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소설의 젠더지리학적 고찰

권영빈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박완서 소설의 젠더지리학적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소설
  • 박완서
  • 젠더
  • 젠더지리학
  • 페미니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29 0

0.0%

' 박완서 소설의 젠더지리학적 고찰' 의 참고문헌

  • 「도시의 흉년에 나타난 여성상과 중산층의 형성」, 한국문학연구 49
    김문정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5]
  •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여성과역사 7
    이성숙 한국여성사학 회 [2007]
  • 「한국 정치적 현대성의 젠더화된 구조와 가내성(家內性)의 정치적 부상: 새로운 시민정치의 발생적 구조와 본성에 관한 시론(試論)」, 한국사회학  48-4
    구자혁 한국사회학회 [2014]
  • 「한국 대중문학의 전개」, 문학과지성 29
    오생근 문학과지성사 [1977]
  • 「페미니즘의 귀환, 혹은 반란의 정치에 부쳐: 지금, 이곳의 여성혐오와 그 잉여를 읽다」, 오늘의문예비평 104
    김경연 오늘의문예비평 [2017]
  • 「페미니즘 지질경제정동역학: 탈지층화-노동-정동-물질 개념 프리즘을 통한 탈코르셋운동의 의미경제 분석」, 철학연구 150
    윤지선 대한철학회 [2019]
  • 「페미니스트 지리학」, 여/성이론 19
    김현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8]
  • 「파국의 철학과 원한의 수사: 장 아메리의 죄와 속죄의 저편을 중심으 로」, 헤세연구 28
    안미현 한국헤세학회 [2012]
  • 「천의무봉과 대중성의 근거」, 문학사상 17-1
    김윤식 문학사상사 [1988]
  • 「지리학의 스케일 논의와 로컬리티 연구」, 로컬리티의인문학 20
    엄은희 부산 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 「주거의 투기화, 투기의 여성화: -1980년대 한국 서사에 나타난 복 부인의 형상화 양상 연구」, 대중서사연구 25-4
    전봉관 대중서사학회, 2019 [1970]
  • 「젠더화된 전쟁과 여성의 흔적 찾기: 점령지의 성적 경제와 여성 생존자 의 기억 서사」, 여성문학연구 43
    김은하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 「전쟁소설에 나타난 식민주체의 이중성: 박완서의 나목을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10
    최성실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 「전쟁과 도시화: 한국전쟁 전후 서울의 도시화를 중심으로」, 도시연구 8
    장세훈 한국도시연구소 [2002]
  • 「일본제국기 ‘開城’의 지역성과 (탈)식민의 문화기획」, 동방학지 151
    정종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대 한지리학회지 43-6
    정현주 대한지리학회 [2008]
  • 「완료된 전쟁과 끝나지 않은 이야기: 박완서론」, 실천문학 62
    김은하 실천문 학사 [2001]
  •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집’의 의미 연구: 박완서, 오정희, 배수아를 중심 으로」
    구번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여성의 정체성 찾기: 박완서 작품론」, 한국학논집 34
    배경열 계명대학교 한 국학연구원 [2007]
  • 「여성의 이주, 다층적 스케일의 장소 열기 그리고 정체성 저글링」, 여성 문학연구 22
    이현재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 「여성들의 노동과 계급: 박완서의 살아있는 날의 시작과 서있는 여자 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5
    배상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 「여성 주체 형성의 삼각구도: 몸-섹슈얼리티-노동」, 여/성이론 1
    이수자 여성 문화이론연구소 [1999]
  • 「여성 가족사 소설의 형성과 의의」,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
    오세은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학회 [1999]
  • 「엄마의 말뚝 2」
    박완서 문학사상 [1981]
  • 「소시민적 삶과 일상의 덫」, 현대문학 302
    이광훈 현대문학사 [1980]
  • 「소문의 서사와 불안의 주체: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70
    우현주 한국현대소설학회 [2018]
  • 「살아있으므로, 미쳐가는 모든 것들, 박완서, 그 남자네 집(현대문학, 」, 오늘의문예비평 56
    권유리야 오늘의문예비평, 2005 [2004]
  • 「사회비평 이상의 것」, 창작과비평 14-1
    백낙청 창작과비평 [1979]
  • 「빛나는 성좌들: 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 47
    이혜령 상허 학회, 2016 [1980]
