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보건의료체계 구축 과정 연구 = A Study on North Korea’s Construction Process

엄주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북한 보건의료체계 구축 과정 연구 = A Study on North Korea’s Construction Proces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역사
  • 구축사
  • 동의학
  • 무상치료제
  • 보건의료
  • 보건일군
  • 북한
  • 예방의학
  • 의사담당구역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05 0

0.0%

' 북한 보건의료체계 구축 과정 연구 = A Study on North Korea’s Construction Process' 의 참고문헌

  •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북한경제통계자료집 년 도』
    서울 : 한림대학교 출판부, 1994 [1946]
  •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근대문화유산 신문잡지분야 목록화 조 사 연구 보고서』
    서울 :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20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 프란시스 후쿠야마, 이상훈 역, 『역사의 종말』
    서울 : 한마음사 [1997]
  • 통일연구원, 『독일지역 북한기밀 문서집』
    서울 : 도서출판 선인 [2006]
  • 중앙일보 특별취재반, 『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상 하
    서울 : 중앙 일보사 [1992]
  • 이일학, 『남북한보건의료 7 : 북한보건의료법제-원문과 해설』
    이철수 서 울 : 계축문화사 [2006]
  • 아서 뉴스홈 존 아담스 킹스베리, 이미라 신영전 옮김, 『붉은 의료』
    서울 : 건강미디어협동조합 [2017]
  • 스티븐 엔디콧 등, 『한국전쟁과 미국의 세균전』
    서울 : 중심 [2003]
  • 세마쉬코, 신영전 신나희 역, 『소련의 건강보장』
    N.A 서울 : 건강미디어협 동조합 [2017]
  • 밀스, 김홍명 역, 『마르크스주의자들』
    C.W 서울 : 한길사 [1982]
  • 문미라, “사회주의 진영의 북한 의료지원과 교류-1958)”, 『의 학사』, 제28권 제1호
    김진혁 대한의사학회, 2019 [1945]
  • 등, 『통일 의료 : 남북한 보건의료 협력과 통합』
    신희영 서울 : 서울대학 교출판문화원 [2017]
  • 등, 『북한의 보건체계와 의료보장제도 연구』
    문옥륜 서울 : 의료보험관리 공단 [1989]
  • 등, 『북한 보건의료 현황과 대북 보건의료사업 접근전략』
    황나미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 등, 『남북한보건의료제도 비교연구』
    변종화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 등, 『남북한 의료제도의 통합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윤창열 서울 : 한국한의학연구원 [1998]
  • 등, 『남북한 보건의료 비교연구-북한실태를 중심으로』
    변종화 서울 : 국 토통일원 [1989]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7』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4』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44』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3』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35』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87]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5』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1』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0』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15』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81]
  •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10』
