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극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과학담론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연구

김우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근대극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과학담론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장
  • 과학자
  • 광산
  • 국민문학
  • 국민연극
  • 국방
  • 극예술과학
  • 근대과학
  • 근대극
  • 근대사실주의
  • 기계
  • 기계문명
  • 기계사회
  • 김남천
  • 김우진
  • 노동자
  • 로봇
  • 박영희
  • 병리학
  • 쓰키지소극장
  • 인조노동자
  • 입센
  • 함세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41 0

0.0%

' 한국 근대극의 형성과정에 나타난 과학담론의 역할과 의미에 관한 연구' 의 참고문헌

  • 효도 히로미, 『연기된 근대』, 문경연 역
    연극과 인간 [2007]
  • 폴 비릴리오, 『속도와 정치』, 이재원 역
    그린비 [2004]
  • 토머스 S. 쿤, 『과학 혁명의 구조』, 홍성욱 역
    까치글방 [2013]
  • 토니 마이어스,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박정수 역
    앨피 [2005]
  • 즈뎅까 끌뢰슬로바, 「김우진과 까렐차�r」, 『민족문학사연구』제4권
    민족문학사연구 소 [1993]
  • 이블린 폭스 켈러, 『과학과 젠더』, 민경숙 역
    동문선 [1996]
  • 이노우에 하루키, 『로봇창세기』
    최경국?이재준 역, 창해 [2019]
  • 와타나베 마사오, 『일본인과 근대 과학』, 손영수 역
    전파 과학사 [1992]
  • 연구회, 『김우진 연구』
    김우진 푸른 사상사 [2017]
  • 야마모토 요시타카, 『일본 과학기술 총력전』, 서의동 역
    AK [2019]
  • 앨프리드 화이트헤드, 『과학과 근대 세계』, 오영환 역
    서광사 [2008]
  • 앤 마리 발사모, 『젠더화 된 몸의 기술』, 김경례 역
    아르케 [2012]
  • 알랭 바디우, 『사도 바울』, 현성환 역
    새물결 [2008]
  • 슬라보예 지젝, 『실재의 사막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이현우 역
    자음과 모음 [2018]
  • 수전 벅모스,『헤겔 아이티 보편사』, 김성호 역
    문학동네 [2012]
  • 세르게이 에르몰라예프, 『소비에뜨 문학이론』, 김민인 역
    열린책들 [1989]
  • 미셀 푸코, 『안전?영토?인구』, 오트르망 역
    난장 [2011]
  • 루스 배러클러프, 『여공문학』, 김원 역
    후마니타스 [2017]
  • 라나지트 구하, 『서발턴과 봉기』, 김택현 역
    박종철 출판사 [2008]
  • 다카시 후지타니, 『총력전 제국의 인종주의』, 이경훈 역
    푸른역사 [2019]
  • 니시카와 나가오, 『국민이라는 괴물』, 윤대석 역
    소명출판 [2002]
  • 고야스 노부쿠니, 『동아 대동아 동아시아』, 이승연 역
    역사비평사 [2005]
  • 게오르크 루카치, 『역사소설론』, 이영욱 역
    거름 [1999]
  • 平櫛孝,「명일의 과학전 : 과학전의 장래」, 『신시대』제02-04집
    신시대사 [1942]
  • 山之內二郞, 「병참기지 조선의 책무」, 『신시대』창간호
    신시대사 [1941]
  • 『희곡의 구조』
    신현숙 문학과 지성사 [1990]
  • 『해방 전 중 단막극집』
    이재명 평민사 [2004]
  • 『해방 전 공연희곡집Ⅴ』
    이재명 평민사 [2004]
  • 『해방 전 공연희곡집Ⅳ』
    이재명 평민사 [2004]
  • 『해방 전 공연희곡집Ⅲ』
    이재명 평민사 [2004]
  • 『해방 전 공연희곡집Ⅰ』
    이재명 평민사 [2004]
  • 『한일 학병세대의 빛과 어둠』
    김윤식 소명 [2012]
  • 『한국근대문예 비평사 연구』
    김윤식 일지사 [1999]
  • 『한국 희곡전집Ⅱ』
    서연호 태학사 [1996]
  • 『한국 현대 희곡사』
    유민영 홍성사 [1982]
  • 『한국 연극사』
    서연호 연극과 인간 [2003]
  • 『한국 사실주의희곡, 그 욕망의 식민성』
    이승희 소명출판 [2004]
  • 『한국 근대악극 연구』
    김호연 민속원 [2009]
  • 『한국 근대아동의 탄생』
    이병담 제이앤씨 [2007]
  • 『한국 근대극 작가론』
    서연호 고려대 출판부 [1998]
  • 『한국 근대 희곡사 연구』
    서연호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2]
  • 『한국 근대 연극비평사 연구』
