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 경찰위원회 도입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 A Study on the Municipal Police Commission

김학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시·도 경찰위원회 도입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 A Study on the Municipal Police Commiss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경찰법
  • 경찰위원회
  • 민주성
  • 시·도 경찰위원회
  • 자치경찰
  • 정치적 중립성
  • 주민참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35 0

0.0%

' 시·도 경찰위원회 도입방안에 관한 법적 연구 = A Study on the Municipal Police Commission' 의 참고문헌

  • 행정법
    홍준형 (제2판). 법문사 [2017]
  • 한국정책학회(대표집필: 신현기). 「서울시 특별사법경찰 10년. 자치경찰 제로의 전환을 위한 발전방안 연구」
    서울시 [2017]
  • 제주자치경찰단
    「년 자치경찰 평가 및 2020년 활동 목표」, 2020 [2019]
  • 제주자치경찰단
    「년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 운영 기본계획」, 2006 [2006]
  • 일본 국가공안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npsc.go.jp)
  • 일본 경찰청 (https://www.npa.go.jp/)
  • 영국 독립조사위원회 (https://www.policeconduct.gov.uk/ )
  • 역. Dieter Kugelmann.「쿠겔만의 독일경찰법」
    박병욱 서정범 세창출판사 [2015]
  • 시카고 경찰위원회 정보센터 (http://www.cpbinfocenter.org/board)
  • 시카고 경찰위원회 (https://www.chicago.gov/city/en/depts/cpb.html )
  •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조정과 합의제 행정위원회:국과위와 주요 행정위원회의 비교와 함의.” 과학기술정책 제189호
    정병걸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2012]
  • 미국 법무통계국(The Bureau Of Justice Statistics ; https://www.bjs.gov/)
  • 로스앤젤레스시 경찰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lapdonline.org/police_commission)
  • 동경도 경찰위원회(http://www.kouaniinkai.metro.tokyo.jp/teirei.html) 디트로이트 경찰위원회 (https://detroitmi.gov/government/boards/board-police-commissioners)
  • 경찰청.「년 경찰백서」
    범신사, 2005 [2005]
  • 경찰청
    「경찰백서」, 2020 [2019]
  • 警察廳長官官房編. 「警察法解說」. 東京:法令出版, 2000.
  • 警察廳. 令和元年 警察白書, 2019.
  • 警察制度硏究會. 「警察」. 東京:きようせい, 1985.
  • 『경찰학개론』
    신현기 (제2판). 법문사 [2015]
  • 「홍익표 의원안 경찰공무원법 전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정성희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2019]
  • 「현대 경찰학개론」
    이황우 임창호 법문사 [2014]
  • 「헌법학개론」
    고문현 (제2판). 박영사 [2020]
  • 「행정법의 체계와 방법론」
    박정훈 박영사 [2010]
  • 「행정법원론(하)」
    홍정선 (제26판). 박영사 [2018]
  • 「행정법개론」
    장태주 (제8판). 법문사 [2010]
  • 「행정법강의」
    박균성 (제16판). 박영사 [2019]
  • 「행정법강론」
    김남철 (제5판). 박영사 [2019]
  • 「행정법Ⅱ」
    김동희 (제24판). 박영사 [2018]
  • 「최신행정법강의(하)」
    박윤흔 박영사 [2001]
  • 「지방자치법의 실제와 주민소환」
    고문현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5]
  • 「지방 옴부즈만 운영안내서」
    국민권익위원회 [2019]
  • 「주요국가의 자치경찰제도와 시사점」
    유주성 자치경찰제 도입 대토론회 발표자료. 자치분권위원회, 2018 [2018]
  • 「주요 국가 자치경찰제 운용현황 비교분석 : 견제 통제 방안을 중심으로」
    안성훈 형사정책연구원 [2018]
  • 「제9기 경찰위원회 백서」
    경찰위원회 [2018]
