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 미로슬라브 볼프의 기억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Reconciliatory Reconstruction of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based on Miroslav Volfs Discourse on Remembering

전순영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 미로슬라브 볼프의 기억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Reconciliatory Reconstruction of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based on Miroslav Volfs Discourse on Remembering'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공신학
  • 기억
  • 남남갈등
  • 미로슬라브 볼프
  • 반공주의
  • 평화
  • 한국교회
  • 한국전쟁
  • 화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932 0

0.0%

' 한국전쟁 기억의 화해적 재구성 연구 : 미로슬라브 볼프의 기억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Reconciliatory Reconstruction of the Memories of the Korean War: based on Miroslav Volfs Discourse on Remembering' 의 참고문헌

  • 홍종락 옮김. 『기억의 종말』
    볼프, 미로슬라브 서울: IVP [2016]
  • 홍병룡 옮김.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뉴비긴, 레슬리 서울: IVP [2016]
  • 한국학진흥사업 한국전쟁체험담 대국민서비스 (http://koreanwarstory.net)
  • 한국전쟁 관련 교과서 비교 분석 : 남 북한, 미국, 중국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은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 한국기독교총연합회 북한교회재건위원회. 『무너진 제단을 세운다』
    고태우 안부섭 유관지 서울: 진리와자유 [1995]
  • 한국 교회 보수 진보 진영 간 조선그리스도교연맹에 대한 시각 차이가 발생하게 된 역사적 근거
    기독교통일학회 「기독교와 통일」7, , 88-103 [2013]
  • 한경직 목사
    김병희 서울: 규장문화사 [1982]
  •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과 공공신학
    최경환 「제3회 연구집단 카이로스 포럼 자료집」 [2014]
  • 편찬위원회 편. 『조선말대사전 증보판』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7]
  •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 (https://reunion.unikorea.go.kr)
  • 최일섭·최성재 (편).『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출판 [1996]
  • 최용찬 옮김.『루터의 두 얼굴』
    비퍼만, 볼프강 서울: 평사리 [2017]
  • 채천석 옮김. 『주와 함께 가는 여행』
    펙, 스캇 서울: 그루터기하우스 [2003]
  •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결정에 대한 평가: 50년 후 한국전쟁 역사에 대한 고착과 회고
    센즈화 ”「신아세아」7/2, , 86-110 [2000]
  • 이한구 옮김. 『하나의 철학적 기획: 영구 평화론』
    칸트, 임마누엘 파주: 서광사 [2008]
  • 이종길 옮김. 『두 개의 한국』
    오버도퍼, 돈 서울: 길산 [2002]
  • 이신건 이석규 박영식 옮김. 『몰트만 자서전』
    몰트만, 위르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1]
  • 이승익 옮김. 『한국교회성장사』
    서명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6]
  • 윤태준 옮김,『역사를 기억하라』
    진, 하워드 파주: 오월의봄 [2013]
  • 유선금 옮김. 『화해를 향한 여정』
    레더락, 존 폴 춘천: Korea Anabaptist Press [2010]
  • 유강은 옮김.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
    진, 하워드 서울: 이후 [2002]
  • 오병학·임근선 공역, 『참회록』
    어거스틴, S. T. 서울: 예찬사 [1991]
  • 언어문학연구소 사전연구실 편. 『조선말사전』
