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時代 租稅制度와 儒學精神

변용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朝鮮時代 租稅制度와 儒學精神'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儒學精神
  • 租稅制度
  • 租稅基本思想
  • 租稅改編方案
  • 經世論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 0

0.0%

' 朝鮮時代 租稅制度와 儒學精神' 의 참고문헌

  • 한국철학사전편찬위원회,『한국철학사전』
    동방의 빛 [2013]
  • 한국실학학회,『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실학사상』
    학자원 [2018]
  • 조강 진종의, 『중국토지제도사』
    대광문화사 [1993]
  • 재단법인 실시학사,『반계 유형원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사람의 무늬 [2013]
  • 이병도, 『한국사』
    을유문화사 [1959]
  • 이 이,『율곡의 상소』
    홍익출판사 [2019]
  • 에이치, 『논어와 주판』
    시부사와 매경출판사 [2019]
  • 솔,『회계는 어떻게 역사를 지배해왔는가』
    제이컵 메멘토 [2016]
  • 성균관, 『유교대사전』
    박영사 [1990]
  •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화
    동양고전DB
  • 미래한국재단,『합리적인 조세부과와 조세의 공평성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현대 에드컴 [2012]
  • 농업은행조사부 譯, 『國譯 磻溪隨錄(田制篇)』
    청구출판사 [1956]
  • 崔秉喆譯, 『明夷待訪錄』
    황종희 홍익출판사 [1999]
  • 『栗谷全書』
  • 『論語』
  • 『한국조세제도의 변천과정』
    기중서 김정기 한국행정사학지 제24호, pp.193-219 [2009]
  • 『한국사상과 경제윤리』
    조남국 교육과학사 [1995]
  • 『한국근대농업사연구』
    김용섭 일조각 [1988]
  • 『한국경제사』
    최호진 박영사 [1973]
  • 『한국 실학사상 대요』
    송주영 박영사 [1982]
  • 『한국 근대조세사상 연구』
    강인애 조세통람사 [1997]
  • 『통일제국을 위한 비판철학자 순자(荀子)』
    윤무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경세론(經世論)』
    김문준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 학논집 제62집, , pp.157-166 [2019]
  • 『조세정책론』
    전형준 문우사 [2018]
  • 『조세의 중립과 공평을 추구한 황희의 위민(爲民) 사상』, 조세연구 제1권 제3집, , pp.7-34.윤용출, 『15-16세기의 ?役 制』
    오기수 釜大 史學 권10, 1986, pp.26-27 [2014]
  • 『조세. 국민부담률과 조세체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안종석 최준욱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pp.53 [2013]
  • 『조선후기 경상도 지역 양반층의 토지소유규모와 지가의 변동』
    김희호 이정수 역사와 경계 제77집, 부산경남 사학회, , pp.103-132 [2010]
  • 『조선후기 星湖學派의 학풍 연구』
    원재린 혜안 [2003]
  • 『조선조 위민정치와 복지사상의 탐색』, 한국 동양 정치사상사 학회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권정호 pp.66-70 [2014]
  • 『조선전기의 田稅 減免에 관한 硏究』
    오기수 세무학연구 제17호 [2001]
  • 『조선을 망친 대동법 』
    오기수 보림에스앤피 [2019]
  • 『조선시대 호남의 회계문화』
    전성호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단- 다할 미디어 [2007]
  • 『조선시대 조세제도와 사상에 관한 연구』
    신사순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pp.45-94 [2004]
  • 『조선시대 조세법』
    오기수 어울림 [2012]
  • 『조선시대 전세(田稅)의 공평에 관한 연구』
    오기수 세무학연구 제27권 제1호, , pp.135-166 [2010]
  • 『조선시대 재무제도 연구』
    강제훈 한국 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6 [2005]
  • 『조선시대 연구』
