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수법을 적용한 지방소멸지역의 활성화 방안 연구

조영미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도시재생수법을 적용한 지방소멸지역의 활성화 방안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반 연속간행물
  • 도시재생수법
  • 지방소멸지역
  • 활성화 방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45 0

0.0%

' 도시재생수법을 적용한 지방소멸지역의 활성화 방안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학중앙연구원.
    www.aks.ac.kr - 디지털청도문화대전
  • 한국의 지방소멸 2018 -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 이동을 중심으로, 고용동향 브리프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2018]
  • 통계청
    http://kostat.go.kr
  • 축소형 사회의 도래와 현대총유론
    윤여일 환경사회학연구 ECO 22(1), 103-136 [2018]
  • 축소도시의 인구감소 및 인구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 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부동산학과
    김새힘 석사학위논문 [2019]
  • 지피지기 전략은 SWOT분석을 통해서
    김영표 국토연구원 [2019]
  • 지역청년의 정주 및 귀환 결정요인
    노광욱 박상우 엄창옥 지역사회연구 26(3), 259-283 [2018]
  • 지역자원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 지역자원과 커뮤니티 개발을 기반으로 한 농 산촌 발전 프로세스도입 방안 연구 –충청북도 괴산군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현 박정윤 장주연 최현선 한국지역개 발학회지 27(1), 225-252 [2015]
  • 지역자원과 글로컬리제이션을 위한 지역 만들기
    한주성 대한지리학회지, 53(6), 829-845 [2018]
  • 지역자원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지역자원 활용형 도시재생 전략에 관한 연구 [2011]
  • 지역자산을 활용한 커뮤니티케어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강현철 최조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1(1), 39-54 [2019]
  • 지역자산을 연계활용하는 도시재 생의 개념과 전략
  • 지역자산 활용 필요성에 대한 주민 인식 분석 –대구 중구 동인 삼덕지구를 대상으로
    김은지 장명준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472-487 [2018]
  •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채종헌 최준규 한국지방자치연구, 14(3), 153-225 [2012]
  • 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 구
    손진아 신윤창 한국비교정부학보 14(1), 217-244 [2010]
  • 지역기능 활성화를 위한 기능순응형 도시재생수법 연 구
    맹다미 신근창 오정현 서울연구원 정책과제, 1-190 [2010]
  • 지역공동체 주도의 자원순환형 지역재생 모델 연구
    고선규 이병호 지방행 정연구 33(2)(통권 117호) 153-180 [2019]
  •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 [2012]
  • 지역공동체 주도의 발전전략 연구
    박승규 전대욱 최인수 한국지방행정연구 원 [2010]
  • 지역경쟁력 제고를 위한 도시재생사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포항 시를 중심으로
    허성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자치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 지역 맞춤형 낙후지역 정책을 위한 지역 유형구분 및 특성 분석 –성장촉진지역 정책의 사례 연구
    안영진 이원호 한국지역지리학회 17(1), 96-108 [2011]
  • 지역 고용동향 브리프
    이상호 지역 고용동향 심층분석 – 한국의 ‘지방 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2016]
  • 지방중소도시 쇠퇴변화양상 분석 –순천시 도시화지역을 중심으로
    박담솜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19]
  • 지방쇠퇴도시 도심공간분석과 도시재생기법에 관한 연 구
    김경환 김기홍 김영 주거환경 5(2), 1-33 [2007]
  • 지방소멸시대의 지방자치 재검토 - 다양화와 차등화
    하혜수 한국지방행정 학보 14(2), 1-24 [2018]
  • 지방소멸과 저성장 시대의 국토공간전략 : 일본의 사 례를 중심으로
    마강래 이경수 임보영 공간과 사회 64, 45-70 [2018]
  • 지방소멸: 인구감소로 연쇄 붕괴하는 도시와 지방의 생존전략
    이호상 인천 학연구, 24(3), 217-225 [2016]
  • 지방소멸 위험과 지역고용의 상관관계 분석
    강동우 노동리뷰, 30-39 [2019]
  • 지방 중소도시의 인구감소추세에 따른 도시 축소 시뮬레이션
    이다건 철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5(4), 127-134 [2019]
  • 중 장기 마스터플랜으로 미래를 준비하는 의성
    김주수 지방자치단체발전전 략 [2016]
  •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김순은 지방행정, 66(759), 26-29 [2017]
  • 장소중심 스마트 도시재생 방안 연구 – 국내외 성공 사례를 중심으 로 -
    박희요 홍익대학교 스마트도시 과학경영대학원 도시환경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8]
  • 일본의 인구감소 시대 지역발전정책의 체계 및 방향성에 관한 연구
    이기배 도시행정학보 30(4), 81-104 [2017]
  • 일본 도시재생의 이해-도시재생 관련법령 및 제도 총정 리 보고서.