    평양: 과학원출판사 [1962]
  • 양혜정 옮김. 『두려움의 집에서 사랑의 집으로』
    오대원 서울: 예수전도단 [2002]
  • 신복룡 옮김. 『현대정치사상』
    바라다트, 레온 서울: 평민사 [2005]
  • 순복음가족신문 (http://www.fgnews.co.kr)
  • 서광선 이미애. “국내 첫 여성 조직신학박사 박순경의 신학과 인생
    박순경 ” 「신학과 교회」6, , 9-43 [2016]
  • 박세혁 옮김. 『배제와 포용』
    볼프, 미로슬라브 서울: IVP [2012]
  • 남북통일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대한기독교서회 편집실 「기독교사상」102, , 96-99 [1966]
  • 남북나눔운동 (http://sharing.net/)
  • 남기정 옮김. 『북한현대사』
    와다 하루키 파주: 창비 [2014]
  • 김한식 이경래 옮김. 『시간과 이야기 1』
    리쾨르, 폴 서울: 문학과지성사 [1999]
  • 김택현 옮김. 『역사란 무엇인가』
    카, E. H. 서울: 까치 [2015]
  • 김주환 옮김. 『한국전쟁의 기원 上』
    커밍스, 브루스 서울: 청사 [1986]
  • 김적봉 편집. 『조선통사(하)』
    박득준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7]
  • 김순현 옮김. 『베풂과 용서』
    볼프, 미로슬라브 서울: 복있는사람 [2008]
  • 김선욱 옮김.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아렌트, 한나 파주: 한길사 [2006]
  • 김명윤 옮김,『광장에 선 기독교』
    볼프, 미로슬라브 서울: IVP [2014]
  • 김광린 옮김.『소련의 자료로 본 북한현대정치사』
    란코프, 안드레이 서울: 오름 [1995]
  • 기억의 정치: 대량학살의 사회적 기억과 역사적 진실
    권귀숙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6]
  • 기억의 경쟁에서 기억의 연대로? -홀로코스트와 프랑스 탈식민화 기 억의 다방향적 접합
    권윤경 「역사비평」113, , 370-397 [2015]
  • 그루노브, 리하르트 엮음 / 이신건 오성현 이길용 옮김. 『칼 바르트의 신학묵상』
    바르트, 칼 대한기독교서회 [2009]
  • 국가기록원 (http://theme.archives.go.kr)
  • 곽미숙 옮김. 『세계 속에 있는 하나님』
    몰트만, 위르겐 서울: 동연 [2009]
  • 강종일 외 옮김.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갈퉁, 요한 서울: 들녘 [2000]
  • 강경이 옮김. 『기억의 지도』
    올릭, 제프리 서울: 옥당 [2011]
  • 『혐오의 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
  • 『한반도는 아프다』
    한완상 파주: 한울 [2013]
  • 『한권으로 읽는 한국기독교의 역사』
    류대영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8]
  • 『한국현대사산책 : 1940년대 편 1 권』
    강준만 서울: 인물과 사상사, [2006]
  • 『한국전쟁기 제주4 3관련 수형인 학살의 실상』
    박찬식 제주: 제주4 3연구소 [2001]
  • 『한국전쟁과 기독교』
    윤정란 파주: 한울아카데미 [2015]
  • 『한국전쟁 체험담 연구 : 상처와 치유』
  •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
    강인철 서울: 중심 [2007]
  • 『한국분단사연구 1945~1953』
    신복룡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1]
  • 『한국기독교해방 10년사』
    김양선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1956]
  • 『한국기독교와 민족통일운동』
    이만열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 『한국 기독교 통일운동사』
    정성한 서울: 그리심 [2003]
  • 『한국 1950 : 전쟁과 평화』
    박명림 서울: 나남출판, [2003]
  • 『한경직목사의 시사설교모음집』
    한경직 서울: 두란노 [2010]
  • 『한경직 평전』
    조성기 서울: 김영사 [2003]
  • 『한경직 목사 설교집 1권』~『한경직 목사 설교집 18권』
    한경직 서울: 한경직 목사 기념사업회 [2009]
  • 『하나님의 정치』
    김창환 용인: 킹덤북스 [2015]
  • 『하나님나라를 응시하다』
    구교형 논산: 대장간 [2019]
  • 『피스메이커』
    임동원 서울: 중앙북스 [2008]
  • 『평화의 집을 짓는 꿈』
    김상근 서울: 지성과실천사 [2007]
  • 『트라우마와 사회치유』
  • 『통일신학의 미래』
    박순경 서울: 사계절출판사 [1997]
  • 『통일 이후 신학연구 1』.
