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양태의 정형성 및 유형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전문이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양태의 정형성 및 유형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남아문학
  • 개념적혼성
  • 당위양태
  • 동적양태
  • 양태
  • 영상 도식
  • 유형
  • 인식 양태
  • 인지언어학
  • 정형성
  • 한국어
  • 힘역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48 0

0.0%

' 한국어 양태의 정형성 및 유형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의 참고문헌

  • 회상문의 인칭제약과 책임성
    김영희 『국어학』 10. 37-80쪽 [1981]
  • 환유 표현의 의미특성
    임지룡 『인문논총』 55, 265-300쪽 [2006]
  • 현대 국어의 선어말어미에 대한 구조적 연구
    고영근 『어학연구』 3-1, 51-63쪽 [1967]
  • 현대 국어의 문체법에 대한 연구
    고영근 『어학연구』 12-1, 17-53쪽 [1976]
  • 한국어의 의외성 범주의 실현과 그 양상
    조용준 『한말연구』 40, 251-278쪽 [2016]
  • 한국어의 서법 연구
    박선자 『우리말연구』 3, 77-114쪽 [1993]
  • 한국어의 서법
    김일웅 『우리말연구』 3, 41-75쪽 [1999]
  • 한국어의 구어와 말뭉치
    서상규 『한국어 교육』 24-3, 71-107쪽 [2013]
  • 한국어의 가능성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어 문법 교육의 관점에서-
    남신혜 『새국어교육』 107, 399-432쪽 [2016]
  • 한국어에서 증거성이나 의외성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박진호 『언어와 정보』 15:1-25 [2011]
  • 한국어에서 ‘바람(wish)’ 개념의 실현 방책과 범주에 대하여
    도재학 『어문논집』 78, 361-390쪽 [2016]
  •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표현 연구: 문법표현 선정과 등급화를 중심으로
    유소영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한국어교육을 위한 구문표현 연구
    최윤곤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법 교육 내용 기술의 원칙
    양명희 『어문논집』 59, 407- 432쪽 [2014]
  • 한국어 환유 표현의 체계적 분류 방법
    박재연 『한국어 의미학』 45, 1-30쪽 [2014]
  • 한국어 학습자의 양태 표현 습득에 나타난 문법 능력과 화용 능력 의 발달 관계 연구
    이정란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 한국어 학습자의 논증텍스트에 나타난 양태표현의 의미 기능연구- ‘-(으)ㄹ 것이-’의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채윤미 『문법 교육』 32, 157-182쪽 [2018]
  • 한국어 평가양태에 대한 연구
    김병건 『국제어문』 70, 7-28쪽 [2016]
  • 한국어 추측표현의 의미 차이에 관한 연구
    김동욱 『국어학』 35, 171-197쪽 [2000]
  • 한국어 첨사의 양태 기능 교육 방안 연구-기능의미의 메타언어를 활용하여-, 『한국어 문법 교육』 34, 399-425쪽. 홍재성(1989),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홍윤기 탑출판사 [2007]
  • 한국어 증거성표지의 중복 실현과 통사 영역
    송재목 한국언어학회 학술 대회지, 221-228쪽 [2009]
  • 한국어 증거성 표지의 중복 실현
    송재목 『비교문화연구』 22, 355-375쪽 [2011]
  • 한국어 종결어미 ‘-네’의 의미: 증거성 및 의외성과 관련해서
    정경숙 『언어』 37-4, 995-1016쪽 [2012]
  • 한국어 종결어미 ‘-네’의 의미 재고찰 : 정경숙(2012)에 대한 다른 생각
    권익수 『언어』 38-1, 53-66쪽 [2012]
  • 한국어 의지 의도 표현들의 의미 비교
    장채린 『한국어 의미학』 56, 1-34 [2017]
  • 한국어 의도 관련 어미의 환유적 의미 확장
    박재연 『국어학』 68, 253-288쪽 [2013]
  • 한국어 요청 화행의 적절성에 대한 태국인의 인식과 숙달도
    이해영 『이중 언어학』 42, 219-241쪽 [2010]
  • 한국어 문법의 체계와 교육 내용 구축 방안
    박동호 『이중언어학』 34, 159-184쪽 [2007]
  • 한국어 문법교육을 위한 표현문형 연구