  • 「비평시대의 젠더적 기원과 그 불만: 「분례기」에서 「객지」로, 노동 공간 의 전환과 ‘노동(자)-남성성’의 구축」, 대중서사연구 24-3
    소영현 대중서사학 회 [2018]
  • 「분단과 여성의 다중적, 근대적 정체성: 년대 초 출생한 두 실향민 여성의 구술 생애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9-1
    윤택림 한국여성학회, 2013 [1930]
  • 「부처님 근처」
    박완서 현대문학 [1973]
  • 「박완서의 미망에 나타난 근대 재고의 한 형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58
    허정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3]
  • 「박완서의 미망에 나타난 (탈)근대공간의 건축술」, 여성문학연구 45
    권영빈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 「박완서의 나목에 나타난 여성의 탈장소와 이동성의 주체」, 여성문학 연구 47
    유인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에 나타난 ‘존재론적 모험’의 양상」, 우리문학연 구 31
    조회경 우리문학회 [2010]
  • 「박완서의 자전적 근대 체험과 토포필리아: 그 많던 싱아는 누 가 다 먹었을까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0
    박영혜 송명희 한국문학이론 과 비평학회 [2003]
  • 「박완서의 자서전적 글쓰기 서사 전략과 그 탈식민주의 의미: 그 남자네 집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6
    윤정화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 「박완서, 「여성 살해 위에 세워진 문학/비평과 문화산업」, 문학과사회 121
    권명아 문 학과지성사 [2018]
  • 「박완서, 그녀가 남긴 것」, 작가세계 23
    권명아 작가세계 [2011]
  • 「박완서 휘청거리는 오후에 대한 재고」, 우리말글 72
    이선화 우리말글학회 [2017]
  • 「박완서 소설의 환대 양상 연구」
    우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박완서 소설의 젠더 의식 연구: 수행성을 중심으로」
    김윤정 이화여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2]
  • 「박완서 소설의 여성적 주체 양상 연구」
    김세나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박완서 소설의 서사공간 연구」
    신현순 목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박완서 소설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에 나타난 정치성 고찰: 살아있는 날의 시작론」, 인문과학연구논총 36-3
    신샛별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 「박완서 소설의 공간에 나타난 여성 의식」, 이화어문논집 10
    강금숙 이화어문 학회 [1989]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정체성 형상화 연구」
    오자은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7]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주술’과 ‘생존’의 문제」, 대중서사연구 22
    차미령 대 중서사학회 [2016]
  • 「박완서 소설과 전시 여성 가장의 미군 PX 경험」, 인문과학연구논총 37-2
    신수정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 「박완서 소설과 ‘비평’: 공감과 해석의 논리」, 여성문학연구 25
    이선미 한국여 성문학학회 [2011]
  • 「박완서 소설 서있는 여자의 젠더 지리학과 정체성 탐색」, 인문사회과 학연구 17
    정미숙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 「박완서 소설 속 ‘망령들’을 통해 본 분단서사의 틈과 균열」, 용봉인문 논총 53
    박성은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 「민족문제의 개인주의적 굴절」, 창작과비평 15-3
    황광수 창작과비평 [1985]
  •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위상학」
    정미선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문학지리학 연구의 정체성과 연구방법론 고찰」, 우리문학연구 51
    권혁래 우 리문학회 [2016]
  • 「몸의 지리성에 대한 현상학적 검토와 지리교육적 함의」, 한국지리환경 교육학회지 18-3
    김대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0]
  • 「딸들의 한국전쟁: 결혼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본 미혼여성들의 한국 전쟁경험」, 여성과역사 7
    안태윤 한국여성사학회 [2007]
  •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 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 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6-1