  • 『통일 사회통합 하나님나라』
    박영신 박종소 이범성 정재영 조성돈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0]
  • 『코리언 디아스포라』
    윤인진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 『질문하는 십대를 위한 고전 콘서트』
  • 『조선을 섬긴 행복』
    양창삼 서울: 서빙더피플 [2012]
  • 『제주4 3 바로알기』
    박찬식 제주: 제주4 3평화재단 [2017]
  • 『재미동포 아줌마, 북한에 가다』
    신은미 서울: 네잎클로바 [2012]
  • 『이것은 기억과의 전쟁이다』
    김동춘 파주: 사계절 [2013]
  • 『위대한 수령 김일성원수님 혁명력사 중학교 제4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2003]
  • 『위대한 수령 김일성원수님 혁명력사 고등중학교 제5학년용』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1990]
  • 『용서와 화해에 대한 성찰』
  • 『영원한 첫사랑과 생명언어』
    김준곤 서울: 순출판사 [1993]
  • 『약산 김원봉 평전』
    김삼웅 서울: 시대의창 [2014]
  • 『손님』
    황석영 서울: 창작과비평사 [2001]
  • 『소련공산당과 북한 문제: 소련공산당 정치국 결정서(1945∼1952)』. 전현수 옮김
    란코프, 안드레이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 [2014]
  • 『산돌 손양원목사 설교집, 상』
    안용준 서울: 경천애인사 [1962]
  •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기독교』
  • 『사회는 갈등을 만들고 갈등은 사회를 만든다: 한국사회의 갈등 지형과 연대적 공존의 모색』
    박길성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2013]
  • 『사랑의 원자탄』
    안용준 서울: 신망애출판사 [1972]
  • 『북한교회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북한교회사집필위원회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김병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서동만 남기정 옮김
    와다 하루키 파주: 돌베개, [2002]
  • 『북녘의 교회를 가다』
    최재영 서울: 동연 [2019]
  • 『믿음은 행동이다』
    김상근 서울: 지성과실천사 [2007]
  • 『땅과 하나되는 하늘』
    김상근 서울: 지성과실천사 [2000]
  • 『녀당원』
    김보행 평양: 문예출판사 [1982]
  • 『남부군』
    이태 서울: 두레 [2014]
  • 『나의 아버지 손양원 목사』
    손동희 서울: 아가페출판사 [1994]
  • 『나는 김일성이 고맙다』
    림일 서울: 바이북스 [2017]
  • 『김정일 저작집 제1권』
    김정일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6]
  • 『김일성 전집 12』
    김일성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 『김일성 저작집 18』
    김일성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 『기억전쟁: 가해자는 어떻게 피해자가 되었는가』
    임지현 서울: 휴머니스트 [2019]
  • 『기념의 미래』
    최호근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 『CCC와 민족복음화 운동』
    김준곤 서울: 순출판사 [2005]
  • 『3층 서기실의 암호』
    태영호 서울: 기파랑 [2018]
  • 『2017 북한종교자유백서』
    안현민 윤여상 정재호 서울: 북한인권정보센터, [2017]
  • 「한반도평화연구원 한국교회 목회자 통일인식 조사 결과보고서」
  • 「진실 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종합보고서 I」
    진실화해위원회 [2010]
  • 「제주4 3사건 진상조사 보고서」
    제주4 3사건진상조사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 「인문학을 하나님께」
    한재욱 서울: 규장 [2018]
  • 「아시아 태평양지역 발전 보고서」
    중국사회과학원 [2014]
  • 「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통일의식조사」
  • 「미군정기 정치적 의사소통 구조와 여론조사」
    김보미 「사회와 역사」103, , 279-321 [2014]
  •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의 종교현황」
  • 「과거와 대화, 미래의 성찰 제6권―학원 간첩 편」
    국가정보원. [2007]
  • 「2020년 한국교회의 사회적 신뢰도 여론조사 결과자료집」
    기독교윤리실천운동 [2020]
  • 「1980년대~2000년 한국교회 평화통일운동 자료집」,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통일위원회 편
    [2000]
  • “해방직후 미군정치하의 여론동향에 관한 분석.”
    이성근 「국제정치논총」25, , 119-131 [1985]
  • “해방 후 월남기독교인들의 국가건설운동과 영락교회 청년회의 탄생.”
