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일록(課程日錄)』 연구 : 어휘 분류 체계와 한글 풀이를 중심으로

조아람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과정일록(課程日錄)』 연구 : 어휘 분류 체계와 한글 풀이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과정일록
  • 근대 국어
  • 물명유서
  • 분류어휘집
  • 유해류 역학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5 0

0.0%

' 『과정일록(課程日錄)』 연구 : 어휘 분류 체계와 한글 풀이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홍사만, ?왜어유해의 어휘분석(1): 구개음화 표기를 중심으로?, ?어문론총? 42
    한국문학언어학회, 1-38 [2005]
  • 허 웅, ?우리옛말본?
    샘문화사 [1988]
  •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 편집부, ?[물보] 낱말 찾아보기?, ?한글? 216
    한글학회, 213-226 [1992]
  • 정 광, ?왜어유해?上,下
    제이앤씨 [2004]
  • 정 광, ?왜어유해?
    태학사 [1992]
  •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고어대사전?
    선문대학교 출판부 [2016]
  • 고정의, ?재물보와 물보의 이두?, ?울산어문논집? 13-14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30 [1999]
  • 《한의학 대사전(네이버)》 https://terms.naver.com/list.nhn?cid=58505&categoryId=58527
  • 《한국고전종합 DB》http://db.itkc.or.kr
  •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 DB》 http://waks.aks.ac.kr/rsh/?rshID=AKS-2011-AAA-2101
    [2011]
  •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http://yoksa.aks.ac.kr/main.jsp
  • 《두산백과 두디피아》http://www.doopedia.co.kr/
  • 《고려대학교 중한사전(네이버)》https://zh.dict.naver.com
  • ?현대국어 한자어의 음운론적 고찰?, ?국어학? 29
    권인한 국어학회, 243-260 [1997]
  • ?현대 국어의 단어형성법 연구?
    김정은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한자음상의 구개음화: 특히 왜어유해에 나타난 것에 대하여?, ?중국 학보? 3
    문선규 중국학회, 17-28 [1963]
  • ?한시어사전?
    전관수 국학자료원 [2002]
  • ?한국 유서의 종류와 발달?, ?민족문화연구? 47
    심경호 고려대학교민족문화 연구원, 85-136 [2007]
  • ?한국 실학과 명물도수학?, ?한국학? 5-1
    김근수 한국학중앙연구원, 86-97 [1982]
  • ?폐음화와 그에 따른 음운 현상: 18세기 후기 국어를 중심으로?, ?영 남어문학? 13
    오종갑 한민족어문학회, 97-120 [1986]
  • ?충남 방언의 움라우트 현상?, ?방언? 5
    도수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20 [1981]
  • ?축소 접미사에 대한 연구?, ?국어학? 34
    구본관 국어학회, 109-141 [1999]
  • ?중세국어의 특수 어간 교체에 대하여?, ?진단학보? 23
    이기문 진단학회, 119-153 [1962]
  • ?조선후기 왜학서 연구?
    정승혜 태학사 [2003]
  • ?조선후기 물명서의 편찬동기와 분류체계?, ?한국고전연구? 30
    장유승 한국 고전연구학회, 171-206 [2014]
  • ?조선시대 유서(類書) 재물보(才物譜)에 수록된 궁실 부분 어휘에 대 한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춘계
    한동수 한국건축 역사학회, 138-141 [2015]
  • ?조선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권인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재물보와 광재물보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신희범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4]
  • ?재물보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방학수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장서각 소장 국풍에 나타나는 물명 고찰?, ?동양고전연구? 69
    이현주 동양 고전학회, 325-347 [2017]
  • ?의성김씨 학봉 종가 언간의 음식 관련 물명 연구?, ?돈암어문학? 28
    박부자 돈암어문학회, 113-141 [2015]
  • ?음운 변화의 원인과 과정?
    신승용 태학사 [2003]
  • ?음식명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정신문화연구? 37-4
    이지영 한국학중앙연구 원, 41-69 [2014]
  • ?유희(柳僖)의 ?재물보(才物譜)? 비판을 통해 본 ?물명고(物名考)?의 차별성: 1807년 유희(柳僖)가 이만영(李晩永)에게 보낸 편지를 중심 으로?, ?한국실학연구? 32
    황문환 한국실학학회, 79-113 [2016]
  • ?유해류 역학서 연구?
    박찬식 박이정 [2008]
  • ?움라우트의 개재자음에 관한 고찰?, ?국어국문학? 176
    소신애 국어국문학 회, 237-272 [2016]
  • ?우리말 어원사전?
    김민수 태학사 [1997]
  • ?우리말 어원사전?
