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K. A. 스미스의 예전적 인간론에 대한 연구

현기상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제임스 K. A. 스미스의 예전적 인간론에 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예배
  • 예전적 인간론
  • 제임스 K. A. 스미스
  • 통전적
  • 형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4 0

0.0%

' 제임스 K. A. 스미스의 예전적 인간론에 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하나님 형상 이해에 있어 칼빈의 두 관점.
    김요셉 「교회와 문화」. 23권 : 209-229 [2009]
  • 『포스트크리스텐덤 시대의 한국 기독교』
    장동민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9]
  • 『인간론』
    최홍석 서울: 개혁주의신행협회 [2005]
  • 『인간』
    윤철호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 『신앙과 감정』
    이진락 서울: CLC [2010]
  • 『소요리문답강해』
    Williamson, G. I. 최덕성 역. 서울: 한국개혁주의신행협 회 [1978]
  • 『급진적 정통주의 신학방법론』
    김성원 서울: 한들출판사 [2008]
  • “후설의 타자이론의 근본화로서 메를로-퐁티의 타자이론.”
    이종주 「인문논 총」. 65권 : 85-132 [2011]
  • “한국 교회 개혁을 위한 대안: 이머징(Emerging) 교회 운동.”
    양현표 「성경 과 신학」. 83권 : 119-153 [2017]
  • “한국 개신교회의 상황에서 고찰하는 James K. A. Smith의 예배신 학.”
    안덕원 「복음과 실천신학」. 54권 : 133-165 [2020]
  • “포스트모던 시대의 신학의 가능성: 밀뱅크의 급진적 정통주의를 중심 으로.”
    황덕형 「한국조직신학논총」. 28권 : 311-342 [2010]
  • “칼빈의 인간론: 예배적 관점에서의 하나님 형상 이해.”
    현기상 석사학위논문. 백석대학교기독교전문대학원 [2013]
  • “칼뱅의 예전신학: 그것의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 의미.”
    김산덕 「역사신학 논총」. 27권 : 32-71 [2014]
  • “창조, 타락, 구속, 완성의 빛에서 본 아브라함 카이퍼와 클라스 스킬 더의 문화관.”
    유태화 「개혁논총」. 44권 : 111-148 [2017]
  • “조나단 에드워즈의 ‘거룩한 아름다움’.”
    서성록 「미학 예술학연구」. 16권 : 25-44 [2002]
  • “어거스틴의 사랑론.”
    김주한 「한국교회사학회집」. 15권 : 101-128 [2004]
  • “어거스틴의 국가 정의에 관한 소고.”
    박영실 「역사신학 논총」. 5권 : 253-272 [2003]
  • “어거스틴의 교회와 국가에 대한 사상의 발전.”
    안인섭 「역사신학 논총」. 6 권 : 139-156 [2003]
  •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론.”
    강응섭 「한국조직신학논총」. 19권 : 135-156 [2007]
  • “아비투스(Habitus)의 두 얼굴: 프랑스 지성사에서 부르디외 학문의 위상.”
    홍성민 「프랑스문화연구」. 12권 : 219-251 [2006]
  • “신학교육 논쟁에 대한 소고: 에드워드 팔리의 ‘고전적인 유형’을 중심 으로.”
    박찬호 「개혁논총」. 38권 : 143-175 [2016]
  • “신의 도성에 나타난 어거스틴의 로마사 이해.”
    박영실 「성경과 신학」. 36 권 : 341-369 [2004]
  • “선교지 기독교 교육의 실제 의미.”
    심재승 「생명과 말씀」. 14권 년): 63-96 [2016]
  • “부르디외의 문화이론과 재생산으로서의 교육에 대한 철학적 고찰.”
    이소영 「교육철학연구」. 33권 1호 : 129-159 [2011]
  • “문화와 공동체를 바꾸는 힘, 치유의례에 대한 연구.”
    김수영 「목회와 상 담」. 31권 : 11-39 [2018]
  • “메를로-퐁티의 시간성: 『지각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문한샘 「현대유럽 철학연구」. 44권 : 29-58 [2017]
  • “마음.”
    Banwell, B. O. Douglas, J. D. 편. 『새성경사전』. 김의원 나용화 역. 서울: CLC [1996]
  • “도예베르트의 이론적 사고에 대한 선험적 비판과 우주법 이념의 중 심성.”