    박명수 「한경직목사기념사업회 강연회 자료집」 [2019]
  • “한국전쟁과 이데올로기 지형: 국가, 지배연합, 이데올로기.”
    손호철 「한국과 국제정치」 6/2, , 1-27 [1990]
  • “한국전쟁, 6 25 용어 사용과 기억방식에 관한 단상.”
    박명림 「역사비평」 74, , 321-328 [2006]
  • “한국전쟁 발발 70년, 기독교인은 전쟁을 어떻게 기억해야 할까.”
    문아영 「뉴스앤조이」 [2019]
  •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서문기 「한국사회학」38/6, , 195-218 [2004]
  • “한국에서의 사회적 기억 연구의 궤적.”
    정근식 「민주주의와 인권」13/2, , 347-394 [2013]
  • “한국복음주의신학의 어제와 오늘.”
    김영한 「신학과교회」 2, , 73-109 [2014]
  • “한국 기독교단 교인수는 줄고 목회자는 늘어.”
    유정원 「한국일보」 [2018]
  • “한국 과거청산의 성과와 전망: 과거청산 관련 국가기구의 활동을 중심으로.”
    정호기 「역사비평」 69, , 179-207 [2004]
  • “한국 개신교의 제주4 3사건 인식 연구.”
    김신약 장로회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한국 개신교 반공주의의 형성과 재생산.”
    강인철 「역사비평」 70, , 40-63 [2005]
  • “한경직의 윤리사상.”
    맹용길 「월간 목회와 신학」. , 7-36 [1992]
  • “한경직의 생애와 사상 연구.”
    이혜정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소식」83, , 3-18 [2008]
  • “한경직 목사의 북한선교 사역.”
    하충엽 「한경직 목사 10주기 추모 세미나: 한경직 목사와 선교 자료집」 [2010]
  • “평화와 화해를 위한 기억 : 기억의 윤리에 대한 신학적 성찰.”
    김진혁 「조직신학논총」47, , 99-133 [2017]
  • “평등지권과 농지개혁 그리고 조봉암.”
    전강수 「역사비평」91, , 298-328 [2010]
  • “통일준비를 위한 남남갈등 극복방안 연구: 제주4 3사건 사례를 중심으로.”
    강효인 박명림 손인배 신보경 전우택 최성경 「연세대산학협력단 정책연구용역 결과보고서」 [2016]
  • “통일 후 북한의 소유제도 재편 방향.”
    윤철홍 「법학논총」44, , 53-90 [2019]
  • “탈북자들의 개미지옥 ‘국정원 중앙합동신문센터’.”
    신동윤 「뉴스타파」 [2017]
  • “탈북여성의 가정폭력과 복합 트라우마에 대한 상담코칭 방안.”
    김경숙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학술 심포지엄 자료집」 [2020]
  • “칼 바르트의 시간이해: 현상학적 시간론에 대한 신학적 대안.”
    장종혁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최재영 목사의 방북기(7): ‘신천박물관 참관기① 학살의 첫 물증은 성경책과 십자가였다’.”
    최재영 「통일뉴스」 [2014]
  • “최근 10년간 간첩 49명 구속…42% 위장 탈북자.”
    「연합뉴스」 [2013]
  • “초등학생과 부모집단의 일본에 대한 인식 연구.”
    김소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청년세대 통일의식 연구.”
    고강섭 서울특별시 청년허브 최종보고서 [2017]
  • “지금이야말로 남북화해와 대북인도 지원할 때.”
    김명혁 「평화통일연대 ‘평화칼럼’」 [2017]
  • “주체사상 시기 북한 ‘조국해방전쟁주제작품’의 역사적 변모 양상⎯~1990년대 북한 서정시를 중심으로.”
    김경숙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0/4, 2016, 139-186 [1960]
  • “제주도 하귀리의 4 3경험과 치유과정.”
    하명실 제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제주도 4 3민중항쟁에 관한 연구.”
    박명림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8]
  • “제주4 3항쟁―대규모 민중학살의 진상.”
    김종민 「역사비평」41, , 27-52 [1998]
  • “제주4 3과 기독교 혹은 한경직 목사: 큰 걸음으로 멀리 보고 가자.”
