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팅계약에 관한 연구

반도헌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컨설팅계약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경영지도사
  • 서비스제공계약
  • 신인의무
  • 정보제공의무
  • 혼합계약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2 0

0.0%

' 컨설팅계약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컨설팅협회, “경영컨설팅 서비스 표준화에 관한 연구”
    산업자원부(기술표준원) [2006]
  • 편집대표/조용호 집필, 「주석민법 (채권각칙) (1)」
    박준서 한국사법행정학회 [1999]
  • 편집대표, 「주석민법/채권각칙(4)」
    김용담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 편집대표, 「민법주해 XIII 채권(6)」
    곽윤직 박영사 [1997]
  • 편집대표 , 「민법주해 XⅥ/ 채권(9)」
    곽윤직 박영사 [1997]
  • 채권총론
    이은영 박영사 [2009]
  • 전원도, “신탁법상 수탁자의 책임에 관한 고찰-신인의무(fiduciary duty)를 중심으로 -”
    「일감부동산법학」, 제16호 [2018]
  • 일본 민법(채권편) 개정검토위원회 編, 「일본 민법 채권법 개정의 기본방침」
    법 무부 [2009]
  • 이정표, 「중국통일계약법」
    한울아카데미 [2002]
  • 이 정, 「파견과 도급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한 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법문 사 [2014]
  • 연세대학교 창조경영센터 지음, 「대한민국 핵심산업의 창조경영전략」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9]
  • 신종계약의 입법방향
    김동훈 「민사법학」, 18호 [2000]
  • 소재선, “공인회계사의 민사책임”, 「민사법학」, 22호
    한국민사법학회 [2002]
  • 백옥선/이상윤, 「국가자격제도에 관한 연구Ⅱ」
    한국법제연구원 [2019]
  • 백옥선, 「국가자격제도에 관한 법제의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8]
  • 대표집필, 「민법판례해설 Ⅲ/채권총론」
    김욱곤 경세원 [1995]
  • 다86000 판결에 대한 평석-”
    「재산법연구」, 제27권 제3호 [2011]
  • 남궁 술, “법규범의 발전과 판례-프랑스 민법상 안전배려의무와 정보제공의무의 발 전에 있어서 판례의 역할을 중심으로”
    「민사법학」, 제28호 [2005]
  • 권 철(譯), 「일본민법전」
    법무부 [2011]
  • 고영선 김두얼 윤경수 이시욱 정완교, “전문자격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KDI [2009]
  • 고영선 김두얼 윤경수 이시욱 정완교, “전문자격사 규제개혁의 필요성과 방향”
    KDI 포커스(통권4호) [2010]
  • 末川博, 「계약법」, 법경출판사
    (법률문화편찬회 譯) [2009]
  • 後藤卷則 , 情報提供義務 ” , Jurist 增刊新·法律學の爭点シリ ? ス1
  • 川井建외 1인, 專門家責任訴訟法
    靑林書院 [2004]
  • 專門的職業の責任 , 判例times , 1983.2
  • 專門家の民事責任 , 專門家硏究會編
  • 專門家の民事責任 ( 1 ) , 問題の提起
    NBL No . 539 , 1994.2.15 .
  • 千葉大學法學論集3卷1 ?