    양승국 태학사 [1996]
  • 『파국의 지형학』
    문강형준 자음과 모음 [2011]
  • 『친일문학론』
    임종국 평화출판사 [1966]
  • 『조선 연극사』
    김재철 조선어문학회 [1933]
  • 『조선 대중극의 용광로 동양극장Ⅱ』
    김남석 서강대 출판부 [2018]
  • 『전쟁과 학교』
    이치석 삼인 [2005]
  • 『일제 말 친일목적극의 형성과 전개』
    이재명 소명출판 [2011]
  • 『이타적 인간의 출현』
    최정규 뿌리와 이파리 [2009]
  • 『이야기 근대 연극사』
    고설봉 창작마을 [2018]
  • 『의료의 문화사회학』
    전우택 몸과 마음 [2002]
  • 『식민지 시대의 친일극 연구』
    서연호 태학사 [1997]
  • 『성의 정치?성의 권리』
    권김현영 자음과 모음 [2012]
  • 『비교문학과 텍스트의 국적』
    박진임 소명출판 [2019]
  • 『베르그송의 철학』
    김형효 민음사 [1995]
  • 『박영희 전집Ⅰ』
    노상래 이동희 영남대 출판부 [1997]
  • 『미술과 문학의 파타피지컬리즘』
    이광래 미메시스 [2017]
  • 『문학과 과학Ⅰ?Ⅱ?Ⅲ』
    황종연 소명출판, -2015 [2013]
  • 『묵시록의 네 기사』
    복도훈 자음과 모음 [2012]
  • 『대학과 권력』
    김정인 휴머니스트 [2018]
  • 『김우진 전집Ⅱ』
    김우진 전예원 [1983]
  • 『김우진 전집Ⅱ』
    서연호 홍창수 연극과 인간 [2000]
  • 『김우진 전집Ⅰ』
    서연호 홍창수 연극과 인간 [2000]
  • 『김기림 전집Ⅲ』
    김세환 김학동 심설당 [1988]
  • 『기계비평들』
    임태훈 워크룸 프레스 [2019]
  • 『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김진균 문학과학사 [2003]
  • 『극장, 정치를 꿈꾸다』
    이상우 테오리아 [2018]
  • 『극예술, 과학을 꿈꾸다』
    이상우 지식과 교양 [2019]
  • 『국민연극Ⅳ』
    이미원 월인 [2003]
  • 『국민연극Ⅱ』
    이미원 월인 [2003]
  • 『국민연극Ⅰ』
    이미원 월인 [2003]
  • 『解放前日文?曲集』
    이재명 평민사 [2004]
  • 『現代日本奇術史槪說』 , 大日本 ? 商株式 ?
    [1956]
  • 『妊娠するロボット―1920年代の科 ? と幻想』
    [2003]
  • 『SF는 공상하지 않는다』
    복도훈 은행나무 [2019]
  • 『20세기 기술의 문화사』
    김명진 궁리 [2018]
  • 『1910년대, 풍문의 시대를 읽다』
    권보드래 동국대 출판부, 2008 [2008]
  • 「함세덕의 <황해>연구」
    이상우 『한국연극학』제12권, 한국연극학회 [1999]
  • 「함세덕의 <황해>에 대하여」
    이상우 『연극교육연구』제3권, 한국연극교육학회 [1999]
  • 「함세덕과 아이들」
    이상우 『한국극예술연구』제29권, 한국극예술학회 [2009]
  • 「한국 현대소설의 과학담론 전유양상」
    이학영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 사실주의희곡 연구」
    김방옥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87]
  • 「한국 사실주의희곡 연구」
    이승희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01]
  •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과학의 표상」
    허병식 『한국어문학연구』제62호, 한국어 문학연구학회 [2014]
  • 「한국 근대 공업기술의 발달과정」
    김상용 『대한민국학술원논문집』제50권, 대한민 국학술원 [2011]
  • 「한국 군진 정신의학 운영주체에 관한 역사적 고찰 및 정신의료 복지제도도 입 고려사항」
    엄새린 『한국군사회복지학』제1권,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08]
  • 「표상으로서의 망국사 이야기」
    이상우 『한국극예술연구』제25호, 한국극예술학회 [2007]
  • 「포스트콜로니얼리즘과 여성」
    박진임 『한국현대문학연구』제17권 17호, 한국현대 문학회 [2005]
  • 「토월회의 창립공연 연구」
    김재석 『한국극예술연구』제43권, 한국극예술학회 [2014]
  • 「토월회를 통해 본 근대 초창기의 여배우 인식 : 이월화, 복혜숙, 윤심덕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상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제39호,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서 정시학 [2017]
  • 「카프초기 문예론의 전개와 과학적 이상주의의 영향」
    송민호 『한국문학연구』제42 권,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2012]
