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교수전략 연구 = A study on Korean History Teaching Strategies for Immigrant Adolescents

곽희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교수전략 연구 = A study on Korean History Teaching Strategies for Immigrant Adolesc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역사에 관한 교육과 연구,그밖에 관련된 주제
  • 공평교수
  • 다문화 교육
  • 역사교육
  • 중도입국청소년
  • 한국사 교수전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218 0

0.0%

'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한국사 교수전략 연구 = A study on Korean History Teaching Strategies for Immigrant Adolescents' 의 참고문헌

  • 중도입국 청소년의 조기적응 프로그램 운영실태 사례 및 발전방안 연구
    박성옥 『다문화교육연구』9(3),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6]
  •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기회와 적응 실태
    류방란 오성배 『다문화 교육연구』5(1),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2]
  • 『협동학습의 이해와 실천』
    정문성 교육과학사 [2008]
  • 『한국사 속의 다문화』
  • 『한국 역사 속의 문화적 다양성』
    박재영 경진출판 [2016]
  • 『초등 역사수업의 길잡이』
    권의신 책과함께 [2012]
  • 『융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차윤경 학지사 [2014]
  • 『우리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전국역사교사모 휴머니스트 [2002]
  • 『우리 역사를 바꾼 귀화 성씨』
    박기현 역사의 아침 [2007]
  • 『외국인을 위한 한국사』
    전국역사교사모 휴머니스트 [2010]
  • 『역사수업의 원리』
    김한종 책과함께 [2007]
  • 『역사수업의 길을 묻다』
    윤종배 휴머니스트 [2018]
  • 『역사는 왜 가르쳐야 하는가』
    Barton, K.C. Levstik, L.S. 역사비 평사 [2017]
  • 『역사교육의 이해』
    정선영 삼지원 [2001]
  • 『역사교육의 이론』
    양호환 책과함께 [2009]
  •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최상훈 책과함께 [2007]
  •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연구』
    김한종 선인 [2006]
  •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김한종 책과함께 [2005]
  • 『역사교육과 국가이미지』
    강택구 선인 [2018]
  • 『역사교육 새로보기』
    강선주 한울아카데미 [2015]
  •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전국역사교사모임 휴머니스트 [2008]
  • 『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천』
    김한종 책과함께 [2019]
  • 『사피엔스』
    유발하라리 조현욱 김영사 [2015]
  •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장인실 학지사 [2014]
  •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민호 박영스토리 [2015]
  • 『다문화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의 이론과 쟁점』
    김진희 박영스토리 [2019]
  • 『글로벌 시대의 다문화교육』
    차윤경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
  •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9 [2018]
  • 「협동학습을 통한 다문화 가정의 한국어 교육방안연구」
    어수진 『세계 한국어문학』5, 세계한국어문학회 [2011]
  • 「한국의 이해와 역사 교재 개발에 관한 요구 분석」
    전영은 『사회과 교육』57(4),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 「한국 문화 교육의 개선을 위한 역사 문화교육과정 시론」
    진대연 『교 육문화연구』21(4),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 「학습장애 위험군 청소년들의 성격 특성 탐색연구」
    홍성두 『학습장애 연구』8(1) [2011]
  • 「중학교 사회수업에 대한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경험이해」
    우희숙 『다문화교육연구』2(1),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09]
  •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권미경 이소연 『새국어교육』110,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 「중도입국청소년의 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 진로 및 취업을 중 심으로」
    배상률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2(3), 다문화아동청소년학회 [2017]
  • 「중도입국청소년 학업실태 및 진로포부에 대한 탐색적 연 구」
    양계민 조혜영 『청소년 복지 연구』14(3),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 「중도입국자녀 대상의 한국어 읽기 자료 개발 방안 연구 - 교과서 기반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 자료를 중심으로」
    노정은 장미정 한국리터러시 학회 [2019]
  • 「중도입국 학생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효율적 방안」
    류영철 『다문화와 평화』10(1),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적응 요인 연구 : 다문화 예비학교를 중심 으로, 학습자 중심 교과교육연구」
