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과 격식성에 따른 한국어 담화 표지의 운율 연구 = A Study on Prosodic Feature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in accordance with Context and Degree of Formality

도선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상황과 격식성에 따른 한국어 담화 표지의 운율 연구 = A Study on Prosodic Feature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in accordance with Context and Degree of Formal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격식성과 담화 표지
  • 담화 상황과 담화 표지
  • 담화 유형과 담화 표지
  • 담화 표지
  • 담화 표지의 운율
  • 운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32 0

0.0%

' 상황과 격식성에 따른 한국어 담화 표지의 운율 연구 = A Study on Prosodic Features of Korean Discourse Markers in accordance with Context and Degree of Formality' 의 참고문헌

  • 한국어의 화행 표지
    김기찬 언어과학연구, 10, 47-69 [1993]
  •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노대규 국학자료원 [1996]
  • 한국어의 담화 표지 ‘이제’
    이기갑 담화와인지, 1, 261-287 [1995]
  • 한국어의 구어와 말뭉치
    서상규 한국어 교육, 24(3), 71-107 [2013]
  •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담화표 지어 분석 연구
    김태호 윤창숙 언어과학연구, 75, 231-250 [2015]
  • 한국어교육학: 한국어 상대높임법 실현의 영향 요인 연구
    박지순 새국어교육, 98, 289-324 [2014]
  • 한국어교육에서의 담화표지 위계화 방안
    안정아. 한국어 교 육, 20(3), 135-159 [2009]
  • 한국어 학습자의 감탄사 ‘어’의 억양 정보 습득 연구
    권성미 언어, 42(4), 639-662 [2017]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교육 방안특히 양태 의미에 따른 억양 차이를 중심으로
    박기영 우리어문연구, 34, 373-397 [2009]
  • 한국어 초급 말하기 교재의 간투사 연구
    심민희 인문연구, (65), 127-162 [2012]
  • 한국어 자유 발화 음성의 억양 패턴
    김선희 말소리와 음성과학, 1(4), 85-94 [2009]
  • 한국어 억양 교육을 한 방법론 고 찰: 교재 개발의 측면에서
    김은애 박기영 박혜진 진문이 한국어 교육 19:2, 1-31 [2008]
  • 한국어 발화 장면의 공식성과 격식성 연구
    신인환 한민족문화연 구, 59, 189-228 [2017]
  • 한국어 담화표지의 기능
    김향화 한국학논집, 28, 113-140 [2001]
  • 한국어 담화표지어 왜
    이한규 담화와인지, 4(1), 1-20 [1997]
  • 한국어 담화표지어 뭐의 의미
    이한규 담화와인지, 6(1), 137-157 [1999]
  • 한국어 담화표지어 ‘아니’의 의미 현대문법연구 현대문법학 회
    이한규 67. 145-171 [2012]
  • 한국어 교육에서의 담화 표지에 대한 접근의 현황과 방향 성
    이은희 한중인문학연구, 46, 165-192 [2015]
  • 축약형 담화표지 좀/막에 대한 연구
    안정아. 한국사전학(14), 199-223 [2009]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문에 나타난 화제 층위별 담화표지 연구
    김영주 이환환 한국어 의미학, 39, 369-395 [2012]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표지 교육 내용 구성에 대 한 일고찰
    유나. 한국언어문화학, 11(3), 171-197 [2014]
  • 제주방언 문두 담화표지어 “양” 과 “기” 의 담화 기능과 운 율적 특성
    김원보 Journal of Education, 19(2), 1-16 [2017]
  • 제주 방언의 간투 표현
    문순덕 한글, (269), 161-188 [2005]
  • 인터넷 게시판 댓글의 공공성 평가에 미치는 요인
    박현구 [2010]
  • 우리말 소리의 체계: 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초 를 위하여
    신지영 차재은 한국문화사 [2003]
  • 우리말 담화표지 ‘자’고찰
    김영철 국어문학, 45, 5-23 [2008]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억양 교육,
    오미라 이해영 한국어 교육, 5, 109-125 [1994]
  • 영국의 사회언어학. 주요국가의 사회언어학 연구 동향
    김용진 국 립국어원, 76-115 [2004]
  • 상황의 격식성의 정도를 고려한 한국어 담화 표지 형태와 운율 교육 방안 연구
    권성미 도선희 윤은경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163-176 [2019]
  • 방송언어의 공공성 진단 기준
    김한샘 반교어문연구, 30, 37-59 [2011]
  • 방송 출연자의 언어 사용 양상
    이주행 국어교육, 89, 297-321 [1995]