  • 「카프작가 칠인집에 대하여」
    김성수 『민족문학사연구』제1권, 민족문학사학회 민 족문학사연구소 [1991]
  • 「카렐 차페크의 인조노동자(속)」
    여덜뫼 『동아일보』 [1925]
  • 「추문의 데마고기화, 수사학에서 정치학으로」
    진선영 『여성문학연구』제30호, 한 국어성문학학회 [2013]
  •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에 나타난 민족서사의 특징」
    박명진 『어문연구』제32권,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 「조령출 희곡연구」
    박민선 『우리문학연구』제33호, 우리문학회 [2011]
  • 「정념 욕망의 목소리」, 『시대와 철학』제45권
    김 석 고려대 철학연구소 [2012]
  • 「전시체제기 일제의 육군특별지원병제도에 대한 선전과 조선인 전쟁영웅화 작업」
    박민선 숭실대 석사학위논문 [2019]
  • 「자료해설-조령출 희곡<리순신 장군>에 대하여」
    이상우 『한국극예술연구』제13집, 한국극예술학회 [2001]
  • 「입센주의와 여성, 그리고 한국 근대극」
    이상우 『현대문학의 연구』제25권, 한국문학 연구학회 [2005]
  • 「입센극 <인형의 집> 수용과 노라를 바라보는 남성 인텔리의 시선에 관한 소론」
    김우진 『동서비교문학저널』제46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8]
  • 「임선규 국민연극의 문제성」
    김옥란 『민족문학사연구』제37권, 민족문학사연구소 [2008]
  • 「일제시대의 실업자문제」
    강만길 『아세아연구』제77호,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87]
  • 「일제말기 국민연극에 담긴 순응과 저항의 이중성」
    양승국 『공연문화연구』제16권, 한국공연문화학회 [2008]
  • 「일제말기 국민연극에 나타난 과학의 위기」
    이주영 『한국연극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 집』, 한국연극학회 [2019]
  • 「일제강점기 지식인 실업문제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연구」
    전봉관 『현대소설연구』 제5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 「일제 황민화교육과 국민학교제의 시행」
    이명화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제35집,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0]
  • 「일제 말기 국민연극의 존재 형식과 공연 구조」
    양승국 『한국현대문학연구』 제23권 23호, 한국현대문학회 [2007]
  • 「일본의 축지 소극장이 한국연극에 미친 영향연구」
    김재석 『어문학』제73권, 한국 어문학회 [2001]
  • 「일본의 메이지 사상계와 과학이라는 용어의 성립과정」
    김성근 『한국과학사학회 지』제25권, 한국과학사학회 [2003]
  • 「인조인간의 출현과 근대 SF문학의 테크노크라시」
    한민주 『한국근대문학연구』제 25호, 한국근대문학회 [2012]
  • 「인조인 : 보헤미아 작가의 극」
    이광수 『동명』제31호, 신문관 [1923]
  • 「인간과 기계」
    천현순 『독일문학』제122권,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 「이광수의 규한에 나타난 우편」
    정수진 『연극포럼』,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7]
  • 「유치진 희곡의 변모과정 연구」
    이상우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1996]
  • 「월북예술인 김태진과 발굴희곡 <임진왜란> 고찰」
    문경연 『한국극예술연구』제40권, 한국극예술학회 [2013]
  • 「우리의 연극과 외국극의 영향」
    김광섭 『조선일보』 [1933]
  • 「연기훈련을 위한 몸의 인식과 자각과정에 관한 연구」
    김성태 청주대 석사학위논 문 [2008]
  • 「연극의 브나로드 운동」
    유치친 『조선중앙일보』 [1934]
  • 「연극배우고」
    안영일 『신시대』제03-03집, 신시대사 [1943]
  • 「야만적 타자의 발견과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의 확산」
    윤상인 『비교문학』제25권, 한국비교문학회 [2000]
  • 「심상지리로서의 대동아」
    이상우 『한국극예술연구』제27권, 한국극예술학회 [2008]
  • 「식민지 조선의 과학, 기술담론에 나타난 근대성」, 『한민족문화연 구』제34권
    김우필 최혜실 한민족문화학회 [2010]
  • 「식민지 전시체제에서의 검열과 선전, 그리고 동원」
    정근식 『상허학보』제38호, 상 허학회 [2013]
