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기호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시각 기호학적 연구 = A Visual Semiotics Study on Interactive Contents of using Writing Signs

소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문자기호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시각 기호학적 연구 = A Visual Semiotics Study on Interactive Contents of using Writing Sign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 문자기호
  • 의미작용
  • 인터랙티브 콘텐츠
  • 퍼스 시각 기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6 0

0.0%

' 문자기호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시각 기호학적 연구 = A Visual Semiotics Study on Interactive Contents of using Writing Signs' 의 참고문헌

  • 한국콘텐츠진흥원
    「일본 콘텐츠 산업 동향」, 년 [2019]
  • 한국콘텐츠진홍원, 「해외 인터랙티브 TV 콘텐츠의 현황과전망」
    KCA Monthly Trends _ Media Issue & Trend , 년 [2018]
  • 한국콘텐츠진홍원
    「미국 콘텐츠산업동향」, 2019 년 [2019]
  •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위키백과 웹사이트, https://ko.wikipedia.org/wiki/
  • 크레머, 『문자의 형상성』, 인문학연구원 HK 문자연구사업단, 문자개념다시보기
    지빌레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년 [2013]
  • 찰스 샌더스 퍼스,『퍼스의 기호 사상』, 김성도 역
    민음사, 년 [2006]
  • 이 익 섭 , 「 문 자
    한 국 족 문 화 대 백 과 사 전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 1995 년 [1963]
  • 사 라 와 수 수 께 끼 해 커 클 럽 홈 페 이 지 , https://arpuzzlegame.com/games/1
    「일본 콘텐츠 산업 동향」, 년 [2019]
  • 루소,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 주경복, 고봉만 역
    장자크 책세상, 년 [2008]
  • 뉴스젤리
    「인터랙티브 데이터 시각화 콘텐츠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년, http://www.bloter.net/archives/350317 [2019]
  •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콘텐츠 (문화산업의기초이론
    김평수) [2014]
  • 네이버 지식백과, 문자학, [Graphology, Graphemics, Grammatology] (학문명백과 : 인문학
    이승재)
  • 겔브, 『A STUDY OF WRITING, 문자의 원리』, 연규동 역
    I.J 연세대하교 대학출판문화원, 년 [2013]
  • 게오르크 W. 베르트람,『언어, 의미 그리고 철학』, 정대성 역
    박이정도서출판, 년 [2015]
  • 陶德富 , 蒋瑞 , 汉字经济高效的特点及其在未来信息传播中的地位, Journal of Huzhou Teachers College , Vol. 28 No. 6 Dec, 2006.
  • 陈星海. 基于新媒体技术条件下的文字设计与传播[D]. 湖南大学, 2008.
  • 艾媒研究院,《艾媒报告--2019-2020 中国互动剧产业现状 剖析及用户行为调查报告》
  • 网易家居, 「方太携重磅产品&"方太梦想宋" 整套字体亮相 2018AWE」.《中国文化产业年度发展报告书 2020》,中国艺术报, 2020.01. 22).
  • 年微信数据报告. 20).《第一财经周刊》“中国热品牌调查”数据, 2016.
  • 博客, http://www.bloter.net/archives/350317.
  • 刘忠辉. 新媒体环境下文字传播的再发展[D]. 重庆大学, 2012. 4.
  • 『파이드로스에 대한 해설, 플라톤, 파이드로스』
    조대호 조대호역, 문예출판사, 년 [2008]
  • 『인지 의미론』
    임지룡 탑 출판사, 년 [1997]
  • 『시각 기호학』
    박일우 북코리아, 년 [2019]
  • 『보이는 기호학(제 3 판) 시각예술과 기호학』
    David Crowe 서나연 역, 비즈앤비즈, 년 [2016]
  •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백승국 다흘미디어, 년 [2004]
  • 『문자를 다시 생각하다』
    Roy Harris 윤주옥 역, 연세대학교 대 학출판문화원, 년 [2013]
  • 『Signs of Writing, 문자의 기호들』
    Roy Harris 김남시 역, 연 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년 [2013]
  • 『De la grammatologie』, Paris, Minut, (『그라마톨로지』
    Jacques Derrida 김성도 역, 민음사, 2010) [1967]
  • 「해외 콘텐츠시장 분석」
    김강석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년 [2019]
  • 「한자 타이포그래픽을 활용한 광고표현에 관한 연구」
    모남 석 사 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년 [2019]
  • 「퍼스 기호학의 삼항구조에 따른 개념미술의 텍스트적 특성 연구」
    이선기 석사 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년 [2015]
  • 「중국 한자기호의 시각적 유희성 해석」
    판웨이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년 [2017]
  • 「자크 데리다의 원문자와 폴 드만의 언어의 물질성 읽 기」
    박수정 박사학위 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년 [2013]