    김양선 한국근대문학회, 2005 [1970]
  • 「노년 여성의 귀환과 탈가부장제의 징후들」, 어문논집 82
    김경연 민족어문학 회 [2018]
  • 「년대말 가족사 연대기소설의 개념과 특성」, 한국문학논총 11
    류종렬 한 국문학회, 1990 [1930]
  • 「년대 한국전쟁소설에 나타난 전쟁과 일상성의 상호침투 양상」, 한 국문학이론과 비평 42
    김미향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1950]
  • 「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 여성문학연구 43
    이선옥 한국 여성문학학회, 2018 [1980]
  • 「낙토의 아이들」
    박완서 한국문학 [1978]
  • 「꿈꾸는 인큐베이터」
    박완서 현대문학 [1993]
  • 「꿈과 좌절」, 문학과지성 24
    원윤수 문학과지성사 [1976]
  • 「글로벌, 로컬 그리고 젠더: 지구화 시대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 하여」, 여성학연구 22-2
    안숙영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 「근대 開城의 지리적 배치와 開城商人의 탄생」, 국제어문 64
    김창원 국제어 문학회 [2015]
  • 「그 가을의 사흘 동안」
    박완서 현대문학 [1980]
  • 「광장의 페미니즘과 한국문학의 정치성」, 한국근대문학연구 19-2
    허 윤 한 국근대문학회 [2018]
  • 「개인사를 통해서 본 여성의 근대 체험, 박완서, 그 남자네 집(현대문 학 」, 여성과사회 16
    김은하 한국여성연구소, 2005 [2004]
  • 「감시의 시선, 몸의 언어: 박완서의 세태소설을 중심으로」, 여성과사회 13
    이정희 한국여성연구소 [2001]
  • 「가족자본 형성요인과 성과」, 글로벌경영학회 동계국제학술발표 대회 자료집
    남영호 송덕근 글로벌경영학회 [2016]
  • 「가부장제 가족의 자본주의적 재구성」, 현상과인식 31-3
    이영자 한국인문사회 과학회 [2007]
  • 「가(家)」
    박완서 현대문학 [1989]
  • 「‘전쟁 모성’이 생산한 여성 의식」, 현대소설연구 67
    한경희 한국현대소설학 회 [2017]
  • 「‘여성’의 사회적 해석과 년의 박완서 소설: 휘청거리는 오후의 대 중성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51
    이선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1976]
  • 「‘번복’의 글쓰기에 의한 박완서 소설 그 남자네 집의 서사구조 변화」, 인문과학연구 33
    손윤권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 「‘문밖의식’으로 바라본 도시화: 박완서 문학과 서울」, 여성문학연구 25
    송은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 연구」
    허 윤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4 [1950]
  • 휘청거리는 오후
    박완서 문학사상 -1976.12 [1976]
  • 혼자 살아가기: 비혼여성, 임대주택, 민주화 이후의 정동, 황성원 옮김
    송제숙 동녘 [2016]
  •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 페미니즘의 개념들
  • 트라우마, 최현정 옮김
    주디스 허먼 플래닛 [2009]
  • 취향의 정치학: 삐에르 부르디외의 구별짓기 읽기와 쓰기, 부산대학 교 우리시대 고전읽기/질문총서 3
    홍성민 현암사 [2012]
  • 젠더와 로컬리티
    문재원 이유혁 임옥희 장세룡 조정민 부산대학교 한국민 [2017]
  • 전쟁과 사회: 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김동춘 돌베개 [2018]
  • 위반의 시학
    이광호 문학과지성사 [1993]
  • 역사적 파시즘: 제국의 판타지와 젠더 정치
    권명아 책세상 [2006]
  • 여성의 몸: 시각, 쟁점, 역사
    한국여성연구소 창작과비평 [2005]
  • 서울 탄생기: -70년대 문학으로 본 현대도시 서울의 사회사
    송은영 푸른 역사, 2019 [1960]
  • 서울 사람들
    박완서 글수레 [1984]
  • 살아있는 날의 시작
    박완서 동아일보, -1980.5 [1979]
  • 박완서소설전집 1-22
    박완서 세계사 [2016]
  • 박완서단편소설전집 1-7
    박완서 문학동네 [2019]
  • 미망, 문학사상 -1990.5(1988.10-1989
    박완서 6 중단) [1985]
  • 문화정치, 문화전쟁: 비판적 문화지리학, 류제헌, 진종헌, 정현주, 김 순배 옮김
    미첼 살림 [2011]
  • 목마른 계절, 여성동아, -1972
    박완서 11(“한발기”로 연재) [1971]
  • 도시의 흉년
    박완서 문학사상, -1979.7 [1975]
  • 기억과 몸
    몸문화연구소 건국대학교출판부 [2008]
  •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박완서 웅진출판 [1995]
  •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웅진출판 [1992]
  • 공통성과 단독성
    허 정 산지니 [2015]
