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문학의 공동체 지향 연구

선민서 2020년
' 최인훈 문학의 공동체 지향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세계인’ 공동체
  • 『가면고』
  • 『광장』
  • 『구운몽』
  • 『서유기』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크리스마스 캐럴』
  • 『태풍』
  • 『화두』
  • 『회색인』
  • 공동체지향
  • 그레이구락부 전말기
  • 민족공동체
  • 아시아공동체
  • 연인 공동체
  • 최인훈 문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8 0

0.0%

' 최인훈 문학의 공동체 지향 연구' 의 참고문헌

  • 「최인훈의 『화두』에 나타난 애도와 기억」, 외국문학연구 57
    구재진 한국외 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 「최인훈 소설의 연구사 연구」
    최윤경 『어문논총』 27, 전남대학교 한국어문 학연구소 [2015]
  • 「라울전, 최인훈 문학의 한 기원」
    전소영 『한국현대문학연구』 55, 한국 현대문학회 [2018]
  • 호미 바바, 『국민과 서사』, 류승구 옮김
    후마니타스 [2011]
  • 헤이든 화이트, 『메타 역사―19세기 유럽의 역사적 상상력Ⅱ』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 한국구술사학회, 『구술사로 읽는 한국전쟁―서울 토박이와 민통선 사람들
    전쟁
  • 칸 앞잘 아흐메드, 「최인훈의 『가면고』에 나타난 가면의 의미」, 『정신문화 연구』 39(2)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 칸 앞잘 아흐메드, 「최인훈 소설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논문 [2017]
  • 최인훈의 ?태풍?에 나타난 시대착오와 평행세계의 상상력 . ?
    박인성 『동서 인문학』 51,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 최인훈 희곡의 연극적 기법과 미학 연구
    조보라미 서울대 박사논문 [2007]
  • 최인훈 소설의 주체 연구
    양윤의 고려대 박사논문 [2010]
  • 최인훈 소설의 정치적 상상력 . ?
    양윤의 『국제어문』 50, 국제어문학회 [2010]
  • 최인훈 소설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연구
    연남경 이화여대 박사논문 [2009]
  • 최인훈 소설의 '정체성 찾기'에 대한 연구
    양윤모 고려대 박사논문 [1999]
  • 최인훈 문학에서의 '개인'에 관한 연구
    성지연 연세대 박사논문 [2003]
  • 최인훈 문학과 ‘아시아'라는 사상
    장문석 서울대 박사논문 [2018]
  • 알라이다 아스만, 변학수 외 옮김,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2003]
  • 비자이 프라샤드(Prashad, Vijay), 『갈색의 세계사―새로 쓴 제3세계 인민의 역사The Dark Nations』, 박소현 옮김
    뿌리와이파리 [2015]
  • 미망인과 월북가족, 그들이 말하는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
    후마니타스 [2011]
  • 망명자의 정치 감각과 피난의 기억: 최인훈 ?서유기?론 . ?
    서세림 『현대소 설연구』 58, 현대소설학회 [2015]
  • 『한국문학사』
    김윤식 김현 민음사, 1993 [1973]
  • 『한국 현대소설과 근대적 자아의식』
    문광훈 아카넷 [2010]
  • 『한국 지식인들의 아시아 기행-1966)』
    장세진 푸른역사, 2012 [1945]
  • 『최인훈―문학을 ‘심문(審問)’하는 작가』
    정재림 글누림 [2013]
  • 『최인훈 전집5―태풍』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09 [1978]
  • 『최인훈 전집4―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05 [1976]
  • 『최인훈 전집3―서유기』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08 [2007]
  • 『최인훈 전집2―회색인』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12 [1977]
  • 『최인훈 전집1―광장/구운몽』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14 [1976]
  • 『최인훈 전집15―화두2』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08]
  • 『최인훈 전집14―화두1』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11 [2008]
  • 『최인훈 전집13―길에 관한 명상』
    최인훈 [2010]
  • 『최인훈 전집12―문학과 이데올로기』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09 [1980]
  • 『최인훈 전집11―유토피아의 꿈』
    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10 [1980]
  • 『최인훈 소설 연구』
