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드라마론의 실재 인식 비판 : 주체의 역설과 드라마의 복권 = Critique of the Post-Dramatic Real :Paradox of Subject and reinstation of Drama

고해종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포스트드라마론의 실재 인식 비판 : 주체의 역설과 드라마의 복권 = Critique of the Post-Dramatic Real :Paradox of Subject and reinstation of Drama'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무대 공연
  • 드라마
  • 랩소디
  • 바디우
  • 실재
  • 연극
  • 주체
  • 포스트드라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23 0

0.0%

' 포스트드라마론의 실재 인식 비판 : 주체의 역설과 드라마의 복권 = Critique of the Post-Dramatic Real :Paradox of Subject and reinstation of Drama' 의 참고문헌

  • 한국사르트르연구회. 『카페 사르트르』
    서울: 기파랑 [2014]
  • 편. 『라깡의 재탄생』
    김상환 홍준기 서울: 창비 [2013]
  • 東浩紀. 『존재론적, 우편적 ― 자크 데리다에 대하여(存在論的、郵便的― ジャック・デリダについて)』, 조영일 역
    서울: 도서출판b [2015]
  • 國分 功一郞. 『고쿠분 고이치로의 들뢰즈 제대로 읽기(ゥル-ズの哲學原 理)』, 박철은 역
    서울: 동아시아 [2015]
  • 佐藤嘉幸. 『권력과 저항(Pouvoir et Resistance)』, 김상운 역
    서울: 난 장 [2012]
  • 『칸트와 헤겔의 철학』
    백종현 서울: 아카넷 [2014]
  • 『철학과 인문적 상상력: 헤겔 만가』
    김상환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6]
  • 『예술인간의 탄생』
    조정환 서울: 갈무리 [2015]
  •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김상환 서울: 민음사 [2012]
  • 『아우라의 진화』
    심혜련 서울: 이학사 [2017]
  • 『신체와 자유: 칸트의 자유에서 메를로-퐁티의 자유로』
    심귀연 서울: 그 린비 [2012]
  • 『비극과 심미적 형성』
    문광훈 서울: 에피파니 [2018]
  •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
    류의근 서울: 세창출판사 [2019]
  • 『라캉, 사랑, 바디우』
    박영진 성남: 에디투스 [2019]
  • 『라캉 또는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적 반역과 반폭력의 정치를 위하 여』
    최원 서울: 난장 [2016]
  • 『니체, 프로이트, 맑스 이후 - 현대 프랑스 철학의 쟁점』
    김상환 서울: 창비 [2013]
  • 『근대적 세계관의 형성』
    김상환 서울: 에피파니 [2018]
  • 『개념-뿌리들』
    이정우 서울: 그린비 [2014]
  • 「현대연극에 나타난 포스트아방가르드적 전환 및 관객의 미적 경 험」
    이경미 『한국연극학』, 제37호, 한국연극학회 [2009]
  • 「현대 연극의 소통 전략 연구 – 포스트드라마 연극에 대한 비판 적 성찰을 토대로」
    장영지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9]
  • 「현대 공연예술의 수행성과 그 의미」
    이경미 『한국연극학』, 제31호, 한 국연극학회 [2007]
  • 「포스트드라마의 몸: 현상학적 몸의 현존방식에 대한 레만의 해 석」
    심재민 『한국연극학』, 제42호, 한국연극학회 [2010]
  • 「포스트드라마 이후 독일 포스트서사극」
    장은수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30집, 한국브레히트학회 [2014]
  •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정치성 구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엘프리 데 옐리넥의 「울리케 마리아 슈투아르트」를 예로 삼아」
    이준서 『독어독 문학』, 제148집, 한국독어독문학회 [2018]
  • 「포스트드라마 연극과 예브레이노프 – 연극성과 수행적 퍼포먼스 를 중심으로」
    김주연 『노어노문학 연구』, 제29권 1호, 한국노어노문학회 [2017]
  • 「퍼포먼스 미학과 미적 경험으로서 아우라의 귀환」
    심혜련 『시대와 철 학』, 제24권 4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3]
  • 「촛불집회, 블랙텐트, 그리고 사회적 퍼포먼스」
