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애니메이션의 환상적 소환 연구 : 2000년대 이후 판타지 및 SF 장르를 중심으로

이승우 2020년
논문상세정보
' 韓日애니메이션의 환상적 소환 연구 : 2000년대 이후 판타지 및 SF 장르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Fantastic Summon
  • Fantasy
  • Magic
  • Magic Ritual
  • Summon
  • sf
  • the fantastic
  • 마법의식
  • 소환
  • 주술
  • 판타지
  • 환상성
  • 환상적 소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33 0

0.0%

' 韓日애니메이션의 환상적 소환 연구 : 2000년대 이후 판타지 및 SF 장르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호소다 마사히로 감독, 〈유희왕 – VRAINS〉
    스튜디오 갤럽 [2017]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encykorea.aks.ac.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 한국교육심리학회.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 [2000]
  • 프란츠 바르돈, 정은주ㆍ박영호 역, 『소환마법실천』
    좋은글방 [2010]
  • 테리 브룩스, 김효명 역, 『판타지 레퍼런스』
    들녘 [2002]
  • 쿠와바라 사토시 감독, 〈유희왕 – 다크사이드 오브 디멘션즈〉
    스튜디오 갤럽 [2016]
  • 쿠와바라 사토시 감독, 〈유희왕 – ZEXAL〉
    스튜디오 갤럽 [2011]
  • 쿠사노 타구미, 곽형준 역, 『도해 흑마술』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5]
  • 쿠니히코 감독, 〈포켓몬스터〉
    유야마 OLM [1997]
  • 카즈히토 감독, 〈공작왕 - 귀환제〉
    아키야마 AIC [1988]
  • 츠치 하츠키 감독, 〈유희왕 - 듀얼 몬스터즈 GX〉
    스튜디오 갤럽 [2004]
  • 츠베탕 토도로프, 이기우 역, 『덧없는 행복-루소론 환상문학 서설』
    한국문화사 [1996]
  • 존 버거, 편집부 역, 『이미지, 시각과 미디어』
    동문선 [1990]
  • 조지 프레이저, 이용대 역, 『황금가지』
    제임스 한겨레신문사 [2003]
  • 이치로 감독, 〈공작왕 – 환영성〉
    이타노 STUDIO SS [1989]
  • 우시로 신지 감독, 〈요괴워치〉
    OLM [2014]
  • 오노 카츠미 감독, 〈유희왕 – ARC-V〉
    스튜디오 갤럽 [2014]
  • 오노 카즈미 감독, 〈유희왕 - 5D`s〉
    스튜디오 갤럽 [2008]
  • 역, 『대중과 대중문화』
    박만준 피스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 역, 『닌자의 세계』
    송명규 아츠시 야마키타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8]
  • 에이지, 선정우 역, 『캐릭터 메이커』
    오쓰카 북바이북 [2014]
  • 신고 감독, 〈원펀맨〉
    나츠메 매드하우스 [2015]
  • 시무라 조지, 안태근 감독, 〈신암행어사〉, OLM
    캐릭터플랜 [2004]
  • 스튜디오 애니멀의 블로그 (http://blog.naver.com/asahi1995)
    [1995]
  • 스기시마 쿠니히사 감독, 〈유희왕 - 듀얼 몬스터즈〉
    스튜디오 갤럽 [2000]
  • 슈지 감독, 〈슈퍼 그랑죠〉
    이우치 선라이즈 [1989]
  • 송채원, 「소환의 시대」 (https://brunch.co.kr/@sterdam/482), 2017.
    송채원 [2017]
  • 송소라, 「애니메이션 〈신비아파트: 고스트볼의 비밀〉의 구성적 특징과 전통 귀신담의 콘텐츠화의 의미」, 『고전문학과 교육』 39권
    한국고전문학 교육학회 [2018]
  • 멜린다 데이비스, 박윤식 역, 『욕망의 진화』
    21세기북스 [2003]
  • 루이스, 김일현 역, 『닌자 이야기』
    피터 황금가지 [2003]
  • 두산백과, 두피디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
  • 더글러스 러시코프, 김성기 역, 『카오스의 아이들』
    민음사 [1997]
  • 다테 하야토 감독, 〈나루토〉
    스튜디오 피에로 [2002]
  • 다테 하야토 감독, 〈나루토 질풍전〉
    스튜디오 피에로 [2007]
  • 다카하라 나루미, 신은진 역, 『소환사』
    들녘 [2000]
  • 기시모토 마사시, 『나루토 비전 진의 서』
    대원씨아이 [2016]
  • 기시모토 마사시, 『나루토 비전 자의 서』
    대원씨아이 [2009]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 고훈, 「고전문학과 만화의 결합 양상 연구 –만화 〈신암행어사〉에 차용된 고전요소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5호
    대중서사학회 [2011]
  • 감독, 〈신비아파트 : 고스트볼의 비밀〉, Gapkim creative
    김병갑 칵테일 미디어 [2016]
  • 감독, 〈신비아파트 : 고스트볼X의 탄생〉, Gapkim creative
    김병갑 칵테일 미디어 [2017]
  • 감독, 〈신비아파트 444호〉, Gapkim creative
    김병갑 칵테일 미디어 [2014]
  • 감독, 〈머털도사와 108요괴〉
    염우태 MBC-TV [1990]
  • 감독, 〈머털도사〉
    염우태 MBC-TV [1989]
  • 감독, 〈날아라 슈퍼보드〉
    송정률 한호흥업 [1990]
  • 감독, 〈고스트 메신저 극장판〉
    구봉회 스튜디오 애니멀 [2014]
  • 가스펠서브, 『라이프 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 가스펠서브, 『교회용어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 『한국의 띠문화』
    이찬욱 황금시대 [1999]
  • 『콘텐츠의 사회학』
    장이지 서랍의날씨 [2015]
  • 『애니메이션 서사 구조와 전략』
    박기수 논형 [2004]
  • 『애니메이션 미학』
    박성수 향연 [2005]
  • 『아니메에서 일본을 만나다』
    조성기 어문학사 [2009]
  • 『세카이계란 무엇인가』
