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易緯』의 우주론과 하도·낙서 : 數의 개념을 중심으로 = 『易緯』 的宇宙论和河图、洛书 : 以數的概念为中心

석미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易緯』의 우주론과 하도·낙서 : 數의 개념을 중심으로 = 『易緯』 的宇宙论和河图、洛书 : 以數的概念为中心'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철학
  • 「하도」
  • 낙서
  • 상수역
  • 수리학적 우주론
  • 역위
  • 우주론
  • 한대역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5 0

0.0%

' 『易緯』의 우주론과 하도·낙서 : 數의 개념을 중심으로 = 『易緯』 的宇宙论和河图、洛书 : 以數的概念为中心' 의 참고문헌

  • 「「河圖」‧「洛書」의 形成과 改托」, 중국철학회
    문재곤 중국철학, 제2집 [1991]
  • 「회남자의 우주생성론 고찰」, 한국가톨릭철학회
    이진용 가톨릭철학, 제18호 [2012]
  • 「주역의 수학적 논리에 대한 철학적 해명」, 한국중국학회
    김병환 정환희 중국학보, 제70집 [2014]
  • 「역위「건착도」의 우주생성론 고찰-회남자‧태현 우주생성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이진용 동아시아문화연구, 제59집 [2014]
  • 「역위의 우주론과 괘기설」
    석미현 경북대학교 석사논문 [2017]
  • 「역위의 太易虛無에 관하여」, 한국동양철학회
    윤석민 동양철학, 제27집 [2007]
  • 「莊子와 中國 近年의 세 가지 學術觀點」, 한국동양철학회
    김용수 동양철학, 제17 집 [2002]
  • 「周易에 있어서의 數의 問題-易學啟蒙과 관련하여」, 한국유교학회
    최영진 유교 사상문화연구, 제1집 [1986]
  • 「중국철학에서 수의 문제」, 한독사회과학회
    양재혁 한 독사회과학논총 제7호 [1995]
  • 「중국 전통시기 역학의 수학적 해석체계」, 한국철학사연구회
    윤석민 한국철학논집, 제35집 [2012]
  • 「주자 역학계몽의 체계적 이해」, 동양고전학회
    여근식 동양고전연구, 제43집 [2011]
  • 「주역과 풍수 담론을 통해서 본 다산의 토폴리지
    방 인 」, 동서사상연구소철학‧사상‧ 문화, 제27호 [2018]
  • 「상관적 사유의 비판적 고찰」, 범한철학회
    정우진 범한철학, 제58집 [2010]
  • 「동양의 ‘상관적 사유’와 유기체적 생명의 이해」, 한국철학회, 철학과 인접학문 의 대화
    송영배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4]
  • 「동아시아 우주론의 해체와 통합-동아시아 전통 우주론의 구성 원리인 상관적 사 유를 계승한 대안적 우주론의 모색」, 동양고전학회
    이창일 동양고전연구 제44집 [2011]
  • 「낙랑 출토 식점 천지반 고찰」, 서경문화재연구원
    안경숙 과기고고연구, 19호 [2013]
  • 「讖緯思想과 科學思想」,
    中村璋八, 한국도교학회도교학연구, 제5권 [1990]
  • 「老子의 本體論 硏究-哲學史的 意義와 理論分析을 中心으로」, 국제문화학회
    김진근 역사와 사회, 제5집 [1991]
  • 「漢代 讖緯書의 유가철학과 그 사회 정치적 함의」, 한국동서철학회
    박동인 동서철학연 구, 제92호 [2019]
  • 「漢‧宋代의 九‧十數論과 河圖‧洛書 圖象의 定立」, 한국동서철학회
    김만산 동서철학연 구, 제12호 [1995]
  • 「河圖와 洛書에 나타난 陰陽五行에 關한 硏究」, 대한한의학원전학회
    윤창열 대한한의 학원전학회지, 제8집 [1994]
  • 「朱子易學에서 象數의 의미와 역할-易學啓蒙』의 象과 數를 중심으로」, 대한 철학회
    주광호 哲學硏究, 제124집 [2012]
  • 「數字의 體系와 漢代人의 생활」, 고대중국의 이해‧5
    최진묵 서울: 지식산업사 [2001]
  • 「宋代 「河圖‧洛書」圖象의 出現과 그 定立過程」, 중국인문학회
    유승상 중국인문과학, 제72집 [2019]
  • 「古代中國의 宇宙論의 한 형태로서의 陰陽五行說」, 한국종교학회
    방 인 종교연구, 제4집 [1988]
  • 「前漢 後期에 있어서 재이해석과 讖緯」, 중국학연구소
    정일동 中國學論叢, 제36집 [2012]
  • 「三分損益法의 源流에 對한 文獻的 檢討」, 한국음악사학회
    김성준 한국음악사학보 제9집 [1992]
  • 「“自無極而爲太極”인가, “無極而太極”인가」, 퇴계학연구원
    김병환 퇴계학논집, 제 93집 [1997]