    한상화 「ACTS 神學과 宣敎」. 13권 : 219-248 [2013]
  • “기독론의 빛에서 본 세례와 성만찬의 종말론적 지평의 재발견: 존 칼 빈과의 비평적 대화.”
    유태화 「한국개혁신학」. 56권 : 84-118 [2017]
  • “급진 정통주의 신학에 대한 개혁 신학적 평가와 비판: 존 밀뱅크를 중심으로.”
    임형권 「개혁논총」. 29권 : 167-211 [2014]
  • “교회와 사회의 관계 문제와 연관하여 밀뱅크(John Milbank)의 근(根)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 관점에서 한국적 신학 비평적으로 읽기.”
    오성욱 「신학 과 사회」. 30권 4호 : 177-221 [2016]
  • “교회와 문화의 관계에 대한 한 고찰.”
    김재윤 「조직신학연구」. 19권 : 144-171 [2013]
  • “개혁주의 인간론에 관한 연구.”
    김광열 「신학지남」. 86권 4집 : 105-129 [2019]
  • “James K. A. Smith가 제안하는 기독교교육 및 형성에 관한 고찰.”
    유은희 「기독교교육논총」. 60권 : 153-193 [2019]
  • “21세기 한국의 상황에서 이머징 교회의 선교적 가능성.”
    김선일 「복음과 선 교」. 14권 : 95-123 [2011]
  • Wright, Christopher J. H. 『현대를 위한 구약윤리』. 김재영 역
    서울: IVP [2006]
  • Wright, Christopher J. H. 『하나님의 선교』. 정옥배 한화룡 역
    서울: IVP [2010]
  • Wright, Christopher J. H. 『하나님의 백성의 선교』. 한화룡 역
    서울: IVP [2012]
  • Wright, Christopher J. H. 『크리스토퍼 라이트, 성경의 핵심 난제들에 답하 다』. 전성민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3]
  • Wolterstorff, Nicholas.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홍병룡 역
    서울: IVP [2007]
  • Why I ’ m Still Afraid : A Response To James K. A. Smith ’ s Who ’ s Afraid Of P ostmodernism ?
    69 ( [2007]
  • Whither Systematic Theology ? A Systematician Chimes in on a Scandalous Conversation.
    85-93 . [1998]
  • What Hath Cambridge To Do With Azusa Street ? : Radical Orthodoxy and Pentecostal Theology in conversation.
    99-114 . [2003]
  • Volf, Miroslav. 『삼위일체와 교회』. 황은역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2]
  • Vanhoozer, Kevin J. 『교리의 드라마』. 김재영 역
    서울: IVP [2003]
  • VanDrunen, David. 『자연법과 두 나라』. 김남국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8]
  • Toward a Theodicy of the Body : Liturgy and Explanation.
    427-444 . [2019]
  • Tongues as a Blush in the Presence of God.
    20 (122-132 . [2011]
  • Thiselton, Anthony C. 『기독교 교리와 해석학』. 김귀탁 역
    서울: 새물결플 러스 [2016]
  • Thinking in Tongues : P entecostal Contributions to Christian P hilosophy
    [2010]
  • Theological Formation in the Church of ‘ the Last Men and Women ’
    9 (335-346 . [2013]
  • The Spirit , Religions , And The World As Sacrament : A Response To Amos Yong ’ s Pneumatological Assist.
    251-261 . [2007]
  • The Gospel of Freedom , or Another Gospel ? : Augustinian Reflections on Empire and American Foreign Policy.
    513-536 . [2009]
  • The Devil Reads Derrida-and Other Essays on the University , the Church , P olitics , and the Arts
    [2009]
  • The Closing of the Book : Pentecostals , Evangelicals , and the Sacred Writings.
    11 (49-71 . [1997]
  • Spykman, Gordon J. 『개혁주의 신학』. 류호준 심재승 역
    서울: 기독교문 서선교회 [2002]
  • Speech and Theology : Language and the Logic of Incarnation
    [2002]
  • Smith, James K. A. 『해석의 타락』. 임형권 역
    대전: 도서출판대장간 [2015]
  • Smith, James K. A. 『하나님 나라를 욕망하라』. 박세혁 역
    서울: IVP [2016]
  • Smith, James K. A. 『하나님 나라를 상상하라』 박세혁 역
    서울: IVP [2018]
  • Smith, James K. A. 『칼빈주의와 사랑에 빠진 젊은이에게 보내는 편지』. 장호준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1]
  • Smith, James K. A. 『왕을 기다리며』. 박세혁 역
    서울: IVP [2019]
  • Smith, James K. A.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박삼종 배 성민 역
    서울: 살림 [2009]
  • Smith, James K. A. 『급진 정통주의 신학』. 한상화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 교회 [2011]
  • Smith, James K. A. “세계관에서 예배로”. 전성민 서민수 역
    『통합연 구』. 20권 1호 [2018]
  • Smith, James K. A. ‘Logic of Incarnation: Toward ACatholic Postmodernism’. Neal DeRoo · Brian Lighrbody eds. The Logic of Incarnation: J ames K. A. Smith’sCritique of P ostmodern Religion. Eugene, Oregon: Pickwick Pub., 2009.