    권보근 17(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 「중도입국 청소년을 한국사 교재의 구성 및 체제」
    곽희정 『역사와 교육』 28, 역사와 역사교육학회 [2019]
  •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역사교재개발방안」
    곽희정 『다문화교육연구』 10(2),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7]
  • 「중국 조선족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관련 내용분석」
    강택구 박재영 『백 산학보』81, 백산학회 [2008]
  • 「일본의 다문화교육정책과 역사교육」
    김보림 『역사교육논집』49, 역사교육 학회 [2012]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표현 교육방안연구」
    강소정 『한민족문화연구』57, 한민족문화학회 [2017]
  • 「오스트레일리아의 역사교육과정 분석」
    김현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역사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 실행 방안 탐색」
    김선미 『역사교육논집 』49, 역사교육학회 [2010]
  • 「역사는 가르쳐야 하나」
    이인호 『역사비평』12 [1990]
  •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연구의 현황 및 문제」
    강선주 『역사교육』 113, 역사교육연구회 [2010]
  • 「역사교육에서 민족주의를 둘러싼 최근 논의」
    양정현 『역사교육』95, 역사교육연구회 [2005]
  • 「역사교사의 가르칠 궁리에 대한 반성과 공유」
    김민정 『역사교육』 117 [2011]
  • 「세계화시대 다문화사회를 위한 역사교육」
    김기봉 『철학과 현실』89 [2011]
  • 「비판적 사고교육을 위하 도덕수업 재구성」
    박세원 『한국초등교육』 22(1) [2011]
  •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의 개념 탐색」
    김종훈 『다문화교육연구』 8(5) [2015]
  •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에 대한 고찰: Ladson-Billings의 이론을 중심으로」
    나장함 『사회과교육』50(4),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종훈 『교육문화연구』24(2),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 「문화적 접촉과 교류의 역사」
    강선주 『역사교육연구』3, 한국역사교육학회 [2006]
  • 「문화감응교육의 재음미」
    정윤경 『교육사상연구』26(3), 한국교육사상 연구회 [2012]
  • 「문화감응교수법(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을 활용한 한 국사 수업 사례연구」
    곽희정 박재영 『역사와 교육』29집, 역사와 역사교육학회, 20 19 [2008]
  • 「도덕과에서 공평교수법의 함의에 관한 연구」
    추병완 『초등교육연구』 24,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 「다원적 관점의 역사이해와 역사교육」
    김한종 『역사교육연구』8, 한국역사 교육학회 [2008]
  • 「다문화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문화감응교수방법 개발」
    추병완 『교육 과정평가연구』1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 「다문화사회의 역사교육 캐나다 BC 주의 경우」
    김한종 『역사교육연구 』4, 한국역사교육학회 [2006]
  • 「다문화사회에서 문화교류사의 사회 치유적 역할」
    최병욱 『다문화콘텐 츠연구』13,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 기술연구원 [2012]
  • 「다문화교육의 내용체계 구축과 실천방안」
    김현덕 『비교교육연구』20(5),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김선미 『사회과교육학연 구』4,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2000]
  •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 모형탐구」,『초등교육연 구』21(2)
    장의선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5]
  •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현행 중학교 9종 역사교과서 고려시대 단 원분석」
    전영준 『대구사학』112 [2013]
  • 「다문화가정 학생 가르치기 (세 명의 초등교사가 찾아낸 효 과적인 수업지도의 방법들」
    황철형 『초등교육연구』27(2), 한국초 등교육학회 [2013]
  •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사회과 학습 실태에 관한 연구」
    장인실 『초등교 육연구』21(2),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 「다문화가정 중도입국청소년의 진로준비와 정착계획에 관한 탐 색적 연구」
    전경숙 『GRI 연구논총』19(1) [2017]
  • 「다문화 역사교육을 위한 교재개발 과정과 내용구성」
    박재영 『다문화콘텐츠연구』22,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6]
  •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학습 한국어 교수․학습 방안」
    권화숙 『새국어교육』113,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습 한국어 이해 실태 연구 –초등학 교 사회과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최근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 육』39권, 연세대 언어교육연구원 [2013]
  • 「내용중심교수법을 활용한 한국어 문화수업 설계방안」
    김윤주 『국어국 문학』184, 국어국문학회 [2018]
  • 「국제결혼가정 자녀들의 정체성 재구성」
    이민경 『교육사회학연구』 26(1)권,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 「국내다문화대안학교 현황과 특징에 관한 소고」