    [1988]
  • 典型契約論 ( 3 ) , 法學協會雜誌 , 第111 卷
    [1994]
  • 典型契約と性質決定 , 有斐閣
    [1997]
  • 『채권각론(계약법)』
    김형배 박영사 [2001]
  • 「현대회사법론」
    권기범 삼영사 [2017]
  • 「한국컨설팅 시장의 이론과 실제(Ⅰ)」
    나도성 한성대 출판부 [2015]
  • 「한국민법론(민법총칙)」
    이영준 박영사 [2004]
  • 「컨설팅 프로세스」
    설증웅 조민호 새로운 제안 [2007]
  • 「컨설팅 프랙티스 」
    설증웅 조민호 새로운 제안 [2006]
  • 「컨설팅 절대 받지 마라」
    유정식 거름출판 [2007]
  • 「컨설팅 입문 」
    설증웅 조민호 새로운 제안 [2006]
  • 「채권총론」
    김상용 법문사 [2004]
  • 「채권법각론」
    장재현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6]
  • 「채권각론」
    곽윤직 박영사 [2011]
  • 「채권각론」
    김상용 화산미디어 [2009]
  • 「채권각론」
    김주수 삼영사 [1997]
  • 「채권각론」
    김증한 김학동 박영사 [2006]
  • 「채권각론」
    이은영 박영사 [2007]
  • 「채권각론 (민법강의 Ⅳ)」
    김주수 삼영사 [1997]
  • 「직업선택의 자유와 면허제도」
    이승우 세창출판사 [2002]
  • 「주석실무 중국계약법총람」
    이규철 도서출판 아진 [2006]
  • 「주석민법」
    장재현 정림사 [2010]
  • 「일본 채권법 개정의 기본방침」
    법무부, 일본민법(채권편) 개정검토위원회編 [2009]
  • 「신탁법」
    이중기 삼우사 [2007]
  • 「상법학개론」
    이기수 최병규 박영사 [2010]
  • 「상법강의(상)」
    정찬형 박영사 [2010]
  • 「상법(상)」
    이범찬 최준선 삼영사 [2009]
  • 「비교계약법」
    김상용 법영사 [2002]
  • 「부동산컨설팅의 이해」
  • 「변호사책임론」
    김천수 박영규 엄동섭 오종근 정태윤 한림과학원총서 55, 도서출 판 소화 [1998]
  • 「법조윤리」
    박휴상 피데스 [2010]
  • 「민법학의 기본문제」
    김욱곤 삼지원 [2005]
  • 「민법학강의」
    김형배 6판, 신조사 [2007]
  • 「민법학강의」
    지원림 홍문사, 제17판 [2020]
  • 「민법원론」
    지원림 홍문사, 제2판 [2019]
  • 「민법개론」
    김주수 삼영사 [1998]
  • 「민법강의」
    김준호 법문사 [2009]
  • 「문제 해결사」
    유정식 지형 [2011]
  • 「디지털정보계약법」
    오병철 법문사 [2005]
  • 「독립 컨설턴트를 꿈궈라」
    이의준 이희동 새로운 제안 [2011]
  • 「도전! 컨설턴트」
    이규환 한송 [1999]
  • 「기술이전 계약론」
    윤선희 조용순 법문사 [2013]
  • 「글로벌 시대의 계약법-국제거래와 민법이론」
    박영복 집문당 [2005]
  • 「계약법의 현대적 과제」
    장재현 경북대 출판부 [2007]
  • 「계약법의 주요문제」
    김동훈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0]
  • 「계약법」
    김준호 법문사 [2020]
  • 「계약법」
    안춘수 동방문화사 [2018]
  • 「계약법」
    김재형 양창수 박영사 [2012]
  • 「감사책임법」
    이준섭 법문사 [2006]
  • 「International Professional Practices Framenwork(IPPF)」(사단법인 한국감사협회 譯, 「직무수행방안」
    The Institute of Internal Auditors Global [2017]
  • 「Flawless Consulting」, (홍성완 譯, 「완벽한 컨설팅」
    Peter Block 인사이 트출판사) [2007]
  • 「Consulting Service Manual 」(이정빈 譯, 「컨설팅 서비스 매뉴 얼」
    World Bank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2010]
  • 「Consulting Career Guid e」(BCG 譯, 「컨설팅 커리어 가이드」
    Chung, Eric/Chung, Laura Walker/The Staff of Vault [2013]
  • 「21세기 한국의 컨설팅」
    이의준 새로운 제안 [1999]
  • “현행 경영?기술지도사 제도의 문제점과 지도사법 제정의 필요성”
    임건면 「제1 회 지식서비스산업 발전포럼」, 한국경영기술지도사회 주관 [2014]
  • “하자담보책임법과 일반채무불이행법-대법원 선고 2001 다 70337 판결에 대한 평석-”