    유재무 「예장뉴스」 [2018]
  • “제주4 3 추념일 제정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류승남 「제주기독신문」 [2014]
  • “제주4 3 사건 화해의 첫 걸음: 기독교회, 화해자 될 수 있나?”
    「예장뉴스」 [2018]
  • “전쟁의 기억과 기억의 전쟁.”
    김경섭 「통일인문학」57, , 63-89 [2014]
  • “전시 납북자 가족의 생애사 연구 : 납북자 가족의 피해 경험을 중심으로.”
    여현철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임지현, ‘대중독재’서 ‘트랜스내셔널’로.”
    이윤주 「주간한국」 [2011]
  • “임마누엘 군대.”
    「기독공보」 [1966]
  • “일터영성(Workplace Spirituality) 5요인 모형의 개념화 및 척도개발 연구.”
    노상충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27/2, , 419-447 [2014]
  • “인문사회과학을 위한 내러티브학 탐구의 가능성과 시사점.”
    강현석 신혜원 전효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26, , 369-377 [2016]
  • “유성 김준곤의 민족복음화 통일.”
    주도홍 「개혁논총」 34, , 213-240 [2015]
  • “우리 시대 한국의 세계(사)적 향방: 평화와 통일.”
    박명림 『문화의 안과 밖 8: 공동체의 삶』. 서울: 민음사 [2016]
  • “온신학을 위한 온전한 복음 이해.”
    김정형 「장신논단」 48/1, , 173-200 [2016]
  •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철학적 재구성.”
    김종곤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역대기서의 민족화해 신학.”
    김회권 「신학사상」152/1, , 9-50 [2011]
  • “역대기사가의 통일신학.”
    임태수 「신학연구」 28, , 415-437 [1987]
  • “엄마의 말뚝 2.”
    박완서 『20세기 한국소설 시리즈 35: 박완서』. 파주: 창비 [2005]
  •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 기억의 영성과 범주화에 관하여.”
    유경동 「장신논단」47/4, , 201-223 [2015]
  • “아렌트 철학에서 기억, 상상, 그리고 판단.”
    김석수 「칸트연구」35, , 129-162 [2015]
  • “손양원 목사 설교 연구.”
    조순호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세이레평화금식기도회 기고문: 나의 아버지 김관주 목사님 순교 간증.”
    김명혁 「뉴스파워」 [2011]
  • “성경영감론에 비추어 본 한경직의 설교.”
    김회권 「신학과 실천」53, , 149-184 [2017]
  • “석윤기의 『시대의 탄생』과 『전사들』에 나타난 한국전쟁 수용양상.”
    김은정 「국제어문」54, , 503-533 [2012]
  •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Ⅲ): 사회통합 국민 인식조사.”
    김문길 김미곤 김성아 여유진 우선희 정해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16]
  • “사설: 한국교회와 북한선교—회개 통한 교회 갱신 선행되어야 한다.”
    「한국기독공보」 [1988]
  • “분단 50년과 평화통일의 신학.”
    정경호 「신학과 목회」 11, , 106-138 [1997]
  • “북한의 한국기독교사(조선후기~일제시대) 이해에 대한 연구.”
    고성현 「한국기독교와역사」 10, , 137-167 [1999]
  • “북한을 섬기는 REAH 대표 제이미 김(Jamie Kim) 목사.”
    정지수 「크리스찬리뷰」 [2015]
  • “북한은 이산가족 문제를 어떻게 인식해왔을까.”
    김귀옥 「경제와사회」 49, , 124-148 [2001]
  • “베트남전쟁에 대한 한국교회의 입장과 활동.”
    전정길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민족의 통일과 세계평화를 위한 한국교회의 공헌.”
    김상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창립 70주년 자료집」 [1994]
  • “민족과 교회: 한국교회 통일운동에 대한 복음주의적 평가.”
    이상규 「성경과신학」 37, , 119-152 [2005]
  • “미래를 위한 성찰로서의 한국전쟁.”
    박명림 「당대비평」22, , 400-417 [2003]
  • “문준경의 생애와 사역.”