  • 「제8기 경찰위원회 백서」
    경찰위원회 [2014]
  • 「제19대 대통령선거 정책공약집 ‘나라를 나라답게’」
    더불어민주당 [2017]
  • 「정부혁신 지방분권 로드맵」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3]
  • 「자치경찰제에 관한 연구」
    고문현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5]
  • 「자치경찰제 도입 대토론회 자료집」
    자치분권위원회 [2018]
  • 「자치경찰론 이론과 실제」
    양영철 대영문화사 [2008]
  • 「일본 경찰법 해설」
    경찰청 [2020]
  • 「경찰행정학」
    서재근 삼중당 [1963]
  • 「경찰학개론」
    경찰대학 [2001]
  • 「경찰학」
    김상호 (제3판). 청목출판사 [2019]
  • 「경찰학 개론」
    김충남 (제4판). 박영사 [2008]
  • 「경찰학 개론」
    허경미 (제7판). 박영사 [2019]
  • 「경찰법전부개정법률안, 경찰공무원법전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정성희 제368회 국회임시회(폐회중) 제12차 사법개혁특별위원회 [2019]
  • 「경찰법각론」
    김재광 한국법제연구원 [2007]
  • 「경찰법」
    손재영 (제4판). 박영사 [2018]
  • 「경찰법 연구」
    김연태 서정범 이기춘 (제3판). 세창출판사 [2018]
  • 「경찰개혁위원회 백서」
    경찰청 [2018]
  • 「경찰개혁(상)」
    정균환 도서출판 좋은세상 [1998]
  • 「경찰 실무 경찰과 법」
  • 「100대 국정과제」
    대한민국정부 [2017]
  • “행정위원회의 특성과 기능에 관한 비교연구: 중앙인사위, 금융 감독위, 국가청렴위를 중심으로.”
    노성민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7]
  • “행정경찰에의 초대:경찰작용의 Paradigm Shift.”
    서정범 경찰학 연구 제12권 4호. 경찰대학 [2012]
  • “행정경찰개념의 재검토.”
    이광윤 사법행정 제31권 11호. 한국사법행정 학회 [1990]
  • “행정경찰 개념과 공공질서의 의미:프랑스 행정판례와 그 시사점.” 한국 프랑스 논집 제51권
    전훈 한국 프랑스 학회 [2005]
  • “합의제 행정기관의 설치에 관한 조례 제정의 허용 여부.”
    김수진 행정판 례연구 15-2. 한국 행정판례연구회. 박영사 [2010]
  • “한국적 자치경찰제 확립방안에 관한 연구”
    최기문 박사학위 논문. 동국 대학교 대학원 [2000]
  • “한국의 지방경찰위원회 도입에 관한 연구.”
    이승철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한국지방정부학회 [2006]
  • “한국의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연구:지방경찰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승철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 “한국의 경찰위원회 제도 현황분석과 개선방안.”
    이상원 한국경찰학회보 제42권. 한국경찰학회 [2013]
  • “한국과 일본의 경찰위원회 제도 비교 연구.”
    이황우 경찰위원회 창설 15주년 기념 경찰위원회논총. 경찰위원회 [2006]
  • “한국경찰의 자치경찰제 도입 방안.”
    이관희 한국 공안행정학회보 제9권. 한국 공안행정학회 [2000]
  • “한국 행정위원회의 구조와 한계.”
    김근세 김윤정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8권 4호.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8]
  • “한국 자치경찰제의 도입 모형: 정부안(홍익표 의원 대표발의안) 검토를 중심으로.”
    이상훈 한국행정학회보 제75권. 한국경찰학회 [2019]
  • “한국 자치경찰제도의 이상적 모델”
    이기춘 지방자치법 연구 제18권 1호. 한국 지방자치법학회 [2018]
  • “한국 경찰위원회의 운영실태와 그 개선방향.”
    이강종 한국경찰학회보 제4권 1호. 한국경찰학회 [2002]
  • “한국 경찰위원회의 운영상 문제점과 그 발전방향.”
    이강종 경찰위원회 창설 15주년 기념 경찰위원회논총. 경찰위원회 [2006]
  • “프랑스법상 경찰행정에 관한 연구:개념, 근거, 조직, 작용을 중 심으로.”
    이승민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 “프랑스, 미국, 일본의 자치경찰제와 비교법적 연구.”
    유주성 동아법학 제80권.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 “참여정부의 자치경찰 창설과 운영방안.”
    양영철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5권 4호. 서울행정학회 [2005]
  • “참여정부에서의 자치경찰제 도입 실패에 관한 연구: 정책참여자간 갈등을 중심으로.”