    한국토지주택공사 일본 도시재생의 이해-도시재생 관련법령 및 제도 총정 리 보고서 [2011]
  • 일본 '한계취락(限界聚落)'의 인구감소 대책방안 사례 연구
    김병량 이재훈 정경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5(3), 35-43 [2014]
  • 인구절벽과 지방소멸 부채질하는 수도권 중심주의
    이희환 황해문화, 362-372 [2019]
  • 인구소멸시대의 농촌중심지 기능변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보
    강인호 노세희 제32권제1호, 289-310 [2018]
  •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유형별 지역발전전략 연구
    김상민 박진경 한국지 방행정연구원 2017-13 [2018]
  • 인구구조 변화 및 지방소멸에 대응하 는 지역 고용정책 사례연구
  • 인구감소지역의 지역쇠퇴에 대한 분석
    기정훈 국토계획, 47(3), 37-50 [2012]
  • 인구감소지역의 스마트 쇠퇴를 위한 축소도시계획에 관한 연구
    전경구 전형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1), 1-28 [2016]
  • 인구감소시대의 축소 도시계획 수립방안
    박종철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4), 55-88 [2011]
  • 인구감소시대의 지역활성화와 지방분권 - 일본의 지방소멸론과 지 방창생을 소재로
    하동현 한국지방행정학보 14(3), 1-27 [2017]
  • 인구감소시대의 도시서비스 변화
    최진호 「국토」 통권 제353호 [2018]
  • 인구감소시대의 농촌중심지 기능변화와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노세희 조선대학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
    심재승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9(1), 3-15 [2017]
  • 인구감소시대에 축소도시를 활용한 도시계획
    임형백 도시행정학보 30(2), 87-114 [2017]
  • 인구감소시대 축소도시 활성화 전략.
    충북개발연구원 인구감소시대 축소도시 활성화 전략 [2010]
  • 인구감소사회에서의 지속가능한 지자체 발전 전략
    심재승 한국지적정보학 회지 20(3), 104-116 [2018]
  • 인구감소 지역의 난개발 수준과 경향에 관한 연구
    조준범 한국지역개발학 회지 26(4), 15-33 [2014]
  • 인구감소 및 고령화에 따른 지방 중소도시 발전방안 연구
    김병환 안정근 이재희 주거환경학회 13(1), 323-334 [2015]
  • 유럽연합의 문화를 활용한 도시재생 : 2010년 유럽문화수도 루르.에 센을 중심으로
    신무철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유럽지역문화학과 석사학위논문 [2017]
  •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관광숙박시설 개 선방안
    문창용 신우진 대한부동산학회지 36(1), 57-78 [2018]
  • 우리나라 중소도시 쇠퇴실태와 특성
    이인희 충남발전연구원 [2008]
  • 우리나라 도시재생선도지역의 사업특성분석
    안옥희 조영미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2) [2019]
  • 우리나라 도시재생선도지역의 사례연구
    안옥희 조영미 한국주거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1) [2019]
  • 연결망 분석을 통한 근린재생형 도시재생 선도사업 정책 목표별 사 업간 연계성 고찰
    박성남 한국도시설계학회 19(4), 41-56 [2018]
  •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지방도시 재생방안
    김남조 민웅기 이경찬 한국도시 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5(5), 67-91 [2014]
  • 시스템 다이내믹 분석(System Dynamic Analysis)을 통한 지 방 중소도시의 인구감소 요인분석
    김강훈 김정기 한국동북아논총(54), .185-216 [2010]
  • 세계문화유산 수원 화성을 활용한 수원의 정체성 정립과 도시재생
    김준혁 역사문화학회 지방사와 지방문화 19(2), 39-70 [2016]
  • 성장관리형 도심재생 적용모델 연구
    한국과학재단 성장관리형 도심재생 적용모델 연구 [2004]
  •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mcst.go.kr
  •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상묵 황종술 한국법학회 60, 87-105 [2015]
  •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따른 서울시 및 SH공사의 대응방향 –창신 숭인 도시재생선도지역 중심으로
    성진욱 이재수 주택도시연구 4(1), 45-56 [2014]
  • 도시재생특별법과 됫재생 관련법의 정합성 분석 연구
    남진 이지현 한국도 시행정학회, 35-61 [2016]
  •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자원 유형분석과 활성화전 략에 관한 연구
    김남룡 김영 이정동 정경석 주거환경, 7(2), 27-36 [2009]
  •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상인들의 상권변화 인식에 관한 연구
    박진호 최열 대 한토목학회논문집 38(5), 771-782 [2018]