    김미영 깊은샘 [2005]
  • 『바다의 편지』
    최인훈 삼인 [2012]
  • 『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한겨레』
  • 「해외동향―몰타 미소정상회담의 의의」, 『한국논단』 5
    이 형 한국논단 [1990]
  • 「피난민 산책자와 년대 서울—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론」, 『시학과 언어학』 30
    권 은 시학과언어학회, 2015 [1970]
  • 「프랑코 정권의 기억 만들기와 그 기억의 변화」
    황보영조 『역사학연구』 39, 한국서양사학회 [2016]
  • 「풍문, 환상, 자기 의식성―최인훈의 『구운몽』을 중심으로」
    송병삼 『한국 언어문학』 95, 한국언어문학회 [2015]
  •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 반영된 한국전쟁과 한국의 이미지」
    최성은 『동유럽발칸연구』, 동유럽발칸연구소 38(2) [2014]
  • 「통일을 기다리는 나날들―7 4 남북공동성명 직전의 최인훈과 『소설 가 구보씨의 일일』
    장문석 『통일과 평화』 9(1) [2017]
  • 「텍스트의 증후와 사회적 콘텍스트―최인훈 소설 『구운몽』의 미적 모 더니티와 사회적 의미 연구」
    김정관 『인문과학』 71, 성균관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2018]
  • 「텍스트의 유토피아와 삶의 변증법―최인훈 소설 『가면고』론」
    김인호 『동 국어문학』, 동국어문학회 10 [1999]
  • 「탈식민 문화의 양상과 근대 시민의식의 형성―최인훈의 『회색인』」
    오윤호 『韓民族語文學』 48, 한민족어문학회 [2006]
  • 「최인훈의 환상성, 현실인식과 문학적 상상력의 결합」
    김미영 『한국언어문 화』 16, 한국언어문화학회 [1998]
  • 「최인훈의 전쟁소설―개인사적 좌표에서 기억하기」
    연남경 『현대문학이론연 구』 67,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 「최인훈의 소설에 나타난 '방송의 소리' 형식 연구」
    서은주 『배달말』 30, 배달말학회 [2002]
  • 「최인훈의 소설 『구운몽』 연구」
    임금희 『새국어교육』 70, 한국국어교육 학회 [2005]
  • 「최인훈의 고현학, ‘소설노동자’의 위치—『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
    구재진 『한국근대문학연구』 38, 한국현대문학회 [2012]
  • 「최인훈의 『회색인』에 대한 독서방법―소설적 제요소와 그 기능을 중 심으로」
    김홍연 『한국언어문화』 4, 한국언어문화학회 [1986]
  • 「최인훈의 『회색인』에 나타난 현실 인식 연구」
    권성우 『語文學』 74, 韓 國語文學會 [2001]
  • 「최인훈의 『회색인』 연구」
    구재진 『한국문화』 27, 서울대학교 한국문화 연구소 [2001]
  • 「최인훈의 『회색인』 연구」
    권보드래 『민족문학사연구』 10, 민족문학사학 회 [1997]
  • 「최인훈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구―구보의 서명과 ‘후진국 민’의 정체성」
    이민영 『현대소설연구』 58,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 「최인훈의 『구운몽』에 나타난 자아의 정체성 혼란과 주체복원 욕망 고찰」
    배경열 『배달말』 44, 배달말학회 [2009]
  • 「최인훈의 『구운몽』론―인물과 환상성을 중심으로」
    김미영 『한국언어문 화』 20, 한국언어문화학회 [2001]
  • 「최인훈의 『구운몽』 연구―시대 상황을 중심으로」
    김희진 『現代文學理論 硏究』 64,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 「최인훈의 『광장』에 나타난 만주의 ‘항일 로맨티시즘’」
    손유경 『만주연 구』 12, 만주학회 [2011]
  • 「최인훈의 『가면고』에 나타난 예술가의 정체성」
    서세림 『한국현대문학연 구』 54, 한국현대문학회 [2018]
  • 「최인훈의 「가면고」에 나타난 프랑스 실존주의의 영향」
    백주현 『比較文 學』 49, 한국비교문학회 [2009]
  • 「최인훈론—피란(避亂)의 존재론과 경계지식인의 탄생」
    연남경 『이화어문논 집』 37, 이화어문학회 [2015]
  • 「최인훈 초기 소설에서의 결정론적 세계와 자유」
    이수형 『한국근대문학연 구』 13, 한국근대문학회 [2009]
  • 「최인훈 소설의 환상성―「구운몽」을 중심으로」
    박정수 『서강어문』 15(1), 서강어문학회 [1999]
  • 「최인훈 소설의 여성인물을 통해 본 사랑의 변증법 연구」
    김지혜 『현대소설 연구』 45,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 「최인훈 소설의 세대론적 특성과 소설사적 위상—죄의식과 주체화」
    서영채 『한국현대문학연구』 37, 한국현대문학회 [2012]
  • 「최인훈 소설의 서사전략 연구」
    성지연 『한국근대문학연구』 3(2), 한국근 대문학회 [2002]
  • 「최인훈 소설의 반복 구조 연구』, 『현대소설연구』 26
    최애순 한국현대소설 학회 [2005]
  • 「최인훈 소설의 근대와 자기인식」
    김영찬 『세계문학비교연구』 27, 세계문 학비교학회 [2009]
  • 「최인훈 소설에서의 기억의 문제―『회색인』과 『서유기』를 중심으 로」
    설혜경 『한국언어문화』 32, 한국언어문화학회 [2007]