  • 회남자-한대 지식인의 집대성
    이석명 파주: 사계절출판사 [2004]
  • 죽간 목간 백서, 중국고대간백자료의 세계‧1
    이승률 서울: 예문서원 [2013]
  • 주역계사전
    김상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7]
  • 율려와 주역
    정해임 부산: 소강 [2007]
  • 율려와 동양사상
    김병훈 서울: 예문서원 [2004]
  • 역학과 하도낙서
    임병학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8]
  •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김일권 서울: 예문서원 [2007]
  • 도가철학의 사유방식
    원정근 서울: 법인문화사 [1997]
  • 도가사상의 연구
    이강수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84]
  • 다산정약용의 주역사전 기호학으로 읽다
    방 인 서울: 예문서원 [2014]
  • 노자 생명사상의 현대적 담론
    김경수 서울: 문사철 [2010]
  • 고전천문역법정해
    김동석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9]
  • 黃帝內經靈樞經, 文淵閣四庫全書, 第733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莊子, 中華道藏, 第13册, 北京: 華夏出版社, 2004.
  • 老子, 中華道藏, 第9册, 北京: 華夏出版社, 2004.
  • 書經, 성백효 역주, 書經集傳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1998]
  • 文子, 中華道藏, 第15册, 北京: 華夏出版社, 2004.
  • 孟子
    대전: 학민문화사 [2009]
  • 周禮, 文淵閣四庫全書, 第90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周易
    대전: 학민문화사 [2008]
  • 列子, 中華道藏, 第15冊, 北京: 華夏出版社, 2004.
  • 中庸
    대전: 학민문화사 [2000]
  • 프리초프 카프라, 김용정‧이성범 옮김,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고양: 범양사 [1979]
  • 편저, 초사
    류성준 서울: 문이재 [2002]
  • 철학으로
    점에서 정병석 서울: 동과서 [2014]
  • 존 헨더슨, 문중양 역주,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서울: 소명출판사 [2004]
  • 이유표 옮김, 의고시대를 걸어 나오며
    이학근 파주: 글항아리 [2019]
  • 웅십력, 임헌규‧윤원현‧김학목‧류희성 역주, 원유‧하
    서울: 세창출판사 [2020]
  • 옮김, 황제사경역주
    김선민 서울: 소명출판 [2011]
  • 옮김, 중국사상사
  • 옮김, 역주악서‧4
    김종수 이후영 서울: 소명출판 [2014]
  • 옮김, 관자
  • 엮어옮김, 이족 창세신화와 만물의 기원: 彝族 査姆
    나상진 서울: 민속원 [2019]
  • 역주, 이상필 감수, 국역 악서고존
    권태욱 박정련 정약용 서울: 민속원 [2014]
  • 역자, 春秋左氏傳‧上
    문선규 서울: 명문당 [1985]
  • 역, 구장산술 주비산경
    차종천 서울: 범양사 [2000]
  • 역, 譯註 禮記集說大全‧月令
    정병섭 서울: 학고방 [2010]
  • 세계철학대사전
    서울: 교육출판공사 [1980]
  • 바이두 https://www
    baidu.com/
  • 니담, 이석호 역, 중국의 과학과 문명‧Ⅱ
    조셉 서울: 을유문화사 [1986]
  • 그라네, 유병태 옮김, 중국사유
    마르셀 파주: 한길사 [2010]
  • 국립중앙박물관 http://www.museum.go.kr/
  • 麻衣道者, 陳摶 注, 박용철 옮김, 정역심법
    서울: 파라아카데미 [2017]
  • 魏 王弼‧韓康伯 注, 陸德明音義, 孔穎達 疏, 周易注疏, 文淵閣四庫全書, 第7冊, 臺 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高懷民, 「易緯‧乾鑿度殘篇文解析-西漢形上思想的成就」, 中國周易學會(山東大學), 周易硏究, 2001, 第1期.
  • 高懷民, 신하령‧김태완 공역, 상수역학
    서울: 신지서원 [1994]
  • 馮 時, 中國天文考古學,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7.