    조은혜 『교육비평』 35 [2015]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본 다문화가정 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이정우 『시민교육연구』45(2),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 「교육연극을 활용한 다문화 대안학교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실행연 구」
    김창아 『교육과학연구』44(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3]
  • 「교양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의 협동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순 『열린교육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26(1) [2018]
  • 「거꾸로교실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다문화교육」
    이민경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16(3), 학습자중심의 교과교육학회 [2016]
  • 「5학년 역사 내용 구성 방향」
    강선주 『역사교육』117 [2011]
  • “중도입국 청소년의 진로의식, 진로준비행동과 사 회적 지원 실태 탐색”
    서덕희 오성배 『중등교육연구』60(2), 중등교육연구소 [2012]
  • Working for equity in heterogeneous classroom
    [1997]
  • Whose history should be dealt with in a pluricultural context
    27 ( 4 ) [2016]
  • The Routledge international compan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방명애 외 공역)
    Banks, J. A. 시그마프레스 [2009]
  • Teaching for social justice , diversity , and citizenship in a global world
    68 ( 4 ) [2004]
  • Teaching Race in U.S. History : Examining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in a Multicultural Urban High School
    198 ( 1 ) [2018]
  • Teaching America ’ s Past to Our Newest Americans
    77 ( 4 ) [2013]
  • ResearchCurrents : Talk story and learning to read
    62 ( 4 ) [1985]
  • Reflection on a researchCareer : Perspective on 35 years of research at the Juniper Gardens ’ s Project
    66 , [1999]
  • Reconcepyualising Equity : Pedagogy forChinese Student in Australian School
    30 ( 3 ) [2003]
  • Race and histories : ExaminingCulturally relevant teaching in the U.S. historyClassroom
    41 [2013]
  • R.T. , Mainstreaming and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52 ( 6 ) [1986]
  • R. E. ,Cooperative learning &Cooperative school
    45 [1987]
  • Profoundly multicultural question
    60 [2002]
  • Preparing for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53 ( 2 ) , 2002.- 202 -
  • Newcomers to the U.S. : Developing historical thinking among latino immigrant student in a central texas high school
    34 [2011]
  •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lations. Allyn and Bacon. (김영순 외 공역)
    Johnson, D.W. Johnson, R.T. 교육과학사 [2010]
  • Multicultural education : Issue and perspective
    [1993]
  • Multicultural Education, (김옥순 외 공역)
    Bennett, C.I. 학지사 [2010]
  •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문승호 외 공역)
    Grant, C.A. Sleeter, C.E. 아카데미프레스 [2009]
  • Language, Culture, and Teaching: Critical Perspectives, (김영순 외 공역)
    Nieto, S. 북코리아 [2016]
  • G. , But that ’ s just good teaching ! The case for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34 ( 3 ) [1995]
  • Equity Pedagogy : An Essential Compon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34 ( 3 ) [1995]
  • Do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chievement and Equity, (김영순 외 공역)
    Grant, C.A. Sleeter, C.E. 북코리아 [2013]
  •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 Theory , research , and practice
    [2000]
  • Brophy , J.E. , Looking inClassroom
    [2008]
  • Attributes of effective schools for language minority students
    20 ( 4 ) [1988]
  • Approaches to teaching rac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 A cas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41 [2017]
  •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모경완 외 공역)
    Banks, J. A. 아카데미 프레스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