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차원에서의 한·중 상 체계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spect and Chinese Aspect in Sentence Level

Zhu, Zihui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문장 차원에서의 한·중 상 체계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spect and Chinese Aspect in Sentence Leve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지리구분
  • 관점상
  • 국면상
  • 기동상
  • 동사구
  • 문법상
  • 문장 차원
  • 미완전상
  • 반복상
  • 상적특성
  • 어휘상
  • 완전상
  • 종결상
  • 향진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65 0

0.0%

' 문장 차원에서의 한·중 상 체계 대조 연구 = A Contrastive Study on Korean Aspect and Chinese Aspect in Sentence Level' 의 참고문헌

  • 李臨定(1990),『現代漢語動詞』,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李鐵根,「現代漢語的時制系統与‘了, 着, 過’的表時功能」, 『어학연구』 35, 419-430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999]
  • 李鐵根(1998),『現代漢語時制硏究』, 遼寧大學出版社.
  • 沈家煊(1995),「‘無界’與‘有界’」,『中國語文』5.
  • 金立鑫(2002),「詞尾“了”的時體意義及句法條件」,『語言文字學』6.
  • 金奉民(1991),「助詞‘着’的基本語法意義」,『漢語學習』4.
  • 한국어 이동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교체
    남승호 『언학연구』39, 111-145,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03]
  • 쭈즈훼이,「문장 처원에서의 한국어 ‘-고 있-’과 중국어 ‘在’, ‘着’의 대 조 연구」,『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39, 319-348
    정의철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 육원 [2013]
  • 다),『보조용언의 의미와 문법:국어학 문법론』
    구종남 경진 [2013]
  • 다),「국어의 상 해석 과정에 대하여」,『언어학』11, 123-141
    우창현 대한언 어학회 [2003]
  • 나),「상적 의미의 두 요소」,『어문연구』30, 59-91
    홍윤기 한국어문교육연구 학회 [2002]
  • 나),「보조용언의 완료 기능설에 대한 재고」,『언어학』21, 95-115
    구종남 대 한언어학회 [2013]
  • 나),「국어 상 해석에 있어서의 중의성 문제」,『국어국문학』133, 145-165
    우창현 국어국문학회 [2003]
  • 가),「문장 차원에서의 상 해석과 상 해석 규칙」,『국어학』41, 225-247
    우창현 국어학회 [2003]
  • 가),「국어문장의 상적 의미 연구」
    홍윤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가),「‘-어 오다/가다’의 직시적 의미와 상적 특징」,『한국어언어학』76, 5-35
    구종남 한국언어문학회 [2013]
  • 龔千炎(1995),『漢語的時制, 時相, 時態』, 商務印書館.
  • 高明凱(1986),『漢語語法論』, 商務印書館.
  • 馬慶株(1992),『漢語動詞和動詞性結構』, 北京言語學院出版社.
  • 陳平(1988),「論現代漢語時間系統的三元結構」,『中國語文』 6.
  • 陳前瑞(2008),『漢語體貌硏究的類型學視野』, 商務印書館.
  • 郭銳(1993),「漢語助詞的過程結構」,『中國語文』6.
  • 肖奚强(2002),『現代漢語語法與對外漢語敎學』, 學林出版社.
  • 王力(1985),『中國現代漢語語法』, 商務印書館.
  • 朱德熙(1982),『語法講義』, 商務印書館.
  • 望月圭子(2000),「漢語里的“完成體”」,『漢語學習』1.
  • 方梅(2000),「從“V着”看漢語不完全體的功能特徵」,『語法硏究和探索』9.
  • 房玉淸(1992),『實用漢語語法』, 北京語言學院出版社.
  • 戴耀晶(1997),『現代漢語時體系統硏究』, 浙江敎育出版社.
  • 左思民(1999),「現代漢語‘體’的硏究」,『語言文字學』.
  • 尙新(2007),『英漢體範疇對比硏究』, 世界出版社.
  • 尙新(2004),「體的語法本質與漢語語法體的分類」,『現代中國語硏究』第6期.
  • 孫英杰(2006),「現代漢語體系統硏究」, 北京言語大學博士學位論文.
  • 孔令達(1986),「關於動態助詞“過1”和“過2”」,『中國語文』 4.
  • 呂叔湘(1999),『漢語語八百詞』, 商務印書館.
  • 劉月華等(2001),『實用現代漢語語法』, 商務印書館.
  • 劉勛寧(1988),「現代漢語詞尾‘了’的語法意義」,『中國語文』5.