    종장지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5]
  • 한국어 교재의 문형 유형 분석 -문형 등급화를 위해-
    강현화 『한국어교육』 18-1, 1-21쪽 [2007]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체계에 대하여
    고경태 『한국어학』 41, 183-206쪽 [2008]
  • 한국어 교육에서 ‘-겠-’과 ‘-(으)ㄹ 것이다’의 의미와 교육 방안 연구
    김은경 『한국어교육연구』 3, 33-52쪽 [2015]
  • 한국어 교육 중급 문법, 표현 항목 선정에 대한 일고찰
    양명희 이선웅 『반교 어문연구』 36, 65-92쪽 [2014]
  • 한국어 공손현상과 ‘-겠-’의 화용론
    전혜영 『국어학』 26, 125-146쪽 [1995]
  • 한국어 ‘증거성’ 종결어미 ‘-네’
    송재목 『언어』 39-4, 819-850쪽 [2014]
  • 학교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성격과 내용 체계
    이관규 『문법 교육』 13, 29-56쪽 [2010]
  • 추측과 의지의 양태 표현 ‘-겠-’과 ‘-(으)ㄹ 것이다’의 교육 방안 연구
    강현주 『이중언어학』 43, 29-53쪽 [2010]
  • 주어 지향적 양태와 관련한 몇 문제
    박재연 『한국어학』 44, 1-25쪽 [2009]
  • 종결어미와 통합하는 ‘보다’ 구문에 대하여: ‘-ㄴ가 보다’, ‘-ㄹ까 보다’를 중심으로
    정혜선 『국어학』 59, 45-66쪽 [2010]
  • 종결어미 ‘-ㄹ걸’의 기능과 문법적 특성
    최동주 『국어학』 54, 225-250쪽 [2009]
  • 조동사 ‘보다’의 의미
    이기동 『애산학보』 6, 121-147쪽 [1988]
  • 조동사 ‘놓다’의 의미 연구
    이기동 『한글』 163, 465-496쪽 [1979]
  • 정신공간을 통한 시제의 의미 분석
    이종열 『한국어 의미학』, 6-6, 211-231쪽 [2000]
  • 정신공간 이론의 회고와 전망
    권익수 『담화와 인지』 26, 1-43쪽 [2019]
  • 인식 시제인가, 인식 양태인가
    한동완 『형태론』 6-1, 137-150쪽 [2004]
  • 의존명사 구문의 양태적 고찰
    김건희 시정곤 『한국어학』 44, 177-212쪽 [2009]
  • 의외성에 대한 대안적 고찰: 한국어를 바탕으로
    정해권 『언어』 43-1, 129-153쪽 [2018]
  • 의무 양태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이동혁 『우리말연구』 51, 137-159쪽 [2017]
  • 유형론과 정신역학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서법과 양태
    목정수 『한국어학』 70, 55-108쪽 [2016]
  • 우언적 구성의 개념과 유형애 대하여
    도재학 『국어학』 71, 259-304쪽 [2014]
  • 용언토의 분석과 양태 범주
    신창순 『국어학』 29, 139-169쪽 [1997]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내용 설정 연구
    김재욱 『문법교육』 10, 65-91쪽 [2009]
  • 외국인 학습자용 한국어 문법 교재의 문법 제시 방안 연구-담화 맥락 정보를 중심으로 -
    정미진 『한국어 교육』 23-1, 307-329쪽 [2012]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김재욱 『이중언어학』 22, 163-179쪽 [2003]
  • 외국어로서의 한국 교육을 위한 새 문법 체계
    서정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27-1, 1-47쪽 [2002]
  • 언어와 추정, 『국어학』 6
    이기용 국어학회 [1978]
  • 언어 범주별 교육 자료 개발 : 문법과 어휘의 경우
    허용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9-59쪽 [2004]
  • 어휘 접근적 문법교수를 위한 표현 문형의 화행기능 분석-‘-어야 하다/되다’를 사례로-
    강현화 『한국어 의미학』 26, 21-46쪽 [2008]
  • 양태와 관습적 간접 화행의 환유적 연계
    박재연 『국어학』 73, 69-108쪽 [2015]
  • 안맺음씨끝 ‘-더-’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송재목 『국어학』 32, 135-169쪽 [1998]
  • 서술부 양태 표현들의 하위 범주와 결합 양상
    이필영 『담화와 인지』 11-3, 131-152쪽 [2004]
  • 서법 구현 형식에 대한 일고찰 -서법 범주의 수용과 전개를 중심으로-
    민경모 『한국학논집』 40, 417-451쪽 [2010]
  •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양태적 의미
    김정남 『한국어 의미학』 36, 65-89쪽 [2011]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추측 양태 습득