    강제훈 한국 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pp.1-15 [2005]
  • 『조선시대 양대 조세개혁인 공법(貢法)과 대동법의 비교』
    오기수 세무학연구 제31권 제2호, , pp.105-170 [2014]
  • 『조선시대 공물분정 방식의 변화와 대동의 語義』
    이정철 한국사학보 제34호 [2009]
  • 『조선시대 각 도별 인구 및 전답과 조세부담액 분석』
    오기수 세무학연구 제27권 제3호, , pp.45-261 [2010]
  • 『조선시대 租稅와 稅錢, 稅金 용어의 역사적 고찰』
    오기수 한국세무학회 제29권 제2호, , pp.201-235 [2012]
  • 『조선 후기 실학의 비조 유형원』
    안재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 『조선 전기 8결작공제에 관한 연구』
    박도식 한국사연구 제89권, , pp.51 [1995]
  • 『조선 왕조 재정사 연구』
    김옥근 일조각 [1984]
  • 『제도는 어떻게 내 삶을 바꾸는가』
    박봉규 이데아시티 [2017]
  • 『정선 목민심서』
    정약용 창비 [2018]
  • 『이유태의 성리학과 경세 사상』
    황의동 기호학파의 철학 사상, ,pp.480-512 [1991]
  • 『이상 사회 구현을 위한 정조의 경전 해석학』
    김유곤 유학사상 문화연구 65, , pp.107-128 [2016]
  • 『오늘날 세법적 관점에서 본 대동법의 재해석』
    김영심 법학연구 제23권 제1 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pp.153-177 [2013]
  • 『예기집설대전』
    정병섭 「방기」, 학고방 [2016]
  • 『언제나 민생을 염려하노니』
    이정철 역사비평사 [2013]
  • 『실학자 정약용의 조세공평사상의 한계성』
    오기수 조세연구 제17권 제3집,한국조세연구포럼. , pp.153-194 [2017]
  • 『세종 공법』
    오기수 조율 [2016]
  • 『법인세율이 외국인 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경제연구원 [2019]
  • 『방촌(?村) 황희(黃喜)의 경세사상과 그 의의』
    이영자 동서철학연구 제65호, , pp.255-258 [2012]
  • 『목민심서에 나타난 정약용의 민의수렴과 그 방안들』
    명성준 국가정책연구 제21권 제2호, pp.49
  • 『맹자로 문리나기』
    임옥균 학고방 [2019]
  • 『맹자강설』
    이기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6]
  • 『대동법의 실시』
    한영국 〈한국사〉 13, 국사편찬위원회, , pp.212 [1978]
  • 『대동법의 비합리적 조세 요인과 경제에 미친 악영향』
    오기수 조세연구 제18권 제4집, , pp.201-234 [2018]
  • 『대동법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공공성 관념과 현실』
    이정철 역사와 비평사,pp.104-127 [2011]
  • 『대동법 조선최고의 개혁』
    이정철 역사비평사 [2019]
  • 『다산 정약용-유학과 서학의 창조적 종합자-』
    금장태 살림출판사 [2010]
  • 『논어강설』
    이기동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5]
  • 『김장생의 경세사상』
    최근덕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기호학파의 철학사상, , pp.280-307 [1995]
  • 『김육(金堉)의 思想과 그 역사적 位置』
    이남복 史學志 14, , pp.99 [1980]
  • 『국세통계』
    국세청 [2017]
  • 『공법(貢法)과 대동법의 역사성과 한계성』
    오기수 세무와 회계저널 제16권제3호, , pp.191-215 [2015]
  • 『경제학사전』
  • 『경세유표 Ⅰ,Ⅱ,Ⅲ』
    정약용 한길사 [2015]
  • 『개혁군주 정조(正祖)와 다산 정약용의 백성을 위한 나라 만들기』
    김준혁 다 산과 현대(45),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 pp.313-322 [2012]
  • 『顯宗改修實錄』
  • 『顯宗實錄』
  • 『韓國史通論』
    변태섭 삼영사 [1989]
  • 『韓國 中世 儒敎政治思想史論』
    김준석 지식산업사 [2005]
  • 『金堉의 경제사상』
    이헌창 한국인물사 연구(6), 한국인물사연구회, , pp.98-101 [2006]
  • 『迂齊集』
  • 『茶山 행정사상 중심의 위민정신 고취방안』
    문정호 자치공론 , , p34 [2000]
  • 『英祖實錄』
  • 『與猶堂全書』
  • 『肅宗實錄』
