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적인 태권도 호신술트레이닝이 폐경기 중년여성의 체력과 염증마커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구범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규칙적인 태권도 호신술트레이닝이 폐경기 중년여성의 체력과 염증마커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무예 및 기타경기
  • 신체조성
  • 중년여성
  • 태권도트레이닝
  • 태권도호신술
  • 폐경기
  • 항산화효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42 0

0.0%

' 규칙적인 태권도 호신술트레이닝이 폐경기 중년여성의 체력과 염증마커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의 참고문헌

  • 호신술의 전통적 원리와 기술적용에 대한 논고 (論考)
    이진택 주동진 황종대 한국체육학회지, 52(4), 273-282 [2013]
  • 한국중년의 고밀도지단백 (HDL) 콜레 스테롤과 관련요인
    감신 김명관 김상락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4), 423-432 [2018]
  • 한국문화원. (2019). 태권도, (http://www.koreaikultura.hu/ko/162/korea/60).
    [2019]
  • 태권도수련과 근력복합운동이 민간경호원의 건강관련체 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경태 대한무도학회지, 12(3), 265-276 [2010]
  • 태권도 호신술의 문제점 탐색 및 적용 방안
    박성제 한희수 국기원태권도연구, 8(4), 249-268 [2017]
  • 태권도 품새 수련이 지체장애 여성노인의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심태영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6(1), 33-45 [2018]
  • 태권도 품새 수련이 노인여성의 혈청 콜레스테롤과 hs-CRP 및 NT-proBNP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신중달 대한무도학회지, 12(2), 253-264 [2010]
  • 태권도 지도법
    김경지 김정래 서울: 법영사 [1987]
  • 태권도 수련형태에 따른 중년여성의 신체조 성, 골밀도와 혈중지질 및 정신건강 분석
    박기용 이주희 대한무도학회지, 12(2), 265-278 [2010]
  • 태권도 수련이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의 메타분석
    김영욱 오수학 최지아 국기원태권도연구, 9(3), 97-113 [2018]
  • 태권도 수련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건강 관련 체력과 생활 습관병 발생 인자에 대한 영향
    오장록 황인식 한국 발육 발 달 학회지, 28(1), 89-94 [2020]
  • 태권도 수련에 따른 중년여성의 신체 구성과 심폐기능 변화
    김현 이세환 한상윤 한국체육과학회지, 16(4), 667-681 [2007]
  • 태권도 수련에 따른 남자 중학생의 기초체 력, 혈중지질성분과 성장관련인자에 대한 비교
    김기조 장창현 한국웰니스학회 지, 8(3), 249-259 [2013]
  • 태권도 비각 품새 의 운동강도 및 혈중 생리학적 변인 분석
    권기천 양대승 정광채 조준용 최동훈 국기원태권도연구, 10(2), 217-233 [2019]
  • 태권도 교육백서.
    국기원 서울: 국기원세계태권도연수원. [2018]
  • 태권도 교본.
    국기원 서울: 오성출판사 [2006]
  • 청소년의 체력과 신체구성 및 체형의 관련성 검토
    허 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1998]
  • 중년여성의 12 주간 에어로빅 댄스 운동이 SOD, CAT, MDA와 카테콜라민에 이르는 증상
    김은경 한국 체육과 학회지, 17(3), 755-766 [2008]
  • 중고령자에 있어서 적절한 운동처방 의 연구. 이상호. (2018). 태권도 수련이 남자 고등학생의 신체조성,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권만근 이배익 정일호 한국체육과학회지, 27(1), 679-688 [2003]
  • 자연과학편: 유산소 운동트레이닝의 강도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과산화지질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 성순창 이만균 한국체육학회지, 50(3), 551-561 [2011]
  • 유산소 운동이 근골격계 질환자들의 유연성과 항산화능력에 미치는 영향
    곽이섭 지진구 하민성 운동과학, 21(3), 365-372 [2012]
  • 운동강도에 따른 장기간 저항성 운 동이 중년여성들의 과산화지질 (MDA) 과 항산화효소 (SOD) 에 미치는 영향
    강성훈 박일봉 여남회 체육과학연구, 17(4), 11-18 [2006]
  • 운동강도에 따른 12주간 유산소성 운동이 지질과산화 물(MDA)과 항산화효소(SOD)에 미치는 영향
    엄우섭 운동과학, 13(3), 335-350 [2004]
  • 운동 빈도와 형태가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 조성, 과산화지질 및 총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양점홍 최재현 한국체육학회, 47(5), 343-350 [2008]
  • 요가수행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 성성분과 혈중지질 및 혈중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백승현 신명희 윤신중 한국무용학 회지, 32(3), 133-141 [2015]
  • 순환운동과 유산운동이 비만 중년여 성의 체지방율, Adiponectin, 혈관염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강설중 김병로 정성림 한국 체육학회지, 47(6), 659-667 [2008]