    이해영 『한국어학』 53, 335-360쪽 [2011]
  • 발화 분석의 화행 의미론적 연구
    김태자 탑출판사 [1987]
  • 문형 사전을 위한 문형 빈도 조사
    김유미 『인지과학』 16-2, 123-140쪽 [2005]
  • 문장에 나타나는 의도와 의지의 의미 범주와 상호작용
    이찬규 『어문연구』 32, 7-34쪽 [2004]
  • 명칭론과 어의론
    이현근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 699-722쪽 [2019]
  • 명령문의 간접 화행
    이준희 『한국어 의미학』 8, 279-290쪽 [2001]
  • 러시아어의 필요성과 관련된 양상술어의 문법화
    정연우 『노어노문학 』 20-2, 3-31쪽 [2008]
  • 동사 ‘하-’의 기능
    서정수 『국어국문학』 68-69, 97-125쪽 [1975]
  • 당위 양태에 대한 확률적 의미 지도-병력 번역 텍스트를 바탕으로 - 『언어와 언어학』 78
    정해권 127-148쪽 [2018]
  • 노지니, 한국어 교육에서의 양태 표현연구: ‘추측’과 ‘의지’를 중심으로
    이윤진 『한국어 교육』 14-1, 173-209쪽 [2003]
  • 국어의 양태 체계 확립을 위한 시론
    이선웅 『관악어문연구』 26, 317-339쪽 [2001]
  • 국어의 서법
    서정수 『국어생활』 7, 116-130쪽 [1986]
  • 국어 인식양태소 구조의 인지언어학적 접근: 시점 이동과 역동적 심성 공간의 융합
    조숙환 『언어』, 34-1, 113-132쪽 [2009]
  • 국어 의지 표현 구문의 화행 양상 연구
    조경순 『배달말』 60, 1-27쪽 [2017]
  • 국어 시제 형태소의 의미 – 회상 형태소 「더」를 중심으로- 『한글』 169
    김차균 55-77쪽 [1980]
  • 국어 보조동사의 의미론적 고찰: 국어 문법교육에서 보조동사의 의미 특성 이해를 위해
    강홍구 『교육연구』 16, 93-109쪽 [2000]
  • 국어 문법과 한국어 문법의 상관성
    민현식 『한국어 교육』 14, 107-141쪽 [2003]
  • 개념적 통합 연결망의 유형 연구
    김동환 『언어과학연구』 60, 1-24쪽 [2012]
  • 간접화행 해석의 조건과 방향
    이필영 『텍스트언어학』 15, 313-339쪽 [2003]
  • 간접 화행과 대화적 함축
    김태자 『국어학』 18, 131-152쪽 [1989]
  • 『현대국어의 문장종결법 연구』
    윤석민 집문당 [2000]
  • 『현대 국어의 양태 범주 연구』
    장경희 탑출판사 [1985]
  • 『현대 국어 통사론』
    남기심 태학사 [2001]
  • 『한국어의 시제 서법 동작상』
    고영근 태학사 [2004]
  • 『한국어의 문법 단위』
    유현경 보고사 [2017]
  • 『한국어교육과 양태표현』
    안주호 한국문화사 [2012]
  •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와 오류 분석』
    고석주 한국문화사 [2004]
  • 『한국어 지시화행의 담화문법 연구 -의미, 형태, 사용에 대한 맥락 분석 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강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9]
  • 『한국어 인칭의 비밀』
    목정수 태학사 [2014]
  • 『한국어 의미탐구의 현황과 과제』
    임지룡 한국문화사 [2019]
  • 『한국어 의도성 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김서형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
    강현화 한글파크 [2017]
  • 『한국어 양태표현 교육 연구』
    엄녀 한국문화사 [2010]
  •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박재연 국어학총서 56, 태학사 [2006]
  • 『한국어 양태 부사의 의미 통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전명희 하우 [2016]
  • 『한국어 문법론』
    권재일 태학사 [2012]
  • 『한국어 문법 교육』
    한재영 태학사 [2008]
  • 『한국어 등재소의 형성과 변화』
    정한데로 태학사 [2015]
  • 『표준국어문법론』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2008]
  • 『중세국어문법』
    이숭녕 을유문화사 [1961]
  • 『조선문법연구』
    홍기문 서울신문사 [1947]
  • 『인지언어학 탐구의 현황과 과제』
    임지룡 한국문화사 [2019]
  •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한국문화사 [2008]
  • 『우리말 양태 용언 구문에 대한 연구』
    김지은 한국문화사 [1998]
  • 『우리말 문법론』
    고영근 구본관 집문당 [2018]
