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와 시치료 : 목회상담학적 접근

임수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은유와 시치료 : 목회상담학적 접근'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개성화
  • 상담
  • 설교
  • 시치료
  • 시편읽기
  • 언어
  • 은유
  • 정신화
  • 해석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01 0

0.0%

' 은유와 시치료 : 목회상담학적 접근' 의 참고문헌

  • 허자영 역. 『주의와 해석』(Attention and Interpretation)
    Wilfred Bion 서울: 눈출판사 [2014]
  • 한만수 외 공역. 『현대문학이론 입문』(A introduction to Modern Literature)
    Berry, Peter 서울: 시유시 [2001]
  • 한국문학평론가협회 엮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 한국기호학회 엮음. 『은유와 환유』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9]
  • 한국 T.S엘리엇학회 편. 『T.S. 엘리엇 批評』
    서울: 동인 [2007]
  • 최영미 엮음. 『내가 사랑하는 시』
    서울: 해냄 [2009]
  • 최승언 역. 『일반 언어학 강의』(Cours de linguistique g n rale)
    Ferdinand de Saussure 서울: 민음사 [2006]
  • 최소영 외 역. 『시치료』(Poetry Therapy)
    Fox, J. 서울: 시그마프레스 [1997]
  • 천병희 역. 『시학』(Poetics)
    Aristotle 서울: 문예출판사 [1996]
  • 채수일⸳ 최미영 역. 『고난』(Suffering)
    Dorothee Soelle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2]
  • 조광희 역. 『문학비평과 인문과학』(Critique litte>raire et sciences humaines)
    Cabanes Jean-Louis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5]
  • 정애성 역. 『은유 신학 – 종교언어와 하나님 모델』(Metaphorical Theology)
    Sallie McFague 서울: 다산출판사 [2001]
  • 전영백 역.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An introductory guide to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Sarup, Madan 서울: 조형교육 [2005]
  • 재소자의 ‘영원한 아이’ 시치료 경험에 관한 연구
    서경숙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2011]
  • 장석만 역. 『상징과 해석』(Symbol and Interpretation)
    D. M. Rasmussen 서울: 서광사 [1991]
  • 임홍배 역. 『진리와 방법2』(Wharheit und Methode)
    Hans-Georg Gadamer 서 울: 문학동네 [2012]
  • 임헌규 편역. 『데리다와 푸코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Sarup, Madan 서울: 인간사랑 [1993]
  • 임옥희 역. 『신화의 의미』(Myth and Meaning)
    Claude Levi-Strauss 서울: 이 끌리오 [2000]
  • 이준호 역. 『무의식으로부터의 불꽃』(Frames from the unknown)
    Michael Eigen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8]
  • 이준오 역. 『정신분석학과 문학비평』(Psychanalyse et critique litte)
    Clancier, Anne 숭실대학교출판부 [1998]
  • 이정우 역. 『지식의 고고학』( The Arch ology of Knowledge)
    Foucault, Michel 서 울: 민음사 [1992]
  • 이재훈 외 역. 『스토리텔링을 통한 어린이 심리치료』(Using storytelling as a therapeutic tool with children)
    Sunderland, Margot.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7]
  • 이재훈 역. 『치유의 상상력』(The healing imagination : the meeting of psyche and soul)
    Ann & Barry Ulanov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5]
  • 이재훈 역. 『소아의학을 거쳐 정신분석학으로』
    Donald, W. Winnicott 서울: 한국 심리치료연구소 [2011]
  • 이재훈 역. 『독이든 양분』(Toxic Nourishment)
    Michael Eigen 서울: 한국심리치 료연구소 [2009]
