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무無를 통해 본 유아의 앎 = Children’s Knowing through the Wu(無) of 『Chuang-tzu』

임홍남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장자』의 무無를 통해 본 유아의 앎 = Children’s Knowing through the Wu(無) of 『Chuang-tzu』'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유아
  • 유아교육
  • 유아교육과정
  • 유아의 앎
  • 장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16 0

0.0%

' 『장자』의 무無를 통해 본 유아의 앎 = Children’s Knowing through the Wu(無) of 『Chuang-tzu』' 의 참고문헌

  • 「장자의 변(變)과 화(化)의 철학」
    김경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흙땅에서 맨발로 노는 아이들
    김은주 이하정 임지연 서울: 학지사 [2015]
  •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An introductory guide to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전영백(역). 서울: 조형교육
    Sarup, M. (원전은 1993에 출판) [2005]
  •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이연선 정혜영 교육인류 학연구, 21(1), 193-224 [2018]
  • 행복한 살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방향
    나성식 박용석 이대균 이병래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833-855 [2015]
  • 해외 장자연구의 쟁점과 우리의 철학적 과제
    박소정 東洋哲學, 34, 91-114 [2010]
  • 한국 전통 아동교육사상
    안경식 서울: 학지사 [2005]
  • 한국 신화와 그리스 로마 신화의 인간관 및 교육관 비교를 통한 유아 교육사상적 함의 모색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281-297 [2014]
  • 한국 사회와 그 적들
    이나미 서울: 추수밭 [2013]
  • 폴라니와 장자의 인식론 비교연구
    박성일 윤성철 철학 사상 문화, 26, 1-34 [2018]
  • 텍스트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에서 자연의 교육적 의미
    이병래 열린유아교육연 구, 24(1), 475-508 [2019]
  • 탄허선사의 『장자(莊子)』에 대한 불교적 해석
    권기완 불교학보, 81, 357-383 [2017]
  • 창조적 진화. [L'evolution creatrice]. 황수영(역). 경기: 아카넷
    Bergson, A. (원 전은 1907에 출판) [2005]
  • 차이의 윤리에서 합일의 윤리로의 이동: 데리다, 레비나스, 라캉과 노자 에서 들뢰즈와 장자로
    이재성 영미어문학, 87, 97-124 [2008]
  • 차이와 반복. [Difference et repetition]. 김상환(역). 서울: 민음사
    Deleuze, G. (원전은 1968에 출판) [2004]
  • 질적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곽영순 경기: 교육과학사 [2009]
  •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30 Essential sKi(氣)lls for the qualitative researcher]. 한유리(역). 서울: 피와이메이트
    Creswell, J. W. (원전은 2016에 출판) [2017]
  • 질적 연구에서 의미해석 과정의 성격과 원리: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해 석학에 기초하여
    유혜령 교육인류학연구, 19(4), 1-40 [2016]
  • 존재의 변화 혹은 삶의 변용- 노장철학의 문맥에서 본 장자 실천론의 특징
    박원재 中國學報, 79, 297-314 [2017]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유아교사의 역할
    권귀염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8(4), 47-72 [2018]
  • 전통회화 속 ‘사의성(寫意性)’에 대한 미술교육적 활용 연구- 장자의 ‘물 아일체’와 들뢰즈의 ‘되기’개념들을 중심으로-
    이주원 조형교육, 58, 217-236 [2016]
  • 장자철학의 지혜
    류성태 서울: 학고방 [2011]
  • 장자철학을 통해 본 부모의 마음과 가르침
    이성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장자철학에서 존재와 세계의 문제- ‘무무’의 존재성과 그것의 ‘드러남 양상’을 중심으로
    윤천근 동서철학연구, 86, 51-82 [2017]
  • 장자철학에서 공간과 경계의 문제
    윤천근 동서철학연구, 84, 65-95 [2017]
  • 장자철학에 있어서 마음 닦음의 해체적 성격
    이종성 철학논총, 21, 19-44 [2000]
  • 장자철학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초월에 관한 연구
    이창욱 철학논총, 91, 259-288 [2018]
  • 장자철학 무엇인가
    이택용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2017]
  • 장자의 철학사상과 열린 교육
    이미애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장자의 참된 지식과 ‘밝음에 의거함’의 특질
    이종성 대동철학, 35, 23-48 [2006]
  • 장자의 자연주의에서 본 무위적(無爲的) 교육관