  • 수영운동이 비만 zucker rat 의 골격근 TNF-α 및 백색지방조직 UCP-2 발현에 미치는 영향
    서태범 서한교 오명진 윤진환 정일규 현광석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7(1), 114-121 [2010]
  • 세계태권도연수원(WTA). 3급 호신술 지도자 연수교재
    서울: 세계태권도연수원(WTA) [2018]
  • 생활무용 동작 트레이닝 후 정리운동 형태가 근 손상 지표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이향범 한국무용연구, 35(1), 97-116 [2017]
  • 비타민 C 보충과 요가가 중년여성 의 혈청 지질과산화물가 개선에 미치는 영향
    강영수 백영호 이상호 한국식품영양과학 회지, 38(1), 47-51 [2009]
  • 복합운동이 중년남성의 스트레스 호 르몬, 심근 손상지표,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곽이섭 오유성 하민성 운동과학, 22(2), 125-132 [2013]
  • 복합운동이 과체중 및 비만여대생의 염증지표와 아디포넥틴에 미치는 영향
    김태운 박태곤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2), 955-962 [2008]
  • 복부비만여성의 심폐지구력 수준과 유산소 운동강도에 따른 아디포싸이토카인과 면역관련인자 및 항산화능 력에 관한 연구
    김정우 조원제 한국체육학회지, 56(2), 577-590 [2017]
  • 대사증후군 청소년들의 태 권도 수련이 최대산소섭취량과 대사증후군 지표에 미치는 영향
    권유찬 김은희 박상갑 장재희 대한무도학회지, 11(3), 275-290 [2009]
  • 단태권도 기공수련이 중년여성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윤태기 선도문화, 15, 121-150 [2013]
  • 노인여성에서 태권도 품새와 태권체조가 노화관련 호 르몬과 비만지표에 미치는 영향
    김종동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1, p687-697 [2013]
  • 규칙적인 운동이 순환계 질환의 혈관 내피 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기진 안나영 대한비만학회지: 제17(1) [2008]
  • 국민체육진흥공단. (2020). 신체활동의 중요성, (http://14.49.46.105/front/control/con0201_list.do).
    [2020]
  • 골반변위 중년여성 의 태권도 수련형태가 골반 교정과 골밀도, 골대사호르몬 및 혈 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성진 박기용 성민재 이주희 진시형 대한무도학회지, 13(2), 203-220 [2011]
  • 걷기운동트레이닝이 성인 비만 여성의 신체구성, 혈중 지질 및 심혈관기능에 미치는 영향
    최현민 한국스포츠학회지, 16(4), 635-644 [2018]
  •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종혁 남상남 지민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1), 391-398 [2009]
  • Therapeutic potential of yoga practices in modifying cardiovascular risk profile in middle aged men and women
    50 ( 5 ) , 633-640 [2002]
  • TNF‐mediated inflammatory disease
    214 ( 2 ) , 149-160 [2008]
  • Skeletal muscle and lover glutathione homeostasis to training , Exercise and immobilization
    73 ( 4 ) , 1265-1272 . [1992]
  • Oxidants and antioxidants in exercise.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79 ( 3 ) , 675-686 . [1995]
  • Muscle-derived interleukin-6-a possible link between skeletal muscle , adipose tissue , liver , and brain
    19 : 371-376 . [2005]
  • Metabolic syndrome throughout the menopausal transition : influence of age and menopausal status
    9 ( 1 ) , 40-48 . [2006]
  • Is obesity an inflammatory condition
    [2001]
  • Introduction : oxidant stress , aging , and exercise
    25 ( 2 ) , 210-212 . [1993]
  • Fatty acid mobilization from adipose tissue during exercise
    14 ( 8 ) , 386-392 [2003]
  • Exercise induced oxidative stress : glutathione supplementation and deficiency .
    77 ( 5 ) , 2177-2187 . [1994]
  •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18 ( 6 ) , 499-502 [1972]
  • Endurance training improves plasma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healthy elderly
    185 , 111190 . [2020]
  • Effects of short-period exercise training and orlistat therapy on body composition and maximal power production capacity in obese patients
    53 ( 1 ) , 53-60 , 53 ( 1 ) , 53-60 . [2004]
  • Effects of resistance or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interleukin-6 , C-reactive protein , and body composition .
