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프락시스에 의한 교과의 정당화

유승연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메타프락시스에 의한 교과의 정당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교육과정
  • cultivation of mind
  • internalization of school subjects
  • justification of school subjects
  • metapraxis
  • practice of education
  • 교과의 정당화
  • 교과의내면화
  • 교육 실천
  • 메타 프락시스
  • 심성함양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67 0

0.0%

' 메타프락시스에 의한 교과의 정당화' 의 참고문헌

  • 형식도야이론의 재해석: 교육목적으로서의 ‘일반능력’의 타당성. 도 덕교육연구 30(2)
    이은경 한국도덕교육학회. 43-65 [2018]
  • 피터스의 교육 개념에 대한 비판적 논의. 신앙과 학문 10(1)
    유재봉 임정연 기독교학문연구회. 99-125 [2005]
  • 플라톤 국가론 에서의 관례와 자연의 관계 문제: 메타프락시스적 사고의 단초. 도덕교육연구 22(1)
    박상철 한국도덕교육학회. 55-76 [2010]
  • 프뢰벨의 교육이론: 교과의 정당화에 관한 형이상학적 관점. 도덕 교육연구 13(2)
    정혜진 한국도덕교육학회. 173-191 [2001]
  • 태양과 선분과 동굴: 플라톤 국가론 에서의 지식과 교육. 증보 교 육과정탐구. 박영사
    이홍우 증보자료 10 [2010]
  •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교육부 [2015]
  • 천국에의 등정. 도덕교육연구 29(4)
    이호찬 한국도덕교육학회. 47-72 [2017]
  • 증보 교육과정탐구
    이홍우 박영사 [1992]
  • 주희와 듀이: 교육이론의 메타프락시스적 성격. 도덕교육연구 18(1)
    이홍우 한국도덕교육학회. 1-26 [2006]
  • 주역과 귀신: 교과의 내면화와 교사. 도덕교육연구 31(3)
    박채형 한국도 덕교육학회. 89-113 [2019]
  • 정의와 정당화: 플라톤 국가론 의 교육학적 해석. 도덕교육연구 21(2)
    임병덕 한국도덕교육학회. 209-229 [2010]
  • 자유교육의 이념: 그 쇠퇴의 역사. 도덕교육연구 27(1)
    김인 한국도덕교 육학회. 125-142 [2015]
  • 자연과 자득: 지행합일론에 주는 시사. 도덕교육연구 24(1)
    박종덕 한국 도덕교육학회. 1-27 [2012]
  • 일반역량 교육 논의의 쟁점 분석. 교육과정연구 35(3)
    황규호 한국교육과 정학회. 247-271 [2017]
  • 인성의 개념: 중용 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32(1)
    박종덕 한국도덕교육학 회. 85-105 [2020]
  • 인간행위론: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도덕교육연구 22(2)
    박종덕 한국도덕 교육학회. 123-142 [2011]
  • 위기지학(爲己之學): 성리학의 인성교육론. 도덕교육연구 30(1)
    차미란 한 국도덕교육학회. 1-23 [2018]
  • 영국 현대교육철학의 전개와 한국적 수용. 도덕교육연구 29(3)
    서용석 한 국도덕교육학회. 55-81 [2017]
  • 역량기반(competency-based) 교육의 매력과 한계. 도덕교육연구 20(2)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171-197 [2009]
  •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 육과정연구 27(1)
    소경희 한국교육과정학회. 1-20 [2009]
  • 심성함양의 매체에 관한 플라톤의 사상: 법률 과 국가론 의 분 석. 한국초등교육 27(1)
    진영석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22 [2016]
  • 성리학의 심성론과 도덕교육. 도덕교육연구 22(2)
    장성모 한국도덕교육학 회. 31-51 [2011]
  • 성리학의 미래. 도덕교육연구 28(2)
    이홍우 한국도덕교육학회. 171-201 [2016]
  • 성리학의 교육이론 증보판
    이홍우 교육과학사 [2014]
  • 민주주의와 교육 분석: 프래그마티즘과 메타프락시스. 도덕교육 연구 30(1)
    구리나 한국도덕교육학회. 95-119 [2018]
  • 목표 모형과 심성 함양. 도덕교육연구 18(1)
    박상철 한국도덕교육학회. 113-133 [2006]
  • 메타프락시스 序說. 도덕교육연구 20(2)
    이홍우 한국도덕교육학회. 339-348 [2009]
  • 마음과 교육. 도덕교육연구 31(2)
    장성모 한국도덕교육학회. 265-291 [2019]
  • 도덕교육의 이상으로서의 천인합일. 도덕교육연구 9
    진영석 한국도덕교육 학회. 63-84 [1997]
  • 기독교의 심성함양 프로젝트: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도덕교육연구 31(2)
    이홍우 한국도덕교육학회. 239-263 [2019]
  • 교육이론으로서의 칸트 철학
    신춘호 교육과학사 [2010]