    김규완 「민사법학」, 28호, 2005 [2004]
  • “하자담보책임과 불완전이행-도급계약을 중심으로”
    조성민 「법학논총」, 제14집, 한양대학교 [1997]
  • “프랑스법상의 전문가책임”
    조은래 「비교법학」,제24집,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법 연구소 [2013]
  • “판례연구: 도급계약상 담보책임으로서의 손해배상청구권의 법적 성격-판례 상 하자보수에 갈음한 손해배상과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을 중심으로”
    김제완 「고려법 학」, 제38호,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2]
  • “판례상의 신종계약의 유형 및 민법의 편입여부”
    백태승 법학연구소(연세대 법학 연구원) , 「법학연구」, 제21권 3호, 통권 51호 [2011]
  • “특정물인도채무자의 선관의무와 과실에 있어서의 주의의무”
    오수원 「인권과 정 의」, 대한변호사협회 [2015]
  • “특수계약(기술실시계약을 중심으로)”
    문진규 「사회과학연구」, 영남대학교 사회 과학연구소, 제19권 제1호 [1999]
  • “컨설팅계약을 둘러싼 법률문제”
    박훤일 「국제거래법연구」, 국제거래법학회, 심 당 송상현교수 정년기념 논문, 제15권 제2호 [2006]
  • “컨설팅계약과 법적문제”
    송오식 「비교사법」, 제26권, 한국비교사법학회 [2004]
  • “컨설턴트 선정기준이 컨설턴트 역량지각, 컨설팅 완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우소 한성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최선노력조항(best efforts clause)의 해석”
    권영준 「서울대학교 법학」, 제55권 제3호 [2014]
  • “최고수준 전문가와 보통수준 전문가의 특성비교 분 석”
    배진현 성문주 성은모 오헌석 「아시아교육연구」, (10권 4호) [2009]
  • “채무자의 정보제공수집의무와 귀책사유 개념의 확장”
    김동훈 「채권법연구Ⅱ」, 동방문화사 [2014]
  • “채무불이행법 체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시도”
    김상중 「비교사법」 [2009]
  • “착오취소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하대학교
    정성헌 「법학연구」, 제17 집, 제3호
  • “진료채무의 수단채무성에 대한 검토”
    송오식 「법학논문집」, 제37권 제1호, 중앙 대학교 법학연구원 [2007]
  • “지식서비스 산업 발전을 위한 법적 과제”
    박훤일 「경희법학」, 제45권 제1호 [2010]
  • “지도사법 제정의 의미와 과제”
    최영철 한국경영기술지도사회 [2020]
  • “중개형 총판계약의 임의해지 허용성-민법 제689조 제1항에 따른 임의해지 의 요건”
    강혜림 「동아법학」, 제64호 [2014]
  • “정보화시대의 전문가책임”
    박훤일 「상사법연구」, 제31권 제2호 [2012]
  • “정보제공자의 책임”
    김태한 「사법학의 재조명(송촌 박영우교수 화갑기념논문 집」, 한림원 [1995]
  • “정보제공 의무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호행 「고려법학」, 제72권 [2014]
  • “전형계약 규정의 의의와 비전형계약의 해석”
    김형배 「판례월보」, 제298호 [1995]
  • “전문직 서비스계약의 급부의무로서 ‘기술 및 주의의무’에 관한 비교법적 고 찰”
    김중길 「비교사법」, 24권 2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17]
  • “전문자격사제도의 헌법적 의미와 입법한계”
    김웅희 「계간 관세사」, 여름호, 제 53호 [2009]
  • “전문자격사의 책임과 역할”
    김두형 「법조」, 제53권 제8호(통권 575호), 법조협 회 [2004]
  • “전문자격사의 업무상 특성과 직업윤리”
    김두형 「계간 세무사」한국세무사회 [2009]
  • “전문가의 제3자에 대한 정보책임”
    최흥섭 「재산법연구」, 제11권 제1호, 한국재 산법학회 [1994]
  • “전문가의 사전설명의무와 민법 제683조의 입법론”
    강신웅 「계약법의 과제와 전 망(묘원 김욱곤교수 정년퇴임 기념논문집)」, 삼지원 [2005]
  • “전문가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최병록 「사회과학연구」,제12권, 서원대학교, 사 회과학연구소 [1999]
  • “전문가 책임의 입법에 관한 연구”