    마에지마 사토시 워크라이프 [2016]
  • 『문학의 새로운 이해』
    김행숙 청동거울 [2004]
  • 『매혹적인 스토리텔링의 탄생』
    김태원 파람북 [2019]
  • 『만화애니메이션사전』
    김병수 김일태 설종훈 양세혁 윤기헌 한국만화 영상진흥원 [2008]
  • 『도깨비, 잃어버린 우리의 신 - 전래동화에 갇힌 전래의 신에 대한 17가지 짧은 이야기』
    김종대 인문서원 [2017]
  • 『고스트 메신저 – 무제경전』
    김지연 유은지 대원씨아이 [2014]
  • 『遊☆戯☆王 オフィシャルカードゲーム デュエルモンス ターズ マスターガイド』 6
    [2020]
  • 『社会的な身体~振る舞い・運動・お笑い・ゲーム』 , 講談社
    [2009]
  • 『法律用語事典』
    김종원 法典出版社 [1997]
  • 『忍者学講義』 , 中央公論新社
    [2020]
  • 『忍者・忍術ビジュアル大百科』学研プラス
    [2017]
  • 『忍者の歴史』角川学芸出版
    [2016]
  • 『妖怪ウォッチ まるごとゲット ともだち大図鑑』
    [2015]
  • 『図解 黒魔術』
    [2013]
  • 『フィクションが 現実となるとき : 日常生活にひそむメディアの影響と心理』
    [2019]
  • 『ぼくらがアニメを見る理由ーー2010年代アニメ時評』フィルムアート社
    [2019]
  • 「한국 서브컬처 콘텐츠에서 한국 신화에 대한 연구」
    윤영석 『만화애니메 이션연구』 41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 「한 중 일 현대 구미호 이미지의 비교연구 : 〈전설의 고향〉, 〈봉신 방(封神榜)〉, 〈나루토(NARUTO-ナルト-)〉를 중심으로」
    장완로 성균관대학 교 석사학위 논문 [2019]
  • 「판타지의 신화적 상상구조 연구 : 첨부작품을 중심으로」
    구광본 중앙대 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0]
  • 「주술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 근대 이후 서구를 중심으로」
    권용란 『역 사민속학』 제13호, 한국역사민속학회 [2001]
  •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한국만화 연구」
    김유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 논 문 [2009]
  • 「영화ㆍ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 기획ㆍ창작지원시스템 연 구」
    이찬욱 이채영 『인문콘텐츠』 19집, 인문콘텐츠학회 [2010]
  • 「영웅 스토리에 수용된 ‘요괴퇴치담’의 게임화 방안 연구」
    안기수 『어문론 집』 55집, 중앙어문학회 [2013]
  •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코드 분석 연구」
    이찬욱 이채영 『인문 콘텐츠』 23집, 인문콘텐츠학회 [2011]
  •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매혹성에 관한 연구」
    이윤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7]
  • 「애니메이션 서사의 특성 연구 : 한 미 일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박기수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 「신화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고스트 메신저〉에 나타난 디지털 세계관의 양상과 의미」
    김진철 『만화애니메이션연구』 49호, 한국만화애니 메이션학회 [2017]
  • 「신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 제주신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김진철 숭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
  • 「불을 활용한 퇴치적 주술의 모티프 변용 및 확장 연구」
    이승우 이찬욱 『우리문학연구』 49집, 우리문학회 [2016]
  • 「문화콘텐츠에 수용된 鬼神 樣相 硏究」
    진수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 문 [2019]
  • 「문화콘텐츠산업에서 판타지 문학의 서시 전략과 발전 방안 연구」
    허만욱 『우리문학연구』 32집, 우리문학회 [2011]
  • 「문화콘텐츠 분석과 기호학」
    이산호 『다문화콘텐츠연구』 vol.2,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6]
  • 「멀티터치 기술을 이용한 게임 기획 및 구현」
    박상용 이산호 『한국컴퓨터 게임학회논문지』 vol.21,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0]
  • 「디지털시대 영화산업에서의 서사 매체의 변용과 방향」
    허만욱 『어문론 집』 59집, 중앙어문학회 [2014]
  • 「디지털 융합시대 판타지 영화의 매체 미학과 서사 변용 연구」
    허만욱 『우리문학연구』 39집, 우리문학회 [2013]
  • 「디지털 다매체 시대의 문학 환경과 서사 변용 연구」
    허만욱 『어문론집』 제 51집, 중앙어문학회 [2012]
  •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이병훈 『한국사회정책』 vol.24,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연계방안 연구」
    이찬욱 『우리文學硏究』 18집, 우리문학회 [2005]
  • 「고전(古典)기반 웹툰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강명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韓國 鬼神의 原型性과 아랑형 女鬼譚」
    이찬욱 이채영 『우리문학연구』 24집, 우리문학회 [2008]
  • 「原型敍事의 스토리텔링 轉換 戰略 硏究 : '春香' 原型敍事를 中心 으로」
    이채영 중앙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요괴워치〉 TV 시리즈 공식 홈페이지 (https://www.tv-tokyo.co.jp/anime/youkai-watch/story/)
  • 〈신암행어사〉1
    양경일 윤인완 대원씨아이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