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로피를 응용한 바디아트 작품 제작 연구 = Body art Study Work Production on Entropy

김수빈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엔트로피를 응용한 바디아트 작품 제작 연구 = Body art Study Work Production on Entrop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다양성
  • 다의성
  • 바디 아트
  • 복잡성
  • 비정형
  • 비평
  • 엔트로피
  • 예술
  • 유용성
  • 정보
  • 질서와 무질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55 0

0.0%

' 엔트로피를 응용한 바디아트 작품 제작 연구 = Body art Study Work Production on Entropy' 의 참고문헌

  • 황종민 역, 현대미술 보이지않는 것을 보여준다
  • 현대패션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에 관한 연구: 2000년 이 후 컬렉션을 중심으로
    김정미 박성영 한국의류산업학회, 16(1), pp.12-25 [2014]
  • 현대미술의 매체환경 대응과 그 의미
    윤자정 현대미술학회. 15(2). pp.175-205 [2011]
  • 현대미술에 있어 트랜드화 현상과 다양성의 위기에 관하여
    심상용 현 대미술사학회, 21(1). pp.181-223 [2007]
  • 현대건축의 비정형 건축형태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재 김철규 대한건축학회지, 19(4), pp.101-108 [2003]
  • 현대 건축 공간에서 나타난 미장아빔적 표현 특성 - 장누벨의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김개천 윤득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 pp.315-325. [2015]
  • 헤테로피아적 장소연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중심 으로-
    공현진 양태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 pp.1-12 [2019]
  • 포스트모던시대 조형예술의 장소성과 환경
    이봉순 한국조형예술학회. 13. pp.30-47 [2008]
  • 팝아트와 동 시대 대중문화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이현주 한국메이크 업디자인학회, 5(2), pp.183-192 [2009]
  • 팝아트 이후 현대미술의 소통 가능성 : 아도르노와 보드리야 르의 시각에서 팝아트와 미니멀리즘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유현주 현대미술학회. 15. pp.175-210 [2011]
  • 칸딘스키와 몬드리안의 회화에서 감정과 이성
    조정옥 한국예술연구, 8, pp.183-220 [2013]
  • 초현실주의 회화에 나타난 은유에 관한 연구
    조성숙 전남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p.96 [2015]
  • 진중권 역, 「컴퓨터 예술의 탄생」
    가와노 히로시 서울: 휴머니 스트 [2008]
  • 조주연, 남선우, 성지은, 김 영범 역, 「게이트웨이 미술사」
  • 조르주 바타유의 비정형 개념을 통한 물의 디지털 이미 지 정형화 연구
    염동철 오태원 학국기초조형학회, 16(1), pp,329-339 [2015]
  • 전대호·전광수 역 “무질서의 과학–기술문명에 던지는엔 트로피의 경고”
    잭 호키키안 서울: 철학과현실사, pp.111-117 [2004]
  • 전 지구화 시대의 중국 현대미술과 비평: 우흥의 ‘실험적인 예 술’ vs 가오밍루의 ‘트랜스 내셔널 아방가르드’
    고동연 한국미술사학회 27, pp.69-99 [2011]
  • 임산, 조주현 역, 「한 권으로 읽는 현대미술」
    마이클 윌슨 서울:마로 니에북스 [2003]
  • 인지된 사용용이성과 인지된 유용성이 휴머노이 드(Humanoid) 로봇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근정 박성중 이희정 한국상품학회, 37(3), pp.1-9 [2019]
  • 이창희 역, 「엔트로피」
    제레미 레프킨 서울: 세종연구원 [2015]
  • 이원곤 역, 「테크노에틱 아트 새로운 의식, 리얼리 티, 예술의 창발을 향하여」
    로이 애스콧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02]
  • 이영욱 외2 역, 「실재의 귀환」
    핼 포스터 부산: 경성대학교 출 판부 [2003]
  • 이수영 역, 이우환 타자와의 만남
    질케 폰 베르스보르트-발라베 서 울: 도서출판 학고재 [2008]
  • 의미 네트워크를 활용한 바디아트 트렌드 분석 연구
    소황옥 이유림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 pp.133-150 [2019]
  • 윤승희 역, 「세계 100대 작품으로 만나는 현대미술 강의」
    캘리 그로비에 경기도: ㈜도서출판 아름다운사람들. p.173 [2017]
  • 윤난지 역, 「20세기 미술」
    노버트 린튼 서울 : 도서출판 애경 [2011]
  • 유안나 역, 「위대한 현대미술가들 A to Z」
    크리스토퍼 마스터스 서울: 시그마북스 [2015]
  • 위지은, 장수연, 하세용, 전수진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통한 텍스트 기반 커뮤니케이션에서의 감정 전달 연구
    김동환 이준환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17(1), pp.77-93 [2014]
  • 오용록 역, 「엔트로피와 예술」
    루돌프 아른하임 서울: 전파과학사 [2017]
  • 엔트로피와 변증법의 관계 나선형 방파제를 중심으로
    이재은 현대미술사연구. 26. pp.81-105 [2009]
  •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 이론을 통해 본 르 꼬르뷔 제 건축과 이론
    김성률 김준 유재우 대한건축학회, 24(11), pp.191-198 [2008]
  • 아트 메이크업 발상
    권태순 신원선 서울 : 훈민사 [2014]
  • 아르누보 이미지의 드레스 디자인 연구
    이정원 조규화 한국패션비즈니 스학회, 12(2). pp.42-58 [2008]
  • 신지은 역, 「복잡성 사고 입문」.
