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 비즈니스, A Good Business> : 탈북 다큐멘터리에서 여성 캐릭터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이학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굿 비즈니스, A Good Business> : 탈북 다큐멘터리에서 여성 캐릭터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대중 공연예술
  • 다큐멘터리
  • 르네 지라르
  • 북한
  • 여성
  • 영화
  • 자크 라캉
  • 정신분석
  • 젠더
  • 캐릭터
  • 탈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772 0

0.0%

' <굿 비즈니스, A Good Business> : 탈북 다큐멘터리에서 여성 캐릭터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올드마린보이> [2017]
  • <그림자꽃> [2019]
  • <김정일리아> [2009]
  • <마담 B> [2016]
  • <서울트레인> [2004]
  • 펠릭스, 이준서 옮김, 『현대 영화이론의 모든 것』
    위르겐 앨피 [2018]
  • 캘시 우드, 박현정 옮김, 『한권으로 읽는 지젝』
    인간사랑 [2018]
  • 조선일보 100년사 편찬실, 『간추린 조선일보 100년사: 민족과 함께 한 세기』
    조선일보사 [2020]
  • 이미선 권택영 옮김, 『욕망 이론』
    라캉 민승기 자크 문예출판사 [2009]
  • 유엔기구 “올해 北함경북도 수해 50∼60년 사이 최악”
    곽명일 연합뉴 스 [2016]
  • 옮김, 『자크 라캉 세미나 11-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개념”』
  • 옮김, 『에크리』
  • 앤서니 기든스 필립서튼, 김미숙 김용학 박길성 송호근 신광영 유홍준 정 성호 옮김, 『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2018]
  • 슬라보예 지젝, 주은주 옮김,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
    한나래 [1997]
  • 슬라보예 지젝, 이성민 옮김,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
    도서출판 비 [2007]
  • 슬라보예 지젝, 오영숙 곽현자 김소연 김숙 옮김, 『진짜 눈물의 공포』
    울력 [2004]
  • 빌 니콜스, 이선화 옮김, 『다큐멘터리 입문』, 한울, 슬라보예 지젝, 김소연 유재희 옮김, 『삐딱하게 보기』
    시각과 언어, 1995 [2005]
  • 브루스 핑크, 맹정현 옮김, 『라캉과 정신의학』
    민음사 [2002]
  • 본 버거, 최민 옮김, 『다른 방식으로 보기』
    열화당 [2012]
  • 박진선 박무늬, 「영화 아가씨에 나타난 여성재현 연구: 여성성과 젠더 이데올리기를 중심으로」
    민혜영 『씨네포럼』 제27권 [2017]
  • 마리, 전수일 옮김, 『영화분석의 패러다임』
    미셸 오몽 자끄 현대미학 사 [1999]
  • 르네 지라르, 김치수 송의경,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한길사 [2001]
  • 그렉 스칼라튜, 「잊혀진 아이들: 중국에 거주하는 탈북 고아와 혼혈아 들」
    『통일연구원 학술회의 총서』 [2012]
  •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스토리텔링 전략』
    김혜원 『영상문화콘텐츠 연구』 제5권 [2012]
  • 『컴북스이론총서 : 르네 지라르』
    김진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
  • 『천국의 국경을 넘다』
    이학준 청년정신 [2011]
  • 『질적 연구방법론』
    박휴용 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 『성 역할과 여성』
    임정빈 정혜정 학지사 [1997]
  • 『상징계-실재계-상상계』
    임진수 파워북 [2012]
  • 『사람으로 살고 싶었다』
    이학준 쌤앤파커스 [2012]
  • 『북쪽의 나눅: 로버트 플래허티의 북극 탐험과 다큐멘터리 영화 의 탄생』
    이기중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르네 지라르』
    김모세 살림출판사 [2008]
  •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
    문원립 『영화연구』 제43권 [2010]
  • 『구조자』
    김성은 도서출판영성네트워크 [2014]