  •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고영근 태학사 [2004]
  • 『한국어에서 상의 두 양상에 대한 고찰』
    조민정 한국문학사 [2001]
  • 『한국어 형용사의 논항구조 연구』
    김건희 월인 [2011]
  • 『한국어 통사구조와 시간 해석』
    양정석 한국문화사 [2010]
  • 『시상성과 논항연결:시상성 가설비판을 통한 연결이론의 수립』
    양정석 태학사 [2002]
  • 『상과 통사구조』
    오충연 태학사 [2006]
  • 『상 이론과 보조 용언의 역사적 연구』
    정언학 태학사 [2006]
  • 『국어의 시상과 시간부사』
    민현식 한국학술정보 [2004]
  • 『국어의 동사연결 구성에 대한 연구』
    강현화 한국문화사 [1998]
  • 『국어의 동사상 연구』
    박덕유 한국문화사 [1998]
  • 『국어 보조용언 구성 연구』
    호광수 서울: 연락 [2003]
  • 「현대한국어의 동사분류: aspect를 중심으로」
    油谷幸利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논 문 [1978]
  • 「현대중국어 상 체계 분석」
    이명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현대국어의 시제와 상에 대한 연구」
    이남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981]
  • 「현대국어의 상황 유형 연구」
    이호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현대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신언호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현대 중국어 상 표지 연구: ‘了’를 중심으로」
    이은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3]
  • 「현대 국어 상 해석 연구」
    정용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6]
  • 「한중 지속상의 대조연구: ‘-고 있다’, ‘-어 있다’, ‘在’, ‘着’을 중심으 로」
    혜가림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국어의‘-었-’과 중국어의‘了’의 대조연구」
    김홍실 『이중언어학』38, 123-147, 이중언어학회 [2008]
  • 「한국어의 습관상에 대하여」
    김천학 『한국어 의미학』52, 87-109, 한국어 의미 학회 [2016]
  • 「한국어의 동사와 문법요소의 결합 양상」
    박진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손세모돌(1996),『국어 보조용언 연구』, 한국문화사 [2003]
  • 「한국어와 중국어의 시제와 상 대조 연구」
    왕파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3]
  • 「한국어와 중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왕문령 세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8]
  • 「한국어와 중국어의 상 범주 대조 연구」
    왕예량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2]
  • 「한국어와 중국어 상 체계 대조 연구」
    진남남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9]
  • 「한국어와 중국어 경험 표지 대조」
    최규발 『중국인문학회』9, 289-308, 중국 인문학회 [2007]
  • 「한국어 풀이씨의 상적 속성에 관한 연구」
    정문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982]
  • 「한국어 시제 범주 연구」
    문숙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한국어 시상형태소 ‘-고/어 있-’의 의미 분석 연구: 중국어 대응 표현 중심으로」
    채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한국어 술어의 사건 구조와 상적 의미」
    남승호 『인문논총』52, 75-124, 서 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4]
  • 「한국어 선어말어미 ‘-었-’과 중국어 허사 ‘了’와의 대조 연구」
    소효과 『한국 (조선)어교육연구』9, 159-181,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14]
  • 「한국어 상적 표현문형의 용언 결합 양상 연구: 보조영언 및 보조용언 상당 구성을 중심으로」
    남신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보조용언 연구」
    진가리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동작상 ‘-고 있-’의 중국어 번역 양상 연구」
    유쌍옥 한양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동사의 사건구조와 사건함수 ‘-고 있다’의 기능」
    김윤신 『형태론』 6, 43-65, 형태론 [2004]
  • 「한국어 동사의 사건 구조와 어휘상」
    김윤신 『한국어학』30, 31-61, 한국어 학회 [2006]
  • 「한 중 시간 관련 범주에 관한 소고 ―‘-었-’과 ‘了’ 중심으로」
    이승희 『언어 연구』 33, 715-732, 한국현대언어학회 [2018]
  • 「처소논항 교체의 의미론: 자동사와 형용사를 중심으로」
    남승호 『언어연구』 38, 295-318,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02]
  • 「중국어의 상 합성에 관한 소고」
    조경환 『중국언어연구』30, 187-205, 한 국중국언어학회 [2009]
  •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법적 특성 대조 연구」
    박종한 『외국어교육』4, 137-161,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998]
  • 「중국어 보어 문제 연구: 중국어 가능표현 양상을 중심으로」
    이우철 『중국인 문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7-52, 중국인문학회 [2007]