  • 『聖學輯要』
  • 『經營의 관점에서 본 栗谷의 經世思想』
    김혁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pp.48-57 [2015]
  • 『經國大典』 「戶典」
  • 『經世遺表』
  • 『租稅의 公平과 效率-주요국의 土地稅制-』
    최명근 세경사 [1984]
  • 『租稅根本論』
    차병권 박영사 [1980]
  • 『磻溪隨錄』
  • 『睿宗實錄』
  • 『燕山君日記』
  • 『潛谷遺稿』 『西厓先生文集』
  • 『潛谷 金堉의 실용적 經世思想 硏究』
    김준태 유교사상문화연구, ,pp.188-192 [2008]
  • 『滄州先生遺稿』
  • 『湖西大同節目』
  • 『湖南에 실시된 大同法(三)』
    한영국 역사학보 21, , pp.85-86 [1963]
  • 『浦渚集』
  • 『洪可臣 經世思想 硏究』
    복대형 한국한문고전학회, 漢文古典硏究 제33輯,, pp.43-74 [2016]
  • 『沙溪愼獨齊全書』
  • 『栗谷의 經世思想에 나타난 實學의 意味』
    안재순 栗谷學硏究 제3卷, , pp.309-311 [1997]
  • 『栗谷哲學硏究』
    황희동 경문사 [1987]
  • 『柳馨遠의 磻溪隨錄』
    정대복 일조각 [1978]
  • 『柳成龍의 經學觀과 經世思想의 特徵』
    최종호 泰東古典硏究 제29輯, , pp.27-55 [2012]
  • 『李珥의 社會改革思想 硏究』
    이동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07-112 [1995]
  • 『朱子와 栗谷의. 經世論』
    이상익 율곡사상연구 제11집, , pp.44-62 [2005]
  • 『朱子大全』
  • 『朝鮮前期 貢納制 硏究』
    박도식 혜안 [2011]
  • 『朝鮮初期 儒學思想에 관한 硏究』
    김홍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pp.139-198 [1993]
  • 『新編 國譯 栗谷遺稿』
  • 『承政院日記』
  • 『心山 金昌淑과 儒學精神』
    송항룡 大同文化硏究院 제19집, , pp.326-327 [1985]
  • 『實學의 展開와 社會經濟的 認識』
    조기준 韓國思想大系Ⅱ,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 pp.230 [1976]
  • 『宣祖實錄』
  • 『宋尤庵의 經世思想연구』
    조남욱 유학연구 제17집,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논문집, , pp.67-93 [2008]
  • 『孟子精義』
  • 『孟子』
  • 『孝宗實錄』
  • 『大學衍義』
  • 『大學』
  • 『周禮』
  • 『周易傳義』
  • 『南冥 曺植의 現實認識과 經世思想』
    권인호 유학연구 제11집,, pp.769-103 [2001]
  • 『全南道大同事目』
  • 『光海君日記』
  • 『儒敎大事典』
  • 『中庸』
  • 『世宗實錄』
  • 『NEW 경제용어사전』
  • 『30년 조세 정책 전문가가 보는 세금의 모든 것』
    김낙회 21세기북스 [2019]
  • 『17세기 경상도지역 공물수취체제와 영남대동법의 실시』
    문광균 한국사보,(46), 고려사학회, , pp.49 [2012]
  • 『16-17세기의 사대동에 대한 일고찰』
    김덕진 전남사학 제10권, , pp.46 [1996]
  • 「외국인투지기업에 대한 조세감면제도 개편방안」
    안종석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pp37. 참조 [2015]
  • 「국제조세회피(BEPS) 프로젝트의 특징과 정책대응」
    안종석 재정브리프 통권제35호 , pp.2-19 [2016]
  • 「국제적 조세규범 변화와 우리의 대응전략: BEPS 프로잭트를 중심으로」
    안종석 조세 재정브리프 통권 제25호, , pp.2-18 [2016]
  • ≪星湖僿說≫
  • “공공성의 개념, 위기, 활성화 조건”
    임의영 정부학 연구 제9권 제1호, ,pp.23-50 [2003]
  • Revenue Statistics
    [2018]
  • B 팔레, 김범 역,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1-유형원과 조선후 기』
    제임스 산처럼 [2008]
  • 6명,『저성장 시대의 조세정책 방향에 대한 연구』
    곽태원 한국경제연구원 [2006]
  • 4인,『성호 이익 연구』
    최석기 재단법인 실시학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사람의 무늬 [2012]
  • 1인 解譯, 『周禮』,「제국건설의 행정 직제와 직무 지침서」, 小司徒篇
    심재희 동양학 총서 47편 [2002]
  • 13인,『丁茶山硏究의 現況』
    한우근 민음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