  • 『“북조선 여성”, 장마당 뷰티로 잠자던 욕망을 분출하 다!』
    김석향 박민주 229-252 [2019]
  • 「희생양 매커니즘 적용을 통한 케이팝 걸그룹의 졸업제 도 연구」
    김정환 이학준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 논문지』, 제14권 제2호 [2020]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리의 내연적 확장 사례 연구 : 〈기동전사 건담〉 우주세기 0068~0096까지를 중심으로」
    김신엽 김희경 『애니 메이션연구』 제14권 제3호 [2018]
  • 「탈북청소년 및 북한이탈주민 자녀 지원정책분석 및 효과적 지원방안 모색」
    이기영 『NKRF 연구총서』 [2014]
  • 「탈북자의 인권침해실태와 보호방안」
    김강녕 『통일전략』 제6권 제1 호 [2006]
  •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생활 실태조사: 년도 553명의 탈북자들에 대한 조사를 중심으로」
    엄진섭 윤덕용 전우택 『통일연구』 제7권 제1호, 2003 [2001]
  • 「탈북자 정체성의 정체학 : 종편에서의 탈북미녀의 등장과 탈북 자 정체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오원환 『한국방송학보』 제30권 제3호 [2016]
  • 「탈북자 인권관련 비정부기구 활동의 효율성 평가」
    김욱성 『통일전 략』 제9권 제3호 [2009]
  • 「탈북의 영화적 표상과 공간 상상」
    오영숙 『영화연구』 제51권 [2012]
  • 「탈북을 다룬 다큐멘터리의 의미전달 체계」
    김승 『한국문화기술』 제20호 [2016]
  • 「탈북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김경숙 『한국 기독교상담학회지』 제29권 제3호 [2018]
  • 「탈북여성들은 문화를 향유하고 있는가?: 남한 정착 10년 이상 된 여성들을 중심으로」
    이문숙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 집』 [2018]
  • 「탈북여성 관련 양적 연구동향 분석」
    심우찬 이순민 『한국콘텐츠학 회 논문지』 [2018]
  • 「탈북 사건 보도의 행위자-네트워크: 언론보도에 의한 <탈북 루트>의 해체 과정을 중심으로」
    김병선 이호규 『언론과학연구』 제15 권 제1호 [2015]
  • 「타자로서의 부모, 욕망하는 주체로서의 자녀: 자크 라캉과 슬라 보예 지젝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철 『기독교정보교육』 제41권 [2014]
  • 「키에슬롭스키 영화에서 관객의 주체화 문제 제기」
    김종완 이학준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제30호 [2009]
  • 「치유되지 않은 탈북: 중국강제북송탈북자와 비북송탈북자 간의 인권침해정도의 차이」
    변주나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 지』 제8권 제8호 [2018]
  • 「중국거주 탈북자 난민인정 문제와 한국의 난민정책」
    국민호 『전남 대학교 세계한상문제연구단 국제학술회의』 [2017]
  • 「주체화와 정신윤리분석」
    김석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정기학 술대회』 [2016]
  • 「정신분석학의 입장에서 본 캐릭터 연구」
    윤보협 『한국영화학회 학 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 「재중탈북자의 난민 인정 여부와 법적 보호 방안: 중국법 과 국제인권법 비교를 중심으로」
    정상우 최희 『공법학연구』 제18권 제4호 [2017]
  • 「욕망: 욕망의 욕망」
    김선규 『현대사상』 제1권 [2007]
  • 「왜 다큐멘터리인가」
    문원립 『영화연구』 제62호 [2014]
  • 「영화치료의 정신분석적 요소」
    백상빈 『라깡과정신분석』 제7권 [2005]
  • 「영화가 탈북자를 다루는 시선들」
    강성률 『현대영화연구』 제12권 [2011]
  • 「영화 이해의 길잡이」
    정재형 개마고원 [2003]
  •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의 여성 히스테리 신경 증 분석」
    장영 차승재 『씨네포럼』 제34권 [2019]
  • 「영화 <방자전>에 나타난 욕망의 모방적 양상 연구」
    손민영 정원식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20권 제6호 [2017]
  • 「시기별 탈북자성향 분석과 한국의 복지정책」
    정주신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2017]