    [2009]
  • Smidt, Corwin E. “원리적 다원주의 관점”. Kemeny, P. C. 편. 『교회, 국가, 공적 정의 논쟁』. 김희준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 Scandalizing Theology : A Pentecostal Response to Noll ’ s Scandal.
    225-238 . [1997]
  • Savage, Sara. “춤을 통하여: 온전히 인간이신, 온전히 살아계신
    ” Begbie
  • Reymond, Robert L. 『최신 조직신학』. 나용화 외 역
    서울: CLC [2004]
  • Relativism-Ancilla Theologiae et Fidei ? Not so Fast
    49 ( [2014]
  • Reforming Public Theology : Two Kingdom , or TwoCities ?
    47 ( [2012]
  • Reading in Tongues : TheCase for a Pneumatalogical Hermeneutic inConversation with James K. Smith.
    P neuma 32 (261-268 . [2010]
  • Radical Orthodoxy and the Reformed Tradition :Creation ,Covenant , and P articipation . James K. A. Smith · James H. Olthuis eds
    [2005]
  • Preaching , Spiritual Formation , And The Figur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2016]
  • Practicing the Kingdom : ACritical Appraisal of James K. A. Smith ’ s Desiring the Kingdom.
    48 ( [2013]
  • On the Road with Saint Augustine : A Real-World Spirituality for Restless Hearts101 Key Terms in P hilosophy and Their Importance for Theology .
  • Naturalizing Glossolalia ? : Prospects for a More Radically Pentecostal Ontology.
    20 (122-154 . [2011]
  • Milbank, John. 『신학과 사회이론』. 임형권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9]
  • Merleau-Ponty, Maurice. 『지각의 현상학』. 류의근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2]
  • McGrath, Alister. 『삶을 위한 신학』. 안종희 역
    서울: IVP [2014]
  • Marshall, Paul. 『천국만이 내 집은 아닙니다』. 김재영 역
    서울: IVP [2000]
  • Lints, Richard. “구원론.” Kelly M. Kapic Bruce L. McCormack 편. 『현대 신학지형도』. 박찬호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6]
  • Kuyper, Abraham. 『칼빈주의 강연』. 김기찬 역
    경기: 크리스챤다이제스 트 [1996]
  • Kuyper, Abraham. 『아브라함 카이퍼의 정치강령』. 손기화 역
    서울: 새물결 플러스 [2018]
  • Kingdom Worship : James K. A. Smith , Robert Webber , And Western Civilization. ” Bulletin of Ecclesial Theology 3.1
    129-145 . [2016]
  • Kerr, Fergus. “프랑스 신학: 이브 콩가르와 앙리 드 뤼박.” David F. Ford 편. 『현대신학과 신학자들』. 류장열 외 역
    서울: CLC [2005]
  • K. A. J acques Derrida : Live Theory
    [2005]
  • Jeremy 편.『예술을 통한 신학』. 최정숙 역
    서울: CLC [2017]
  • James K. A. Who ’ s Afraid of Relativism ? Community , Contingency , and Creaturehood
    [2014]
  • James K. A. Discipleship in the P resent Tense : Reflections on Faith and Culture
    [2013]
  • Is The Universe Open For Surprise ? : Pentecostal Ontology And The Spirit Of Naturalism. ” Zygon 43.4
    879-896 . [2008]
  • In or After Eden ? Creation , Fall , and Interpretation
    [1995]
  • In Pursuit of a Holistic Christian Pedagogy : Affectivity in James K. A. Smith ’ s Desiring the Kingdom.
    13 (12-23 . [2013]
  • How Religious Practices Matter : Peter Ochs ’ ‘ Alternative Nurturance ’ of Philosophy of Religion.