    정성규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말씀과 생활 / 강단 / (순교자를 위한) 한 알의 밀.”
    김준곤 「활천」 382, , 17-28 [1977]
  • “대한민국, 년과 2008년.”
    한홍구 「황해문화」 60, 2008, 10-31 [1948]
  • “대공 평화론에 대한 한국교회의 입장.”
    「연합기독신보」 [1966]
  • “다 같은 ‘보수 개신교’가 아니다: 한국전쟁 겪은 ‘구 기독교 우파’ vs. 반독재 운동하던 ‘신 기독교 우파’.”
    이은혜 「뉴스앤조이」 [2018]
  • “누가 한국전쟁을 시작하였는가?”
    박명림 「한국정치학회보」28/2, , 81-132 [1995]
  • “농지개혁연구: 이데올로기와 권력투쟁을 중심으로 하여.”
    김성호 「국사관논총」25, , 182-219 [1991]
  • “냉전시대의 경계에 선 사람들: 월남자 월북자 납북자.”
    김귀옥 「황해문화」 67, , 46-68 [2010]
  • “남한의 월남 개신교인들: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에 미친 차별적 영향.”
    강인철 「종교문화비평」 13, , 131-158 [2008]
  • “남북한 전시소설 연구: 스토리 유형을 중심으로.”
    성동민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남북분단과 6 25전쟁 시기-1953) 민간인 집단희생과 한국기독교의 관계연구.”
    최태육 목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945]
  • “남북 이산가족의 현실과 통일의 미래.”
    김귀옥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한국사회학회, , 1017-1036 [2007]
  • “김상근 목사, ‘그리스도인이라면 전쟁 부추겨선 안돼’
    ” 「베리타스」 [2013]
  • “기억과 의식.”
    김정호 「인지과학」7/3, , 81-113 [1996]
  • “기억, 트라우마, 증언.”
    서길완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광복 이후 가장 중요한 사건…20 40 ‘세월호’, 50 60 ‘한국전쟁’.”
    이정애 「한겨레신문」 [2014]
  • “공산주의자들과 기독교인들의 사상적 화해.”
    홍성현 「기독교사상」 718, , 11-21 [2018]
  • “강량욱 목사(조그련 설립자)가 담임했던 교회: 유관지 박사의 ‘무너진 제단을 찾아서’(9) 곡산읍교회.”
    유관지 「유코리아뉴스」 [2014]
  • “美 초중고 ‘한국전쟁 교재’ 첫 발간…일선교사 1만5천명에 배포.”
    이준서 「연합뉴스」 [2019]
  • “‘구미 유학생 간첩단’ 35년 만에 무죄…‘반공 독재시대 마무리’.”
    이혜리 「경향신문」 [2020]
  •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38)] 김용덕 굿타이딩스 이사장.”
    우성규 「국민일보」 [2019]
  •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2)] 北 결핵퇴치 사업 이끈 인요한 박사.”
    장창일 「국민일보」 [2018]
  • “[종교개혁 500주년, 원로에게 듣다] 재야 운동가 김상근 목사.”
    이용필 「뉴스앤조이」 [2017]
  • “[인터뷰] 남북나눔운동 이문식 공동대표, ‘화해에서 평화로’.”
    백찬홍 「남북경협뉴스」 [2019]
  • “[역경의 열매] 손인웅 (25 끝) 화해 일치 위해 노력했던 여정에 감사.”
    장창일 「국민일보」 [2018]
  • “[목자의 고향] 강변교회 원로 김명혁 목사.”
    조재현 「국민일보」 [2011]
  • “[나와 예수-김상근] 아버지 살해한 北, 화해 쉽지 않았죠.”
    우성규 「국민일보」 [2018]
  • “[4 3과 그리스도인] 제주 교계 침묵할 때 위로의 몸짓 해 온 평신도들: [인터뷰] 송창권 장로 오승학 집사 ‘4 3 희생자들에게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다가가길’.”
    김은석 「뉴스앤조이」 [2018]
  • “[4 3과 그리스도인] 박명림 교수 인터뷰② 서북 빼앗긴 한국 기독교도 분단 최대 피해자…‘반공주의 내려놓고 참회와 평화로’.”