  • 『우리말 문법 총론 1』
    구본관 집문당 [2015]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법1․2』
    국립국어원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초급 어미』
    양명희 집문당 [2016]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과 표현- 중급 어미』
    양명회 집문당 [2016]
  • 『시제와 양상: 가능세계 의미론』
    이기용 태학사 [1998]
  • 『시제, 상, 서법』
    이남순 월인 [1998]
  • 『수정증보 국어문법』
    서정수 한양대출판원 [1996]
  • 『서법의 정의 및 한국어 서법의 체계화』
    박병선 박진호 제19차 한국어학회 전국학술대회, 1-6쪽 [1999]
  • 『새로 쓴 표준 국어문법론』
    남기심 한국문화사 [2019]
  • 『문법교육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임지룡 태학사 [2014]
  • 『문법 연구의 방법 모색』
    김의수 박이정 [2007]
  • 『단어 문장 텍스트』
    고영근 한국문화사 [1995]
  •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김중섭 국립국어원 [2011]
  • 『국어학 신연구』
    고영근 탑출판사 [1986]
  • 『국어의 서법 체계에 관하여: 문말 서법을 중심으로』, 『국 어학논문집(강신항 교수 회갑기념』
    서정수 태학사, 585-608쪽 [1990]
  • 『국어의 간접 화행에 관한 연구』
    이준희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 『국어 형태론 연구』
    고영근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 『국어 의미론』, 역락. 이관규(2002), 『학교 문법론: 개정판』
    윤평현 월인 [2008]
  • 『국어 명령문에 대한 연구』
    고성환 역락 [2003]
  • 『개념적 혼성 이론: 인지언어학과 의미 구성』
    김동환 박이정 [2002]
  • 「화행의미론」
    장경희 『한국어 의미학』 2, 41-56쪽 [1998]
  • 「한국어 교육에서의 지시 화행 실현 양상 -한국어능력시험을 중심으로 -」
    이은희 『텍스트언어학』 40, 251-277쪽 [2016]
  • 「한국어 교육에서 화행에 대한 비판적 검토」
    유혜령 『한국어 교육』 20-2, 107 -127쪽 [2009]
  • 「한국어 공손표현의 의미」
    전혜영 『한국어 의미학』 15, 71-91쪽 [2004]
  • 「한국어 간접 지시 화행 교육의 실태와 교재 구성 방안 -한국어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은희 『문법교육』 20, 271- 295쪽. [2014]
  • 「외국인의 한국어 거절 화행에 대한 한국인의 반응 연구」
    이해영 『한국어 교육』 20-2, 203-228쪽 [2009]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성기철 『국어교육』 107, 135-161쪽 [2002]
  •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
    이미혜 박이정 [2005]
  • ≪우리말 형태론: 말본론≫
    김석득 탑출판사 [1992]
  • “현대국어의 보문연구”
    안명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 “현대 국어 추측의 양태 의미 연구”
    정유남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6]
  • “한국어의 증거성 범주에 관한 연구”
    정인아 상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한국어의 우언적 구성에 관한 연구”
    김선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임동훈 『한국어 의미학』 26, 211-249쪽 [2008]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복합 연결 구성 연구 : 사용역에 따른 분포 양상 과 의미 기능을 중심으로”
    홍혜란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한국어교육에서의 비교문화적 화행연구와 교육적 적용”
    이해영 『국어국문학』 176, 91-113쪽 [2016]
  • “한국어 화행에서 공손성의 실현 양상”
    김서형 『한국어학』 61, 123-143쪽 [2013]
  • “한국어 태 체계의 정립과 습득 및 교육 연구”
    정해권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국어 추론 증거성 연구”
    정경미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증거성의 체계: 유형론을 중심으로”