  • 顧頡姜, 이부오 옮김, 중국고대의 방사와 유생
    청주: 도서출판 온누리 [1984]
  • 領木由次郞, 漢易硏究, 東京 : 明德出版社, 1963.
  • 陳鼓應, 최진석 역, 노장신론
    서울: 소나무 [1997]
  • 陳澔 編, 정병섭 譯, 禮記集說大全
    고양: 학고방 [2017]
  • 陳久金, 「陰陽五行八卦起源新說」, 中國科學院自然科學史研究所, 自然科學史硏究, 第5卷, 1986, 第2期.
  • 陳 英, 宇宙人文論, 北京: 民族出版社, 1984.
  • 陳 槃, 古讖緯研討及其書錄解題,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10.
  • 陳 來, 竹帛五行與簡帛硏究, 北京: 生活‧讀書‧新知三聯書店, 2009.
  • 鍾肇鵬, 「緯書綜述」, 任繼愈 主編, 中國哲學發展史 秦漢, 北京: 人民出版社, 1985.
  • 鍾肇鵬, 讖緯論略, 沈陽: 遼寧敎育出版社, 1995.
  • 金春峰, 漢代思想史,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6.
  • 鄭吉雄, 易圖象與易詮釋, 臺北: 喜瑪拉雅基金会, 2002.
  • 鄧益明, 「式盤硏究」, 上海大學碩士學位論文, 2013.
  • 邵吉辰, 「鄭玄易緯注及其詮釋述評」, 國立政治大學中國文學系, 碩士學位論文, 2016.
  • 邵 雍, 윤상길 편역, 황극경세 3/4
    서울: 대유학당 [2002]
  • 論語
    대전: 학민문화사 [2008]
  • 許抗生‧聶保平‧聶淸, 中國儒學史,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11.
  • 解麗霞, 「取易緯駁讖符: 揚雄與讖緯學說」, 華南理工大學, 華南理工大學學報, 第 13卷, 2011, 第2期.
  • 裘錫圭 主編, 長沙馬王堆漢墓簡帛集成‧三/肆, 北京: 中華書局, 2014.
  • 藪內淸, 兪景老 譯編, 中國의 天文學
    서울: 전파과학사 [1985]
  • 薑中奎, 緯史論微,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2005.
  • 蕭登福, 讖緯與道敎, 臺北: 文津出版社, 2000.
  • 蕭洪恩, 易緯文化揭秘, 北京: 中國書店, 2008.
  • 董光璧, 易學與科技, 沈陽: 沈陽出版社, 1997.
  • 董仲舒, 남기현 해역, 춘추번로
    서울: 자유문고 [2005]
  • 胡士潁, 「易緯的氣論及其哲學意義」, 中國周易學會(山東大學), 周易硏究, 2009, 第4期.
  • 羅錫冬, 「易緯的樸素辨證法思想」, 湖南省社會科學院, 求索, 1989, 5期.
  • 羅 曲, 「彝族的“付拖”(河圖)“魯素”(洛書)解讀―以川南彝族世居之地的河圖洛書 古刻文物爲中心」, 史壇縱論, 2017, 第5期.
  • 田智忠, 「從“舂陵本”通書論通書的早期流傳」, 中國周易學會(山東大學), 周易硏 究, 2013, 第1期.
  • 甘肅省博物館, 「武威磨咀子三座漢墓發掘簡報」, 文物出版社, 文物, 1972, 12期.
  • 班 固, 이한우 옮김, 한서‧지1
    파주: 21세기북스 [2020]
  • 班 固, 김만원 역, 백호통의역주
    서울: 역락 [2018]
  • 王永寬, 「論河圖洛書的哲學思維」, 河南教育學院, 河南敎育學院報(哲學社會科學 版), 2007, 第5期.
  • 王永寬, 河圖洛書探秘, 鄭州: 河南人民出版社, 2006.
  • 王振鐸, 「司南指南針與羅經盤—中國古代有關靜磁學知識之發現及發明(上)」, 中國社 會科學院考古研究所, 考古學報, 1948, 3期.
  • 王子國 定理飜譯, 土魯竇吉, 貴陽: 貴州民族出版社, 1998.
  • 王 弼‧韓康伯 注, 孔穎達 疏 , 성백효‧신상후 번역, 역주 주역정의‧1
    서울: 전통문화 연구회 [2013]
  • 王 弼, 임채우 옮김, 왕필의 노자주
    파주: 한길그레이트북스 [2005]
  • 牟鐘鑒, 「淮南子-西漢道家思潮的理論結晶」, 任繼愈 主編, 中國哲學發展史 秦漢, 北京: 人民出版社, 1985.