  • 이재훈 역. 『놀이와 현실』(Playing and Reality)
    D. W. Winnicott 한국심리치료연 구소 [1997]
  • 이재훈 역. 『끝없는 질문-자유연상에 대한 탐구』(The infinite question)
    Bollas, Christopher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0]
  • 이재훈 역. 『깊이와의 접촉』(Contact with the depths)
    Michael Eigen 서울: 한 국심리치료연구소 [2012]
  • 이재훈 역. 『감정이 중요해』(Feeling Matters)
    Michael Eigen 서울: 한국심리치료 연구소 [2011]
  • 이은봉 역. 『심리학과 종교』(Psychology & religion)
    C. G. Jung 서울: 창 [2003]
  • 이윤기 역. 『인간과 상징』(Man and his Symbol)
    C. G. Jung 서울: 열린책들 [1996]
  • 이선혜⸳ 정슬기⸳ 허남순 공역. 『이야기치료의 지도』(Maps of narrative practice)
    Michael White 서울: 학지사 [2010]
  • 이선주 역. 『문학비평의 원리』(Principles of Literary Criticism)
    Richards I. A. 서울: 동인 [2005]
  • 이봉희⸳ 강은주⸳ 이영식 공역. 『저널치료의 실제』(The Way of the Journal)
    Kathleen Adams . 서울: 학지사 [2008]
  • 이봉희 역. 『표현적 글쓰기』(Expressive Writing Words that Heal)
    James W. Pennebaker John F. Evans 서울: 엑스북스 [2017]
  • 이규현 역. 『말과 사물』(Words and Things)
    Foucault, Michel 서울: 민음사 [2012]
  • 이경덕 역.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
    Uchida Tatsuru 서울: 갈라파고스 [2002]
  • 은유의 도서관: 철학에서의 은유
    김애령 서울: 그린비 [2013]
  • 유기룡, 양선교 공역. 『콤플렉스. 원형. 상징』(Complex, archetype, symbol)
    C. G. Jung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1986]
  • 용경식 역. 『일반수사학』
  • 오오현. 정호영 공역. 『목회적 돌봄의 실제』(The practice of pastoral care : a postmodern approach)
    Carrie Doehring 서울: 학지사 [2012]
  • 안석모 역. 『예배와 목회상담』(Mighty Stories, Dangerous Rituals)
    Edward Foley Herbert Anderson 서울: 학지사 [2012]
  • 안석모 역. 『살아 있는 인간 문서』(Living Human document)
    Charles Y. Gerkin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 안석모 역. 『대상관계이론과 자기심리학』(OBJECT RELATIONS AND SELP PYCHOLOGY)
    Michael St. Clair.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9]
  • 안도현 엮음. 『그 풍경을 나는 이제 사랑하려 하네』
    서울: 이가서 [2010]
  • 심상영 역. 『융 심리학과 개성화』(Liberating the heart : spirituality and Jungian psychology)
    Jaffe, Lawrence W. 서울: 한국심층심리연구소 [2012]
  • 심명호 역. 『은유』(Metaphor)
    Hawkes, Terence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 신문수 편역. 『문학속의 언어학』( Language in Literature)
    Halle Morris Jakobson Roman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9]
  • 섬세광 역. 『주체의 해석학』(L'hermeneutique de sujet / The Hermeneutics of Subject)
    Foucault, Michel 서울: 동문선 [2007]
  • 서우석 ⸳ 전지호 역. 『기호학과 언어철학』(Semiotica e filosofia del linguaggio)
    Eco Umberto 서울: 청하 [1987]
  • 박현정 역. 『데리다 평전』(Jacques Derrida: A Biography)
    Jason Powell 서울: 인간사랑 [2007]
  • 박인기 역. 『일반 언어학 시론』(Esssis de linguistique g n rale)
    Halle Morris Jakobson Roman 서울: 지식산업사 [1989]
  • 박우수 역. 『수사학의 철학』(The philosophy of rhetoric)
    L.A. Richards 고려대 학교출판부 [2001]
  • 박옥줄 역. 『슬픈 열대』(Tristes Tropiques)
    Claude Levi-Strauss 서울: 한길사 [1998]
