과학연구』, 1(31). 297-318 [2004]
  • 「어휘력과 어휘 지도 -어휘력의 개념을 중심으로-」
    이영숙 『선청어문』, 25. 189-208 [1997]
  • 「어휘 능력 개념의 자장과 한국어 교육」
    신명선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INK) 제22차 학술대회』. 114-128 [2016]
  • 「상황맥락을 반영한 말하기・듣기 교육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이주섭 한국 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상황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추측 표현 연구-‘-것 같다’, ‘-을 것이다’, ‘- 겠-’을 중심으로-」
    황주하 『새국어교육』, 102. 365-389 [2015]
  • 「사용역에 따른 가능 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으)ㄹ 수 있다/없다’를 중 심으로-」
    홍혜란 『언어와 문화』, 14(4). 267-298 [2018]
  • 「문제은행 기반 한국어 숙달도 평가를 위한 메타데이터 선정 연 구」
    김정숙 이준호 『이중언어학』, 54. 25-53 [2014]
  • 「맥락 관련 문법 교육 내용의 인지적 구체화 방향」
    신명선 『국어교육연구』, 32. 69-103 [2013]
  • 「담화 분석을 통해 본 ‘-구나’ 용법 연구 (1) -담화 분석 범주 설정과 담 화 맥락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김유정 『한국어학』, 41. 229-256 [2008]
  • 「국어 표현 과정에서 작용하는 어휘 사용 기제와 그 전략에 관한 연구」
    신명선 『한국어 의미학』, 29. 91-131 [2009]
  •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추론 기술 평가 연구」
    이준호 『한국어학』, 46. 317-351 [2010]
  • 「2000년대 영어 교과서의 개발 방향」
    배두본 『교원교육』, 16. 39-63 [2002]
  • Wilkins, D. A. (1972).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London: Edward Arnold. (1976). Notional Syllabu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1 ( 1 ) , 1-47 [1980]
  • The functional-notional approach From theory to practice
    [1983]
  • The Problem of Meaning in Primitive Language . Appendix to C. K. Ogden and I . A. Richards . The Meaning of Meaning
    [1923]
  • The Notion of “ Context ” in Language Education
    4 , 1-24 [1999]
  • The Importance of Using Authentic Materials in Prospective Foreign Language Teacher Training
    5 ( 4 ) , 328-336 [2008]
  • Text, Context, Pretext: Critical Issues in Discourse Analysis. 김지홍(역, 2018). 텍스트, 상황 맥락, 숨겨진 의도: 담화 분석에서 몇 가지 핵 심 논제
    Widdowson, H. G. 서울: 도서출판 경진 [2004]
  • Style in Language
    [1960]
  • Semantics 1 , 2
    [1977]
  •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이홍수 외(역, 2007).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Brown, H. D. 서울: (주)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1980]
  • Principles of Firthian Linguistics
    [1975]
  • Papers in Linguistics 1934-1951 . London : Oxford Up . Hall , E. T. ( 1976 )
    [1957]
  • O’Malley, J. M. & Pierce, L. V. (1996). Authentic Assessment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Reading, MA: Addison-Wesley.
    [1996]
  • On communicative competence
    [1972]
  •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2001]
  • Language as social semiotic : The social interpret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1978]
  • Language , Context , and Text : Aspects of Language in a Social-Semiotic Perspective
    [1989]
  • Introduction to Human Communication
    [1976]
  • Introducing Discourse Analysis
    [1993]
  • Genre analysis : English in academic and research settings
    [1990]
  •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aching
    [1990]
  • Explorations in the Functions of Language
    [1973]
  • Ecology and Semiotics of Language Learning : A Sociocultural Perspective
    [2004]
  • D. Y. W. ( 2001 ) . Genres , Registers , Text Types , Domains and Styles : Clarifying the Concepts and Navigating a Path through the BNC Jungle
    5 ( 3 ) , 37-72 .
  • Cross-Cultural Pragmatic Failure
    4 ( 2 ) , 91-112 . [1983]
  •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1992]
  • An Analytical Framework for Register Studies . In Biber , D. & Finegan , E. ( ed . ) , Sociolinguistic Perspectives on Register
    [1994]
  • : 한국어 화용론
    박영순 서울: 박이정 [2007]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맥락의 수용 문제
    김재봉 『청람어문교육』, 36. 109-14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