  • 漢 鄭玄, 鄭氏周易贊, 文淵閣四庫全書, 第7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鄭玄, 周易鄭康成注, 文淵閣四庫全書, 第7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鄭玄 注, 孔穎達 疏, 陸德明 音義, 禮記注疏, 文淵閣四庫全書, 第115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許慎, 說文解字, 文淵閣四庫全書, 第223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荀悅, 前漢紀, 文淵閣四庫全書, 第303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班固, 漢書, 文淵閣四庫全書, 第249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揚雄, 「核靈賦」, 李昉, 太平御覽 第1冊, 北京: 中華書局, 1960.
  • 漢 戴德 撰, 大戴禮記, 文淵閣四庫全書, 第128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應劭, 風俗通義, 文淵閣四庫全書, 第862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張衡, 靈憲, 文淵閣四庫全書, 第1397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漢 司馬遷, 史記, 文淵閣四庫全書, 第243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湯一介, 「老子宇宙觀的唯物主義本質」, 哲學硏究編輯部, 老子哲學討論集, 北京: 中 華書局, 1959.
  • 淸 文淵閣四庫全書總目,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淸 黃宗羲, 鄭萬耕 點校, 易學象數論, 北京: 中華書局, 2010.
  • 淸 趙在翰 輯, 鍾肈鵬․蕭文鬱 點校, 七緯, 中華書局, 北京 2012.
  • 淸 胡渭, 易圖明辨, 文淵閣四庫全書, 第44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淸 毛奇齢, 河圖洛書原舛編, 續修四庫全書, 第40冊,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5.
  • 淸 毛奇齢 仲氏易, 文淵閣四庫全書, 第41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淸 張惠言, 易緯略義, 續修四庫全書, 第40冊,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06.
  • 武家璧, 「易緯‧通卦驗中的晷影數據」, 中國周易學會(山東大學), 周易硏究, 2007, 第3期.
  • 楊翰卿, 「彝族哲學與漢代天人儒學的同異關系」, 西南民族大學學報(人文社會科學 版), 2014, 第4期.
  • 梁韋弦, 漢易卦氣學硏究, 齊南: 齊魯書社, 2007.
  • 梁 瀟統, 六臣註文選, 北京 :中華書局, 1987.
  • 林忠軍, 「試論鄭玄易數哲學」, 中國孔子基金會, 孔子硏究, 2003, 第3期.
  • 林忠軍, 易緯導讀, 濟南: 齊魯書社, 2002.
  • 杭辛齋, 杭氏易學七種 上, 北京: 九州出版社, 2005.
  • 李學勤, 周易溯源, 成都: 巴蜀書社, 2006.
  • 李中華, 神秘文化的啓示: 緯書與漢代文化, 北京: 中國書籍出版社, 2015.
  • 李 零, 中國方術正考, 北京: 中華書局, 2006.
  • 李 卿, 「論彝族天文曆法的獨特性與彝漢文化的共同性」, 貴州工程應用技術學院, 畢 節學院學報(綜合版), 2006, 6期.
  • 李 儼‧杜石然, 안대옥 옮김, 중국수학사
    서울: 예문서원 [2019]
  • 朱伯昆, 김학권・김진근・김연재・주광호・윤석민 옮김, 역학철학사‧1
    서울: 소명출판사 [2012]
  • 朱 熹, 김진근 옮김, 역학계몽
    고양: 청계출판사 [2008]
  • 明 胡應麟, 四部正訛, 臺北: 臺灣開明書店, 1969.
  • 明 孫穀, 古微書, 文淵閣四庫全書, 第194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日 安居香山‧中村璋八, 緯書集成, 石家莊: 河北人民出版社, 1994.
  • 方立天, 이기훈‧황지원 옮김, 문제로 보는 중국철학: 우주‧본체의 문제
    서울: 예문서원 [1997]
  • 揚 雄, 司馬光 注, 김태식 해역, 태현경
    서울: 자유문고 [2006]
  • 徐興無, 讖緯文獻與漢代文化構建, 北京: 中華書局, 2003.
  • 張言夢, 「漢至清代考工記研究和注釋史述論稿」, 南京師範大學 博士學位論文, 2005.
  • 張其成, 易圖探秘, 南寧: 廣西科學技術出版社, 2007.
  • 張健捷, 「易緯‧乾鑿度的哲學思考」, 中國周易學會(山東大學), 周易硏究, 2002, 第 1期.
  • 張 濤, 「略論易緯的易學思想」, 河北省社會科學院, 河北學刊, 1999, 2期.
