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도농악과 사물놀이 가락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김한복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삼도농악과 사물놀이 가락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ercussion instrumental music
  • SamdoNongak
  • Samulnori
  • music structure
  • stage performance form
  • 무대공연 양식
  • 사물놀이
  • 삼도농악
  • 음악구조 형태
  • 타악합주 연주음악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8 0

0.0%

' 삼도농악과 사물놀이 가락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영상출처, https://youtu.be/yCDiq3K7AGE
  • 영상출처, https://youtu.be/o8dw76SouZE
  • 영상출처, https://youtu.be/k1cpTxMkTZg
  • 시지은, 「경기농사풀이놀이농악과 웃다리농악의 상관성 연구: 양주농악과 평택농악을 중심으로」
    (경기: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사진출처
    『공간사랑』 제공
  • 사물놀이, Nenesuck Records/ Eldktra
    Asylum [1983]
  •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naver.com
  • 난장컬쳐스, 『사물놀이』
    서울: 난장컬쳐스 [2009]
  • 『호남좌도농악의 역사와 이론』
    이용식 광주: 전남대학교출판부 [2015]
  • 『한국전승연희의 현장연구』
    서연호 서울: 집문당 [1997]
  • 『한국음악이론』
    이혜구 서울: 민속원 [200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경기: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 『한국농악의 다양성과 통일성』
    서울: 민속원 [2014]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
  • 『신명으로 세상을 두드리다』
    김덕수 서울: 김영사 [2007]
  • 『사물놀이 이야기』
    김헌선 서울: 풀빛 [1995]
  • 『농악』
    노복순 전북: 전북도립국악원 [1994]
  • 『농악』
    류무열 서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6]
  • 『국악대사전』
    장사훈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7]
  • 『農樂』
    정병호 서울: 열화당 [1986]
  • 「호남농악 질굿에 관한 리듬구조 연구」
    최연희 (전남: 세한대한교 석사학 위논문 [2017]
  • 「호남 우도농악을 활용한 초등학교 농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경옥 (충 북: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왼쪽으로 당겨주세요 [2011]
  • 「호남 우도 농악가락에 내제된 리듬 분석 연구: 오채질굿을 중심으 로」
    박경진 (서울: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해방공간기 전라북도 농악의 발전 양상」
    임미선 『해방공간 및 그 전후의 음악사』, 제14회 한국음악사학회 음악학술대회, (서울: 한국예술종 합학교 [2014]
  • 「한국사회 상징으로서 사물놀이」
    전지영 『한국예술연구』, (서울: 한국예술 연구소 [2015]
  • 「한국 농악의 판굿 절차와 가락에 관한 연구: 진주삼천포 평택 이 리 강릉 임실필봉농악을 중심으로」
    박안지 (서울: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9]
  • 「평택농악과 대전웃다리 농악 비교연구: 판제와 가락을 중심으로」
    류보라 (전주: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평택농악 원형에 관한 연구: 판제와 가락을 중심으로」
    황삼열 (서울: 추 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초기 사물놀이에 대한 음악적 분석 연구: 년 넌서치 취입<웃 다리풍물>을 중심으로」
    정재호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201 7) [1983]
  • 「진주 삼천포농악에 관한 분석 연구: 장구 장단 중심으로」
    박성출 (전북: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진주 삼천포농악과 영남사물 비교 연구: 꽹과리 가락 중심으로」
    성수민 (경기: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진주 삼천포12차 농악에 관한 연구」
    최종희 (경기: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정읍농악의 음악적 특징과 변화양상 고찰」
    박성우 (서울: 한국예술종합학 교 예술전문사과정 [2011]
  • 「웃다리농악의 칠채가락 비교연구: 대전, 안성, 평택 꽹과리가락 중 심으로」
    김행덕 (대전: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웃다리 농악의 칠채 가락에 관한 연구: 송순갑의 쇠가락을 중심으 로」
    권오성 (경기: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우도농악 판굿가락과 사물놀이 우도가락의 비교연구」
    김민선 (서울: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여성 농악단 연구」
    권은영 (전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송암스님 화청의 음악구조 형태」
    김한복 『인문사회21』, 제11권2호, (광 주: 아시아문화학술원,왼쪽으로 당겨주세요 [2020]
  • 「사물놀이호남우도 농악가락 늦은 삼채장단과 구정놀이장단 리듬구 조 연구」
    조병혁 (전남: 세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사물놀이의 역사적 전개와 문화산업적 성과」
    주재연 (서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사물놀이와 동해안 별신굿의 장단 비교 연구: 김용배와 김용택 꽹 과리의 굿거리 자진모리 장단을 중심으로」
    강성현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2]
  • 「사물놀이에 나타난 풍물장단 변화에 관한 연구: 삼도풍 물굿 가락을 중심으로」
    이재화 (경기: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사물놀이 지도를 위한 가락 분석 연구: 삼도사물놀이를 중심으로」
    오승재 (서울: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근현대 시기 호남 우도지역 연예농악의 역사적 전개 양상과 그 역 사적 의미」
    양옥경 『한국음악사학보』, 제61집, (서울: 한국예술종합학교 [2016]
  • 「광명농악과 평택농악의 꽹과리 장단 비교 연구」
    장구환 (경기: 단국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