    최성근 연구보고, 한국법제연구원 [1997]
  • “잘못된 정보에 따른 직업전문가의 제3자에 대한 책임”
    김상중 「민사법학」, 제25 호, 한국민사법학회 [2004]
  • “일본의 중소기업진단사 제도 고찰”
    김대규 「융합경영리뷰」, 제4권 [2019]
  • “의사의 정당한 사유에 의한 의료계약 해지권 검토: 환자의 진료협력의무 위반을 중점으로”
    민국현 「한국의료법학회지」, 한국의료법학회 [2018]
  • “의료계약에 있어서 비밀유지의무위반의 민법상 책임”
    김세준 「법학연구」,제53 집, 한국법학회 [2014]
  • “유럽서비스계약법원칙의 일반규정상 채무불이행책임”
    박희호 「외법논집」,제33권 1호 [2009]
  • “유럽법원칙 서비스계약법(PEL SC)”
    이준형 「중앙법학」, 제9집 제2호 [2007]
  • “우리민법상 전자파일(electronic file)의 물건성에 관한 연구”
    이승현 정차호 「성 균관법학」, 제30권 제1호,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 “아이디어의 법적 보호에 대한 연구”
    맹정환 「Law & Technology」, 제7권 제6 호, 서울대학교 기술과 법센터 [2011]
  • “신종계약의 법적 규율”
    송오식 「재산법연구」, 제36권 제2호, 한국재산법학회 [2019]
  • “신용평가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의 법적 문제”
    박훤일 「경영법률」, 제14집 제2 호 [2004]
  • “소프트웨어 공급계약 등에 관한 판례”
    김동훈 「민사법학」, 15호 [1997]
  • “설명의무의 법적지위”
    김종국 「경희법학」, 제42권 2호 [2006]
  • “선관주의의무와 충실의무에 관한 이론의 발전과 전망”
    이철송 「비교사법」, 제 22집 제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15]
  • “서비스제공자의 민사법적 책임구조-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중길 「재산 법연구」, 한국재산법학회 [2018]
  • “서비스계약에 대한 유럽법원칙에 관한 연구-서비스제공자의 계약에 적합 한 서비스제공의무를 중심으로”
    이병문 「비교사법」, 제17권 제3호(통권 50호), 한 국비교사법학회 [2010]
  • “사실과 의견의 구별”
    권태상 「민사판례연구」, 제36권, 민사판례연구회 [2014]
  • “비전형계약의 해석”
    정진명 「민사법학」, 제16호 [1998]
  • “비밀유지계약에 관한 연구”
    김경선 「비교사법」, 제43권, 한국비교사법학회 [2008]
  • “부정경쟁방지법상 영업비밀의 개념”
    김효신 「IT와 법연구」,제2집, 경북대IT와 법센터 [2007]
  • “부동산컨설팅과 경영컨설팅의 효율성 및 효과성에 미치는 요인분 석”
    곽홍주 장용삼 「부동산학보」, 제36권 제1호 [2009]
  • “보증보험에 있어서 피보험자(채권자)의 고지의무에 관한 고찰”
    양석완 「비교사법 」, 제18권 제2호, 통권 제53호 [2011]
  • “변호사 보수의 규제에 대한 연구”
    정한중 「법학연구」, 제14집 제1호 [2011]
  • “변리사는 상인이 아니다”
    이준수 「특허와 상표」 [2015]
  • “민법의 사회상과 정보제공의무”
    지원림 「민사법학」, 제62호, 한국민사법학회 [2013]
  • “민법상 전형계약으로서의 중개계약과 중개인의 책임”
    이병준 「법학연구」, 부산 대학교, 제42권 제1호, 통권 50호, ,12 [2001]
  • “면허형 국가자격 특성과 보수교육 실태”
    김미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The HRD Review」, 제26권 [2012]
  • “매매계약 교섭 당사자의 잘못된 정보제공에 관한 상대방의 보호”
    김상중 「민사법 학」 [2005]
  • “독일의 유사근로자(특수형태 고용종사자)의 유형과 노동법상 지위에 관한 연구”
    박지순 한국노동연구원 [2005]
  • “독일법상의 전문가책임: 변호사를 중심으로”
    조은래 「비교법학」,제25집, 부산외 국어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13]
  • “독일민법상 매도인의 하자담보책임에 있어서의 ‘瑕疵’의 槪念”
    임건면 「비교 사법」 [2004]
  • “독일 민법에서의 제3자에 대한 정보책임의 발전: 독일민법 제311조 제3항”
    이동수 「동아법학」,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도급에서의 수급인의 책임에 대한 연구- 유형도급과 무형도급간이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헌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도급계약의 현대화를 위한 법정책적 과제”