  • 廖名春․康學偉․梁韋弦 지음, 심경호 옮김, 주역철학사
    서울: 예문서원 [1994]
  • 崔朝輔, 「易緯易學思想研究」, 山東大學博士學位論文, 2011.
  • 宋 黎靖德, 朱子語類, 文淵閣四庫全書, 第700冊~第702冊, 臺北: 臺灣商務印書 館, 1983.
  • 宋 陳摶 述, 邵雍 撰, 柯譽 整理, 河洛眞數, 北京: 九州出版社, 2013.
  • 宋 蔡沈, 洪範皇極內篇, 文淵閣四庫全書, 第805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宋 範曄, 後漢書, 文淵閣四庫全書, 第252冊~第253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宋 洪適, 隸釋, 文淵閣四庫全書, 第681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宋 朱熹, 晦庵集, 文淵閣四庫全書, 第1145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宋 文同, 丹渊集, 文淵閣四庫全書, 第1096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宋 劉牧, 易數鉤隱圖遺論九事, 文淵閣四庫全書, 第8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安徽省文物工作隊, 「阜陽雙古堆西漢汝陰侯墓發掘簡報」, 文物出版社, 文物, 1978, 第8期.
  • 安居香山‧中村璋八, 緯書の基礎的硏究, 東京: 漢魏文化硏究會, 1966.
  • 安居香山, 緯書と中国の神秘思想, 東京: 平河出版社, 1988.
  • 孫英剛, 神文時代: 讖緯、數術與中古政治硏究,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15.
  • 孫宏安, 中國古代數學思想, 大連: 大連理工大學出版社, 2008.
  • 孔又專, 「陳摶易學思想中的宇宙生成論」, 武漢理工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09, 第 2期.
  • 嚴敦傑, 「関於西漢初期的式盤和占盤」, 中國社會科學院考古研究所, 考古, 1978, 第 5期.
  • 周予同, 周予同經學史論著選集,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83.
  • 呂不韋, 정하현 옮김, 여씨춘추
    서울: 소명출판 [2011]
  • 吳文俊 主編, 中國數學史大系, 第1卷, 北京: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98.
  • 劉雲超, 「鄭玄“太易”說與中國哲學本體論邏輯進程」, 中國周易學會(山東大學), 周易 硏究, 2012, 第4期.
  • 劉起釪, 「關於隸古定與河圖洛書問題」, 國務院古籍整理出版規劃小組, 傳統文化與現 代化, 1997, 第2期.
  • 劉玉建, 「易緯卦氣理論的哲學形上訴求」, 中共山東省委黨校, 理論學刊, 2011, 第 10期.
  • 劉玉建, 兩漢象數易學硏究‧上, 南寧: 廣西敎育出版社, 1996.
  • 劉明武, 「河圖、洛書中的兩種太陽曆—彝族文化中的圖書及其解釋」, 中州學刊, 2009, 第2期.
  • 劉保貞, 易圖明辨導讀, 齊南: 齊魯書社, 2004.
  • 劉 彬, 「易緯占術硏究」, 山東大學博士學位論文, 2004.
  • 劉 安, 이석명 옮김, 회남자
    서울: 소명출판 [2010]
  • 冷德熙, 超越神話-緯書政洽神話硏究, 北京: 東方出版社, 1996.
  • 元 托克托, 宋史, 文淵閣四庫全書, 第288冊, 臺北: 臺灣商務印書館, 1983.
  • 任蜜林, 「緯書的宇宙圖式與古代的宇宙論傳統」, 中國哲學史學會, 中國哲學史, 2008, 第2期.
  • 任蜜林, 百年來中國讖緯學的研究與反思, 湖南理工學院, 雲夢學刊, 2006, 第2期.
  • 任蜜林, 漢代秘經,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5.
  • 于成寶, 「易緯的“四太”學說辨析」, 甘肅省社會科學界聯合會, 社科縱橫, 第22卷, 2007, 第10期.
  • 丁四新, 「“數”的哲學觀念與早期老子文本的經典化」, 中山大學學報(社會科學版), 2019, 第3期.
  • 丁四新, 「‘易一名而含三義’疏辨」, 中國哲學史學會, 中國哲學史, 1996, 第3期.
  • ‧이적, 양홍진‧신월선‧복기대 옮김, 천문고고통론
    육사현 서울: 주류성출판사 [2017]
  • “漢代易學硏究 : 卦氣易學의 展開를 中心으로”
    문재곤 고려대학교 박사논문 [1990]
  • Wellesley
    [2008]
  • The magic square of three in old Chinese philosophy and religion
    [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