    김진웅 『한국어의미학』 39, 101-124쪽 [2012]
  • “한국어 양태 표현의 교육 내용 연구”
    원극연 공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추측과 의도의 의미를 중심으로”
    오승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양태 표현 연구 –유사 문법 항목 비교를 중심으로-”
    이지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손혜옥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한국어 선어말어미의 시제성과 양태성 연구”
    최정진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 기능, 화행적 기능에 대한 연 구”
    한송화 『한국어 교육』 11-2, 189-209 [2000]
  • “한국어 보문 구성 양태 표현에 대한 연구”
    문병열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 “한국어 대립연결어에 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함계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한국어 금지 화행 연구”
    성은실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양태표현연구”
    이효정 상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한국어 ‘-고 하-’ 융합형에 나타나는 증거 양태 연구
    손유정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증거성과 정보 관활권의 상호작용”
    이의종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증거성(evidentiality)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송재목 『형태론』 9, 1-23 [2007]
  • “종결어미와 보조동사의 통합구문에 대한 연구”
    엄정호 성균관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 “인식양태와 증거성”
    송재목 『한국어학』 44, 27-53쪽 [2009]
  • “의존동사의 문법적 성격”
    권재일 『한글』 194, 97-120쪽 [1986]
  • “언어행위에 있어서의 양상구조”
    이정민 남기심 (편) 『(현대)국어문법』, 301-309쪽 [1975]
  • “시제, 상, 양태”
    박진호 『국어학』 60:289-322 [2011]
  • “사건 호부 평가 양태성 표현 연구”
    임채훈 『어문연구』 7-2, 55-81쪽 [2009]
  • “보조용언 ‘버리다’의 양태 의미”
    권순구 『어문연구』 51, 233-252쪽 [2006]
  • “러시아어에서 필요성과 관련된 서법적 표현의 문법화 연구”
    정연우 한국 외국어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국어의 짐작-추측 구문 연구”
    이기종 한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국어의 주관화 과정과 문법화의 범위에 대하여”
    조미희 『한민족어문학』 73, 67-92쪽 [2016]
  • “국어의 양태 범주의 설정과 그 체계”
    장경희 『언어』 20-3, 191-205쪽 [1995]
  • “국어양태체계연구”
    이선영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국어 양태의 특수성”
    김건희 『한국어학』 70, 1-54쪽 [2016]
  • “국어 양태소의 의미기능 연구”
    조일영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국어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임동훈 『한국어 의미학』 12, 127-153쪽 [2003]
  • “국어 선어말어미의 양태적 의미 고찰”
    조일영 『한국어학』 8, 39-66쪽 [1998]
  • “개념어로 살펴본 현대국어 문법사”
    이선웅 『형태론』 16-2, 228-240쪽 [2012]
  • “감각적 증거”
    임채훈 양태성과 한국어 어미 교육-‘-네, -더라, -더니, -길래’ 등을 중심으로-『이중언어학』 37, 199-234쪽 [2003]
  • “16세기 국어의 말재어찌씨의 통어론적 연구”
    서상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1]
  • ‘확연’, ‘당연’, ‘개연’의 양태 표지 연구
    강소영 『한국어학』 16, 217-236쪽 [2002]
  • ‘싶다’의 의미와 통사구조
    차현실 『언어』 9-2, 305-326쪽 [1984]
  • ‘싶다’ 구문의 보문 구조와 의미 해석
    성광수 『한국학연구』 5, 7-37쪽 [1993]
  • ‘더’는 회상의 기능을 지니는가?