    주현식 『한국연극학』, 제 66호, 한국연극학회 [2018]
  • 「철학이란 무엇인가 - 메를로-퐁티의 경우」
    박신화 『철학사상』, 56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 「예술의 모더니티와 바디우의 비미학적 사유」
    서용순 『미학예술학연구』, 38권,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 「영, 하나, 여럿 – 알랭 바디우의 다자 개념」
    장태순 『철학』, 제131권, 한국철학회 [2017]
  • 「연극의 정치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실험을 통한 감각의 분할 과 타자의 현시」
    이경미 『한국연극학』, 제48호, 한국연극학회 [2012]
  • 「연극에서의 현존(presence)」
    김방옥 『한국연극학』, 제57호 [2015]
  • 「아방가르드와 키치」
    정수경 『철학과 현실』, 88호, 철학문화연구소 [2011]
  • 「아도르노 미메시스 개념의 의미」
    정석현 『철학논총』, vol.70, 새한철학 회 [2012]
  • 「시간과 정의: 벤야민 하이데거, 데리다」
    진태원 『철학논집』, 제34집, 서 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
  •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로베르토 쥬코>와 악의 윤리학」
    고해종 『한국 연극학』, 제61호, 한국연극학회 [2017]
  •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서용순 『철학논집』, 제27집, 서강 대학교 철학연구소 [2011]
  • 「바디우 철학에서의 공백(vide)의 문제」
    서용순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제8권 2호, 한국라캉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06]
  • 「라캉의 이미지론에서 지젝의 영화론으로 – 미혹의 스크린, 혹은 베일과 가면의 은유에 관한 고찰」
    김소연 『라캉과 현대정신분석』, 제15 권 1호, 한국라캉과현대정신분석학회 [2013]
  • 「데리다의 시원적 사유로서 『발생의 문제』」
    김민호 『철학사상』, 서울대 학교철학사상연구소, 제76호 [2020]
  • 「데리다와 현대 연극: 차연의 유사-변증법과 드라마」
    고해종 『미학』, 한 국미학회, 84권 3호 [2018]
  •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개념과 영향미학 – 퍼포먼스와 ‘수행적인 것’을 중심으로」
    김형기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4호, 한국브레히트학 회 [2011]
  • 「‘욕망’개념을 통해서 본 들뢰즈 철학의 의미 : ‘탈주’와 ‘생성’」
    김명주 『철학논총』, 57호, 새한철학회 [2009]
  • 「‘실재에의 열정’과 20세기의 주체성 - 20세기의 예술과 정치에 대한 바디우의 철학적 사유」
    서용순 『비평과 이론』, 제16권 1호, 한국비 평이론학회 [2011]
  • technischen Reproduziebarkeit/ Kleine Geschichte der Photographie)』, 최성만 역
    서울: 도서출판 길 [2016]
  • Writing and Difference
    [2002]
  • Writing Degreee Zero
    [1977]
  • Tragedy and Dramatic Theatre
    [2016]
  • Theory of Religion
    [1989]
  • Theodor W. Aesthetic Theory
    [2002]
  • The Visible and the Invisible ,
    [1968]
  • The Transformative Power of Performance : A New Aesthetics
    [2008]
  • The Foucault Reader
    [1984]
  • Simmel, Georg. 『배우의 철학(La Philosophie du Com dien)』, 신소영 역
    서울: 연극과 인간 [2010]
  • Schmitt, Arbogast. 『고대와 근대의 논쟁들: 문제로 읽는 서양철학사』, 이상인 편역
    서울: 도서출판 길 [2017]
  • Sauvagnargues, Anne. 『들뢰즈, 초월론적 경험론(Deleuze: L’Empirisme transcendantal)』, 성기현 역
    서울: 그린비 [2016]
  • Saussure, Ferdinand de. 『일반언어학 강의(Cours de linguistique generale)』, 최승언 역
    서울: 민음사 [1990]
  • Sartre, Jean-Paul. 『존재와 무(L'Etre et le Neant)』, 정소성 역