  • 교육의 정당화: 교육윤리학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20(1)
    임병덕 한국도덕 교육학회. 1-26 [2008]
  • 교육의 목적과 난점(제6판)
    이홍우 교육과학사 [1998]
  • 교육의 목적과 난점 제7판
    이홍우 교육과학사 [2016]
  • 교육의 내재적 목적의 종교적 의의. 도덕교육연구 24(3)
    이호찬 한국도덕 교육학회. 193-214 [2012]
  • 교육의 근본: 그 말살과 회복. 도덕교육연구 16(2)
    이홍우 한국도덕교육 학회. 1-20 [2005]
  • 교육과정이론의 두 측면: 교과의 내면화와 교과의 정당화. 도덕교 육연구 22(2)
    진영석 한국도덕교육학회. 143-159 [2011]
  • 교육과정이론
    유한구 이홍우 장성모 교육과학사 [2003]
  • 교육과정의 심성함양모형은 가능한가. 도덕교육연구 18(2)
    정혜진 한국도 덕교육학회. 171-190 [2007]
  • 교육과 올바른 삶: 국가론 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18(1)
    김인 한국도덕 교육학회. 67-94 [2006]
  • 교과의 정당화의 제 유형. 도덕교육연구 31(3)
    유승연 한국도덕교육학회. 115-135 [2019]
  • 교과의 정당화의 도덕교육적 함의. 도덕교육연구 10
    노철현 한국도덕교육 학회. 53-78 [1998]
  • 교과의 내재적 정당화: 메타프락시스적 관점. 도덕교육연구 19(1)
    김광민 한국도덕교육학회. 87-110 [2007]
  • 교과와 실재. 도덕교육연구 13(1)
    이홍우 한국도덕교육학회. 1-25 [2001]
  • 교과교육의 정당화: 중층구조의 관점. 도덕교육연구 17(1)
    김광민 한국도 덕교육학회. 107-131 [2005]
  • ‘실천의 실천’으로서의 교육철학. 도덕교육연구 28(3)
    신춘호 한국도덕교 육학회. 55-74 [2016]
  • The History of Western Education(6th ed.). London: Adam & Charles Black. 이홍우 박재문 유한구(역)(2008). 서양교육사(개정 증보 판)
    Boyd, W. 교육과학사 [1952]
  •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2005]
  • On Competence
    [1979]
  • Liberal Education and the Nature of Knowledge. R. F. Dearden, P. H. Hirst, and R. S. Peters(eds.)(1972).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노철 현(역). 자유교육과 지식의 성격
    Hirst, P. H. 미간행 [1965]
  • Lectures on the Republic of Plato. London: Macmillan&Co.. 김안중 홍윤경(역)(2010). 플라톤의 국가론 강의
    Nettleship, R. L. 교육 과학사 [1925]
  • Learning and Teaching. T. Fuller(ed.)(1989). The Voice of Liberal Learning: Michael Oakeshott on Education
    Oakeshott, M. Yale University Press. 43-62. 유한구 김승호(1998).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 육론. 부록2. 차미란(역). 학습과 교수. 교육과학사 [1967]
  • Kierkegaard as Educator
    Manheimer, R. J.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이홍우 임병덕(역)(2003). 키에르케고르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1977]
  • Hirst, P. H.(1993). Education, Knowledge and Practices. P. H. Hirst and P. White(eds.)(1998). Philosophy of Education: Major Themes in the Analytic Tradition. Vol. 1.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General Education in a Free Society
    [1955]
  •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이 홍우 조영태(역)(2003). 윤리학과 교육
    Peters, R. S. 교육과학사 [1966]
  •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이홍우 (역)(2007). 민주주의와 교육(개정 증보판)
    Dewey, J. 교육과학사 [1916]
  • Analyzing the Impact of Competence-based Approaches on Liberal Education . Grant , G. et al. ( 1979 ) . On Competence
    [1979]
  • A History of Philosophy, Vol 1, Greece and Rome(2nd ed.). Westminster
    Copleston, F. C. Maryland: Newman Press. 김보현(역)(2015). 그리 스 로마 철학사. 북코리아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