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층적구조를통한분절된경험의재구성 -본인의작업을중심으로- = Reconstruction of articulated personal experience through multi-layered structures -focusing on the researcher’s own work-

신동희 2020년
' 다층적구조를통한분절된경험의재구성 -본인의작업을중심으로- = Reconstruction of articulated personal experience through multi-layered structures -focusing on the researcher’s own work-'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예술 순수와 응용
  • agencement
  • collage
  • digital colour
  • multi-layered structure
  • multiple viewpoints
  • non-linearity
  • personal experience
  • reconstruction
  • tactile-vision
  • visual narrative
  • 경험
  • 꼴라쥬
  • 다시점
  • 다층적 구조
  • 디지털색채
  • 배치
  • 비선형
  • 시각적 내러티브
  • 재구성
  • 촉각적 시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98 0

0.0%

' 다층적구조를통한분절된경험의재구성 -본인의작업을중심으로- = Reconstruction of articulated personal experience through multi-layered structures -focusing on the researcher’s own work-' 의 참고문헌

  • 철학문화연구소, , pp.63-85 [2006]
  • 할 포스터,『시각과 시각성』
    부산: 경성대학교출판부 [2012]
  • 할 포스터 외, 배수희 외 역,『년 이후의 미술사: 모더니즘, 반모 더니즘, 포스트 모더니즘』
    ㈜사이언스북스, 2011 [1900]
  • 푸코, 이상길 역,『헤테로토피아』
    미쉘 문학과 지성사 [2014]
  • 페네로페 도이처, 변성찬 역,『How to read 데리다』
    ㈜웅진싱크빅 [2007]
  • 카반느, 정병관 역,『마르셀 뒤샹: 피에르 카반느와의 대담』
    피에르 이화여대 출판부 [2000]
  • 찰리 기어, 임산 역,『디지털 문화』
    루비박스 [2006]
  • 질 들뢰즈 펠릭스 카타리, 김재인 역,『천 개의 고원』
    서울: 새물결 [2001]
  •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문혜진 역,『테마 현대미술 노트』
    두성북스 [2013]
  • 중앙일보 계간미술,『현대미술비평 30선: 최근 20년간 모더니즘과 후기 모더니즘, 사회정치적 관점의 주요비평집』
    서울: 중앙일보사 [1992]
  • 존 버거, 하태진 역,『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미학사 [1995]
  • 존 버거, 톰 오버턴 엮, 신해경 역,『존 버거의 예술론』
    파주: 열화당 [2019]
  • 존 버거, 이용은 역,『시각의 의미』
    동문선 [2005]
  • 존 버거, 박홍규 역,『피카소의 성공과 실패』
    ㈜아트북스 [2003]
  • 존 듀이, 이재언 역,『경험으로서의 예술』
    서울: 책세상 [2016]
  • 존 골딩, 니코스 스탠고스 편, 성완경 김안례 역,「입체파」
    『현대미술 의 개념』, , pp.69-111 [1995]
  • 제이, 전영백 외 역,『눈의 폄하』
    마틴 서광사 [2019]
  • 제이 에멀링,『20세기 현대예술이론』
    미진사 [2013]
  • 잰슨 A. F. 잰슨, 최기득 역,『서양미술사』
    H. W 미진사 [2008]
  •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이현복 역,『포스트 모던적 조건: 정보 사회에 서의 지식의 위상』
    서울: 서광사 [1992]
  • 이주은 역,『년 이후의 현대미술』
    마이클 아처 오진경 ㈜시공 사, 2007 [1960]
  • 윌리암 J. 미첼, 김은조 역,『디지털 이미지론: 포스트 포토그래픽 시대 에서 시각적 진실』
    아이비스 [2005]
  • 월간미술,『세계미술용어사전』
    중앙일보사 [2008]
  • 엮음,『데리다 읽기』
    이성원 문학과 지성사 [1997]
  • 엮음,『근세유럽의 미술사: 르네상스, 바로크, 로코코』