    에드가 모랭 에코리브르. [2012]
  • 신단주의 바디아트와 캐릭터 메이크업
    신단주 서울:크라운출판사 [2016]
  • 시뮬라시옹 개념에 의한 바디아트의 시각적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김경희 이유나 한국화장품미용학회, 1(1), pp.59-71 [2011]
  • 바디아트의 조형적인 이미지에 관한 연구
    김광숙 한국인체미용예술 학회2(1), pp.11-23 [2001]
  • 미술비평의 기능과 오늘날의 미술비평
    박일호 현대미술학회. (5). pp.291-320 [2001]
  • 리드 저, 임산 역 「예술의 의미」
    허버트 서울: 에코리브르. p.32 [2006]
  • 르네 마그리트 회화의 영향을 받은 포스터 일러스트레이션에 관 한 연구
    최정화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6, pp.393-404 [2007]
  • 로버트 스밋슨의 울트라모던 시공간 개념과 동시대적 의의
    김정현 현대미술사연구, 38, pp.7-32 [2015]
  • 들뢰즈의 ‘재현’과 ‘표현’개념으로 본 현대예술의 다양성 문제 –현대회화와 건축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권태일 동서철학연구, 40,pp.283-307 [2006]
  • 김호경 역, 「클릭, 서양미술사 동굴벽화에서 개 념미술까지」
    캐롤 스트릭랜드 서울: 예경 [2013]
  • 김정혜 역, 「콤플렉스: 미술을 소비하는 현대 건축의 스펙터클」
    핼 포스터 서울: 현실문화 [2014]
  • 김세진 역, 「발칙한 현대미술사」
    월 곰퍼츠 서울:(주)알에이치코 리아 [2014]
  • 김광현 역, 「정보와 커뮤니케이션」
    로베르 에스카르피 서울: 민 음사 [1995]
  • 김과우, 심희섭, 김호정 역, 「컨템 퍼러리 아트 북」
    데이비드 하지 샬럿 본햄 카너 서울 : 미술문화 [2014]
  • 『코끼리의 방』
    전영백 경기도: 두성북스 [2016]
  • 『장소 특정적 미술』
    권미원 서울:현실문화연구 [2013]
  • 『예술과 생태』
    박이문 서울: 미다스북스. p.44 [2010]
  • 「현대조각 읽기」
    윤난지 서울: 한길아트. pp.362-36 [2012]
  • 「현대미술의 기초개념」
    박찬국 서울: 재원 [1995]
  • 「현대미술의 결정적 순간들: 전시가 이즘ism을 만들다」
    전영백 경 기: 한길사 [2019]
  •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
    전혜숙 경기도:아카넷 [2016]
  •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인체 조각에 나타나는 비정형 신체 이미지 연구」
    강덕봉 한국기초조형학회, 19(5), pp.1-16 [2018]
  • 「클라우지우스가 들려주는 엔트로피 이야기」
    곽영직 서울: ㈜자음 과모음 [2005]
  • 「전환기 미술」
    오광수 서울: 열화당, p.116. [1975]
  • 「움베르토 에코」
    김운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6]
  • 「움베르토 에코」
    남운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6]
  • 「예술철학」
    박이문 서울: 미다스북스 [2016]
  • 「바타이유의 비정형(formless) : 비형상에 대한 현대미술이론 의 고찰과 한계」
    진휘연 미술사학연구회, 34, pp.103-123 [2010]
  • 「바디아트퍼포먼스와 메를로퐁티 몸 현상학의 상호작용 관계 연 구」
    김연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미디어아트-예술의 최전선」
    진중권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2]
  • 「무서운 깊이와 아름다운 표면」
    고충환 서울: 중앙M&B(랜덤하우 스중앙) [2006]
  • 「모마 하이라이트 350점의 뉴욕 현대미술관 컬렉션」
    뉴욕현대미술관 열화당 경기도:열화당 [2004]
  • 「디지털 영상과 가상공간」
    이원곤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4]
  • 「디지털 아트 디지털 페인팅」
    박천신 서울: ㈜한언 [2008]
  • 「네트로피 2.0」
    한지훈 서울: 행복에너지 [2012]
  • 「Sculpture from Junk」
    [1967]
  • 「Formless : A User ’ s Guid e」
    78 , pp.38-88 [1996]
  • 「Entropy and art : An essay on disorder and order」 ,
    [1971]
  • “환타지 메이크업에 나타난 미래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우나리야 장진미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1(4), pp.1-15 [2010]
  • “화장의 상징적 기능과 페이스페인팅”
    이연희 한국의류학회지, 32(1), pp.1608-1618 [2009]