  • 박영혜 역. 『정신병과 심리학』(Meladie Mentale et Psycologie)
    Foucault, Michel 서울: 문학동네 [2002]
  • 박여성 역. 『언어의 토대-기능주의 입문』 (Fundamentals of language)
    Halle Morris Jakobson Roman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9]
  • 박상선 역. 『데리다』(Derrida)
    Heinz Kimmerle 서울: 서광사 [1996]
  • 목회상담센터엮음. 『한국문화와 목회상담』
    서울: 목회상담 [2003]
  • 목회상담센터엮음. 『좋은만남 신나는 대화』
    서울: 목회상담 [2004]
  • 맹정현 역. 『라캉과 정신의학』(A Clinical introduction to lacanian psychoanalysis)
    Fink, Bruce 서울: 민음사 [2010]
  • 마경일 역. 『목회 카운슬링』
    Hiltner, Seward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편. 『우리시대의 욕망 읽기』
    서울: 문예출판사 [1999]
  • 두산동아(주) 편집국 엮음. 『동아새국어사전』
    두산동아 [2009]
  • 노양진⸳ 나익주 역. 『삶으로서의 은유』(Metaphors We Live by)
    Johnson Mark Lakoff George 도서출판 박이정 [1979]
  • 노경선정신치료연구회 역. 『정신화 중심의 경계성 인격장애의 치료』(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a practical guide)
    Anthony W. Fonagy, Peter Bateman 서울: 눈출판사 [2012]
  • 노경선∙김건종 역. 『감정의 치 유력』(THE HEALING POWER OF EMOTION)
    Daneil Siegell Diana Porsha Marian Solomon 서울: 눈출판사 [2013]
  • 김혜숙⸳김혜련 역. 『예술의 언어들: 기호 이론을 향하여』 (Languages of Arts: An Approach to a Theory of Symbols)
    Nelson Gooman 이화 여자대학교출판부 [2002]
  • 김현희 등 공역. 『시치료의 이론과 실제』(Poetry Therapy: Theory and Practice)
    Nicholas Mazza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0]
  • 김현진 역. 『상징과 리비도』(Symbol und Libido)
    C. G. Jung 서울: 솔 [2005]
  • 김현권⸳ 최용호 역. 『일반언어학 노트』(Cours de liguistique g n rale)
    Ferdinand de Saussure 서울: 인간사랑 [2007]
  • 김현 엮음. 『문학과지성인시인선』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4]
  • 김태형 역. 이상억 감수. 『재구조화: 관점의 변화를 이끄는 목회상 담과 돌봄 사역』(Reframing : A New Method In Pastoral Care)
    Capps, Donald 서울: 엘 도론 [2013]
  • 김태현 역. 『그리스도교 신앙을 말하다』(Speaking Christian)
    Marcus, J. Borg 서 울: 비아 출판사 [2013]
  • 김태옥 역. 『은유와 실재』( Metaphor and reality)
    Wheelwright, Philip Ellis 서울: 한국문화사 [2000]
  • 김창환 역. 『해석의 영혼- 폴 리쾨르』(Paul Ricoure)
    Simms, Karl 서울: 엘피 [2009]
  • 김진숙 ⸳이지연 ⸳윤숙경 공역. 『애착과 심리치료』(Attachment in Psychotherapy)
    DAVID J. WALLIN 서울: 학지사 [2013]
  • 김중기, 이지교 역. 『성경 새롭게 다시 읽기』(Reading the Bible Again for the First Time)
    Marcus, J. Borg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4]
  • 김종환 외 역. 『털어놓기와 건강』(Opening up)
    James W. Pennebaker 서울: 학 지사 [2006]
  • 김인환 역. 『시적언어의 혁명』
    JULIA KRISTEVA 서울: 민음사 [1999]
  • 김윤성∙ 조현범 역. 『해석이론』(Interpretation Theory)
    Ricoeur, Paul 서울: 서 광사 [1994]
  • 김유숙 역. 『심리치료와 사회구성주의』(Therapy as Social Construcion)
    K.J. Gergen S. McName 서울: 학지사 [2012]
  • 김웅권 역. 『그라마톨로지에 대하여』(DE RA GRAMMATOLOGIE)
    Jacques Derrida 서울: 동문선 [2004]
  • 김성도 역. 『소쉬르의 마지막 강의』(제3차 일반언어학 강 의)
    Ferdinand de Saussure 서울: 민음사 [2016]
  • 김명환⸳ 정남영⸳ 장남수 공역. 『문학 이론 입문』(Literary Theory: An Introduction)