    박수곤 한국법정책학회, 「법과 정책연 구」, 제12집, 제4호 [2012]
  • “담보책임법상 감액청구권과 손해배상청구권”
    황원재 「재산법연구」, 제34권 제3 호 [2017]
  • “노하우계약에 관한 연구”
    김경선 「한양법학」, 제22집 [2008]
  • “금융기관의 설명의무와 조언의무”
    양석완 「법과 정책」, 제10권 [2004]
  • “근로자 개념의 변천과 관련법의 적용; 유사근로자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김형배 박지순 한국노동연구원 [2004]
  • “권리객체로서 정보의 법적 지위: 정보는 소유권의 대상이 될 수 있는가”
    양환정 「LAW & TECHNOLOGY」, 제5권 제4호, 서울대학교 기술과 법센터[Center for Law &Technology] [2009]
  • “국내 중소기업 발전을 위한 경영 기술지도사 제도 선진화 방안”
    배호영 「법과 정책」, 제22집 제3호 [2016]
  • “과실에 기한 잘못된 정보제공으로 인한 책임”
    이혜리 「법조」, vol 676, , 1 [2013]
  • “공통참조기준초안(DCFR)상 서비스계약법의 체계”
    김중길 「법학논총」, 38권 1 호, 단국대학교 부설 법학연구소 [2014]
  • “공인회계사가 직무상 체결하는 계약의 사법상 지위-개정 외부감사법 및 공인회계사법을 중심으로”
    최광선 「재산법연구」, 제36권 제3호 [2019]
  • “계약체결상의 정보제공의무와 매매목적물의 하자에 관한 설명의무(독일민 법상의 하자에 관한 매도인의 정보제공의무를 중심으로)”
    임건면 「성균관법학」 [2015]
  • “계약체결과 정보제공의무”
    정성헌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박사청구논문 [2014]
  • “계약의 법적성질결정과 전형계약-장기임대계약을 단서로 해서”
    김상묵 정문성 군 산대학교 「지역개발연구」, 제7집 [1995]
  • “계약상 협력의무에 관한 연구-유럽서비스계약법원칙을 중심으로-”
    박희호 「외법 논집」, 제33권 3호 [2009]
  • “계약목적물의 시가에 관한 잘못된 관념과 계약당사자의 보호-착오와 사기 를 이유로 한 의사표시의 취소에 관한 판례의 고찰을 통한 시론적 접근-”
    김상중 「법조」, 1월호 (580 Vol) [2005]
  • “계약관계에 있어서 신뢰보호”
    권영준 「서울대학교 법학」 [2011]
  • “경영컨설팅 산업의 지식경쟁력 강화방안”
    김승택 산업연구원 [1999]
  • “경영 컨설팅과 부동산 컨설팅 성과 향상 요인에 관한 연구”
    곽홍주 경기대 서비스 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9]
  • “경영 기술지도사 법?제도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최영철 한국경영기술지도사회 [2011]
  • “거래대상으로서의 디지털 정보와 ‘물건’ 개념의 확대에 관한 검토”
    배대헌 「상사 판례연구」, 제14권, 한국상사판례학회 [2003]
  • “개정 독일담보책임법상의 매수인의 권리”
    임건면 「비교사법」, 22호 [2003]
  • das Recht der Leistungsstorungen
    4 . Aufl. [1997]
  • Zur Haftung fur culpa in contrahendo bei Geschaftsabschluß durch Stellvertreter
    AcP 151 ( [1950]
  • Wolf, William,「Management & consulting: an introduction to James O, Mckinsey」(홍성완 譯, 「컨설팅신화 맥킨지」
    대청 [1999]
  • Weinberg, Gerald M., 「The Secret of Consulting」(홍성완 譯, 「컨설팅의 비 밀」
    인사이트출판사 [2004]
  • Vorvertragliche Pflichten im Schrittfeld von Schuldrechtsreform und Gemeinschaftsprivatrecht
    [2001]
  • The consultant 's legal guide
    [1999]
  • The Oxford handbook of management consulting ”
    [2012]
  • Schuldrechtliche Informationspflichten gegenuber Endverbrauchern
    [1978]
  • Outsourcing : Probleme der Vertragsgestaltung und ?