    서울: 동서문화사 [2011]
  • Sartre, Jean-Paul. 『자아의 초월성(La transcendance de l'Ego)』, 현대 유럽사상연구회 역
    서울: 민음사 [2017]
  • Rhapsody for the Theatre
    [2013]
  • Regimes of Historicity : Presentism and Experences of Time
    [2015]
  • ReadingCapital
    [1970]
  • Ranciere, Jacques.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Aux bords du politique)』, 양창렬 역
    서울: 도서출판 길 [2008]
  • Ranciere, Jacques. 『감성의 분할: 미학과 정치(Le partage du sensible : esthetique et politique)』, 오윤성 역
    서울: 도서출판b [2008]
  • Postdramatisches Theater
    [2005]
  • Postdramatic Theater
    [2006]
  • Plädoyer für ein dramatisches Drama
    [2007]
  • Pantheon Portatif)』, 이은정 역
    서울: 도서출판 길 [2013]
  • Nietzsche, Friedrich Wilhelm. 『니체전집14: 선악의 저편 도덕의 계보 (Jenseits von Gut und B se/Zur Genealogie der Moral)』, 김 정현 역
    서울: 책세상 [2010]
  • Nagel, Ernest.‧Newman, James., 『괴델의 증명(G del's Proof)』, 곽강제 ‧고중숙 역
    서울: 도서출판 승산 [2011]
  • Monnoyeur, Francoise(et al). 『수학의 무한 철학의 무한(Infini des mathematiciens, infini des philosophes)』, 박수현 역
    서울: 북 하우스 [2008]
  • Merleau-Ponty, Maurice. 『지각의 현상학』. 류의근 역
    서울: 문학과지 성사 [2002]
  • Menke, Christoph. 『미학적 힘: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Kraft: Ein Grundbegriff asthetischer Anthropologie)』, 김동규 역
    서울: 그린비 [2013]
  • Mathematics of the Transcendental
  • Marx, Karl. Engels, Friedrich. 『독일 이데올로기(Die deutsche Ideologie)』, 박재희 역
    파주: 청년사 [2013]
  • Lowy, Michael. 『발터 벤야민: 화재경보 -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읽기 (Fire Alarm: Reading Walter Benjamin's 'On the Concept of History')』, 양창렬 역
    서울: 난장 [2017]
  • Logics of Worlds : Being and Event Ⅱ
    [2008]
  • Limited Inc
    [1988]
  • Lehmann, Hans-Thies. 『포스트드라마 연극』, 김기란 역
    서울: 현대미 학사 [2013]
  • Lehmann, Hans-Thies.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계보학과 예술사적 의 미」, 『포스트 아방가르드 이후 연극의 방향성』
    한국연극학 회 국제 심포지움 자료집 [2012]
  • Lacan, Jacques. 『에크리( crits)』, 홍준기 외 3인 역
    서울: 새물결 [2019]
  • Lacan, Jacques. 『세미나 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Le s minaire: Les quatre concepts fondamentaux de la psychanayse)』, 맹정현 이수련 역
    서울: 새물결 [2008]
  • Kant, Immanuel. 『판단력 비판(Kritik der Urteilskraft)』, 백종현 역
    서 울: 아카넷 [2011]
  • Kant, Immanuel. 『순수이성비판1(Kritik der reinen Vernuft)』, 백종현 역
    서울: 아카넷 [2011]
  • Januar
    [2020]
  • Interview : Marina Abramović
    [2010]
  • Hughes, Joe.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입문(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황혜령 역
    파주: 서광사 [2014]
  • Heidegger, Martin.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 이기상 역