    김정실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9]
  • 장자의 인간론에 관한 연구
    박상조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장자의 심성관과 이상적 인간
    신순정 철학논총, 88, 235-252 [2017]
  • 장자의 소요유와 오우크쇼트의 놀이 개념 비교 연 구
    방진하 이성미 교육철학 연구, 37(3), 77-103 [2015]
  • 장자의 생성론적 생명관으로 ‘유아’ 다시 보고 새롭게 보기 : 견독見獨 개념을 중심으로
    김은 임홍남 교육사상연구, 33(2), 153-184 [2019]
  • 장자의 상대주의적 관점에 대한 반성적 고찰
    이종성 범한철학, 30, 81-103 [2003]
  • 장자의 눈으로 푸코를 읽다
    김성우 경기: 알렙 [2017]
  • 장자의 교학사상과 스승상
    임소영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장자의 ‘胡蝶夢’: 物化의 구조와 의미
    신순정 동양철학연구, 87, 191-221 [2016]
  • 장자에 있어 ‘자연적 교육관’
    조현규 교육철학, 33, 287-312 [2007]
  • 장자에 나타난 소통의 방법 연구
    장영희 문화와융합, 40(2), 645-672 [2018]
  • 장자사상의 일원론적 세계관에서 본 현대 교육학적 함의
    노상우 장명 교육종 합연구, 16(1), 127-147 [2018]
  • 장자사상에서 ‘관용’의 성격과 도덕교육에의 적용
    김병희 교육철학, 43, 37-66 [2011]
  • 장자미학의 해체론적 성격연구
    이종선 동양예술, 10, 252-291 [2005]
  • 장자강의: 혼돈의 시대에 장자를 읽다
    전호근 경기: 동녘 [2015]
  • 장자: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강신주 경기: 태학사 [2003]
  • 장자: 지식과 놀이
    최진석 동양철학연구, 64, 137-160 [2010]
  • 장자- 사유의 보폭을 넓히는 새로운 장자 읽기. [Chuang-Tzŭ by Angus Graham]. 김경희(역). 서울: 이학사
    Graham, A. C. (원전은 2001에 출판) [2014]
  • 장자(莊子)의 생명사상
    김경수 생명연구, 38, 19-58 [2015]
  • 장자 철학에서 「양생주」의 함의에 대한 고찰
    이택용 동양철학연구, 79, 59-87 [2014]
  • 장자 철학에 있어서 불가지론의 의의
    이종성 동서철학연구, 28, 37-61 [2003]
  • 장자 철학에 나타난 서양적 사유: 허심, 좌망, 상존과 포월을 중심으로
    사공일 동북아 문화연구, 1(40), 365-383 [2014]
  • 장자 지식론의 이중 구조와 모순 융해적 회통의 논리
    이종성 동서철학연구, 31, 163-186 [2004]
  • 장자 지식론 연구
    오현방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장자 인식론의 미학적 사유- 장자와 칸트의 대상인식을 중심으로-
    신정원 인 문과학, 65, 135-171 [2017]
  • 장자 사상을 통한 한국교육의 대안 모색- 外馳에 대한 대응방안을 중심 으로
    허수선 철학논총, 74, 59-78 [2013]
  • 장자 너는 자연 그대로 아름답다
    양승권 파주: 도서출판 한길사 [2013]
  • 장자
    신동준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2012]
  •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Essai sur les donnees immediates de la conscience]. 최화(역). 경기: 아카넷
    Bergson, A. (원전은 1889에 출판) [2001]
  •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방향 탐구- Deleuze의 예술론 분석 -
    손연주 임부연 미 술교육논총, 31(4), 189-210 [2017]
  • 유아들의 이야기판에서 물질적 내부작용 들여다보기
    이조은 유아교육연구, 38(6), 319-338 [2018]
  • 유아교육에서의 교과 담론에 관한 일고
    김희연 생태유아교육연구, 16(2), 157-178 [2017]
  • 유아교육과정 실행에서 유아의 몸 읽기: 해석학적 현상학적 접근
    정경수 부산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유아 교육 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Deconstruc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Social Justice and Revolution]. 유혜령(역). 서울: 창지사
    Cannella, G. S. (원전은 1997에 출판) [2002]
  • 역주장자 4
    김형석 안병주 전호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8]
  • 역주장자 3
    안병주 전호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5]
  • 역주장자 2
    안병주 전호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4]
  • 역주장자 1
    안병주 전호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01]
  • 언어와 권력. [Language and Power]. 김지홍(역). 경기: 경진
    Fairclough, N. (원 전은 2001에 출판) [2011]
  • 어린이의 교육과정 되기- 들뢰즈, 테 파라키와 교육과정에 대한 이 해.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Deleuze, Te WhariKi(氣) and curricular understandings]. 손유진,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이 진희, 임부연, 전가일, 한선아(공역). 서울: 창지사
    Sellers, M. (원전은 2013에 출판) [2018]