  • 「중 한 ‘성취’유형과 미완료상 표지 간의 결합 대조」
    최규발 중국학논총』42, 46-68,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3]
  •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관계절의 몇 문제」
    문숙영 『개신어문연구』 35, 31-68, 개신어문학회 [2012]
  • 「완전 과정과 미완 과정의 상적 대립」
    김명숙 『언어』10, 293-310, 한국언 어학회. 김성화(1991),『국어의 상 연구』, 한신문화사 [1985]
  • 「어휘상 유형에 따른 ‘-었-’의 결합 양상 고찰」
    김천학 『국어학』81, 115-144, 국어학회 [2017]
  • 「상태성과 동작성에 대한 고찰」
    남경완 『민족문화연구』43, 129-154, 고려 대 민족문화연구원 [2005]
  • 「방향보어의 문법적 의미-‘起來’를 중심으로」
    최규발 『중국학논총』24, 1-17,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08]
  • 「문장 차원에서의 한국어 ‘-었-’과 중국어 ‘了’의 대조 연구─완전상 (perfective)과 완료상(perfect)의 의미를 중심으로」,『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 육』 52, 290-314
    쭈즈훼이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2019]
  • 「문장 차원에서 바라본 상 표지 ‘-고 있-’과 ‘在’, ‘着’의 대조 연 구」
    쭈즈훼이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동사와 상에 관한 유형론적 연구: 한국어의 Perfective와 Imperfective에 대하여」
    김천학 『한국어학』57, 179-206, 한국어학회 [2012]
  • 「국어의 시제 범주와 상 범주의 교차 현상」
    한동완 서강인문논총 [1999]
  • 「국어 형용사의 상태성에 대한 고찰」
    도원영 『어문논집』45, 85-108, 민족 어문학회 [2002]
  • 「국어 심리 술어의 어휘 의미 구조」
    김세중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1989]
  • 「국어 상태 변화 동사의 논항과 사건 구조」
    김윤신 『우리말연구』24, 29-58, 우리말학회 [2009]
  • 「국어 相 관련 어미의 기능전화 체계 연구」
    오충연 『어문학』86, 85-109, 한국어문학회 [2004]
  • 「“-어 있다”의 의미와 논항구조」
    정태구 『국어학』24, 203-230, 국어학회 [1994]
  • 「“-고 있-”과 “-어 있-”의 기능과 의미 연구」
    송창선 『언어과학연구』62, 179-204, 언어과학회 [2012]
  • 「‘了2’의 시간 의미 고찰」
    이은수 『중국어문학지』39, 415-436, 중국어문학 회 [2012]
  • 「‘-고 있-’과 부분성」
    신언호 『국어학』44, 158-183, 국어학회 [2000]
  • “상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와 일본어 동사의 동작류 분류”
    이영희 충남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상 보조 용언 구성 ‘-어 가다’/‘-어 오다’의 의미”
    김윤신 『언어학』52, 57-78,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08]
  • “국어의 상 체계와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
    이호승 『국어학』38, 209-241, 국어학회 [2001]
  • “국어 상조동사의 의미 연구”
    옥태권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8]
  • Verb and times
    [1967]
  • The parameter of Aspect
    [1991]
  • The evolution of grammar : Tense ,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1994]
  • The Theory of Functional Grammar . PART I : The Structure of the Clause
  • The Aspectual System of Chinese
    [1995]
  • Tense and Aspect Systems
    [1985]
  • Tense , Aspect , and Modality
    [1971]
  • Syntax
    [1997]
  • Studies in the Logic of Verb Aspect and Time Reference in English
    [1972]
  • Oh, Yoon-Ja, The General Imperfective Viewpoint-ko iss- in Korea, 『신영어영문학』11, 311-331
    신영어영문학회 [1988]
  • Lyons, J. (1977), Semantics Ⅰ, Ⅱ. London: Cambridge Univ. Press. Nedialkov, P(2001), Typology of Resultative Constructions, John Benjamins Pubilshers.
  • Li, Charles N. & Sandra A. Thompson,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ammar
    Berkeley et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박정구외 옮김(1989/1999),『표준중국어문법』, 서울:한울아카데미) [1981]
  • Aspectual Roles and the Syntax-semantics interface ,
    [1994]
  • Aspect and Quantification . In Philip J. Tedeschi & AnniZaenen , Syntax Semantics 14 ,
    [1981]
  • Aspect
    [1976]
  • A theory of aspectuality
    [1993]
  • A semantic and pragmatic model of lexical and grammatical aspect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