    양영철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 논문집 제권 2호. 한국정책학회, 2008 [2008]
  • “참여민주주의 제도화의 이념과 방향.”
    이현우 의정연구 17권. 한국의회 발전연구회 [2004]
  •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의 의미:지방자치의 기존 시각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손상식 서울법학 제24권 4호.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 “지방자치의 본질과 자치경찰제 논의.”
    조성규 행정법연구 50권. 행정법 이론실무학회 [2017]
  •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자치권에 대한 중앙정부의 규제와 협력.” 지방자치법연구 통권 제40호
    채우석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3]
  • “지방자치 홈-룸 차터의 법률적 지위 검토:미국 캘리포니아 주 헌법과 사례를 중심으로.”
    조시중 지방행정연구 제30권 3호. 지방행정연 구회 [2016]
  •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자치경찰의 법적과제.”
    김남욱 지방자치법연구 제18권 3호.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8]
  • “지방옴부즈만 활성화를 위한 법제개선 방안
    양태건 ” 한국법제 연구원 [2015]
  • “지방분권을 위한 문재인 정부 자치경찰 운영방안.”
    김영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018]
  • “지방분권과 지방자치경찰제도.”
    김해룡 한국경찰학회보 제6권. 한국경찰 학회 [2003]
  • “주민참여기제로서의 위원회 연구: 관악구 교통불편 민원실무심의 위원회와 마을버스 노선조정심사 위원회의 사례분석.”
    권성욱 김철 박성민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5권 3호. 한국지방자치학회 [2003]
  • “제주특별자치도 특별법상 자치경찰 규정의 법적 검토.”
    고헌환 공법학 연구 제10권 1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9]
  •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의 공법적 검토:제주특별자치경찰을 중 심으로.”
    강주영 동아법학 제60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제주자치경찰의 제도 및 정책적 개선방안.”
    김여선 오영기 국제법무 제 1권 2호. 제주대학교 법과 정책연구소 [2009]
  • “제주자치경찰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원중 법과 정책 제24집 2호. 제주대학교 법과 정책연구원 [2018]
  • “제주 자치경찰의 운영현황과 문제점.”
    김원중 지속 가능 사회에서의 헌 법과 경찰. 한국헌법학회 [2018]
  • “정부조직법상 행정위원회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재검토.”
    나채준 홍익법학 제14권 4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정부위원회의 효율적 운용방안.”
    김철 이종수 전주상 기본연구과제 권. 한국행정연구원, 2003 [2003]
  • “정권교체에 따른 경찰제도 변화의 유형에 관한 연구:신제도주의 의 경로 의존성 이론을 중심으로.”
    이선엽 박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 “자치경찰제의 도입에 관한 소고.”
    고문현 경찰법연구 제3권 1호. 한국 경찰법학회 [2005]
  • “자치경찰제의 도입방향.”
    고문현 공법연구 제33집 제5권. 한국공법학회 [2005]
  • “자치경찰제와 실효적인 위험방어:경찰개념과 예방적 위험방지를 중심으로.”
    박웅광 공법학연구 제19권 4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 “자치경찰제 확대 및 강화방안.”
    강기홍 안영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08]
  • “자치경찰제 특위안의 의의와 발전방향.”
    황문규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 안 발표 및 정책토론회 자료집. 자치분권위원회 [2018]
  • “자치경찰제 특별위원회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방안.”
    김순은 자치경 찰제 특별위원회안 발표 및 정책 토론집, 자치분권위원회 [2018]
  • “자치경찰제 정착을 위한 경찰체제 유형별 비교연구.”
    최병일 한국자치 행정학회보 제24권 1호. 한국자치행정학회 [2010]
  • “자치경찰제 실시단위와 경찰위원회 구성:영국모델을 중심으로.”
    문성호 정치정보연구 제2권 1호. 한국정치정보학회 [1999]
  • “자치경찰제 도입의 방향과 과제.”
    황문규 자치분권위 자치경찰제 도입 대토론회 자료집. 자치분권위원회 [2018]
  •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법적 과제.”
    최우용 한국지방자치법학회 정기총회 및 제5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2003 [2003]
  •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한 경찰법안의 내용과 한계.”