  •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Listening to Children]. 변 윤희,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임부연(역). 서울: 창지사
    Davies, B. (원전은 2014 에 출판) [2017]
  • 암묵적 영역. [TACIT DIMENSION]. 김정래(역). 서울: (주)박영사
    Polanyi, M. (원전은 2010에 출판) [2015]
  • 앎의 나무. [Der Baum der Erkenntnis]. 최호 영(역). 서울: 갈무리
    Maturana, H. R. Varela, F. J. (원전은 1984에 출판) [2007]
  • 앎과 삶
    이규호 서울: 좋은날 [2001]
  • 아름다움에 대한 유아의 인식
    권미혜 백지혜 한상경 유아교육학논집, 15(5), 467-490 [2011]
  • 아동정신건강
    김주아 채경선 서울: 창지사 [2007]
  • 싹트는 생명-들뢰즈의 차이와 반복[GERMINAL LIFE: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of Deleuze]. 이정우 역. 서울: 산해
    Pearson, K. A. (원전은 1999에 출판) [2005]
  •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김은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3]
  • 생태유아교육의 사상- 아이를 주체적 생명인으로 키우는 생태유아교육
    임재택 경기: 공동체 [2018]
  • 생태유아교육의 교육내용에 대한 뇌과학적 고찰
    임재택 장미연 생태유아교육 연구, 9(3), 81-108 [2010]
  • 생태유아교육기관 운영 매뉴얼
  • 생명해석학과 철학함- 하이데거 『형이상학의 근본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하이데거학회(편). 하이데거와 자연, 환경, 생명. (pp. 234-263)
    신승환 서울: 철학 과현실사 [2000]
  •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장회익 경기: 도서출판 한울 [2014]
  •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 베르그송의 인식론과 장자(莊子)의 인식론과의 방법론적 소 통
    손태호 시대와 철학. 24(2), 155-178 [2013]
  • 베르그손의 순수 기억의 존재 양태에 대하여
    주재형 철학, 129, 151-176 [2016]
  • 발달의 이론- 개념과 적용, 제5판. [Theories of development: concepts and applications, Fifth Edition]. 송길연, 유봉현(역). 서울: 시그마프레 스
    Crain, W. (원전은 2000에 출판) [2012]
  • 물질과 기억. [Mati re et m moire]. 최화(역). 서울: 자유문고
    Bergson, A. (원 전은 1896에 출판) [2017]
  • 몬테소리 교육법. [Il metodo della pedagogia scientifica applicato all'educazione infantile nelle case dei bambini]. 이상금(역). 서울: 敎文社
    Montessori, M. (원전은 1909년에 출판) [1999]
  • 마음의 생태학. [Steps to an ecology of mind]. 박대식(역). 서울: 책세상
    Bateson, G. (원전은 1972에 출판) [2006]
  • 마음과 학습- 교육학의 복잡계적 접 근. [ENGAGING MIND- CHANGING TEACHING IN COMPLEX TIMES SECOND EDITION]. 한숭희, 양은아(역). 경기: 교육과학사
    Davis, B. Luce-Kapler, R. Sumara, D. (원전은 2008년에 출 판) [2017]
  • 다문화사회에서 인간다움과 나다움- 보편성과 개별성 논쟁을 중심으로
    하일선 교육사상연구, 32(3), 187-205 [2018]
  • 니체의 '어린이의 정신'을 통해 본 놀이중심 유아교육의 방향 탐구
    류미향 유 아교육연구, 36(6), 537-558 [2016]
  • 누리과정에서의 수업 도입, 유아교육적 측면에서 정당한가?. 한국생태유 아교육연구소,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편). 누리과정, 아이와 교사를 행복하게 하 는가?. (pp. 37-60)
    김희연 경기: 공동체 [2018]
  • 뇌 발달 접근에서 본 유아교육의 방향
    김유미 유아교육연구, 26(4), 31-49 [2006]
  • 놀이 중심 교육의 토착화와 딜레마: 한국 유아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안준희 교 육인류학연구, 19(1), 73-107 [2016]
  • 노장사상의 무(無) 사유형식을 적용한 춤사위 개발 연구
    김명숙 이은정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71(4), 139-158 [2018]
  • 노장(老壯)의 생성론
    김경수 서울: 문사철 [2015]
  • 노자 『도덕경』의 유아교육적 의미
    임재택 조순영 유아교육연구, 31(5), 137-153 [2011]
  • 깊은 마음의 생태학
    김우창 경기: 김영사 [2014]
  • 굿맨 세계제작의 방법들
    김희정 철학사상 별책, 5(13), 1-126 [2005]
  • 구성주의와 자율성
    신승철 서울: 알렙 [2017]
  • 경기도교육청 (2018). 유치원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이해자료-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유치원 교육과정(2019.03). http://www.goe.go.kr/home/bbs/bbsDetail.do?menuId=100000000000275&bbs MasterId=BBSMSTR_000000030067&menuInit=12,1,2,0,0&bbsId=976869에서 2019년 5월 23일 인출.