  • 도시재생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부서간 협 업 수준 진단
    김민 이삼수 이정목 황규홍 도시행정학보 29(2), 25-46 [2016]
  •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있어 원주민 재정착 의식조사
    구시온 한국콘텐츠학회 10(4), 82-291 [2015]
  •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의 개발과 적용
    이삼수 전혜진 정광진 정연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2(3), 55-74 [2017]
  • 도시재생기법의 적용사례와 도입방안 연구
    장윤배 경기개발연구원 [2010]
  • 도시재생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창업 분석
    김소민 정혜진 국토연구원, 107-120 [2017]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개선방안
    조성제 한국법학회 43, 267-297 [2015]
  • 도시재생 정책 수립을 위한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쇠퇴지표 적용: 제주시를 중심으로
    남윤섭 엄상근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3. 111-122 [2014]
  • 도시재생 전략요인에 관한 인식과 영향 연구
    박희정 한국산학기술학회 16(10), 7006-7012 [2015]
  • 도시재생 수단으로서 지역자산의 의미와 활용실태 분석
    남진 이선영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 50(3), 123-151 [2015]
  • 도시재생 사례분석을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정책에 관한 연 구
    김창성 장용일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6(5), 93-101 [2016]
  • 도시재생 관점에 의한 주요 공공기관 이전적지 활용에 관한 방안 : 경산북도 도청 청사 이전적지를 사례로
    김영훈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석 사학위논문 [2010]
  • 농촌마을 현장포럼 유형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
    가순호 안동섭 정안성 산업경 제연구 29(6), 2345-2366 [2016]
  • 낙후지역 발전을 위한 정책체계 실내와 개선방안
    마상열 손상락 경남발전 연구원 정책포커스 이슈분석, 1-53 [2009]
  • 근대산업유산의 재활용과 도시재생 디자인에 관한 연구
    우첸 홍관선 한국 콘텐츠학회 17(3), 129-137 [2017]
  •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 구도심 근대산업유산의 도시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 한 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사례 비료를 중심으로
    선우해봉 이석현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3(2), 307-320 [2017]
  • 관광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한 SWOT-AHP분석
    이정실 관광레져연구 26(4), 49-64 [2014]
  • 과소지역의 한계취락 출현과 지역재생
    한주성 대한지리학회지 53(3), 327-346 [2018]
  • 공동주택 관리자들의 안전의식 SWOT분석 7(1)
    김찬선 윤태관 공동주택 관리자들의 안전의식 SWOT분석 7(1), 77-92 [2018]
  • 경주 관광도시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SWOTAHP 분석
    설상철 송만석 이정실 관광레저연구 23(7), 25-42 [2011]
  • 강원 지역의 소멸 가능성에 관한 연구
    정성호 홍창수 사회과학연구 57(1), 3-25 [2018]
  • 地方消滅 -東京一極集中が招く人口急減 (지방소멸 - 도쿄 일극 집 중이 불러온 인구급감 -)
    한주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1), 251-253 [2018]
  • 『지역발전정책론』
    모성은 박영사 [2012]
  • 『지역발전론』
    김현호 시 도 공무원교육원 공통교재 [2015]
  • 『지방소멸 일본은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기화서 도서출판 태양 [2017]
  •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지지통신사 지식과 감성 [2018]
  • 『인구 가구 주택으로 살펴보는 지방소멸 –지방소멸 어디까 지 왔나?』
    노민지 유선종 매일경제신문사 [2018]
  • 『우리가 알아야 할 도시재생 이야기』
    윤주 살림지식총서 [2017]
  • 『앞으로 30년, 잘 사는 대한민국 도시재생사업』
    김종선 서영철 팬덤북스 [2019]
  • 『도시재생 실천하라』
    김형균 미세움 [2014]
  • 『도시재생 사업계획과 실무』
    정용식 건설경제 [2017]
  • 『도시디자인/공공디자인』
    윤지영 미세움 [2011]
  •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
    도시재생네트워크 픽셀하우스 [2009]
  • 「한국의 지방 소멸 2018: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 이동을 중심으로」,