    김수연 공법학 연구 제20권 4호. 한국 비교공법학회 [2019]
  •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전국 시도의견을 중 심으로.”
    신용식 윤태웅 지역정책연구 제29권 1호. 충북연구원 [2018]
  • “자치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주요국 의 자치경찰청장 선발 절차 및 자격요건을 중심으로.”
    박원규 한민경 형사정책 연구 제29권 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8]
  • “자치경찰법안의 문제점과 바람직한 방향.”
    임준태 국회의원 김충환 주최 자치경찰법 제정 대토론회 [2005]
  • “자치경찰법(안)의 일반적 고찰”
    김원중 법학연구 제22권 0호. 한국법학회 [2006]
  • “자치경찰 도입에 따른 국가경찰의 역할 검토”
    김원중 김윤영 치안정책 연구 제20권 1호 통권34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5]
  • “일본의 통합형 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 29권 3호
    오승은 한국지방자치학회 [2017]
  • “유기준 의원 안과 정부안의 주민의 입장에서 바라본 기대효과 비교.”
    최종술 지역주민의 치안 수요 충족을 위한 자치 경찰법 제정안 공청회 자료집 [2006]
  • “우리나라 자치경찰제안의 변천과정과 비교.”
    최종술 한국행정학회 학술 발표논문집. 한국행정학회 [2009]
  • “우리나라 자치경찰제도 정착을 위한 법정책적 고찰 : 제주자치 경찰과 서울시특별사법경찰제도를 중심으로.”
    황현락 한국경찰학회보 제 18권. 한국경찰학회 [2008]
  • “옴부즈만의 필요성과 새로운 역할 강화방안:전통적 행정통제 기제 의 한계와 대안 기제를 중심으로.”
    김대건 한국조직학회보 제14권 4호. 한국조직학회 [2018]
  • “영국지방자치경찰의 새로운 패러다임: 경찰개혁 및 사회책임법과 국립범죄청을 중심으로.”
    김학경 이성기 경찰학연구 제12권 1호. 경 찰대학 경찰학연구 편집위원회, 2012 [2011]
  • “영국자치경찰과 제주자치경찰의 비교분석을 통한 한국자치경찰제도 발전방안.”
    최관 지방행정연구 제26권 1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 “영국 경찰의 거버넌스 구조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
    여개명 치안정책 연구 제33권 2호. 치안정책연구소 [2019]
  • “역대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방안과 비교연구”
    최종술 지방정부연구 제 13권 4호.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 “역대 정부의 자치경찰도입 정책 추진과 정책적 함의.”
    양영철 한국경찰 연구 제14권 1호.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 “역대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 도입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양영철 한국 행정사학지 제43호. 한국행정사학회 [2018]
  • “실질적 지방분권을 위한 경찰권의 제주특별자치도 이양방안.”
    견승엽 윤현석 이영우 지방자치법연구 제17권 4호. 한국 지방자치법학회 [2017]
  • “시 도 자치경찰감 주민 직선을 바란다.”
    문성호 월간 공공정책 제171권. 한국자치학회 [2020]
  • “새로운 주민참여방식의 제도화 방안:주민참여 전제조건은 주민에게 행정권한 개방이다.”
    김찬동 정정화 월간주민자치 제54호. 한국자치학회 [2016]
  • “박근혜 정부의 자치경찰 도입모델에 관한 연구:제주 자치경찰 운영 쟁점을 중심으로.”
    양영철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5권 2호. 한국지 방자치학회 [2013]
  • “미래지향적 지방자치경찰 제도의 도입 방향.”
    심익섭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1권 4호. 한국지방자치학회 [1999]
  • “미국 연방정부가 지역경찰에 미치는 영향력의 실제와 그 시사 점:최근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김면기 경찰학연구 제12권 2호.경찰대학 [2017]
  • “미국 법집행 관할체계의 특수성 고찰:한국의 자치경찰제도 도입과 관련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라광현 경찰학연구 제18권 1호. 경찰대학 경찰학 연구 편집위원회 [2018]
  • “문재인 정부의 시도 경찰위원회에 관한 고찰: 주민참여를 중심 으로.”
    이승철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9]
  • “독일경찰의 행정화 과정에 관한 역사적 고찰.”