  • 맥락을 고려한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요청 화행을 중심으 로
    서지혜 시학과 언어학, 23, 111-135 [2012]
  • 말레이시아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토론 담화 양상 연구: 토론 담화표지를 중심으로
    이선미 담화와인지, 17(1), 91-111 [2010]
  • 대화참여자의 지위 관계에 따른 운율 특성 연구: 방 송드라마의 대화 자료를 대상으로
    김태경 장경희 사회언어학, 13, 69-88 [2005]
  • 담화표지'어디'에 대하여
    구종남 언어학, 7(3), 217-234 [1999]
  •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남길임 차지현 한글, (288), 91-119 [2010]
  • 담화표지 뭐의 문법화와 담화기능
    구종남 국어문학, 35, 5-32 [2000]
  • 담화표지 뭐냐와 있지에 대하여
    임규홍 어문학, 51-68 [1995]
  • 담화표지 뭐 의 기능과 운율적 특성
    송인성 한국어학. 58, 83-106 [2013]
  • 담화표지 ‘이제’의 운율적 특징과 화용적 기능
    이임라.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담화표지 {좀} 의 기능과 형태 운율적 특성의 실현 양상
    송인성 신지영 한국어학, 62, 315-339 [2014]
  • 담화유형, 텍스트유형 및 장르
    안병길 현대영미어문학, 20(2), 245-276 [2002]
  • 담화상에서의 간투사의 기능
    오승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2, 53-86 [1997]
  • 담화 화시와 사회적 화시
    임동훈 한국어 의미학, 36, 39-63 [2011]
  • 담화 표지 ‘인자’의 정보 유도와 응집성 실현
    김광희 한국어 의미 학, 15, 181-206 [2004]
  • 담화 표지 ‘막’의 의미와 기능
    안정아. 한국어학, 40, 251-279 [2008]
  • 담화 개념의 사용 현황에 관한 연구-한국어교육에서의 적 용을 위해
    남신혜 새국어교육, (117), 227-255 [2018]
  • 국어화용표지의 연구
    이정애 서울: 월인 [2002]
  • 국어학: 국어 높임법에 대한 체계적인 사회언어학적 접근
    김정호 겨레어문학, 33, 31-53 [2004]
  • 국어의 간투사 연구
    오승신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국어 의문사의 담화표지화
    김명희 담화와인지, 12(2), 41-63 [2005]
  • 국어 의문사 무슨의 담화표지 기능
    김명희 담화와인지, 13(2), 21-42 [2006]
  • 국어 음성학
    이호영 태학사 [1996]
  • 국어 담화표지의 유형과 담화표지되기
    김태엽 우리말글, 1-23 [2000]
  • 국어 담화표지의 기능과 운율
    송인성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국어 담화표지 인자에 대한 연구
    임규홍 담화와인지, 2, 1-20 [1996]
  • 국어 간투사의 위상 연구, 국어연구 83
    신지연 국어연구회 [1988]
  • 국립국어원 2016년 한눈에 알아보는 공공언어 바로쓰기
    국립국어원 [2016]
  • 구어체 어말어미 ‘-거든’과 ‘-더라’의 담화기능
    김명희 담화와인지, 20(1), 27-51 [2013]
  • 구어와 담화: 연구와 활용
    구현정 우리말연구, 28, 25-56 [2011]
  • 구어에서 운율 표지와 형태 표지의 분포와 기능
    신지연 한국어학, 77, 37-63 [2017]
  • 구어말뭉치에 나타난 대등연결어미 운율의 양 상
    김진웅 박상훈 담화와인지, 20(3), 65-87 [2013]
  • 관련성 이론의 관점에서 본 접속 부사의 의미기능
    문숙영 국어학, 88, 97-136 [2018]
  • 공공 언어의 공공성-신문사설을 중심으로
    박창원 이화어문논집, 36, 139-178 [2015]
  • 감탄사의 의미 구조
    신지연 한국어 의미학, 8, 241-259 [2001]
  • 감탄사 유래 담화표지의 의미기능 연구
    안정아. 언어과학연구, 61, 91-116 [2012]
  • 간투사'아니'의 의미 기능
    구종남 한국언어문학, 39, 43-64 [1997]
  •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일상적 준구어 자료의 분석 을 바탕으로』
    박지순 연세대학교 박사논문 [2015]
  • 『담화분석: 대화 및 토론 분석의 실제』
    송경숙 한국 문화사 [2002]
  •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임동훈 한국어 의미학, 26, 211-249 [2008]
  • “한국어 교육에서의 담화 기반 문법 연구 : 부정 표현의 맥락 문법 을 활용하여”
    강현화 외국어교육, 19(3), 395-414 [2012]
  • ‘정말’,‘진짜’의 담화 기능과 운율 특성
    송인성 한국어학, 77, 155-179 [2017]
  • ‘막의 운율적 특성과 담화적 기능
    송인성 한국어학, 65, 211-236 [2014]
  • _. ‘참’의 감탄사와 담화표지 의미 기능
    구종남 한민족어문학, 69, 399-428 [2015]
  • NSM 에 기초한 국어 간투사의 의미 기술
    이정애 한국어 의미학, 36, 313-333 [2011]
  • Aerodynamic Approaches to Korean Nasals: Phonetic Variations Focusing on Denasalization
    김수정 김희섭 언어과학, 15(3), 185-200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