    서정수 『언어』 2-1 한국언어학회 [1977]
  • ‘것’, ‘터’, ‘모양’의 양태 의미 연구
    안정아 『어문논집』 47, 105-104쪽 [2000]
  • ‘감각적 증거’ 양태성과 한국어 어미 교육- ‘-네’, ‘-더라’, ‘-더니’, ‘-길래’ 등을 중심으로-
    임채훈 『한국어 의미학』 37, 199-234쪽 [2008]
  • ‘-을게’와 ‘-을래’의 의미 : ‘수용’과 ‘거부’의 관점에서
    허경행 『언어와 문화』 7-2, 215-233쪽 [2011]
  • ‘-을걸’의 특성과 후회 표현의 양상 『이중언어학』 38
    강현화 43-68쪽 [2008]
  • ‘-어야 하다’의 양태 의미에 대하여
    이동혁 『국어학』 76, 95-122쪽 [2015]
  • ‘-어도 되다’의 양태 의미와 허가 화행, 그리고 공손성의 관계에 대하여
    이동혁 『우리말 글』, 23-48쪽 [2017]
  • ‘-겠-’의 형성 과정과 그 의미의 발달
    고광모 『국어학』 39, 27-47쪽 [2002]
  • ‘-겠-’과 ‘을 것이-’의 비대립 환경과 대립 환경
    박재연 『국어학』 85, 113 -149쪽 [2018]
  • ‘-겠-’과 ‘-을 것이-’의 의미 비교
    성기철 김형규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1976]
  • ‘-겠-’과 ‘-ㄹ 것이-’의 용법
    고창운 『겨레어문학』 15, 595-614쪽 [1991]
  • ‘-것 같-’의 화용 의미
    이한규 『텍스트 언어학』 10, 269-291쪽 [2001]
  • Women , Fire , and Dangerous Things : What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1987]
  • What makes some indirect speech acts conventional ?
    25 , pp . 181-196 [1986]
  • V. A. PlungianModality ’ s Semantic Map
    2 , pp.79-124 [1998]
  • Understanding Semantics. The Oxford University Press, 임지룡 김동환 역(2010), 『의미론의 이해』
    Löbner, S. , 한국문화사 [2002]
  • Typological Approaches to Modality , In W. Frawley ( ed . ) , The Expression of Modality , Mouton de Gruyter
    pp . 27-89 [2006]
  • Toward a cognitive semantics , Volume I : Concept Structuring Systems
  • Toward a New Taxonomy for Pragmatics Inference : Q-based and R-Based Implicature , In D . Schiffrin ( ed . ) , Meaning , Form , and Use in Context : Linguistic Applications
    pp . 11-42 [1984]
  • Toward a Cognitive Semantics , Volume II : Typology and Process in Concept Structuring
  • The body in the mind : The bodily basis of meaning , imagination , and reason
    [1987]
  • The Way We Think: Conceptual Blending and the Mind’s Hidden Complexities, Basic Books, 김동환⦁최영호 역(2009),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Fauconnier, G. M. Turner , 지호 [2002]
  • The Semantics of Modal Auxiliaries ,
    [1983]
  • The Philosophy of Grammar, Geroge Allen & Unwin LTD. 이환묵 이석무역(1987), 『문법철학』
    Jespersen, O. 한신문화사 [1924]
  • The Oxford Handbook of Modality and Mood
    [2016]
  • The Oxford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김동환 옮김 (2011), 『인지언어학 옥스포드 핸드북』
    Geeraerts, D. H. Cuyckens , 로고스라임 [2007]
  • The History of Modality and Mood ,The Oxford Handbook of Modality and Mood
    [2016]
  • The Grammar of Knowledge : A Cross-Linguistic Typology
    [2014]
  • The Form and Meaning of the English Auxiliary
    54 , pp . 853-882 [1973]
  • The Expression of Non-epistemic Modal Categories . In J. Nuyts & J. van der Auwera ( eds . ) The oxford Handbook of Modality and Mood
    pp . 89-116 [2016]
  •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 of the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박선자 김문기 역(2010) 『문법의 진화』,
  • The English Verb
    [1974]
  • The Case for Case , In E. Bach & T. R.Harms ( eds . ) ,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pp . 1-88 [1972]
  • The Canonical Approach in Typology , In Z. Frajzyngier & A. Hodges & D. S. Rood , ( eds . ) , Linguistic Diversity and Language Theories
    pp . 25-49 [2005]
  •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2002]
  • Tense , Aspect , and Modality : A Discourse-Pragmatic Analysis of Verbal Affixes in Korean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1991]
  • Subjectification
    1 , pp . 5-38 . [1990]
  • Speech Acts: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Searle, J. R. Cambridge University Press, 이건원 역(1991), 『언화행위』, 한신문화사 [1969]
  • Speech Act Distinctions in Syntax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1