  • 「최인훈 소설에 있어서 환상의 의미―『가면고』를 중심으로」
    장사흠 『현대 소설연구』 13, 한국현대소설학회 [2000]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주체의 자리 찾기 도정」
    최은혁 『현대소설연구』 36, 한국현대소설학회 [2007]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시선 주체의 문제―소설 『광장』을 중심으 로」
    이광호 『상허학보』 35, 상허학회 [2012]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법과 위반의 욕망」
    설혜경 『현대소설연구』 45, 한 국현대소설학회 [2010]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로만스 양식과 정신분석학적 서사 구조―『광 장』과 『가면고』를 중심으로」
    김정관 『인문과학』 55 [2014]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비판의 의미―『회색인』을 중심으로」
    정재림 『문학과종교』 15(2),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0]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공동체적 기억과 민족 담론」
    구재진 『語文學論叢』 26,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007]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얼굴”의 도상학(圖像學)―『가면고』를 중심 으로」
    양윤의 『한국문예비평연구』 23,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7]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나는 낭만적 의지와 독일 관념론」
    장사흠 『현대소설연 구』 35, 현대소설학회 [2007]
  • 「최인훈 소설 연구―인식 태도와 서술 방식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서은주 연 세대 박사논문 [2000]
  • 「최인훈 산문에 나타난 예술론과 문학론 연구」
    박성태 『우리문학연구』 45, 우리문학회 [2015]
  • 「최인훈 문학의 재현 방식 연구―『회색인』과 『서유기』를 중심으 로」
    김주현 『국어교육연구』 53 [2013]
  • 「최인훈 문학 초기 중단편의 원형적 성격과 그 확산의 양상」
    김성렬 『한민 족문화연구』 38, 한민족문화학회 [2011]
  • 「최인훈 『회색인』 연구」
    김선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5, 덕성 여대 대학원 [2003]
  • 「최인훈 『화두』에 나타난 정치적 주체성 연구」
    선민서 『Journal of Korean Culture』 40,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 「최인훈 『구운몽』의 패로디와 아이러니―고전적 세계관의 해체를 중 심으로」
    김춘식 『동국어문학』 5, 동국어문학회 [1993]
  • 「최인훈 『구운몽』에 나타난 욕망의 특질과 그 의의」
    문흥술 『국어교육』 113, 한국어교육학회 [2004]
  • 「최인훈 『가면고』에 나타난 주체형성에 관한 연구」
    문흥술 『한국현대문학 연구』 18, 한국현대문학회 [2005]
  • 「중립화통일 논의의 역사적 맥락」
    홍석률 『역사문제연구』12, 역사문제연구 소 [2004]
  • 「중립의 꿈 -1968-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권보드래 『상허학보』 34, 상허학회, 2012 [1945]
  • 「주변부의 세계사―최인훈의 『태풍』과 원리로서의 아시아」
    장문석 『민족 문학사연구』 65, 민족문학사학회 [2017]
  • 「제국-냉전-신냉전의 동아시아 문학과 문학사적 과제」
    이혜진 『국제어문』 81, 국제어문학회 [2019]
  • 「일본 우익의 국가주의와 아시아주의 연구―기타 잇키의 국가개조론과 이시와라 간지의 쇼와유신론」
    조관자 『한림일본학』 30, 한림대학교 일본학 연구소 [2017]
  • 「월남문학의 세 유형―선우휘, 이호철, 최인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방민호 『통일과평화』7(2),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5]
  • 「월남 작가의 문학 세계에 나타난 주체 형성 과정 연구―최인훈과 이호 철의 소설을 중심으로」
    전소영 서울대 박사논문 [2019]
  • 「월남 작가 소설 연구」
    서세림 서울대 박사논문 [2016]
  • 「소환되는 역사와 혁명의 기억」
    서은주 『상허학보』 30, 상허학회 [2010]
  • 「성공한 쿠데타, 위로부터의 혁명, 그리고 5 16―‘조국근대화’ 이념 의 성격과 함의」
    김석근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11(1), 한국동양정치사 상사학회 [2012]
  • 「서사의 창조에 의한 자기 정위(定位)의 원칙―최인훈의 『회색인』 론」
    이경림 『한국현대문학연구』 42, 한국현대문학회 [2014]
  • 「새로운 주체성과 ‘혁명’의 가능성을 위한 모색―최인훈의 『구운 몽』 다시 읽기」, 『현대문학이론연구』 62