    평양 :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 김 일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인민 경제 발전 7개년~1967) [1961]
  • 계획에 대하여”
    『근로자』, 년 9호 [1961]
  • 『한국 보건의료운동의 궤적과 사회의학연구회』
    최규진 서울 : 한울엠플 러스 [2016]
  • 『통일뉴스』
    [2002]
  • 『중국 북한 동맹관계』
    최명해 서울 : 오름 [2009]
  • 『조선중앙연감』 1948~1970년
    조선중앙연감편집위원 평양 : 조선중앙통 신사, 1948~1970 [1948]
  • 『조선약학 년 제2호』, 평양 : 의학과학출판사, 2014. 하앙천, “우리 나라에서 문화 혁명의 가일층의 촉진을 위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
    편집위원회 『근로자』, 1958년 10호 [2014]
  • 『조선보건사』
    홍순원 평양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1]
  • 『조선로동당연구』
    이종석 서울 : 역사비평사 [1997]
  • 『조선대백과사전 18』
    백과사전출판사 평양 : 백과사전출판사 [2001]
  • 『조선교육사 3』
    김창호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90]
  • 『장편소설 인간생명』
    김삼복 평양 : 문학예술출판사 [2013]
  • 『인민보건사업 경험』
    승창호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1986]
  • 『인민보건 6』
    보건성 평양 : 인민보건사 [1949]
  • 『인민보건 3』
    보건성 평양 : 인민보건사 [1949]
  • 『인민보건 2』
    보건성 평양 : 인민보건사 [1949]
  • 『이재봉의 법정증언』
    이재봉 서울 : 도서출판 들녘 [2015]
  • 『역사는 끝났는가』
    송두율 서울 : 당대 [1995]
  • 『약업신문』
    [2001]
  • 『쏘련參觀記(3) 쏘련의保建』
    북조선인민위원회보건국 평양 : 조소문화협 회중앙본부 [1947]
  • 『신동아』
    년 11월호 [2005]
  • 『소련과 중국』
    송두율 서울 : 한길사, 년 [1990]
  • 『서양의학의 두 얼굴』
    이종찬 서울 : 도서출판 한울 [1992]
  • 『삶의 보금자리』
    림이철 평양 : 평양출판사 [2009]
  • 『북한최고인민회의자료집 제2집』
    국토통일원 서울 : 국토통일원 [1988]
  • 『북한최고인민회의자료집 제1집』
    국토통일원 서울 : 국토통일원 [1988]
  •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
    김연철 서울 : 역사비평사 [2001]
  • 『북한의 보건의료제도 분석』
    문옥륜 서울 : 국토통일원 [1989]
  • 『북한의 문학예술 운영체계와 문예 이론』
    전영선 서울 : 역락 [2002]
  • 『북한관계사료집 76』
    국사편찬위원회 과천 : 국사편찬위원회 [2014]
  • 『북한관계사료집 5』
    국사편찬위원회 과천 : 국가편찬위원회 [1987]
  • 『북한-중국관계: ~2000』
    이종석 서울 : 도서출판 중심, 2000 [1945]
  • 『북한 정치사 연구Ⅰ』
    김광운 서울 : 선인 [2003]
  • 『북한 경제의 재구성』
    박후건 서울 : 도서출판 선인 [2015]
  • 『북조선 실록』
    김광운 1 2 14 17 23, 서울 : 코리아 데이터 프로젝트 [2018]
  • 『민주청년』
    [1949]
  • 『민주조선』
    / 1948.01.24 [1947]
  • 『로동신문』
    년부터 1970년까지 [1945]
  • 『년대 사회주의 건설기의 북한 보건의료』
    황상익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1950]
  • 『남북한사회보건제도의 비교 및 통합방향』
    박진 이유수 서울 : 한국개발 연구원 [1994]
  • 『남북한 보건의료 3』
    박형우 서울 : 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2003]
  • 『남북한 경제구조의 기원과 전개』
    김성보 서울 : 역사비평사 [2000]
  • 『김정일시대의 조선, 오늘과 래일』
    장석 평양 : 평양출판사 [2002]
  • 『김정은시대 북한사회복지:페이소스와 뫼비우스』
    이철수 서울 : 도서출판 선인 [2020]
  • 『광명백과사전 5』
    백과사전출판사 평양 : 백과사전출판사 [2010]
  • 『건강보장의 이론』
    김창엽 서울 : 도서출판 한울 [2009]
  • 「통일부 북한지식사전」
    (온라인)
  • 「조선말대사전」
    (온라인)
  •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1」
    (온라인)
  • 「e-나라지표」
    (온라인)