    pp . 155-196 . [1985]
  • Seman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andler , J. M. The Foundations of Mind
    [1977]
  • Register , Genre , and Style
    [2009]
  • Reference-pointConstruction
    4 , pp 1-38 [1993]
  • R. W. ( 1991b ) Foundations ofCognitive Grammar Vol . 2 : Descriptive application
  • R. W. ( 1991/2002 )Concept , Image , and Symbol : TheCognitive Basis of Grammar
  • Psychodynamic Psychiatry in Clinical Practice, Amer Psychiatric Pub Inc. 이정태 채영래 역(2008), 『역동정신의학』
    Gabbard, G. O. 하나의학사 [2005]
  • Principles of Pragmatics
    [1983]
  • Pragmatics, Oxford Publishing Limited, 이해윤 역(2009), 『화용론』
    Huang, Y.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7]
  • Politeness :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1987]
  • Person
    [2004]
  •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Perceptual and Semantic Categories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Acquisition of Language
    [1973]
  • On defining modality again
    pp . 165-192 [2005]
  • Notions of ( inter ) Subjectivity , English Text Construction , 5-1
    pp . 53–76 . [2012]
  • Morphology: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and Form, Benjamins Publish Company. 이성하 구현정 역(2000), 『형태론』
    Bybee, J. 한국문화사 [1985]
  • Mood and Modality
    [2001]
  • Modality and the English Modals
    [1979]
  • Modality and Modals : A Problem for Functional Grammar , In A. M. BolkestinPredicates and Terms in Functional Grammar
    pp . 203-217 [1985]
  • Modality Subjectivity Semantic Change : A Cross-Linguistic Perspective
    [2012]
  • Mirativity : The Grammatical Marking of Unexpected Information
    1 , pp . 33-52 [1997]
  • Methods and generalization
    PP . 95-128 [1999]
  • Methodology and Analyses of the Preposition in
    pp . 157-184 . [1994]
  • Metaphors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노양진 나익주 역(2006), 『삶으로서의 은유』
    Lakoff, G. M. Johnson 박이정 [1980]
  • Metaphor : A Practical Introduction
  • Mental Spaces
    [1994]
  • Mappings in Thought and Language
    [1997]
  •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1999]
  • Long-Term Psychodynamic Psychotherapy: A Basic Text, Amer Psychiatric Pub Inc. 노경선 김창기 역(2007), 『장기 역동정신치료의 이해』
    Gabbard, G. O. 지학사 [2004]
  • Logic and Conversation , In P. Cole , & J. L. Morgan ( eds . ) , Syntax and Semantics 3 ,
    pp . 41-58 [1975]
  • Linguistic Categorization
    [1995]
  • Lexical Typology Through Similarity Semantics : Toward a Semantic Map of Motion verbs
    pp . 671-710 . [2012]
  • Language, Mind, and Culture: A Practical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임지룡 김동환 옮김(2010), 『언어∙ 마음∙ 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Kövecses, Z. 역락 [2006]
  • Introduction to Typology: The Unity and Diversity of Language 김기혁 역(2008)
    Whaley, L. J. 『언어유형론: 언어의 통일성과 다양성』 소통 [1997]
  • Inter ) Subjectification and Unidirectionality
    pp . 295-309 . [2007]
  • Intentionality
    [1983]
  • Indirect Speech Acts , In P. Cole & J. L . Morgan ( eds . ) , Syntax and Semantics , Vol . 3 : Speech Acts
    pp . 59-82 [1975]
  • How to Teach Grammar
    [1986]
  • How to Do Things with Words
    [1962]
  • Historical Survey and Conceptual Account of Sates of Affairs
    [2006]
  • Grammticalization
    [2003]
  • Grammaticizing the Knower : Towards a partial typology of person effects on predicates
    ANU [1997]
  • Grammar and Conceptualization , Mouton de Gruyter
    [2000]
  • Grammar
    [1994]
  • G. & R. DrivenCognitive English Grammar
    [2007]
  • Functional Syntax and Universal Grammar
    [1984]
  •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 Metaphorical and Cultural Aspects of Semantic Structure