  • “혼돈에서 질서로: 현대 금속조형디자인에서의 엔트로피 융합 형상 표현 연구”
    김송휘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현대회화의 비정형이론과 형상전이 연구”
    정숙영 홍익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현대예술에서 엔트로피의 문제 고찰”
    김정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현대 조각에 나타나는 신체 이미지의 비정형성 연구”
    강덕봉 홍익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현대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페이스페인팅의 시뮬라시옹 표 현기법과 페인팅의 재료특성 연구”
    박미정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0]
  • “피카소의 큐비즘 표현기법을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정연자 최지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1), pp.289-300 [2019]
  • “투명성을 응용한 바디아트 표현 연구”
    태동숙 성신여자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클림트의 회화 장식을 응용한 바디아트 연구”
    박정신 한국인체미용 예술학회, 8(1), pp.39-58 [2007]
  • “증강현실 퍼포먼스 디지털 공연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
    이재운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주체형성 장치로서의 가상공간과 커뮤니케이션 모델: 르페브 르와 푸코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호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2), pp.173-213 [2010]
  • “정보예술론의 기초와 미학: 정보이론의 미학적 한계”
    박은주 한국미 학예술학회, 6, pp.167-186 [1996]
  • “정보디자인의 잉여성적용 연구”
    오병근 홍석일 디자인학연구, 18(1), pp.49-58 [2005]
  • “정보 생성 예술로서의 바이오아트: 엔트로피와 노이 즈, 그리고 생물학적 변이의 예술적 활용에 관한 연구”
    신종천 윤준성 기초조형학회 연구, 19(1), pp.305-318 [2018]
  • “작품 생산과 수용의 엔트로피에 관한 연구”
    채정우 기초조형학회, 5(3), pp.35-45 [2004]
  • “인체 실루엣 기반 프로젝션 매핑 작품 제작 연구“
    김현주 문정혜 한국영상학회, 12(2), pp.85-99 [2014]
  • “오브제바디아트의 표현기법에 따른 심리적 반응 연구”
    김금란 조선 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엔트로피 법칙의 시각표현 연구 -디지털미디어 도구와 기초디 자인 요소 및 원리를 바탕으로-”
    윤영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아트퍼니처와 오브제의 상관관계 연구”
    강형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아이코노그래피 차원의 미니멀리즘 경향과 해체적 실험성 표 현 유형 연구”
    신석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 pp.33-50 [2009]
  • “아르누보 문양 이미지를 응용한 바디 아트 연구: 바디페인팅 작품 제작을 중심으로”
    최경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시각적 복잡성 연구 고찰Ⅰ-문헌고찰을 통한 문제점 도출-”
    윤성원 이광호 한국기초조형학회, 19(2), pp.343-356 [2018]
  • “시각예술의 형식분석에 있어서 엔트로피의 역할”
    허나영 한국조형 예술학회, 14, pp.103-122 [2008]
  • “시각 커뮤니케이션에서 엔트로피와 정보의 변용 가능성”
    안신영 홍 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수용미학과 비교문학 수용 문제를 중심으로“
    김정곤 프랑스문화예 술학회, 6, pp.53-67 [2002]
  • “비정형건축물 구현을 위한 디지털 디자인 프 로세스에 관한 연구”
    배경진 이상헌 전한종 대한건축학회, 29(1), pp.221-224 [2004]
  • “비가시적 정감의 조각적 표현 연구”
    조아라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9]
  • “복잡성 패러다임’으로의 :초대 에드가 모랭, 「복잡성 사고입 문」(1990)”
    김무경 한국문화사회학회, 14. pp.263-281 [2013]
  • “뱅크시 그라피티를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김혜균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7(3), pp.31-40 [2019]