    서울: 까 치 [2010]
  • Heidegger, Martin. 『숲길(Holzwege)』, 신상희 역
    파주: 나남출판 [2020]
  • Hammermeister, Kai. 『독일 미학 전통(The German Aesthetic Tradition)』, 신혜경 역
    서울: 이학사 [2016]
  • Gumbrecht, Hans Ulrich. 『매혹과 열광(In Praise of Athletic Beauty)』, 한창호 역
    파주: 돌베개 [2010]
  • Gilloch, Graeme. 『발터 벤야민과 메트로폴리스(Myth and Metropolis Walter Benjamin and The City)』, 노명우 역
    파주: 효형출판 [2005]
  • Gewalt/Der S rrealismus)』, 최성만 역, 서울: 도서출판 길, Benjamin, Walter. 『발터 벤야민 선집 9: 서사 기억 비평의 자리』, 최성만 역
    서울: 도서출판 길, 2013 [2008]
  • Foucault, Michel. 『말과 사물(Les mots et les choses)』, 이규현 역
    서울: 민음사 [2012]
  • Eigler, Gunther. 『시간과 시간의식: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우구스티 누스, 훗설의 시간 이해(Metaphysische voraussetzungen in Husserls Zeitanalysen)』, 백훈승 역
    서울: 간디서원 [2006]
  • Didi-Huberman, Georges. 『반딧불의 잔존 - 이미지의 정치학 (Survivance des Lucioles)』, 김홍기 역
    서울: 도서출판 길 [2016]
  • Desert Islands and Other Texts 1953-1974Davic Lapoujade
    [2004]
  • Derrida, Jacques. 『정신에 대해서(De l'esprit : Heidegger et la question)』, 박찬국 역
    서울: 동문선 [2005]
  • Derrida, Jacques. 『신앙과 지식: 세기와 용서』, 신정아 최용호 역
    서울: 아카넷 [2016]
  • Derrida, Jacques. 『법의 힘(Force de Loi)』, 진태원 역
    서울: 문학과지 성사 [2016]
  • Derrida, Jacques. 『문학의 행위(Acts of Literature)』, 데릭 애트리지 편, 정승훈 진주영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3]
  • Derrida, Jacques. 『마르크스의 유령들(Spectres de Marx)』, 진태원 역
    서울: 그린비 [2014]
  • Deleuze, Gilles. 『차이와 반복(Diff rence et R p tition)』, 김상환 역
    서울: 민음사 [2012]
  • Deleuze, Gilles.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 박정태 편역
    서울: 이학사 [2007]
  • Deleuze, Gilles. 『니체와 철학(Nietzsche et la philosophie)』, 이경신 역
    서울: 민음사 [2010]
  • Deleuze, Gilles. 『경험주의와 주체성: 흄에 따른 인간본성에 관한 시론 (Empirisme et Subjectivite)』, 한정헌 정유경 역
    서울: 난장 [2012]
  • Deleuze, Gilles. 『감각의 논리(Francis Bacon Logique de la sensation)』, 하태환 역
    서울: 민음사 [2010]
  • Deleuze, Gilles. Guattari, F lix. 『천 개의 고원(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enie)』, 김재인 역
    서울: 새물결 [2003]
  • Debord, Guy. 『스펙타클의 사회(society of the spectacle)』, 이경숙 역
    서울: 현실문화연구 [1996]
  • Debatte und Kritik – Zwanzig Jahre Postdramatisches Theater
  • Colebrook, Claire. 『질 들뢰즈(Gilles Deleuze)』, 백민정 역
    파주: 태학 사 [2004]
  • Chiesa, Lorenzo. 『주체성과 타자성 - 철학적으로 읽은 자크 라캉 (Subjectivity And Otherness)』, 이성민 역
    서울: 난장 [2014]
  • Camera Lucida
    [1987]
  • Buck-Morss, Susan.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Dialectics of Seeing: Walter Benjamin and the Arcades Project)』, 김정아 역
    파주: 문학동네 [2016]
  • Bohrer, Karl Heinz. 『절대적 현존(Das absolute Pr sens)』, 최문규 역