    권배근 중앙법학 제9집 제3호 [2007]
  • “대구광역시 복지옴부즈만 제도의 성과와 개선방안.”
    박미영 박태영 허숙민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2권.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 “국가경찰과 자치경찰간의 합리적 사무배분에 관한 연구”
    최천근 한국 지방자치학회보 제26권 2호. 한국지방자치학회 [2014]
  • “국가 자치경찰간 협약에 관한 연구.”
    최종술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07]
  •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의 기대역할과 한계 및 과제.”
    황문규 한국공안행정 학회보 제28권 2호 [2019]
  • “공생발전을 위한 경찰의 임무-프랑스의 행정경찰법제와 그 시 사점.” 법학논고 제42권
    강지은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 “경찰행정법의 새로운 이론적 체계의 구축을 위한 소고.”
    서정범 홍익법학 제18권 1호. 홍익대 법학연구소 [2017]
  • “경찰질서법상 위험개념 및 표현위험과 위험의 의심: 독일 경찰 법학의 위험개념 검토를 중심으로.”
    이기춘 공법연구. 제31권 4호. 한국 공법학회 [2003]
  • “경찰제도의 시대적 변화와 자치경찰 도입유형에 관한 연 구”
    조계표 한국행정사학지 제42권. 한국행정사학회 [2018]
  • “경찰의 개념과 경찰법의 범위 -실질적 경찰개념의 유용성 검토-”
    최영규 행정법 연구 제25권.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9]
  • “경찰위원회의 지위 및 역할 재정립 방안.”
    박노섭 안정민 경찰법연구 제15권 2호. 한국경찰법학회 [2017]
  • “경찰위원회의 역할 정립 방안 연구.”
    김원중 한국 공공관리학보 제21권 4호. 한국 공공관리학회 [2007]
  • “경찰위원회의 성격과 운영 실태 검토.”
    김원중 한국정책연구 제7권 1호. 경인행정학회 [2007]
  • “경찰위원회의 법적 좌표와 발전 방향.”
    성낙인 제8기 경찰위원회 백서. 경찰위원회 [2014]
  • “경찰위원회의 모형설계.”
    이황우 한국경찰학회보 제1권 1호. 한국경찰 학회 [1999]
  • “경찰위원회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영우 토지공법연구 제51집. 한국 토지공법학회 [2010]
  • “경찰옴부즈만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김헌진 법과 정책 제18권 2 호. 제주대학교 법과 정책연구소 [2012]
  • “경찰법에 있어서 공공의 안녕의 개념.”
    서정범 공법학 연구 제9권 2호. 한국 비교공법학회 [2008]
  • “경찰권의 확대 집중 정향과 이에 대한 법치주의적 견제 : 행정 경찰과 사법경찰 구별론의 관점에서.”
    이진수 법학 논집 제21권 3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 “경찰개념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고찰.”
    서정범 중앙법학 제9권 3호. 중앙법학회 [2007]
  • “경찰 지방자치의 본질과 당위의 관점에서 본 경찰자치제 정부 안에 대한 검토.”
    이호용 법조 제54권 7호. 법조협회 [2005]
  • “경찰 옴부즈만의 현황과 발전적 정책방안.”
    한표한 사회적 경제와 정책 연구 제7권 2호.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7]
  • “21세기 바람직한 정부조직과 정부조직법.”
    성낙인 법제연구 제44권. 한국 법제연구원 [2013]
  • Washington DC: Office of Community Oriented Policing Services, May 2015.
  • Scrutinising the role of the Police andCrime Panel in the new era of police governance in England and Wales
    vol . 13 ( 1 ) [2014]
  • President’s Task Force on 21st Century Policing. Final Report of the President’s Task Force on 21st Century Policing.
  • Police andCrimeCommissioners : Developing and sustaining a new model of police governance in England and Wales
    vol . 20 ( 1 [2018]
  • Grundfälle zum Polizei-und Ordnungsrecht ''
    [1994]
  • EnhancingCitizen Participation
    [1973]
  • E. The Independent Regulatory Commissions
    [1941]
  • Droit administratif ( 17ème édition )
    [1998]
  • Andresen, Martin. A. "Crime Measures and Spatial Analysis of Criminal Activity". The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Volume 46, Issue 2, March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