    이한순 ㈜서울 하우스 [2010]
  • 엮,『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윤난지 눈빛 [1999]
  • 엮,『근세유럽의 미술사 2: 르네상스, 바로크, 로코코』
    이한순 미진 사 [2015]
  • 역,『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
    마이클 여명숙 하임 서울: 책세상 [1997]
  • 역,『(개정판)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2』
  • 에르빈 파노프스키, 임산 역,『시각예술의 의미』
    ㈜도서출판 한길 사 [2013]
  • 에르빈 파노프스키, 심철민 역,『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상지사 [2014]
  • 에드워드 F. 프라이, 김인환 역,『큐비즘』
    미진사 [1992]
  • 앙리 푸앵카레, 이정우 이규원 역,『과학과 가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 아서 단토, 이성훈 김광우 역,『예술의 종말 이후』
    미술문화 [2004]
  • 아서 단토, 김한영 역,『무엇이 예술인가』
    서울: 은행나무 [2015]
  • 아서 I. 밀러, 정영목 역,『현대를 만든 두 천재: 아인슈타인 피카소』
    서울: 작가정신 [2002]
  • 아뽈리네르, 오병욱 역,『미학적 명상: 입체주의 화가들』
    기욤 일지 사 [1991]
  • 스티븐 홀츠먼, 이재현 역,『디지털 모자이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 스티븐 헨리 마도프, 한은경 역,「미국-새로운 전성시대: 설치미술」, 『미술세계』
    미술세계, , pp.116-119 [1994]
  • 스티븐 컨, 박성관 역,『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1880-』
    휴머니 스트, 2004 [1918]
  • 수전 블랙모어, 김명남 역,『밈: 문화를 창조하는 새로운 복제자』
    바 다출판사 [2010]
  • 사이버스페이스시대의 미학: 새로운 아름다움이 세상을 지배한다
    심혜련 ㈜살림출판사 [2006]
  • 빅토르 L. 타피에, 정진국 역,『바로크와 고전주의』
    까치글방 [2008]
  • 발터 벤야민, 최성만 역,『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서출판 길 [2011]
  • 메를로-퐁티, 류의근 역,『지각의 현상학』
    모리스 문학과 지성사 [2002]
  • 맥루한, 김상호 역,『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마셜 ㈜커뮤니케이 션북스 [2011]
  • 린튼, 윤난지 역,『20세기의 미술』
    노버트 도서출판 예경 [1997]
  • 리처드 도킨스, 홍영남 이상임 역,『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2018]
  • 리빙스턴, 주은정 역,『구상과 추상을 넘나드는 현대미술의 거 장: 데이비드 호크니』
    마르코 ㈜시공사 [2013]
  • 루돌프 아른하임, 김춘일 역,『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2006]
  • 롤랑 바르트, 조광희 역,『카메라 루시다: 사진에 관한 노트』
    열화당 [1989]
  • 롤랑 바르트, 김희영 역,『텍스트의 즐거움』
    동문선 [1997]
  • 로빈 메이 쇼트, 허라금 최성애 역,『인식과 에로스: 칸트적 패러다임 에 대한 비판』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9]
  • 레프 마노비치, 서정신 역,『뉴미디어 언어』
    ㈜생각의 나무 [2004]
  •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 김보경 역,『회화론』
    도서출판 기파랑 [2011]
  • 디지털 매체 예술에서 이미지의 문제
    심혜련 『미학 39집』, 미학, , pp.113-141 [2004]
  • 도시하루, 김경연 역,『사진과 회화: 원근법, 리얼리즘, 기억의 변모』
    이토우 도서출판 시각과 언어 [1993]
  • 데이비드 호크니, 남경태 역,『명화의 비밀: 호크니가 파헤친 거장들의 비법』
    한길아트 [2003]
  • 데이비드 웨이드, 김태은 박겸숙 임지연 역,『기하학과 미술』
    미진사 [2019]