    469-478 . [2008]
  • How ( Not ) to Be Secular : Reading Charles Taylor
    [2014]
  • Horton, Michael. 『개혁주의 조직신학』. 이용중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2]
  • Holy Ambivalence : Secular Liturgies , Divine Politics ?
    28-37 . [2013]
  • Hoekema, Anthony A. 『개혁주의 인간론』. 류호준 역
    서울: 기독교문서선 교회 [1990]
  • Historical And Theological Studies Meeting A Stranger : A Covenantal Epistemology.
    66 ( [2004]
  • Heart and Reason : Using Pascal to Clarify Smith ’ s Ambiguity.
    P neuma 34 (345-364 . [2012]
  • Hauerwas, Stanley. 『교회됨』. 문시영 역
    서울: 북코리아 [2010]
  • Hauerwas, Stanley Willimon, William H. 『하나님의 나그네 된 백성』. 김 기철 역
    서울: 복 있는 사람 [2018]
  • Gorman, Michael J. 『요한계시록 바르게 읽기』. 박규태 역
    서울: 새물결플 러스 [2014]
  • Goheen, Michael W. Bartholomew, Craig G. 『세계관은 이야기다』. 윤종 석 역
    서울: IVP [2011]
  • Formation , Grace , And Pneumatology : Or , Where ’ s the Spirit in Gregory ’ s Augustine ?
    556-569 [2011]
  • Following The ‘ Man Of Sorrows ’ -Jesus ’ Path Toward Openheartedness : A Reflection On Embodiment And The Practice Of Lament.
    87-113 . [2016]
  • Fire From Heaven : The Hermeneutics of Heresy.
    13-31 . [1996]
  • Evangelism and Popular Culture : Reflections and Question from an International Study Process.
    215-226 . [2014]
  • Edwards, Jonathan. 『신앙감정론』. 정성욱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05]
  • Education of Desire : Applying the Pedagogical Principles of James K. A. Smith in the Theological Library.
    68 (63-75 . [2014]
  • Echeverria ’ s Protestant Epistemology : A Catholic Response.
    49 ( [2014]
  • Dyrness, William. “하나님나라운동으로서의 개혁주의생명신학
    ” 「생명과 말 씀」. 4권 : 179-225 [2011]
  • Cornelius. 『변증학』. 신국원 역
    Van Til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7]
  • Christensen, Duane L. 『WBC 성경주석 신명기(상)』. 정일오 역
    서울: 솔로 몬 [2003]
  • Calvin, John. 『기독교강요』. 제1권 원광연 역
    경기: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3]
  • Boyd, Gregory A. Eddy, Paul R. 『복음주의 신학 논쟁』. 박찬호 역
    서울: CLC [2014]
  • Bourdieu, Pierre. Chartier, Roger. 『사회학자와 역사학자』. 이상길 배세 진 역
    서울: 킹콩북 [2019]
  • Between This and That : Reality and Sacramentality in the Pentecostal Worldview.
    19 (243-264 . [2010]
  • Berkhof, Louis. 『조직신학』. 권수경 이상원 역
    경기: 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1]
  • Beale, Gregory K. 『예배자인가, 우상숭배자인가?』. 김재영 성기문 역
    서 울: 새물결플러스 [2014]
  • Beale, Gregory K. 『성전 신학』. 강성열 역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4]
  • Bavinck, Herman. 『개혁교의학』. 제2권 박태현 역
    서울: 부흥과개혁사 [2011]
  • Augustine, St. 『신국론 18-22권』. 김광채 역
    서울: 아우룸 [2018]
  • Augustine, St. 『고백록』. 김광채 역
    서울: CLC [2004]
  • Apologetics , Imagination , And Imaginative Apologetics.
    34 ( [2013]
  • An Expected Openness : Testifying Against James K. A. Smith ’ s Thinking in Tongues. The Conrad Grebel Review 31.1
    71-79 . [2013]
  • Advice to Pentecostal Philosophers.
    235-247 . [2003]
  • A Seat at the Table : Affective Formation and United Methodist Higher Education. Christian Higher Education 14.3
    127-141 [2015]
  • A Principle of Incarnation in Derrida ’ s ( Theologische ? ) Jugendschriften : Toward A Confessional Theology.
    217-230 . [2002]
  • A Pauline Strategy For Challenging Cultural Liturgies : Making Corinthian Disciples.
    [2016]
  • . “Healing in Search of Atonement: With a Little Help from James K. A. Smith.” J ournal of P entecostal Theology 23 (2014): 5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