    Terry Eagleton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86]
  • 김득룡⸳ 박주용 역. 『의식의 기원』(CONSCIOUSNESS BREAKDOWN BICAMERAL MIND)
    Julian Jaynes 서울: 연암서가 [2017]
  • 김동환 최영호 역. 『은유와 감정』(Metaphor and emotion)
    Kövecses, Zoltán 서 울: 동문선 [2000]
  • 김갑중 박찬이 역. 『애착장애로서의 중독』(Addictions as an Attachment Disorder)
    Flores, Philip Flores, Philip 서울: 눈출판사 [2013]
  • 권영민 엮음. 『한국현대문학대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권수경 역. 『종교에서의 상징과 신화』(The other dimension : a search for the meaning of religious attitudes)
    Dupré, Louis K. 서울: 서광사 [1996]
  • 고동호 역. 『존재와 언어』(生命と過剩)
    丸山圭三郞 丸山圭三郞 서울: 민음사 [2002]
  • 강현석 외 공역. 『내러티브 인문과학을 만나다』(Narrative Knowing and the Human science)
    Donald E. Polkinghorn 서울: 학지사 [2009]
  • 강주헌 역. 『우리는 모두 식인종이다』(Nous sommes tous des cannibales)
    Claude Levi-Strauss 서울: arte [2013]
  • 강은주. 이봉희 공역. 『저널치료』( Journal therapy)
    Kathleen Adams 서울: 학지 사 [2006]
  • 『현대정신분석비평』
    박찬부 서울: 민음사 [1996]
  • 『현대시론』
    이희중 서울: 서정시학 [2019]
  •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윤순임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000]
  • 『현대문예비평과 신학』
    이경재 서울: 다산글방 [2010]
  • 『한국토착문화와 기독교영성』
    안석모 서울: 목회상담 [2015]
  • 『한국인의 심리상담 이야기』
    노기현 장성숙 서울: 학지사 [2011]
  • 『한국교회와 목회상담』
    안석모 서울: 목회상담 [2017]
  • 『투명사회』
    한병철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4]
  • 『통합적 문학치료』
    변학수 서울: 학지사 [2006]
  • 『인어언어학적 원근법에서 본 은유의 세계』
    김종도 서울: 한국문화사 [2004]
  • 『인문학, 기호학을 말하다』
    송효섭 서울: 이숲 [2013]
  • 『인문치료와 문학 그리고 언어』
    이민용 강원대학교 출판부 [2013]
  • 『이야기 목회, 이미지 영성』
    안석모 서울: 목회상담 [2001]
  • 『의식과 무의식의 대화, 융의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
    정인석 서울: 대왕사 [2008]
  •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서울: 한국문화사 [2008]
  • 『은유의 힘』
    장석주 서울: 다산글방 [2017]
  • 『은유와 최면: 밀턴 에릭슨 사상의 핵심』
    양정국 이윤주 서울: 학지사 [2007]
  • 『은유와 문화의 만남』
    김동환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9]
  • 『은유와 마음』
    명법 서울: 불광출판사 [2018]
  • 『은유는 번역될 수 있는가』
    이혜승 서울: KSI한국학술정보〔주〕 [2010]
  • 『은유, 그 형식과 의미작용』
    정희경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융 심리학과 종교』
    김성민 서울: 동명사 [1998]
  • 『욥을 위한 변명』
    안석모 서울: 두란노 [2014]
  • 『언어사용에서의 은유와 환유』
    오예옥 서울: 역락 [2011]
  • 『시창작이란 무엇인가』
    강연오 서울: 화남 출판사 [2003]
  • 『시란 무엇인가』
    유종호 서울: 민음사 [1995]
  • 『생명의 의미와 새로운 그리스도』
    김성민 서울: 다산글방 [2004]
  • 『새와 나무』
    류시화 서울: 푸른숲 [1991]
  • 『새벽 세 시의 사자 한 마리』
    남진우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6]
  • 『상처가 꽃이 되는 순서』
    전미정 서울: 예담 [2009]
  • 『상징, 은유 그리고 이야기』
    정기철 서울: 문예출판사 [2002]
  • 『비의식의 상징』
    변의수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2008]
  • 『비를 바라보는 일곱 가지 마음의 형태』
    조정권 서울: 문학동네 [1997]
  •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이야기 심리치료』