  •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권명아 책세상 [2000]
  • 가족경제학
  • ‘장소’론: 웹상의 리얼리즘과 지역의 로맨티시즘, 박화리, 윤상 현 옮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번역총서 4
    마루타 하지메 심산 [2011]
  • 나목 박완서 여성동아 [1970]
  • 푸코, 헤테로토피아, 이상길 옮김
    미셸 문학과지성사 [2016]
  • 푸코,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미셸 이규현 옮김 [2010]
  • 편, 한국문학의 현대적 해석 18: 박완서
    이태동 서강대학교출판부 [1998]
  • 편, 산업경관의 탄생: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발전주의 공업단지
  • 털럭, 공공재, 재분배 그리고 지대 추구, 황수연 옮김
    고든 경성대학교출판부 [2008]
  • 크리스 쉴링, 몸의 사회학, 임인숙 옮김
    나남 [1999]
  • 케티 콘보이, 나디아 메디나, 사라 스탠베리 편,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 가?: 성의 상품화 그리고 저항의 가능성, 고경하 옮김
    한울아카데미 [2003]
  • 캐스 브라운, 개빈 브라운, 제이슨 림
    섹슈얼리티 지리학: 페미니즘과 퀴어 지
  • 캐롤 페이트먼, 남과 여, 은폐된 성적 계약, 이충훈, 유영근 옮김
    이후 [2001]
  • 집
    남자네 박완서 현대문학사 [2004]
  • 질리언 로즈, 페미니즘과 지리학: 지리학적 지식의 한계, 정현주 옮김
    한길사 [2011]
  • 질 밸런타인, 공간에 비친 사회, 사회를 읽는 공간: 사회지리학으로의 초대, 박 경환 옮김
    한울아카데미 [2014]
  • 준 카르본, 나오미 칸, 결혼시장: 계급, 젠더, 불평등 그리고 결혼의 사회학, 김 하현 옮김
    시대의창 [2016]
  • 족문화연구소 로컬리티연구총서 25
    소명출판 [2017]
  • 유지로, 토포스: 장소의 철학, 박철은 옮김
    나카무라 그린비 [2012]
  • 앤서니 기든스,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변동, 배은경, 황 정미 옮김
    새물결 [1999]
  • 앙드레 미셸, 가족과 결혼의 사회학, 변화순, 김현주 옮김
    한울아카데미 [2007]
  • 실비아 페데리치, 혁명의 영점: 가사노동, 재생산, 여성주의 투쟁, 황성원 옮김
    갈무리 [2018]
  • 삐에르 부르디외,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 上, 최종철 옮김
    새물결 [1995]
  •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직무환경 의 인식 차이
    권영민 박완서론 삼인행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21(3), 285-298 [1991]
  • 버틀러,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성’의 담론적 한계들에 대하여, 김윤상 옮김
    주디스 인간사랑 [2003]
  • 바슐라르, 공간의 시학, 곽광수 옮김
    가스통 동문선 [2003]
  • 미즈우치 도시오 편, 공간의 정치지리, 심정보 옮김
    푸른길 [2010]
  • 문학앨범: 모든 것에 따뜻함이 숨어 있다
    김병익 박완서 호원숙 웅진 지식하우스 [2011]
  • 문학 길찾기: 박완서 문학 30년 기념비평집
  • 매시, 공간을 위하여, 박경환, 이영민, 이용균 옮김, 부산대학교 한국민족 문화연구소 로컬리티번역총서 10
    도린 심산 [2016]
  • 매시, 공간, 장소, 젠더, 정현주 옮김
    도린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 마리아 미즈,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 적, 최재인 옮김
    갈무리 [2014]
  • 마리아 로사 달라 코스따, 집안의 노동자: 뉴딜이 기획한 가족과 여성, 김현지, 이영주 옮김
    갈무리 [2017]
  • 마르크 오제, 비장소: 초근대성의 인류학 입문, 이상길 옮김
    아카넷 [2017]
  • 린다 맥도웰, 젠더, 정체성, 장소: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이해, 여성과공간연구회 옮김
    한울아카데미 [2010]
  • 리학의 이론, 실천, 정치, 김현철, 시우, 정규리 옮김
    이매진 [2018]
  • 르크 되링, 트리스탄 틸만 편, 공간적 전회, 이기숙 옮김
    심산 [2015]
  • 루이스 A. 틸리, 조앤 W. 스콧, 여성 노동 가족, 박기남, 장경선 옮김
    후마니 타스 [2008]
  • 레이첼 페인 외 6인, 사회지리학의 이해, 이원호, 안영진 옮김
    푸른길 [2008]
  • 데이비드 앳킨슨, 피터 잭슨 외 2인, 이영민, 진종헌, 박경환, 이무용, 박배균 옮김
    논형 [2014]
  • 데이비드 앳킨슨, 피터 잭슨 외 2인
    현대 문화지리학: 주요 개념의 비판적 이해
  • 공포, 젠더 어펙트
    권명아 여자떼 갈무리 [2019]
  • 개인주의자의 인터뷰
  • 7인, 여성(들)이 기억하는 전쟁과 분단
    김귀옥 이재경 아르케 [2013]
  • 28인, 멜랑꼴리 해피엔딩
    강화길 작가정신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