  • 「시각적 연구방법에 대한 인식론적 방법론적 고찰」
    김아미 『교육인 류학연구』 제20권 제1호 [2017]
  • 「소외와 분리: 욕망의 윤리가 발생하는 두 가지 결정적 순간」
    김석 『현대정신분석』 제10권 제2호 [2008]
  • 「성 서비스 영역에 참여한 탈북여성의 경합과 생존전략」
    권금상 『현 대북한연구』 제21권 제3호 [2018]
  • 「서울의 풍경들; 블로거들의 서울 사진과 공간 경험에 대한 영 상방법론적 접근」
    홍석경 『언론과 사회』 제23권 제2호, 다. 기타 [2015]
  • 「새로운 환경에 따른 북한인권법의 제정과 탈북자의 난민성에 대한 고찰」
    한희원 『법학연구』 제50권 [2013]
  • 「분단과 전재의 유산, 남북 이산(분단 디아스포라)의 역사」
    김보영 『역사학보』 제212호 [2011]
  • 「북한주민, 탈북자, 북한이탈주민: 시공간적 경험 공유 집단 분석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속성 재해석」
    신효숙 『통일인문학』 제67권 [2016]
  • 「북한이탈주민 탈북과정에서의 인신매매범죄 피해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연성진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8]
  • 「북한이탈가정 유아의 남한 입국 전 탈북과정 경험」
    강재희 『유아교 육연구』 제31권 제4호 [2019]
  • 「미국으로 간 탈북자의 정착과 적응에 관한 질적연구」
    전명희 『한국 사회복지학』 제64권 제4호 [2012]
  • 「러시아의 북한인권에 대한 인식과 동향」
    우평균 『세계지역연구논 총』 제29권 제3호 [2011]
  • 「동북아 탈북자지원 NGO의 현황과 전망」
    유호열 『통일연구원 협동 연구총서』 [2005]
  • 「동남아의 북한 인권정책: 탈북자 문제를 중심으로」
    이동윤 『동서연 구』 제21권 제2호 [2009]
  •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리에 대한 고찰」
    형대조 『영화연구』 제62권 [2016]
  • 「난민의 개념과 그 보호」
    이용호 『국제법학회논총』 제52권 제2호 [2007]
  • 「난민과 탈북자의 윤리적 문제」
    이종원 『기독교사회윤리』 제34권 [2016]
  • 「김정은 시대 탈북현상과 북한이탈주민 지원제도에 대한 고 찰」
    김혜림 『민족연구』 제66권 [2016]
  • 「국제기구를 통한 탈북자 보호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UNHCR 및 UN 인권이사회를 중심으로」
    조정현 『통일정책 연구』 제19권 제2 호 [2010]
  • 「국내 입국 탈북여성의 경계짓기: ‘직행’과 ‘중국행’ 사이의 차이 를 중심으로」
    강동완 『정치정보연구』 제22권 제1호 [2019]
  • 「관객으로서의 탈북자: 탈북자의 자시표성과 영화수용」
    오영숙 『영 화연구』 제55권 [2013]
  • 「TV/영화 다큐멘터리 서사비교 연구」
    김춘수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 「<워낭소리>에서 이미지와 소리의 허구적 동시성에 관한 연 구」
    문원립 『현대영화연구』 제5권 제2호 [2009]
  • “탈북자 수 매년 1100~1400명 수준”
    김수한 헤럴드경제 [2019]
  • “정부, 재입북 탈북자 2명 신원 확인”
    안정식 SBS [2013]
  • “윤재호 감독 ‘마담 B’, 모스크바 국제영화제 기록영화 최고작품 상”
    장지영 국민일보 [2016]
  • “또 한번 세계의 가슴을 칩니다”
    김영석 조선일보 [2011]
  • “두리하나선교회 천기원목사 관련 루머 일단락”
    윤주이 크리스쳔투데 이 [2009]
  • “꽃제비 진혁이의 슬픈 겨울”
    박창규 채널 A [2012]
  •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다시 열리면 그것이 통일”
    이치열 미디어오늘 [2018]
  • “국정원 직원이 6만 위안 줘 북 종업원들 탈출시켰다”
    김진철 한겨레신 문 [2016]
  • “<조선> ‘천국의 국경’ 연출된 것 Vs. 말도 안 돼”
    홍현진 오마이뉴스 [2013]
  • Not Nobel Winners
    [2007]
  • Flight from Hell
  • Fleeing North Korea
  • <탈북 그후
    어떤 코리안> [2013]
  • <천국의 국경을 넘다
    Crossing Heaven’s Border> [2008]
  • <머나먼 여행
    Phantoms of the Border> [2013]
  • <굿 비즈니스
    A Good Busines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