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관현악의 음률체계 정립을 위한 연구 : 창작곡대금의 활용을 중심으로

신주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국악관현악의 음률체계 정립을 위한 연구 : 창작곡대금의 활용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국악관현악
  • 대금
  • 조율악기
  • 창작곡대금
  • 평균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2 0

0.0%

' 국악관현악의 음률체계 정립을 위한 연구 : 창작곡대금의 활용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준ㆍ한신갑ㆍ장유정ㆍ권도희, 「한국 근대적 음악계의 형성과 분화」, 『문화와 사회』, 10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 한국근현대사학회, 『한국근대사 강의』
    한울아카데미 [1998]
  • 이진아, 「국악관현악 악기배치법의 역사적 전개양상」,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상은, 「儒家의 禮樂思想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이상만. “서양음악의 유입과 한국음악
    『교수아카데미총서』3 [1993]
  • 이상만, 「근대 외래음악의 유입과 한국적 수용」, 『국악원논문집』, 제11집
    서울: 국립국악원 [1999]
  • 오교선, 「음고측정에 의한 긴염불 음정연구: 대금선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신금선, 「이화음악 100년을 돌아보며」
    『이화음악』, 제10집
  • 노동은,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새틀짜기와 새틀깨기 그리고 새틀세우기」, 『한국 음악사학보』제16집
    한국음악사학회 [1996]
  • 국사편찬위원회, 韓國史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1990]
  • 국립민속박물관,『한국민속예술사전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016]
  • 국립국악원, 『국악전집9』
    서울: 國立國樂院 [1981]
  • 국립국악원, 『국악기 연구보고서』
    서울: 국립국악원 [2008]
  • 국립국악원, 『개량악기 조사보고서』
    서울: 국립국악원 [2017]
  • 개량 가야금의 연주 현황 및 전망에 관한 연구
    한향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3]
  • 國樂總論
    장사훈 서울: 正音社 [1978]
  • 『한국악기』
    송혜진 열화당 [2001]
  • 『한국, 한국인, 한국음악』
    이성천 풍남 [1997]
  • 『한국 가요사』
    박찬호 미지북스 [2009]
  • 『한국 가곡』
    김점덕 서울: 과학사 [1989]
  • 『평조회상ㆍ영산회상ㆍ관악영산회상』
    안희봉 서울: 은하출판사 [2013]
  • 『청소년을 위한 한국음악사(양악편)』
    민경찬 서울: 두리미디어 [2006]
  • 『종묘제례악: 그 역사와 사상』
    박성연 서울: 문사철 [2013]
  • 『조선시대 악론선집』
    전지영 서울: 민속원 [2008]
  • 『조선 세종대 조회아악 연구』
    정화순 서울: 민속원 [2006]
  • 『음악현상학』
    서우석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 『우리 양악 100년』
    김춘미 민경찬 이강숙 서울: 현암사 [2002]
  •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經史篇○論史類論史[1088] 鬱陵島事實 證說, 이규경(李圭景), 년도 미상
  • 『알기 쉬운 국악개론』
  • 『성호전집(星湖全集)』
    성호전집 제7권 해동악부(海東樂府)〔大晟樂大晟樂宋徽宗 時魏津所作〕, 이익(李瀷), ∼2016 [2007]
  • 『새로운 한국음악사』
    전인평 서울: 현대음악출판사 [2000]
  •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
    교감표점 社稷署儀軌卷之二儀節親祭儀, 사직서 (社稷署), 1866
  • 『비단길 음악과 한국음악』
    전인평 서울: 중앙대학교출판사 [1996]
  • 『무명자집(無名子集)』
    「문묘제례악」, 무명자집 시고 제2책 시(詩) 반중잡영 220수 〔泮中雜詠二百二十首〕, 윤기(尹?), ∼2014 [2013]
  • 『국악통론』
    서한범 서울: 태림출판사 [1986]
  • 『국악사』
    이성천 서울: 국민음악연구회 [1976]
  • 『국악대사전』
    장사훈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
  • 『국악개론』
    장사훈 한만영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한국고전번역원, 김종서(金宗瑞), 1452
  • 『고려사 악지: 아악ㆍ당악ㆍ속악』
    강현정 신현규 황병홍 서울: 學古房 [1986]
  •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교감표점 景慕宮儀軌卷之四今制當?卽祚後追上徽號 時儀軌【丙申】, 경모궁(景慕宮), 1784
  • 『강한집(江漢集)』
    교감표점 江漢集卷十四神道碑吏曹判書、兼藝文館大提學, 蘭谿 朴公神道碑銘【幷序】, 황경원(黃景源), 1790
  • 『韓國雅樂史硏究』
    송혜진 서울: 민속원 [2000]
  • 『樂學軌範』
    국립국악원 전통예술진흥회, 서울: 국립국악원 [1989]
  • 『增補版韓國洋樂百年史』
  • 「협주악기로서의 거문고 활용 연구 ?독주와 관현악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최덕렬 예술전문사 학위논문 [2015]