    박종수 서울: 학지사 [2005]
  •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시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경숙 서울: 한들 [2012]
  • 『밀턴 에릭슨 상담의 핵심 –은유와 최면』
    양정국 이윤주 서울: 학지사 [2007]
  • 『문학현상학과 해체론적 비평론』
    김진국 서울: 예림기획 [1999]
  • 『문학치료학 이론과 실제』
    최소영 서울: 고요아침 [2016]
  • 『문학치료』
    변학수 서울: 학지사 [2004]
  • 『문학이론입문-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박철희 서울: 형설출판사 [2008]
  • 『문학의 해부』
    김한식 서울: 미다스북스 [2000]
  • 『문학의 이해』
    나병철 서울: 문예출판사 [2000]
  • 『문학의 새로운 이해』
    문학의 새로운 이해 편집위원회 서울: 고요아침 [2009]
  • 『문학의 새로운 이해』
    김행숙 박진 서울: 민음사 [2004]
  • 『문학과 언어의 꿈』
    박이문 서울: 민음사 [2003]
  • 『문학과 그 이해』
    오세영 서울: 국학자료원 [2003]
  • 『목회상담과 리더쉽』
    양병모 대전: 침례신학대학교출판부 [2014]
  • 『라캉: 재현과 그 불만』
    박찬부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6]
  • 『독서치료의 실제』
    김현희 서울: 학지사 [2003]
  • 『독서치료』
    김현희 서울: 학지사 [2004]
  • 『독서치료 어떻게 할 것인가』
    이영식 서울: 학지사 [2006]
  • 『데리다의 정신분석학 해체-프로이트와 라캉을 중심으로』
    김보현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2000]
  • 『내 마음을 만지다』
    이봉희 서울: 생각속의 집 [2011]
  • 『기호, 주체, 욕망』
    박찬부 서울: 창비 [2007]
  • 『글쓰기 치료 이론과 실제』
    채연숙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 『국화 옆에서』
    서정주 서울: 민음사 [1997]
  • 『時의 理解』
    정현종 서울: 민음사 [1987]
  • 『Chomsky 언어학이론의 기초- 인간정신과 언어』
    김양순 손근원 홍성심 서울: 동인 [2011]
  • 「트라우마 극복으로서의 치유적 글쓰기 연구」
    권성훈 『비평문학』 한국비평문학회 42호 : 81-115 [2011]
  • 「치료의 수사학(2)-시치료 사례를 통해 살펴본 비유의 세 가지 치료 메커니즘」
    전미정 문예운동 통권 121호 : 93-119 [2011]
  • 「집단 시치료가 만성정신분열증 환우의 정서관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최소영 정서행동장애아 교육학회 : 29-68 [2010]
  • 「인문치료의 관점에서 본 은유의 치유적 기능과 활용」
    이민용 카프카 연구 제23집 : 292-311 [2010]
  • 「이야기 해석학과 이야기 치료」
    이민용 『헤세연구』 23권 : 249-273 [2010]
  • 「이승하 시에 나타난 고통의 의미
    김정신 『문학과 종교』 16권 : 47-71 [2011]
  • 「은유치료 : 문학치료에 대한 은유적 접근」
    박찬부 배선윤 『대한문학치료연구』 2권 1호 : 85-100 [2011]
  • 「은유의 치유적 기능과 개입방식」
    양유성 『통합예술치료연구』 1권 1호 : 47-60 [2011]
  • 「은유의 인식론」
    황희숙 『시학과 언어학』 15권 : 7-49 [2008]
  • 「시치료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시론」
    신주철 『세계문학비교연구』 제14집 : 47-68 [2006]
  • 「시치료와 라캉정신분석」
    최소영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제11집 1권 : 47-74 [2009]
  • 「시치료 과정에서 관찰되는 정신역동에 관한 연구」
    김종주 이경수 『원광의학』 제2권 익산: 원광대학교 의과학연구소 : 221-232 [1986]
  • 「시의 난해성을 위한 변명」
    오세영 시인 플러스 (굿 글로벌, 창간호) : 8-15 [2012]
  • 「문학독서와 문학창작을 통해 형성되는 자가치유제의 교육적 의의 탐색」
    박태진 『한어문교육』 27권 : 75-106 [2012]
  • 「데리다의 은유론: 명사중심주의와 태양중심주의의 해체」
    윤일환 『비평과 이론』 12 권 2호 : 57-83 [2007]
  • 「내 안의 시인을 깨우는 문학치료
    이봉희 어문학제 10집 한국어문학회 : 31-60 [2010]
  • 「고통의 언어, 치유의 시학」
    김영철 『열린 시학』 (봄호, : 61-74 [2011]
  •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
    권성훈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09]
  • “틴토레토의 ‘갈릴리 바다의 그리스도’.”