    백문식 박이정 [2014]
  • ?왜학서류의 음절말 ‘ㅅ’, ‘ㄷ’ 표기법 연구?, ?진단학보? 70
    권인한 진단학회, 125-149 [1990]
  • ?왜어유해의 연구?
    고한신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9]
  • ?어휘의미론?
    최경봉 한국문화사 [2015]
  • ?실학시대의 어휘자료집 간행 역사?, ?국어생활? 22
    홍윤표 국어연구소, 74-92 [1990]
  • ?소아론;동문유해;팔세아;삼역총해?
    민영규 연희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56]
  • ?사전학적 관점에서 본 ?物名攷?와 ?才物譜?의 영향관계?, ?진단학보 ? 120
    신중진 진단학회, 105-127 [2014]
  • ?분류어휘집의 '사람'관련 표제항 연구?, ?
    유경민 한국어의미학? 32, 169-191 [2010]
  • ?분류 해석 학습서로서의 ?훈몽자회(訓蒙字會)?: ?훈몽자회?의 의미론 적 어휘 분류와 의미 해석?, ?국어학? 26
    박금자 국어학회, 317-340 [1995]
  • ?방언유석 해제?, ?방언유석?
    홍윤표 홍문각, 1-6 [1985]
  • ?물보와 청관물명고의 사전적 특성: 사전의 체제와 정의항의 유형?, ? 새국어교육? 73
    이덕희 한국국어교육학회, 255-283 [2006]
  • ?물보와 실학사상?, ?인문과학? 5
    이가원 연세대학교인문학연구원, 73-102 [1960]
  • ?물명의 연구 방법과 과제?, ?한국어사연구? 4
    홍윤표 국어사연구회, 241-343 [2018]
  • ?물명어휘집의 계통과 어휘 연구?
    윤향림 안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물명류고의 생물학적 연구: 물고기이름?, ?새국어생활? 10-3
    김대식 국립국 어연구원, 63-75 [2000]
  • ?물명고의 어휘 고찰?, ?한국언어문학? 25
    신경철 한국언어문학회, 41-66 [1987]
  • ?물명고에 대한 고찰?, ?진단학보? 118
    홍윤표 진단학회, 167-211 [2013]
  • ?물명고류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어휘 분류와 조어법을 중심으로?
    백승창 단 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물명(物名)류의 특징과 자료적 가치?, ?국어사연구? 22
    정승혜 국어사학회, 81-135 [2016]
  • ?물명(物名)류 자료의 종합적 고찰?, ?국어사연구? 18
    정승혜 국어사학회, 79-116 [2014]
  • ?몽어유해의 국어학적 고찰?
    신미영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9]
  • ?동문유해의 국어사적 연구?, ?논문집? 2
    조건상 충북대학교, 11-24 [1968]
  • ?동문유해의 국어사적 연구(2)?, ?논문집? 5
    조건상 충북대학교, 11-22 [1971]
  • ?동문유해와 몽어유해의 비교: 표제어를 중심으로?, ?
    연규동 언어학? 17, 183-202 [1995]
  • ?동문유해 해제?, ?동문유해?
    홍윤표 홍문각, 1-5 [1995]
  • ?다산의 물명고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맹익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근대국어의 표기법?, ?국어생활? 9
    홍윤표 국어연구소, 25-37 [1987]
  • ?근대국어의 표기법 연구?, ?민족문화연구? 19
    홍윤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 연구소, 113-141 [1986]
  • ?근대국어의 파생어 연구?
    기주연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 ?근대국어의 어휘체계에 대하여: 역어유해의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 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김완진선생 회갑기념논총?
    심재기 민음사, 783-801 [1991]
  • ?근대국어의 단어형성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33-2
    이선영 한국어문교육 연구회, 103-127 [2005]
  • ?근대국어음운?,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2
    전광현 국립국어연구원, 7-54 [1997]
  • ?근대국어 표기법에 나타난 분철표기의 연구?, ?어문학논총? 6
    이광호 국민 대학교 어문학연구소, 95-113 [1987]
  • ?근대국어 음운론의 몇 가지 문제?, ?동양학? 11
    정연찬 단국대학교 동양학 연구원, 1-34 [1981]
  • ?근대국어 어휘집 연구?
    연규동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근대국어 시기의 정리와 사전적 전개?, ?진단학보? 74
    이병근 진단학회, 195-213 [1992]
  • ?근대국어 물명어휘집 연구: 사전적 분류와 어휘체계를 중심으로?