    42 ( 2 ) , 304-313 [2010]
  • Effects of mode and intensity on the acute exercise-induced IL-6 and CRP responses in a sedentary , overweight population
    111 ( 6 ) : 1035-1045 [2011]
  • Effects of exercise , vitamin E , and ozone on pulmonary function and lipid peroxidation
    45 ( 6 ) , 927-932 . [1978]
  • Effects of a rapid antigen test for group A strepto coccalpharyng
    [1990]
  • Effect of weight loss and lifestyle changes on vascular inflammatory markers in obese women
    289 ( 14 ) , 1799-1804 [2003]
  • Effect of regular exercise training on apelin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levels in hypertensive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20 ( 3 ) . [2018]
  • Dietary vitamin E and physical exercise ; I , Altered endurance capacity and plasma lipid profile in ageing rats
    38 ( 3 ) , 285-290 [2004]
  • Cytokines : past , present , and future
    74 ( 1 ) , 3-8 [2001]
  • Changes in athlete ’ s redox state induced by habitual and unaccustomed exercise
    [2012]
  • C-reactive protein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otal body fat , central fat , and insulin resistance in adult women.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5 ( 10 ) , 1416-1420 [2001]
  • Arslan, M., Ipekci, S. H., Kebapcilar, L., Dogan Dede, N., Kurban, S., Erbay, E., & Gonen, M. S. (2014). Effect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MDA and TNF-α level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otices, 2014.
  • Antioxidants : what role do they play i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
    72 ( 2 Suppl ) , 637S-646S [2000]
  • Antioxidant enzyme response to exercise and aging
    25 ( 2 ) . [1993]
  • Analysis of cellular responses to free radicals : focus on exercise and skeletal muscle .
    58 ( 4 ) , 1025-1033 [1999]
  • Adiponectin andresistin : new hormone of White adiposetissue
    9 : 55-61 . [2003]
  • 8주간의 발레운동과 식초섭취가 과 체중 중년여성의 면역기능 인자에 미치는 영향
    박소영 윤정수 하태균 한국무용학회지, 36(3), 35-45 [2019]
  • 8주간 줄넘기 운동과 태권도 수련이 중년남성의 신체구 성, 혈중지질, 혈관탄성, 산화적 스트레스 및 항산화능력에 미치 는 영향
  • 12주간의 태권도 프로그램 참여가 중년여성의 체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영아 박순희 변재경 체육과학 연구, 19(2), 12-20 [2008]
  • 12주간의 순환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 염증 표지 자와 혈중지질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변재철 대한통합의학회지, 7(1), 65-74 [2019]
  • 12주간 새 품새 트레이닝이 비만여성의 신체구성과 체력요인 및 혈중지질 변화에 미치는 효 과
    김정원 남상석 서우섭 전정우 국기원태권도연구, 3(2). 91-111 [2012]
  • 12주 태권도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여성의 건강관련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주윤용 최용선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5(4), 431-436 [2017]
  •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염증반응인자 및 동맥 경화지수에 미치는 영향
    김용규 이정윤 이채산 한국무용학회지, 32(4), 149-162 [2015]
  • 12 주간의 태권도 훈련이 여성 대 학생의 신체 구성과 기초 체력 요인에 의한 영향
    김미량 김병태 이원영 교원 교육, 34 (1), 81-95 [2018]
  • 12 주간의 태권도 트레이닝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건강관련 체력 및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강효정 김성우 서명원 송종국 정성우 정현철 주성은 한국체육과학회지, 26(5), 879-891 [2017]
  • 12 주간의 복합운동이 신체구성과 말초혈액세포 내외 의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시영 한국체육학회지, 49(3), 373-383 [2010]
  • 12 주 태권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중년비만 여성의 신체 구성 및 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길재호 김영환 운동학 학술지, 12(2), 67-77 [2010]
  • 12 주 동안의 운동강도 차이가 중년여성의 산화스트레스, 항산화효소 및 백혈구 DNA 텔로미어 길이에 미치 는 영향
    강현식 이신호 체육과학연구, 18(4), 34-43 [2007]
  • 10 주간의 유산소 운동이 비만 성인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산화스트레스 및 hs-CRP 에 미치는 영향
    김남수 김승환 한국체육과학회지, 26(6), 1007-1017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