  •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개발 현황」
    조세홍 최영림 『디지털콘 텐츠학회지』, Vol.7, N01, 년 [2011]
  • 「인터랙티브 콘텐 츠-디지털 콘텐츠의 진화」
    김종성 남도원 박경 이영직 정재숙 한국희 『전자통신동향분석』 제 26 권, 제 3호, 년 [2011]
  •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인플루언서의 자아표현에 관한 연 구」
    박성경 박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년 [2018]
  • 「이미지텔링의 시각 기호학적 연구」
    심현주 박사학위 논문, 인 하대학교 대학원, 년 [2020]
  • 「시각기호학의 체계 정립을 위한 예비 연구」
    박일우 『기호학 연구』vol.47 [2016]
  • 「스마트 시대의 미디어 소비」
    김영주 『한국언론진흥재단』, 년 [2012]
  • 「소쉬르의 언어기호이론에서 문자의 표상성에 관한 논 고」
    이흥규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년 [2008]
  • 「설치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을 통한 브랜드 각인효 과에 관한 연구」
    문하나 『Design Convergence Study』 50 vol14.no1, 년 [2015]
  • 「상장, 그거 왜 해? 잘나가는 중국 비상장 스타기」
    홍성현 뉴스핌, http://www.newspim.com/news/view/ [2017]
  • 「사물인터넷 제품 문화코드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
    김민지 석 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년 [2017]
  • 「문화코드를 활용한 기업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양아축 석사학위 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년 [2018]
  • 「문체부, 박물관 및 미술관에 '실감콘텐츠' 제작 지원..." VR 위주 체험관 탈피"」
    오윤지 문화뉴스, http://www.mhns.co.kr
  • 「문자를 응용한 미술의상 연구」
    김은민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 학교 대학원, 년 [2001]
  • 「문자를 소재로 활용하는 한글 콘텐츠의 양상과 가치 연 구」
    권지혁 『기호학 연구』 제 49 집, 년 [2016]
  • 「문자기호학과 인터랙티브 콘텐츠」
    백승국 『기호학 연구』 제 49 집, 년 [2016]
  • 「문자, 감성을 꿈꾸다 캘러그래픽」
    한혜정 『Art in life』, SEPTEMBER 년 [2010]
  • 「디지털 시대, 마케팅의 미래-마케팅 하지 않는 마케터」
    이무선 『라온북』, 년 [2018]
  • 「디지털 시대 문자의 특성에 관한 고찰」
    이윤희 『기초조형학 연구』, 년 [2006]
  • 「네이버 사전」
    플라톤, https://zh.dict.naver.com/#/search?query=%E6%9F%8F%E6%8 B%89%E5%9B%BE
  • 「기호학적 접근을 통해 현대미술에서의 텍스트적 특성 연구」
    장수진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년 [2013]
  • 「그레마스 서사도식의 스키마 이론 고찰 -웰니스 콘텐츠 이용자의 인지행로 분석을 중심으로-」
    백승국 심현주 이혜지 한국기 호학회 『기호학 연구』 42 권, 년 [2015]
  • 「가치소비와 브랜드담화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배예솔 석사학 위 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년 [2019]
  • 「“typEmotion” 문자학의 정립을 위하여」
    정항균 『문학동네』, 년 [2012]
  • 「Animated GIF(반복형 동화상)를 활용한 천자문(千字文) 의 시각 기호 해석」,
    리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 「'블랙 미러: 밴더스내치', 인터렉티브 콘텐츠 자리 잡을까?」
    정유진 뉴스 1, https://www.news1.kr/articles/?3514583
  • “ Definitions of writing systems ”
    《Omniglot: The Online Encyclopedia of Writing Systems and Languages 》 , www.omniglot.com, 년 [2013]
  • [년 소비자신뢰대상] 카스 ‘아오르비’, 한달 만 에 500 만뷰…젊은세대 공감 이끌어, 2019 년
    김지혜 아시아투데이,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908270100134852) [2019]
  • Traité du Signe Visuel : pour une Rhétorique de l ’ Image
    [1992]
  • O. Dcrot et T. Todorv, 『 Dictionnaire encyclopedique des seciences du langage』, Paris
    Seuil, 년 [1972]
  • James Jak b Liszka, 『퍼스 기호학의 이해』, 이윤희 역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년 [2013]
  • ISLAND LUMINA 홈페이지, https://www.islandlumina.jp/
    「일본 콘텐츠 산업 동향」, 년 [2019]
  • Excite News
    웹사이트, https://www.excite.co.jp/news/article/Finders_816/ ?fbclid=IwA R3JgrM2U-2XJHd3RGeMgWACCQQL3BHgbH5zBGhzxe22ILrjM T8p0CRxB3c
  • ATR Creative(현 Stroly) 홈페이지, http://atr-c.jp/burari/
    「일본 콘텐츠 산업 동향」, 년 [2019]
  • (蘇蒙), 백승국, 「漢字符號的象似性研究」
    소몽 심현주 『한자 연구』 vol., no.25, 년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