    이상호 한국의 지방소멸 2018 –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 이동을 중심으로, 5-11 [2018]
  • 「인구감소지역의 유형별 실태와 지방의 도시계획적 대응 비교」
    제현정 서울대 학교 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논문 [2018]
  • ∙후지요시 마사하무 저, 김병수 역, 『이토록 멋진마을』
    황소자리 [2016]
  • ∙한스경제 www.sporbiz.co.kr
  • ∙폴스타우턴 저, 최경호 역, 『로테르담에서의 도시정비 30년사-도시재생의 맥락』
    국토연구원 [2017]
  • ∙청송공보뉴스 http://www.cheongsong.kpnnews.org
  • ∙조선닷컴 http://www.chosun.com/
  • ∙일본건축학회 저, 김영하 역, 『건축, 도시재생의 실현과 환경디자인』
    기문 당 [2010]
  • ∙유아람 유해연, 도시재생 뉴딜사업 주거지 재생을 위한 정책개선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34(12), 55-64 [2018]
  • ∙서울신문 www.seoul.co.kr
  • ∙마스다 히로야 저, 김전환 역, 『지방소멸』
    ㈜미래엔 [2018]
  • ∙경상매일신문 www.ksmnews.co.kr
  • ∙경북매일 www.kbmaeil.com
  • ∙경북도민일보 http://www.hidomin.com
  • ∙, 연령대별 인구유출입 결정요인 분석
    이찬영 산업경제연구 31(2), 707-729 [2018]
  • ∙ 청송군청
    www.cs.go.kr
  • ∙ 청도군청
    www.cheongdo.go.kr
  • ∙ 의성군청
    www.usc.go.kr
  • ∙ 영양군청
    www.yyg.go.kr
  • ∙ 영덕군청
    www.yd.go.kr
  • ∙ 봉화군청
    www.bonghwa.go.kr
  • ∙ 군위군청
    www.gunwi.go.kr
  • ∙ 국토교통부, www.molit.go.kr/, 도시재생선도지역 공모 지침
  • ∙ 국립백두대간수목원, https://www.bdna.or.kr
  • “한국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유형, 정책방향에 관한 연구”
    김혜천 한국도시행 정학회 26(3), 1-22 [2013]
  • “창원시 도시재생사업의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김영 김정택 신재원 조진희 주거환경,16(4), 123-137 [2018]
  • “인구소멸지역 의성군의 지역활성화 방안 연구”
    안옥희 조영미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2) [2018]
  • “인구감소시대, 일본의 지방창생전략과 지역공간구조 재편방안”
    차미숙 국토 정책 Brief (555) [2016]
  • “도시재생의 이해”
  •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임윤수 최완호 한국법학회 54, 169-187 [2014]
  • “도시재생 평가항목의 물리적 지표평가에 관한 연 구”
    박미진 한종훈 한국주 거환경학회 16(2), 129-140 [2018]
  • “도시재생 지역의 유형화와 계획방안 연구”
    한종훈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 ‘지방소멸’과 ‘지방창생’-‘재후(災後)’의 관점으로 본 ‘마스다 보고서’
    박승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일본비평 (16), 158-183 [2017]
  • ‘부산시민공원’ 지역미래예측에 관한 시 론적 연구
    강민규 김규범 서인석 이동규 이재신 지방정부연구 18(3), 23-44 [2014]
  • [원도심의 지역성(Locality)을 살리는 도시재생수법] 원도심 지역성 (Locality) ‘켜 결 얼 터’에 알맞은 도시설계적 재생수법 적용해야
    박상필 부산발전포럼, 16-25 [2016]
  • Urban Deprivation : Definition , Measurement and Spatial Quslities
    141 ( 3 ) , 362-372 . [1975]
  • URI Innovation Project
    서지은 안옥희 조영미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2018]
  • SWOT분석을 통한 건설사업관리시스템 개발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김성진 옥현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1), 86-93 [2016]
  • SWOT 분석을 통한 중국 칭다오(靑島)시 도시개발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
    오은열 정봉현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4), 185-208 [2016]
  • Analyzing the Sustainability of Community Driven Development in Afghanistan Using the National Solidarity Program Case Study
    [2010]
  • ANP 분석을 활용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선정지표 개발
    이경환 정연준 한국산학기술학회 18(1), 115-123 [2017]
  • , 인천시 지역고유의 문화자산을 활용한 지역밀착형 도시재생방안 연 구
    기윤환 인천발전연구원, 25 [2011]
  • , 『고령자를 위한 도시재생과 마을만들기』
    소명식 장준호 구미서관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