  • 「현대 한국 전통음악에 나타난 정체성과 권력 관계 연구」
    정우정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해금의 악기학적 연구」
    강정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한국음악의 고유성에 관한 일 고찰-한국과 중국의 전통악기가 지닌 연주 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송혜나 『한국문화연구』17권, 이화여자대학교, 한국 문화연구원 [2009]
  • 「한국과 일본의 아악 비교 연구 : ‘文廟祭禮樂’과 ‘外來樂舞’를 중심으로』, 추계예술대학교
    최준일 석사학위논문 [2010]
  • 「한국ㆍ중국ㆍ일본의 서양음악 수용」
    신대철 『한국음악연구』38권, 한국국악 학회 [2005]
  • 「한국 서양기악음악 수용사 : ~1930년을 중심으로」
    강윤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991]
  • 「한국 국악관현악단의 악기편성과 배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이창훈 박사학위 논문 [2016]
  • 「창작국악관현악의 작곡기법 변천연구: 시대별 음악양식적 특성을 중심으로」
    계성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창작국악관현악의 거문고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김선효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창작국악관현악에 소금 선율 변천 연구」
    김종욱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종묘제례악의 악보 및 음악변천에 관한 연구」
    양경숙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종묘제례악의 대금선율과 악장선율 비교 : 희문?기명?귀인을 중심으로」
    김응호 수원대학교, 음악학과, 박사학위논문 [2002]
  • 「조선후기 중국악기의 수용과 正樂문화의 성격 ?양금ㆍ생황ㆍ칠현금을 중심으로-」
    송혜진 『동양예술』, 제5호, 한국동양예술학회 [2002]
  • 「조선후기 민간악대 전승과 활동」
    김명원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 「조선조(朝鮮朝) ‘법악(法樂)’ 연구」
    송현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조선시대 필률차비의 활동양상 : 관(官)과 민(民)의 음악적 징검다리」
    진윤경 『콘텐츠 문화』, 7권 7호, 문화예술콘텐츠학회 [2015]
  • 「조선시대 궁중의례의 예악」
    송지원 『한국사 시민강좌』, 제45집, 일조각 편집부 [2009]
  • 「조선 말~일제강점기 궁중정재의 전승과 재현」
    임미선 『조선후기 공연문화와 음악』, 서울: 민속원 [2012]
  • 「정악대금 연구: 시대별 변천을 중심으로」
    성미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전통합주와 국악관현악에서 해금의 전개양상 고찰」
    권새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5]
  • 「전통음악의 시대적 변화와 국악기개량」
    백대웅 『한국음악사학보』제16집, 한국 음악사학회 [1996]
  • 「전통음악의 랑그와 빠홀」
    백대웅 서울: 통나무 [2003]
  • 「일제 강점기 서양 악기의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김나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 이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음향악으로 바라본 북한의 악기개량_ 단소와 저대를 중심으로」
    정환희 『북한 악기 개량 연구』, 서울: 국립국악원 [2014]
  • 「음악 교육 개혁론 10개조」
    나운영 『수상집 1집: 주제와 변주』, 민중서관 [1964]
  • 「역사ㆍ문화적 맥락과 연계한 대금 지도 방안 연구」
    전구슬 『한국음악문화연구』, 제6집, 한국음악문화학회 [2015]
  • 「악학궤범(樂學軌範) 악율론(樂律論)의 역학적 분석- 황종을 중심으로」
    조희영 『민족문화연구』, Vol.74 No-,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2017]
  • 「서울시국악관현악단 50년사」
    임혜정 서울: 서울특별시 세종문화회관 [2015]
  • 「새로운 국악기의 조율방안 모색?유율타악기를 중심으로?」
    손태룡 『음악학』 7권, 한국음악학학회 [2000]
  • 「모방과 창조의 역학 - 국악관현악단 45년의 전개양상」
    박미경 『음악과 문화』 23권, 세계음악학회 [2010]
  • 「대금의 연원」
    이상규 『동양음악』, 20,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1998]
  • 「대금연주의 컴퓨터 분석을 통한 미디연주에서의 재현에 관한 연구」
    조희영 이화 여자대학교 실용음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대금산조의 음조직과 시김새에 관한 연구」
    안성우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대금과 플롯의 음색 비교 분석:사운드 스펙트럼을 중심으로」
    이주연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대금 창작곡의 특수주법 연구」
    김정승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대금 창작곡을 위한 연주법 연구」
    김정승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대금 제작법에 관한 연구: 정악대금을 중심으로」