  • 「The Library of Congress, Biographies of Soviet Korean Leaders」
    (온라인)
  • “해방이후~1950) 북한 경제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예대열 『사총』, Vol.86,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1945]
  • “해방 직후 북한의 국가예산~1948)”
    전현수 『한국사학보』, 제28호, 고려사학회, 2007 [1945]
  • “해방 직후 북한 의학교육의 형성: ~1948”
    조영수 허윤정 『의학사』, 제23권 제2호, 대한의사학회, 2014 [1945]
  • “해방 전후부터 정부 수립까지년-1948년)의 북한 보 건의료”
    김수연 황상익 『의사학』, 제16권 제1호, 대한의사학회, 2007 [1945]
  • “최응석의 생애: 해방 직후 보건의료체계 구상과 역할을 중심으로”
    김진혁 신영전 『의학사』, 제23권 제3호(통권 제48호), 대한의사학회 [2014]
  • “초대 보건상 리병남”
    로명준 『금수강산』, 년 9호.420 [1994]
  • “체제전화에 따른 러시아와 중국의 의료보장 개혁 비교”
    문경태 숭실대 학교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 “참여계획경제의 대외경제관계 모델 연구”
    하태규 『한국사회경제학회 학 술대회 자료집』, Vol.No.봄, 한국사회경제학회, 2014 [2014]
  • “중 소의 북한 내정간섭 사례연구 8월 종파사건”
    이종석 『세종정책연구』, 제6권 2호, 세종연구소 [2010]
  • “제1차 5개년 계획 기간에 있어서의 축적과 소비”
    로성국 『근로자』, 년 4호 [1958]
  • “정전 후 년대 북한의 정치 변동과 권력 재편”
    백준기 『현대북한연 구』, 2권 2호, 북한대학원대학교, 1999 [1950]
  •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조수룡 경희대학 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 “전당적, 전군중적 운동으로 지방공업을 더욱 발전시킬데 대한 경애하 는 수령 김일성동지의 교시를 철저히 관철하자”
    최창권 『근로자』, 년 14호 [1970]
  • “재북(在北)의사의 식민지 해방 기억과 정체성 재편~1950)”
    김진혁 『역사문제연구』, 제34호, 역사문제연구소, (2015 [1945]
  • “인민의 복리의 부단한 증진은 인민 민주주의 사회의 특징이다”
    한천일 『근로자』, 년 8호 [1955]
  • “인민 보건 사업 발전의 새로운 단계”
    지면식 『근로자』, 년 3호 [1960]
  • “의료에 대한 이념과 정책”
    이규식 『보건행정학회지』, 제17권 제3호, 보 건행정학회 [2007]
  • “우리 나라에서의 사회주의 건설과 기초 과학의 발전”
    도상록 『근로자』, 년 18호 [1964]
  • “우리 나라에서의 기술 인재 양성 사업에 대하여”
    김종항 『근로자』, 년 7호 [1962]
  • “우리 나라 사회주의 농촌 경리 발전에서의 집약화”
    김철영 『근로자』, 년 8호 [1964]
  • “우리 나라 사회주의 건설의 대고조와 완충기”
    신영빈 『근로자』, 년 4호 [1960]
  • “우리 나라 경제 발전에서의 완충기”
    한대영 『근로자』, 년 12호 [1959]
  • “용정의과대학(龍井醫科大學)의 설립과 운영”, 『의학사』, 제26권 제2호
    문미라 신영전 대한의사학회 [2017]
  • “소련과 동구 사회주의 국가간의 무역상품 구조분석”
    이기영 『슬라브연 구』, Vol.6 No.1, 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1990]
  • “선거운동의 의의와 당의 당면과업”
    주녕하 『근로자』, 창간호 [1946]
  • “사회주의농촌건설에서의 군의 역할”
    전대영 『근로자』, 년 11호 [1967]
  • “사회주의 북한의 경제동학과 정치체제”
    이정철 서울대학교대학원 정치 학 박사학위논문 [2002]
  • “사회주의 농촌 건설에서의 지역적 거점”
    김양선 『근로자』, 년 7호 [1964]
  • “북한의 위생방역제도 구축과 ‘인민’의식의 형성 : ~1950”
    김진혁 『한국사연구』, 167호, 한국사연구회, 2014 [1945]
  • “북한의 노동당 규약 개정과 권력구조”
    이기동 『국방연구』, 제54권 제1 호,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1]
  • “북한의 기술혁신운동과 현장 중심의 과학기술정책”
    강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박사학위논문 [2007]
  • “북한의 경제 발전론 재론: 년대 경제조정기제의 변화를 중 심으로”
    이정철 『현대북한연구』, 5권 1호, 북한대학원대학교, 2002 [1960]