  • 데이비드 볼터 리처드 그루신,『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데이비드 보드웰, 오영숙 유지희 역,『영화의 내레이션 2』
    시각과 언 어 [2007]
  • 데이비드 보드웰, 오영숙 역,『영화의 내레이션 1』
    시각과 언어 [2007]
  •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정헌 역,『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 스 [2012]
  • 데리다, 김성도 역,『그라마톨로지』
    자크 민음사 [2010]
  • 데리다, 김보현 역,『해체』
    자크 서울: 문예출판사 [1996]
  • 닐 콕스, 천수원 역,『입체주의』
    한길아트 [2003]
  •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백욱인 역,『디지털이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 스 [2010]
  • 네이던 노블러, 정점식 최기득 역,『미술의 이해』
    도서출판 예경 [1993]
  • 기 드보르, 유재홍 역,『스펙터클의 사회』
    도서출판 울력 [2014]
  • 게이퍼드, 주은정 역,『데이비드 호크니와의 대화: 다시, 그림이 다』
    마틴 디자인하우스 [2019]
  • 『현대미술의 풍경』
    윤난지 한길아트 [2012]
  • 『현대미술의 전략』
    최광진 아트북스 [2004]
  • 『현대미술 강의: 순수 미술의 탄생과 죽음』
    조주연 ㈜글항아리 [2017]
  • 『해체론』
    조교형 ㈜살림출판사 [2008]
  • 『한국화 감상법: 현대 한국화의 전개와 이해』
    박용숙 ㈜대원사 [1999]
  • 『코끼리의 방』
    전영백 두성북스 [2016]
  • 『존 듀이의 경험교육론』, 서울: 문음사, 수잔 헤이워드, 이영기 최광열 역,『영화사전: 이론과 비평』
    송도순 한나래, 2012 [2004]
  • 『임천고치』
    곽사 곽희 열화당 [1989]
  •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인문주의와 미술』
    임영방 ㈜문학과 지성사 [2003]
  • 『예술의 형이상학적 해명: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조중걸 한권의 책 [2013]
  • 『예술가를 위한 형이상학』
    김상환 민음사 [2000]
  • 『여성과 미술』
    김홍희 눈빛 [2003]
  • 『시각과 현대성』
    주은우 서울: 한나래 [2003]
  • 『수학사』
    김용운 ㈜살림출판사 [2013]
  • 『바로크: 17세기 미술을 중심으로』
    임영방 한길아트 [2011]
  • 『바로크, 바로크적인』
    한명식 연암서가 [2018]
  • 『미학으로 읽는 미술』
    오병남 ㈜월간미술 [2007]
  • 『미술을 철학한다.』
    이광래 미술문화 [2007]
  • 『미술관에서 인문학을 만나다』
    이광래 미술문화 한국문화예술위원 회 [2010]
  • 『디지털시대의 문화읽기』
    최혜실 소명출판 [2001]
  • 『데리다의 해체철학』
    김형효 민음사 [1993]
  • 『노마디즘 2: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 철학적 유목』
    이진경 서 울: 휴머니스트 [2006]
  • 『노마디즘 1: 천의 고원을 넘나드는 유쾌한 철학적 유목』
    이진경 서 울: 휴머니스트 [2007]
  • 『기하학으로 본 데이비드 호크니의 꼴라주』
    박순기 도서출판 이마지 네 [2014]
  • 『근대적 시 공간의 탄생』
    이진경 도서출판 푸른숲 [1997]
  • 『Theorise and documents ofContemporary ar t』
    [2012]
  • 『The forth dimension and non-Euclidean geometry in modern-art』
    [2013]
  • 『That ’ s the way I see it』
    [1993]
  • 『Neo Rauch : neue Rollen : paintings 1993-2006』
    [2007]
  • 『Hockney on photography :Conversations with Paul Joyce』
    [1988]
  • 『Dialogues with Marcel Duchamp』
    [1987]
  • 『Art andCulture
  • 「현대회화에서 원근법과 큐비즘 공간」
    조광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 0』, 한국기초조형학회, , pp.507-517 [2009]