    서형원 추계예술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대금 개량 방안에 관한 연구」
    강누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남과 북의 악기 개량」
    서인화 『동양음악』제30권,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2008]
  • 「남ㆍ북한 개량국악기 연구 : 현악기를 중심으로」
    이상미 용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 「근대시기 전통음악 장르용어에 관한 연구」
    김수현 『한국음악사학보』제49집, 한국음악사학회 [2012]
  • 「근대 정악의 전개와 인천의 음악인들」
    임혜정 『인천학연구』, 21,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 「국악의 현대화 사례를 통한 대중화 방안 연구」
    임선애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국악기개량 및 그 논의의 현황과 이후 전망」
    이소영 『한국음악사학보』, 제16집, 한국음악사학회 [1996]
  • 「국악기 개량의 관점」
    백대웅 『한국음악사학보』제15집, 한국음악사학회 [1995]
  • 「국악관현악의 현황과 전망」
    임진옥 『한국전통음악학』, 제8호, 한국전통음악학회 [2007]
  • 「국악관현악의 악현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
    성기영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국악관현악단의 악기편성 변화요인 연구: 국립국악관현악단을 중심으로」
    김석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국악관현악 지휘의 도입과 시대적 변천과정 연구」
    박호성 『한국전통음악학』 제2호, 한국전통음악학회 [2001]
  • 「국악관현악 지휘에 관한 역사적 고찰」
    박호성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국악관현악 수용에 따른 음률감의 변화와 그 대응」
    김종미 성균관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0]
  • 「국악가상악기의 개발과 연구: 대금 음원 제작을 중심으로」
    장민호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국악 연주단체의 연주경향 분석연구」
    이창신 『동양예술』, 10권 10호, 한국동양 예술학회 [2005]
  • 「국악 비평의 역사」
    전지영 서울: 북코리아 [2008]
  • 「국악 관현악에서 가야금의 수용 양상에 관한 연구」
    하가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 「국립국악원 제작 PC용 音高分析프로그램 높이재기 1.0을 이용한 正樂大? 獨奏曲의 音高및 搖聲分析- 綠星金星振의 獨奏를 中心으로-」
    김영운 『국악원논문집』제12집, 서울: 국립국악원 [2000]
  •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연주형태분석: 지휘자를 중심으로」
    김현민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9]
  • 「국공립 국악관현악단 편성의 통시적 고찰-서울 소재 악단을 중심으로」
    설보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개량대금의 현황 및 문제점」
    김상연 『동양음악』제42집, 서울대학교 동양음악 연구소 [2017]
  • 「개량대금의 구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황경호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개량대금의 구조 및 연주법 비교연구: 임재원, 이용구, 북한 개량대금을 중심으로」
    김종욱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개량대금과 플루트 비교 연구: 악기의 구조 및 연주법을 중심으로」
    봉용섭 추계 예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강준일의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의 조화 연구 : <피아노를 위한 봄 1ㆍ2> 중심으로」
    송윤영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餘音(Ambience) 미학 연구 ?근대 음 체계와의 충돌을 중심으로-』, 성균관 대학교
    이우영 석사학위논문 [2017]
  • 「韓國傳統音樂樂式의 美學思想硏究」
    김성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南北韓의 大?比較硏究」
    황인환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근대 외래음악의 유입과 한국적 수용”에 대한 논평」
    윤중강 『국악원논문집』, 제11집, 서울: 국립국악원 [1999]
  • 「“근대 외래음악의 유입과 한국적 수용”에 대한 논평」
    이인원 『국악원논문집』, 제11집, 서울: 국립국악원 [1999]
  • 「‘청’이 대금 음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효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조선시대 성균관의 악교(樂敎) 양상”
    정일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삼현육각의 향피리 선율 연구: 지역별 분석 비교”
    김세경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