    [1990]
  •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 vol . I : Theoretical Prerequisites
    [1987]
  • Foundation and Grammar
    [1994]
  • Force DynamicsThe oxford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2007]
  • Evidentiality and Mirativity , The Oxford Handbook of Tense and Aspect
    pp . 1020-1046 [2012]
  • Evidentiality and Epistemic Modality : Setting Boundaries ,
    18 , pp . 83-101 . [1999]
  • Evidentiality and Epistemic Modality , Function of Language 16-1
    pp . 44-62 [2009]
  • Evidentiality
    [2004]
  • Epistemic Modality , Language , and Conceptualization : A Cognitive-prag- matic perspective
    [2001]
  • Epistemic Meaning-A Crosslinguistic and Functional-Cognitive Study ,
    [2012]
  • Egophoricity in Wutun , ” In S. Floyd & E. Norcliffe & L. San Roque ( eds . ) , Egophoricity
    pp . 173-196 [2018]
  • Egophoricity : An IntroductionIn S. Floyd & E. Norcliffe & L. San Roque ( eds . ) , Egophoricity , 1-77
    [2018]
  • E. C. & R. B. DasherRegularity in Semantic Change
    [2002]
  • E. ( 1958/1971 ) Subjectivity in Language . In Problems in General Linguistics
    pp . 223-230
  • Discourse in Cognitive Grammar
    12 , pp . 143-188 [2001]
  • Deixis and Subjectivity . In F. Brisard ( ed . ) Grounding : The Epistemic Footing of Deixis and Reference , Mouton de Gruyter
    Ppp . 1-28 [2002]
  • Cross-Linguistic InfluenceThe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 436-486 [2003]
  • Control and the Mind/body Duality : Knowing vs. Effecting
    [2007]
  • Constructions: A Construction Grammar Approach to Argument Structure
    Goldberg, 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손영숙 정주리 역(2004), 『구문문법』, 한국문화사 [1995]
  • Constructions of Intersubjectivity : Discourse , Syntax , and Cognition
    [2005]
  • Constructing a Language: A Usage-based Theory of Language Acquisition, 김창구 역(2011), 『언어의 구축-언어습득의 용법 기반 이론』
    Tomasello, M. 한국문화사 [2003]
  • Conceptual integration networks , Cognitive Science 22-2
    pp . 133-187 [1998]
  • Conceptual IntegrationThe Oxford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2007]
  • Cognitive grammar
    [2002]
  •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Edinburgh University Press 임지룡 김동환 역(2008) 『인지언어학 기초』
    Evans, V M. Green 한국문화사 [2006]
  • Cognitive Grammar A Basic Introduction
    [2008]
  • Assessing the Cognitive Linguistic Enterprise . In T. Janssen & G. Redeker ( eds . ) , Cognitive Linguistics : Foundations , Scope , and Methodology
    pp . 13-60 [1999]
  • Aspects of the Grammar of Finite Clauses . In M. Achard & S. Kemmer ( eds . ) Language , Culture and Mind
    pp . 535-577 [2004]
  • Aspect
    [1976]
  • Applying Cognitive Linguistics to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김주식 김동환 옮김(2012)
    Littlemore, J. 『인지언어학과 외국어교수법』 소통 [2009]
  • Analyses of the Modal Meanings .The Oxford Handbook of Modality and Mood
    pp . 31-49 [2016]
  •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Edward Arnold. Heine, B.(1997) Cognitive Foundation of Grammar, 구현정 이성하 옮김(2004), 『문법의 인지적 기초』
    Halliday, M. A. K. 박이정 [1994]
  • An Introduction to Cognitive Linguistics, 임지룡 김동환 역(1998) 『인지언어학 개론』
    H. J. Schmid, Ungerer, F 태학사 [1996]
  • A Construction-based Approach to Indirect Speech Acts , In K. Panther & L. L. Thornburg ( eds . ) , Metonymy and Pragmatic Inferencing
    pp . 105-126 [2003]
  • A Cognitive Approach to Inferencing in Conversation
    30 , pp . 755-769 . [1998]
  • /1985)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한동완(1996), 『국어의 시제 연구 』
    최현배 태학사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