  • “바디페인팅에 응용한 표현주의 회화기법 연구”
    민수영 최희자 기초조형학회, 11(6), pp.231∼237 [2010]
  • “바디아트에 나타난 메이크업의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에 관 한 연구”
    한명숙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물려받는 것 (傳承)'에 바탕을 둔 현대건축에 관한 연 구: 지엔니 바티모 (Gianni Vattimo) 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심길재 이동언 대한건축 학회, 23(7), pp.137-144 [2007]
  • “메이크업에 나타난 아방가르드 특성에 관한 연구: 2001년∼ 2005년 파리 컬렉션을 중심으로”
    이경은 박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로버트 스미슨의 엔트로피와 현대건축 비교 연구 –초기에 해체주의 성향을 보였던 현대 건축가를 중심으로-”
    이재인 한국문화공간건 축학회, 50, pp.121-129 [2015]
  • “로버트 스미슨(R. Smithson)의 “개간 프로젝트(Reclamation Project)”에 대한 연구“
    이재은 박사학위논문,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 “로버트 스미드슨의 장소특정적 예술에 나타난 엔트로피 성향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상철 중앙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도시디자인에서 역사 문화 생태적 맥락의 수용체계 및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
    최인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광고에 나타난 트롱프뢰유 기법을 활용한 바디페인 팅 연구”
    안성준 정재윤 기초조형학연구, 12(2), pp.283∼293 [2011]
  • “고대 이집트의 전통문양을 응용한 바디아트디자인 연구”
    박소정 한 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60, pp.101-110 [2019]
  • “경계와 관계의 엔트로피: 소피 토이버 아르프와 한나 회희의 다다”
    김성은 한국미학예술학회, 45, pp.145-178 [2015]
  • “2000년대 패션쇼에 나타난 메이크업 디자인의 이국적 이미지연구”
    정승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https://holtsmithsonfoundation.org/spiral-jetty
    [2019]
  • https://holtsmithsonfoundation.org/asphalt-rundown
    (검색일자: [2020]
  •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1949]
  • Sun Tunnels.
    15 ( 8 ) , pp . 32-37 . [1977]
  • Rubens and the “ Smell Of Stone ” : The Translation of the Antique and the Emulation of Michelangelo
    20 ( 3 ) , pp . 39-55 . [2013]
  • Review of Gary Shapiro , Archaeologies of Vision : Foucault and Nietzsche on Seeing and Saying
    6 ( 1 ) , pp.1-14 . [2007]
  • RecentContributions to the mathematical theory ofCommunication , ETC : 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
    10 ( 4 ) , pp.276-277 . [1953]
  • From Chaos to Wholeness
    54 ( 2 ) , pp.117-120 [1996]
  • Entropy as Value-Theory in the Arts
    32 ( 2 ) , pp.268-271 [1973]
  • Entropy and Stability in Painting : An information Approach to the Mechanisms of artistic Creativity.
    35 ( 2 ) , pp.197 [2002]
  • Art since 1940 : Strategies of Being
    [2000]
  • Art , Therefore Entropy
    27 ( 3 ) [1994]
  • 5명 「경계를 넘는 공연예술 – 상호매체성과 새로운 지각 의 파노라마」
    남상식 경기도: 태학사 [2017]
  • 20세기 후반 미국미술에 나타난 건축적 조각 연구: 로버트 스 미슨과 낸시 홀트를 중심으로
    홍임실 미술사문화비평학회, 1, pp.121-14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