    박 진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 「상징계 진입의 고통, 혹은 표류하는 기호들―최인훈 『구운몽』 새롭 게 읽기」
    김기주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0]
  • 「분열된 모더니티와 고현학의 전략들—‘구보씨’ 표제 소설의 계보 학」
    장성규 『구보학보』 15, 구보학회 [2016]
  • 「분단현실과 주체의 자기정립―최인훈의 『회색인』」
    유임하 『한국문학연 구』 24, 한국문학연구소 [2001]
  • 「부활과 혁명의 문학으로서의 ‘시’의 힘」
    이행미 『한국학 연구』 39, 인 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 「무국적자, 국민, 세계시민」
    김종욱 『역사와 담론』 72, 호서사학회 [2014]
  • 「레닌기치에 수록된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비평 고찰」
    강회진 『시학과 언 어학』 30, 시학과언어학회 [2015]
  • 「레닌과 스탈린시기 소비에트러시아의 민족정책 변화」
    홍웅호 『史林(The Historical Journal)』 46, 수선사학회 [2013]
  • 「라깡과 선(禪)―최인훈의 『구운몽』 해석을 중심으로」
    박정수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 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1999]
  •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사유와 무국적 텍스트의 향방—최인훈의 『화 두』론」
    서세림 『현대소설연구』 62,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 「대동아공영권 구도하 일본의 인도네시아 식민통치」
    양승윤 『東南亞硏究』 7,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1998]
  • 「내셔널리즘과 사랑―최인훈의 『회색인』에 나타난 혁명의 논리」
    최현희 『동양학』 44,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8]
  • 「김만중의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에 드러난 ‘환상성’ 고 찰」
    배현자 『현대문학의 연구』 27, 한국문학연구학회 [2005]
  • 「김대중 납치사건과 박정희 저격사건」
    이완범 『역사비평』 80, 역사비평사 [2007]
  • 「구운몽의 본질과 현대 개작의 방향성―최인훈의 구운몽을 중심으로」
    설성경 『예산학보』 19, 예산학회 [1996]
  • 「고전의 변용과 구원의 궤도―최인훈의 『구운몽』, 『어문논집』 27(1)
    김성열 안암어문학회 [1987]
  • 「개인과 민족의 미성숙―최인훈의 『회색인』 연구」
    김한식 『우리어문연 구』 30, 우리어문학회 [2008]
  • 「『화두』에 나타난 식민지 문학인의 연대와 역사의식」
    임미진 『국어국문 학』 184, 국어국문학회 [2018]
  • 「『구운몽』의 판타지적 욕망」
    남기택 『批評文學』 24, 한국비평문학회 [2006]
  • 「『광장』의 전쟁과 포로―한국전쟁의 포로 서사와 중립의 좌표」
    권보드래 『한국현대문학연구』 53, 한국현대문학회 [2017]
  • 「『광장』의 이명준과 미(未)성장의 문제」
    김한식 『동악어문학』 74, 동악 어문학회 [2018]
  • 「『가면고』의 ‘정체성 찾기’ 연구」
    장혜련 『현대소설연구』 38, 한국현 대소설학회 [2008]
  • 「‘오인’의 탈 벗기와 소외/분리의 윤리―최인훈의 「가면고」 연구」
    조강석 『비평문학』 40, 한국비평문학회 [2011]
  • 「‘소련’의 몰락과 ‘독립국가연합’의 앞날―소련의 해체와 고르바초 프의 퇴장」
    김성윤 『통일한국』 98, 평화문제연구소 [1992]
  • 「5.16을 대하는 정치적 서사의 두 가지 경우―「소설 『알렉산드리아』 와 『구운몽』」
    노현주 『문화와 융합』 39(2),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 「4월 혁명과 최인훈 초기 소설의 상관성 연구」
    김현주 『현대문학이론연구』 75,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 「4 19 혁명이 지속되는 방법, ‘사랑’이라는 통로―최인훈의 「구운 몽」을 중심으로」
    김영삼 『비평문학』 68, 한국비평문학회 [2018]
  • 「1960년대 한국 민족주의와 최인훈 소설의 담론적 대응에 관한 연 구」
    반재영 고려대 석사논문, 2017 [2017]
  • 「1960년대 문학과 지식인 소설의 양상 연구—최인훈 이청준의 소설을 중심으로」
    홍웅기 충남대 박사논문, 2013 [2013]
  • 「1960-1971년 대학 학생운동 연구」
    오제연 서울대 박사논문, 2014 [2014]
  • 「1950년대 북한사회 군사화의 내용과 성격」
    김용현 『북한연구학회보』 6(1), 2000 [2000]
  • The Location of Culture
    [1994]
  • ?최인훈?
    이태동 서강대학교출판부 [1999]
  • ?비평의 원리 ?
    김인환 나남출판, 1999 [1994]
  • 1960년대 소설과 민족, 국가의 경계를 사유하는 법 . ?
    김미란 『한국학논집』 51,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