  • “북한의 ‘생체정치(bio-politics)': 신체 통제와 규율화를 중심으 로”
    박영자 『현대북한연구』, 제7집 3호, 북한대학원대학교 [2005]
  • “북한의 ~1960년 중공업 우선 발전전략에 대한 재고찰”
    이창희 『통 일정책연구』, 22(1), 통일연구원, 2013 [1945]
  • “북한사회의 변화와 고등인력의 양성과 재편~1960)”
    신효숙 『현대 북한연구』, 8권 2호, 북한대학원대학교, 2005 [1945]
  • “북한보건의료제도에서 무상치료제의 함의”
    김흥석 고려대학교보건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10]
  • “북한 함흥의과대학 교수진의 구성, -48: 사상성과 전문성의 불안한 공존”
    김근배 『의학사』, 제24권 제3호, 대한의사학회, 2015 [1946]
  • “북한 주둔 중국인민지원군 철수에 관한 연구”
    이종석 『세종정책연구』, -19, 세종연구소, 2014 [2014]
  • “북한 전염병사 연구-2000)”
    김진혁 『연세의사학』, Vol.20-No.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2017 [1945]
  • “북한 의학잡지 연구-년대 『인민보건』을 중심으로”
    김옥주 『의학 사』, 제11권 제2호, 대한의사학회, 2002 [1950]
  • “북한 원조의 정치 경제학 : 년대 소련 중국 동유럽 사례”
    이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북한학 박사학위논문, 2018 [1950]
  • “북한 역사상 제1대 사건, 년 8월전원회의”
    조수룡 『내일을 여는 역사』, 74호, 내일을여는역사재단, 2019 [1956]
  • “북한 복지체제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 비교”
    민기채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사회복지학회 [2014]
  • “북한 ‘약학부문사업’과 보건의료 연구”
    김진숙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2]
  • “도시와 농촌 간의 경제적 련계에서 지방 공업이 노는 역할”
    홍승은 『근 로자』, 년 12호 [1964]
  • “남북한 보건의료통합의 방향과 정책과제”
    문옥륜 박인화 『보건사회연 구』, Vol.14 No.1, 보건사회연구원 [1994]
  • “남북한 보건의료관계법규 비교분석”
    김주희 『간호행정학회지』, Vol.4 No.2호, 한국간호행정학회 [1998]
  • “과학과 이데올로기의 사이에서: 북한 ‘봉한학설’의 부침”
    김근배 『한국 과학사학회지』, 제21권 제2호, 한국과학사학회 [1999]
  • “경락 계통의 발견은 현대 생물학과 의학에서의 일대 혁명이다”
    최창석 『근로자』, 년 24호 [1963]
  • “『김일성저작집』을 통해 본 북한의 보건의료 인식과 체계의 구 축”
    엄주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리승기의 과학’과 북한사회”
    김근배 『한국과학사학회지』, 제20권 제1 호, 한국과학사학회 [1998]
  • “-1960년대 국가형성기 북한의 생명정치와 사회주의 주체 형성”
    강진웅 『사회와 역사』, 제98집, 학국사회사학회, 2013 [1950]
  • V.George N.Manning, 고용복 편역, 『사회주의와 사회정책』
    서울 : 정음 문화사 [1989]
  • Unity or Diversity ? Task profiles of general practitioner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
    10 ( 4 ) [2001]
  • The socialist system :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sm
    [1992]
  • Ritter, 전광석 역, 『복지국가의 기원』
    Gerhard A. 서울 : 법문사 [2005]
  • National health systems and their reorientation towards health for all : guidance for policy-making
    [1984]
  • HEALTH CARE IN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1976]
  • , 『연구보고서2018 -36 : 남북한 보건복지제도 및 협력 방안』
    조성은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2018]
  • , 『북조선사회주의 체제성립사 1945~1961』, 서울 : 선인, 2005. 서동만저작집간행위원회, 『북조선 연구 서동만 저작집』
    서동만 서울 : 창비, 201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