    김기석 「기독교세계」(6월호), : 62-65 [2020]
  • “정서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정서표현성의 매개 모델 검증.”
    홍창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03]
  • “은유의 인지적 연구.”
    김기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1993]
  • “은유와 의미 불확정성의 문제.”
    홍진기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1996]
  • “심상 시치료가 만성 조현병 입원환자의 증상 완화 및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효 과”
    박정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15]
  • “심리치료에서 치료자-내담자 간 상호주관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김태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14]
  • “신경증과 정신병의 증상완화 및 주체화 촉진을 위한 정신분석적 시치료 연구.”
    최소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12]
  • “시 활동 경험의 심리적 치유과정 분석.”
    이성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07]
  • “슐라이어마허 해석학과 목회상담의 만남: 가능성과 한 계.”
    김용민 「목회와 상담」 (22권 봄호, : 111-141 [2014]
  • “상담설교의 원리.”
    김창훈 「신학지남」 (73, : 262-284 [2006]
  • “상담과정에서의 고통 표현의 의미에 대한 연구: Soelle, Winnicott의 이론 과 Bacon의 예술을 중심으로.”
    김미소 「목회와 상담」 (22, 봄, : 83-110 [2014]
  • “문학치료의 이론과 적용에 대한 연구.”
    장만식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2010]
  • “목회상담적 설교.”
    유영권 「신학논단」 (29, : 431-450 [2001]
  • “목회 텍스트: 해석학적 목회론의 기초를 위하여.”
    안석모 「신학과 세계」 (54권 :236-274 [2005]
  • “대화의 시각에서 살펴 본 설교의 상담적 효과.”
    오규훈 「장신논단」(29호, : 183-210 [2007]
  • foreword by Peter Fonagy . Empathic care for children with disorganized attachments : a model for mentalizing , attachment and trauma-informed care
    [2012]
  • Working with Metaphor.
    5 [2003]
  • Truth and Method
    [1975]
  • The Round Table Pulpit .Nashville
    [1995]
  • The Metaphorical Twist
    [1962]
  • The Language and Imagery of The Bible
    [1980]
  • The Burning foundation
    [1968]
  • The Analogical Imagination : Christian Theology and Culture of Pluralism .
    [1981]
  • Structual Anthropology
    [1972]
  • Principle of LiteraryCriticism
    [1964]
  • Poetic medicine : The Healing Art Of Poem –making
    [1997]
  • Picturing God , ” in A Guide to Prayer for All God ’ s People
    [1990]
  •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Metaphor
    [1981]
  • Philosophical Hermeneutics . trans.and ed.David l , .Linge
    [1976]
  • Patti, D. Nogales. Metaphorically Speaking. CSLI Publications,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1999.
    [1999]
  • Object Relations in Psychoanalytic Theory
    [1983]
  • More Than Cool Reason : A Field Guide to Poetic Metaphor
    [1989]
  • Metaphor and thought
    [1993]
  • Metaphor We live by
    [2008]
  • Metaphor & Meaning in Psychotherapy
    [1990]
  • Margins of Philosophy
    [1982]
  • Language of metaphor
    [1997]
  • Lacan, Jacques. Miller Jacques-Alain 편. 맹정현⸳ 이수련 역. 『정신분석의 네 가 지 기본개념』((Les)Quatre concepts fondamentaux de la psychanalyse)
    서울: 새물결 [2008]
  • Interpretation Theory : Discourse and the Surplus of Meaning
    [1976]
  • History of Structuralism : The Rising Sign
    [1998]
  • H. Arguments and Icons : Divergent Modes of Religiosity .
    [2000]
  • God and the Rhetoric of Sexuality , Overtures to Biblical Theology .
    [1978]
  • Fundamental of Psychoanalytic Technique
    [2007]
  • Freud and Philosophy : An Essay on Interpretation .New haven
    [1970]
  • Existence : a new dimension in psychiatry and psychology
    [1958]
  • Dianna T. From Id to Intersubjectivity : Talking about the Talking Cure with Master Clinicians
    [2013]
  • D.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
    [1990]
  • Congregation : Stories and Structures
    [1987]
  • A Readers Guide to Contemporary Literary Theory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