    파주: 문학동네 [1998]
  • Benjamin, Walter.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반성완 편역
    서울: 민음 사 [2011]
  • Benjamin, Walter. 『발터 벤야민 선집1: 일방통행로 사유이미지 (Einbahnstrabe / Denkbilder)』, 김영옥 외 2인 역
    서울: 도서 출판 길 [2015]
  • Benjamin, Walter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 의 외( ber den Begriff der Geschichte/Zur Kritik der
  • Bataille, Georges. 『에로티즘(L’Erotisme)』, 조한경 역
    서울: 민음사 [2009]
  • Bataille, Georges. 『문학과 악(La litt rature et le mal)』, 최윤정 역
    서울: 민음사 [1995]
  • Badiou, Alain. 『존재와 사건(L’ tre et l’ v nement)』, 조형준 역
    서울: 새물결 [2013]
  • Badiou, Alain. 『조건들(Conditions)』, 이종영 역
    서울: 새물결 [2007]
  • Badiou, Alain. 『일시적 존재론(Court Traite d'ontologie transitoire)』, 박정태 역
    서울: 이학사 [2018]
  • Badiou, Alain. 『윤리학(L’ thique)』, 이종영 역
    서울: 동문선 [2001]
  • Badiou, Alain. 『알랭 바디우, 오늘의 포르노그래피(Pornographie du temps present)』, 강현주 역
    파주: 북노마드 [2015]
  • Badiou, Alain. 『세기(Le Siecle)』, 박정태 역
    서울: 이학사 [2014]
  • Badiou, Alain. 『비미학(Petit Manuel d'inesth tique)』, 장태순 역
    서울: 이학사 [2016]
  • Badiou, Alain. 『베케트에 대하여(On Beckett)』, 서용순‧임수현 역
    서울: 민음사 [2013]
  • Badiou, Alain. 『바그너는 위험한가(Five Lessons On Wagner)』, 김성호 역
    고양: 북인더갭 [2012]
  • Badiou, Alain. 『들뢰즈―존재의 함성(Deleuze: La clameur de l'Etre)』, 박정태 역
    서울: 이학사 [2015]
  • Badiou, Alain. Roudinesco, Elisabeth. 『라캉, 끝나지 않은 혁명 (Jacques Lacan, Passe Present)』, 현성환역
    파주: 문학동네 [2013]
  • Badiou, Alain
    『사유의 윤리 – 현대 프랑스 철학에 대한 헌사(Petit
  • Althusser, Louis. 『마르크스를 위하여(Pour Marx)』, 서관모 역
    서울: 후마니타스 [2017]
  • Agamben, Giorgio. 『세속화 예찬(Profanazioni)』, 김상운 역
    서울: 난 장 [2010]
  • After the End of Art
    [1997]
  • Adorno, Theodor W. 『부정변증법(Negative Dialektik)』 홍승용 역
    파 주: 한길사 [1999]
  • Adorno, Theodor W. Horkheimer, Max. 『계몽의 변증법(Dialektik der Aufklarung: Philosophische Fragmente)』, 김유동 외 역
    서울: 문예출판사 [1996]
  • Aczel, Amir. 『무한의 신비: 수학, 철학, 종교의 만남(The Mystery of the Aleph)』, 신현용‧승영조 역
    서울: 도서출판 승산 [2016]
  • A.J.Bartlett and Alex Ling, London and New York: Bloomsbury, 2014
    [2014]
  • 8인. 『사르트르의 미학』
    강충권 서울: 기파랑 [2017]
  • 6인.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
    김형기 서울: 푸른사상 [2011]
  • 3인. 『현대 독일 미학』
    김남시 서울: 이학사 [2017]
  • 18인. 『알튀세르 효과』, 진태원 편
    김정한 서울: 그린비 [2011]
  • 13인. 『퍼포먼스 연구와 연극』, 한국연극학회 편
    김기란 서울: 연극과 인간 [2010]
  • . 「흄의 도덕감정론에 나타난 반성개념의 역할과 도덕감정의 합리성 문제」
    양선이 『철학』 [2014]
  • . 「포스트드라마 연극에서 관객의 위치」, 『한국연극학』, 제42호
    이진아 한 국연극학회 [2010]
  • . 「포스트드라마 연극」, 『공연과 이론』, 제52권
    이재민 공연과이론을위한 모임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