  • 「식민지 시기 비행기 표상과 기술지배로서의 신체제」
    강부원 성균관대 석사학위논 문 [2009]
  • 「수산 김우진의 희곡에 나타난 젠더정치학」
    김우진 『한국학연구』제52집, 고려대 한국학연구소 [2015]
  • 「사상사의 견지에서 본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수용의 지형과 함의」
    이병태 『통일 인문학』제79집, 건국대 인문학연구원 [2019]
  • 「박정희 정부의 의료복지와 연극」
    김태희 『드라마연구』제56호, 한국드라마학회 [2018]
  • 「박영희의 번역 희곡과 ‘네이션=스테이트’의 기획」
    이민영 『어문학』제107권, 한국어문학회 [2010]
  • 「박영호 희곡 <별의 합창>에 나타난 친일적 성향 연구」
    이재명 『한국연극학』제21 권, 한국연극학회 [2003]
  • 「미국 사회진화론과 한국 근대」
    우남숙 『동양정치사상사』제11권, 한국동양정치사 상사학회 [2012]
  • 「문단의 투쟁적 가치」
    박영희 『조선일보』 [1925]
  • 「릿쿄대학시대의 유치진과 일본 좌익연극계의 동향」
    이상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제28호,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서정시학 [2015]
  • 「라메트리의 인간기계론에 나타난 심신이론과 18세기 생물학」, 『한국과학사 학회지』제13권2호
    조영란 한국과학사학회 [1991]
  • 「동양은 동양 사람의 것」
    박종화 『매일신보』, ,08.27 [1944]
  • 「동아세아 근대와 일본의 대응」
    이명원 『현대사회와 정치평론』제18권, 정치평론 학회 [2016]
  • 「도래할 기계사회와 사회변혁의 매개」
    김우진 『여성문학연구』제44권01호, 한국여성 문학학회 [2018]
  • 「년대 현대극장과 친일극 연구」
    이상우 『한민족어문학』제38권, 한민족어문학회, 2001 [1940]
  • 「년대 국민연극론 연구」
    양승국 『한국극예술연구』6권, 한국극예술학회, 1996 [1940]
  • 「년대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의 수용 연구」
    황정현 『현대문학이론연구』제61 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1920]
  • 「김기림의 과학으로서의 시학」
    오세영 『한민족어문학』제41권, 한민족어문학회 [2002]
  • 「김기림 시론에서의 과학」
    윤대석 『한국근대문학연구』제13권, 한국근대문학회 [2006]
  • 「근대희곡에 나타난 제국의 조선의사들」
    이주영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83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9]
  • 「근대 과학문화의 젠더정치학」
    한민주 『역사문제연구』제39권, 역사문제연구소 [2018]
  • 「극예술연구회의 창작극과 유치진」
    이상우 『인문연구』제31권1호, 영남대 인문과학 연구소 [1996]
  • 「극예술연구회에 대한 연구」
    이상우 『한국극예술연구』7집, 한국극예술연구회 [1997]
  • 「극계총람」
    송 영 『매일신보』 [1942]
  • 「게이주츠자의 조선순업과 연극 <復活>공연」
    이상우 『한국극예술연구』제62집, 한국 극예술연구회 [2018]
  • 「개항 전쟁 성병」
    신규환 『의사학』통권33호, 대한의사학회 [2008]
  • 「朝鮮文壇の革新」
    최재서 『국민문학』창간호, 인문사 [1942]
  • 「人造勞動者」
    박영희 『開闢』제59호, 開闢社 [1925]
  • 「3?1운동 전야의 동경유학생학우회와 근대극」
    이상우 『한민족어문학』제86권, 한민 족어문학회 [2019]
  • 「20세기 전반기 한일연극의 영향관계연구」, 『한국연극학』제8권
    박민선 한국연극학 회 [1996]
  • 「1940년대 국민연극과 친일협력의 논리」
    문경연 『드라마연구』제7권29호, 한국드 라마학회, 2006 [2006]
  • 「1920년대 전반기 일제의 문화정치와 부르조아 정치세력의 대응」
    이태훈 『역사와 현실』제47권, 한국역사연구회, 2003 [2003]
  • 「1920년대 극단 토월회의 연기에 대한 가설적 탐구」
    김남석 『한국연극학』1권53 호, 한국연극학회, 2014 [2014]
  • 「1920-30년대 연극운동론 연구」
    양승국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92 [1992]
  • 「1920-30년대 산업합리화운동과 조선지식인의 현실인식」
    이수일 『역사와 실학』제 38권, 역사실학회, 2009 [2009]
  • Machines as the Measure of Men
    [1990]
  • ?한국 신극사 연구?
    이두현 서울대 출판부 [1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