    김은석 「뉴스앤조이」 [2018]
  • “21세기 초반 한국교회의 과제에 대한 소고-공공신학적 관점에서”
    임성빈 「장신논단」47/2, , 179-207 [2015]
  • “1990년대 이후 한국기독교 ‘통일운동’의 문화적 기원 연구―‘평화와 통일을 위한 남북나눔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임완철 전북대학교 사회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 ‘간첩 만들기’의 전쟁정치: 지배질서로서 유신체제.”
    김동춘 「민주사회와 정책연구」21, , 146-174 [2012]
  • de Beiträge zur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 Bd . 1 . Kritischer Versuch über die Glaubwürdigkeit der Bücher der Chronik . Mit Hinsicht auf die Geschichte der Mosaischen Bücher und Gesetzgebung
  • WCC, Advisory Group on Urban and Industrial Mission. “Becoming Operati onal in a World of Cities: a Strategy for Urban and Industrial Miss ion.” International Review of Mission. 58 no 229 (Jan 1969), 90-1 00.
  • UN General Assembly 33rd Sessions : Resolutions and Decisions.
    [1978]
  • Todorov, Tzvetan. “The Abuses of Memory.” Common Knowledge. 5, 1996, 6-26.
  • Theology of Hope
    [1993]
  •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 An Inquiry into a Category of Bourgeois Society
    [1989]
  • The Ideology of the Book of Chronicles and its Place in Biblical Thought
    [1973]
  • The Collective Memory . trans . F. Ditter & Ditter
    [1980]
  • Soviet Aims in Korea and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 1945-1950 : New Evidence from Russian Archives.
    Working Paper No . 8 [1993]
  • Searching for Memory : The Brain , the Mind , and the Past
    [1997]
  • Schwartz, Barry. “The Social Context of Commemoration: A Study in Collective Memory.” Social Forces. 61/2, 1982, 374-402.
  • Ricoeur, Paul. Memory, History, Forgetting. trans. Kathleen Blamey and David Pellauer.Chicago: University ofChicago Press, 2004.
    [2004]
  • Revolution and PoliticalChange in the Third World
    [1990]
  • Recovery from psychological trauma.
    98-103 [1998]
  • Public Memory in Place and Time. ” Framing Public Memory
    68 [2004]
  • PW Talks with Miroslav Volf : A Generous Faith.
  • Onward Christian Soldiers : Inside the shadowy network of front companies Christian missionaries use to spread the gospel in North Korea.
  • On Revolution
    [1965]
  • Memory of Reconciliation—Reconciliation of Memory.
    59 [2004]
  • L. Trauma and Recovery : The Aftermath of Violence
    [1997]
  • J. Remembering Trauma
    [2003]
  • Henry J. M. The Wounded Healer : Ministry in Contemporary Society
    [1972]
  • Helmick, Raymond C. “Seeing the Image of God in Others: Key to the Transformation of Conflicts.” Human Development. 29/2, 2008, 24-29.
  • H. G. M. Israel in the Book of Chronicles
    [1977]
  • Genocide and the Politics of Memory
    [1995]
  • From the Kingdom of Memory : Reminiscences
    [1990]
  • Faith in History and Society : Toward a Practical Fundamental Theology
    [1980]
  • Dilemmas of Contemporary Religion
    [1978]
  • Die kirchliche Dogmatik III/2
    [1959]
  • Das Geschichtsbild des chronistischen Werkes
    [1930]
  • Coercion , Capital , and European States , AD 990-1992
    [1992]
  • Christianity in Korea. Missiology : An International Review
    [1994]
  • Christianity as a World Religion
    [2008]
  • Christian Politics and Communist Religion. Christianity and Social Revolution
    [1935]
  • Boulding, Kenneth. “Twelve Friendly Quarrels with Johan Galtung.” Journal of Peace Research. 14/1, 1977, 75-86.
  • BBC코리아 (https://www.bbc.com)
  • Annual Report
    [2019]
  • About 200 Americans have been living in North Korea.
  • A Secular Age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