    [2018]
  • 陳鼓應 (1991). 莊子今註今譯. 香港: 中華書局.
  • 莊子의 해체적 사유- 『莊子』 <內篇>의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정용선 한국 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莊子의 哲學治癒 性格에 관한 硏究
    이영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莊子哲學에서의 소통(通)의 논리: 『莊子』<내편>을 중심으로
    강신주 연세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莊子哲學에서의 自然과 人間에 관한 硏究
    김갑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1994]
  • 莊子 哲學의 실재관 연구- 심미적 성격을 중심으로
    이성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莊周 장자. [莊子]. 김학주(역)
    경기: 연암서가 [2010]
  • 小泉義之, 들뢰즈의 생명철학. [生命自然未來のために]. 이정우(역)
    서울: 동녘 (원전은 2000에 출판) [2003]
  • 中島隆愽 장자 닭이 되어 때를 알려라. [莊子: 鷄となって時を告げよ]. 조영렬 (역). 경기: (주)글항아리
    (원전은2009에 출판) [2010]
  • 『장자』의 大知論.
    권오향 동양철학연구, 68, 159-187 [2011]
  • 『장자』의 ‘성인’과 『장자』의 ‘지인’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
    정철민 동방학, 35, 173-197 [2016]
  • 『장자』에 나타난 無用之用의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탐 색.
    김은주 임홍남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4), 281-309 [2017]
  • 『장자』를 통해 본 마음과 교육.
    이성미 교육철학연구, 36(1), 73-98 [2014]
  • 『장자』‘나비 꿈[胡蝶夢]’ 우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물화(物化)’의 의미에 대한 근래의 해석들을 중심으로.
    박원재 공자학, 34, 45-77 [2018]
  • 『장자』
    곡본령 의 ‘明에’ 대한 고찰. 철학 사상 문화, 20, 57-91 [2015]
  • 『장자』
    전숙경 「내편」을 통해 본 의사소통에 대한 교육적 이해- 학습자의 전 환이 드러나는 대화편을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4(2), 79-103 [2009]
  • 『장자, 차이를 횡단하는 즐거운 모험』
    강신주 서울: (주)그린비출판사 [2007]
  • 『장자(莊子)』에 나타나는 ‘서발턴’(Subaltern) 인간형의 ‘해 체’(deconstruction)적 전략- 사회적 자아(Ego)를 넘어서 ‘생태적 자 기’(Ecological Self)로.
    양승권 민족연구, 71, 128-162 [2018]
  • 『장자(莊子)』: 혼돈(渾沌)으로의 전환과 독유(獨遊)의 世界.
    김상희 이화여자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莊子』의 글쓰기와 생태적 상상력.
    정선경 중국문화연구, 40, 1-28 [2018]
  • 『莊子』의 神明에 대한 고찰.
    이재봉 대동철학, 49, 139-162 [2009]
  • “장자 미학 사상”
    임태규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2013]
  • “언어 이전에 사물”
    박영희 의 교육적 의미 고찰. 교육사상연구, 31(3), 1-21 [2017]
  •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운다’에 대한 비판적 성찰: “세계- 내-존재”와 “세계-의-존재” 관점에서
    정선아 교육비평, 6(1), 5-21 [2016]
  • ‘물질적 전회’를 통해서 다시 본 벡의 제2근대성 이론
    홍찬숙 사회와이론, 30, 43-78 [2017]
  • The Transformation of Things : A Reanalysis of Chuang Tzu 's Butterfly Dream
    24 ( 1 ) , 107-122 . [1997]
  • Goodman (1978). Ways of WorldmaKi(氣)ng. Indianapolis: Hackett.
  • <장자>의 현대 교육적 해석
    김덕삼 비교교육연구, 17(3), 61-84 [2007]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 무엇을 고민해야 하는가?. 한국유아교 원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유아교육, pp. 49-58. 4월 15 일
    김지영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서울지역대학 9층 대강당 [2017]
  •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더 나은 오늘은 어떻게 가능한가-. [21 lessons for the 21st century]. 전병근(역). 파주: 김영사
    Harari, Y. N. (원전은 2018에 출판) [2018]
  • (빈 중심의 아름다움) 莊子의 심미적 실재관
    이성 경기: 한국학술정보(주) [2008]
  • (교육학적 기초가 되는) 인간에 대한 보편적인 앎. [Allgemeine Menschenkunde als Grundlage der p dagogik]. 최혜경(역). 서울: 밝은누리
    Steiner, R. (원전은 1993에 출판) [2007]
  • "비언어적 체험의 언어적 전달"이라는 역설로서의 교육: 장자와 키에르 케고르를 중심으로.
    엄태동 초등교육연구, 20(2), 27-5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