  • 「플라톤의 실재관: 실재(to on), 이데아의 부산물인가 시뮬라 크르의 원인인가?」
    박치완 『철학과 문학 12집』, 한국외국어대학교
  • 「클레멘테 그린버그의 미술론에 관한 연구」
    조주연 박사학위논문, 서 울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2002]
  •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 메멘토 분석: 쇼트배열과 시제 구조 중심으로」
    이세영 임재식 『글로컬 창의 문화연구 6』, 글로컬 창의 문 화연구, , pp.94-106 [2017]
  • 「쿠르트 슈비터즈의 콜라주 작품에 나타난 대량 인쇄물의 조형 적 특성」
    오진경 『현대미술사 연구』, 현대미술사학회, , pp.9-27 [1995]
  • 「죠르쥬 루쓰」
    조현진 『MARU 78』, 현대건축 사, , pp.28-31 [2008]
  • 「정동의 장치와 주체화 연구방법-미디어 비오그라피: 푸코, 아 감벤, 들뢰즈의 장치의 주체화, 배치에 대한 사유를 중심으 로」
    강진숙 『커뮤니케이션 이론 11』, 한국언론학회, , pp.4-37 [2015]
  • 「이미지 수용의 변화 읽는 이미지에서 지각하는 이미지로」
    심혜련 『범한철학회 70』, 범한철학회, , pp.487–513 [2013]
  • 「영화적 다시점구조에 의한 내러티브 연구」
    김효일 『한국디자인학회 20』, 한국디자인학회, , pp.155-166 [2007]
  • 「신 라이프치히 화파의 성장배경과 발달사례 연구: 세계미술시 장에서의 위치와 마케팅 전략을 중심으로」
    오병희 『유럽문화예술학논 집 제16집』, 유럽문화예술학회, , pp.1-16 [2017]
  • 「시지각의 촉각적 성격에 관한 연구–근대 철학에서의 촉각 개 념에서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까지」,『철학과 현상학 연구 61』
    정지은 한국현상학회, , pp.5-33 [2014]
  • 「시간여행 영화의 비선형적 사유: 도니 다코를 중심으 로」
    김민중 최영진 『문학과 영상 11』, 문학과 영상, , pp.833-852 [2010]
  • 「미학의 시대에서 비평의 시대로: 아서 단토에 있어서 거대 내 러티브의 종말과 그 이후의 미술」
    장민한 『현대미술학 논문집 10』, 현대미술학, , pp.37-65 [2006]
  • 「미술 속의 인터페이스: 르네상스 이후 미술에서 스크린과 프레 임 개념」
    전혜숙 『인터-페이스와 다매체 미학』, 이화인문과학원, , pp.65-88 [2010]
  • 「루스 이리가라이의 촉각성에 근거한 시각의 재개념화」
    김지혜 박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학과 [2008]
  • 「대중매체에 관한 발터 벤야민의 미학적 고찰이 지니는 현대적 의의」
    심혜련 『미학 30집』, 미학, , pp.169-208 [2001]
  • 「Universal darwinism : its scope and limit s」 , 『Rationis defensor : essays in honour ofColinCheyne』
    pp.43-55 [2012]
  • http://www.teleportacia.org/war/war2.htm
  • http://www.georgelegrady.com/
  • futrusim and constructivism』
    [1974]
  • Neo Rauch and the carnival of european art by Maggie Gray
  • Neo Rauch : mechanic of dreams by David Molesky
  • Interview : Artist Neo Rauch by Tara Loader Wikinson
  • Hélène Cixous·Jacques Derrida,『Veils』, Standford University Press, 2001.
  • C. Escher ’ s legacy : a centennial celebration
    [2005]
  • Boom magazine, Neo Rauch by Sabine Russ, published in the December 2014 issue of Boom.
    issue of Boom .
  • A painting should be more intelligent than its painter ’ by Paul Laster , published in the November 2019 issue of Conceptual Fine 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