    이덕희 부 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근대국어 ‘ㄹㄴ’ 표기의 음운론적 해석?, ?한국언어문학? 64
    여은지 한국언 어문학회, 45-67 [2008]
  • ?근대 한국어의 표기법과 음운 체계?, ?한글? 238
    김동소 한글학회, 5-32 [1997]
  • ?근대 국어 필사본 자료에서의 ‘ㄹ-ㄴ’ 표기에 대한 소고; 병자록과 ? 션부군 언?유??를 중심으로?, ?한국학? 24-1
    이광호 한국학중앙연구원, 81-96 [2001]
  • ?국어학개설?
    이익섭 학연사 [2011]
  • ?국어표기사 연구?
    지춘수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6]
  • ?국어사 자료 강독?
    홍윤표 태학사 [2017]
  • ?국어 음운사 연구?
    이기문 탑출판사 [1972]
  • ?국어 음운론 개설?
    배주체 신구문화사 [2018]
  • ?국어 어휘사 연구 방법?, ?국어사연구? 18
    홍윤표 국어사학회, 7-43 [2014]
  • ?국어 어휘 분류 체계의 역사적 흐름?, ?겨레어문학? 48
    허재영 겨레어문학 회, 431-460 [2012]
  • ?국어 어간말 자음군과 관련 현상에 대한 통시적 연구?
    이진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국어학? 19
    임지룡 국어학회, 395-425 [1989]
  • ?구개음화의 통시성과 역동성?
    김주필 태학사 [2015]
  • ?구개음화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김주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구개음화에 대한 역사적 연구?, ?진단학보? 60
    홍윤표 진단학회, 143-157 [1985]
  • ?광재물보의 표기법과 음운현상 연구?
    윤향림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고유어와 한자어 구개음화의 상관성?, ?국어학? 49
    이준환 국어학회, 33-68 [2007]
  • ?柳僖의 ?物名攷??, ?어문연구? 108
    홍윤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27-304 [2000]
  • ?ㄹ두음법칙의 통시적 고찰?, ?국어학? 85
    신성철 국어학회, 151-179 [2018]
  • ?ㄹㄹ~ㄹㄴ 표기의 공존에 대한 음운론적 해석?, ?관악어문연구? 22
    이진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49-468 [1997]
  • ?ㄷ구개음화와 과도교정의 연구사 고찰?, ?동아인문학? 46
    윤진영 동아인문 학회, 267-291 [2019]
  • ?《역어유해(譯語類解),보(補)》상업어휘 연구?, ?
    강용중 中國文學硏究? 45, 381-409 [2011]
  • ?《방언유석》의 표제어 어휘 연구; ‘天, 地, 人’部를 중심으로?, ?중국 어문학지? 67
    최병선 중국어문학회, 223-269 [2019]
  • ?《몽어유해(蒙語類解)》에 나타난 친족어휘의 민속학적 연구?, ?알타 이학보? 14
    박환영 한국알타이학회, 111-127 [2004]
  • ?‘물명고(物名考)’의 온톨로지와 어휘론적 의의?, ?한국어의미학? 17
    최경봉 한국어의미학회, 21-42 [2005]
  • ??훈몽자회?와 ?자류주석?의 분류항목 비교 분석?, ?중국학? 61
    곽현숙 대한 중국학회, 229-242 [2017]
  • ??과정일록?의 어휘 분류체계 및 ‘身體’ 어휘의 의미 관계?, ?반교어 문연구? 51
    조아람 반교어문학회, 81-109 [2019]
  • ??과정일록(課程日錄)?의 분류체계 및 어휘 고찰?, ?어문논총? 74
    윤향림 정연정 한국문학언어학회, 153-185 [2017]
  • ?<시경언해>의 물명?, ?어문연구? 20
    류재영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 구회, 189-205 [1990]
  • ?<시경언해> 물명에 대한 고찰?, ?백록어문? 3-4
    류재영 제주대학교 사범대 학 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연구회, 281-338 [1987]
  • ?<방언집석>의 우리말풀이 연구?
    연규동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20세기 전반의 음식명에 대한 고찰-동아일보(1920-1945) 기사를 중 심으로?, ?국어국문학? 169
    이지영 국어국문학회, 49-83 [2014]
  • ?18세기 후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 윤음언해를 중심으로?
    성인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18세기 전기 국어의 일고찰: 오륜전비언해를 중심으로?, ?어학? 5
    전광현 전북대학교 어학연구소, 15-24 [1978]
  • ?18세기 국어의 조어법 연구: 방언집석을 중심으로?
    이진환 단국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84]
  • ?18세기 국어의 음운론적 연구?
    곽충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18,9세기의 한글 유서(類書)와 실학: 특히 '물명고'類에 대하여?, ?동 양학? 18
    홍윤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475-492 [1988]
  • ?17세기 국어의 형태음운 연구?
    김동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 ?15세기 국어와 현대 국어 복합어의 유형에 관한 비교 연구?, ?언어 와언어학? 34
    김재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77-94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