    [1998]
  • Moderne Vertragstypen , Band Ⅱ ( Franchising , Know-How-Vertrage
    [1992]
  • Mckinsey 's Marvin Bower-Vision ,
    [2004]
  • Mcchesney, ChrisCovey, SeanHuling, Jim 「The 4 Disciplines of Excution」 (이창신 譯, 「성과를 내고 싶으면 실행하라: 실행에 성공한 사람들의 4가지 행동 원칙」
    김영사 [2016]
  • Management und Consultingvertrage
  • Management Consultancy : A Handbook for Best Practice
    Edition 2 . [2001]
  • Maister, David H., 「True Professionalism 」(장효곤 譯, 「프로페셔널의 원칙」
    교보문고 [2006]
  • Kubr, Milan, 「Management Consulting」(한종극 심재섭 譯, 「경영컨설팅」, 4판
    새로운 제안 [2012]
  • Klaus-Peter Grote
    [1997]
  • Jr. and Angelo Dondi , 「Legal Ethics」
    [2004]
  • Haftung bei Missbrauch von Insiderwissen durch Unternehmensberaterzusammen mit Klaus-Peter Grote )
    [2002]
  • Greiner, Larry E.Metzger, Robert O. , 「(Consulting to Management)」,(김일 철 김성호 譯, 「기업컨설팅 이렇게 한다」
    후세 [1993]
  • Gray, Douglas, Start & run a consulting business, 」(강대갑 譯, 「컨설턴트로 새 출발하기」
    시그마프레스 [2010]
  • Gleick, James, 「Information」(박래선/김태훈 譯, 「인포메이션」
    동아시아출판사 [2017]
  • Gernhuber, Joachim, Das Schuldverhaltnis, J.C.B. Mohr, 1989.
    [1989]
  • Flawed Advice and the Management Trap
    Print [2000]
  • Ethics in Management Consulting
    [2008]
  • Edersheim, Elizabeth Haas, 「Mckinsey’s Marvin Bower: Vision, Leadership and the Creation of Management Consulting, 」(안진환 譯, 「맥킨지의 모든 것」
    스마트비즈니스 [2006]
  • Drucker, Peter,「The Essential Drucker」(이재규 譯, 「미래경영」
    청림출판 [2002]
  • Drucker, Peter,「Management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이재규 譯, 「21 세기의 지식경영」
    한국경제신문 [2002]
  • Drucker, Peter , 「Management, 」(남상진 譯, 「매니지먼트」
    청림출판 [2007]
  • Die Standesordnungen der freien Berufe
    [1991]
  • Current Trends in Management Consulting
    IAP [2001]
  • Consulting Management가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곽홍주 장용삼 「한국지적학회지」, 제25권 제1호 [2009]
  • Cohen, Wiliam A. 「How to make it big as a consultant」(윤은기 譯, 「컨설팅 이란 무엇인가」
    유나이티드컨설팅그룹 [1991]
  • Burgerliches Gesetzbuch
    79 [2020]
  • Bellman, Jeoffrey M. 「Consulting Professional」(이강락 강경훈 강민정 譯, 「컨설 팅 프로페셔널」
    21세기북스 [2003]
  • Allgemeiner Teil des Burgerlichen Rechts
    9 . Aufl [2004]
  •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 PMBOK Guide
    5 th Edition [2013]
  • ?정진택, “경영컨설팅의 정의 및 개념적 구성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 성대 디지털정책학회
    윤영호 스마트융합학술전국연합 및 지식서비스&컨설팅학회 [2011]
  • ?유지성,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오라클」
    최동수 정익사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