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험을 통한 노인복지의 개선방향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국민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김정화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사회보험을 통한 노인복지의 개선방향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국민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령화
  • 국민건강보험
  • 국민연금
  • 노인복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77 0

0.0%

' 사회보험을 통한 노인복지의 개선방향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국민건강보험과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홍백의/ 배지영/ 박미희/ 강준모, “국민건강보험제도의 직장 지역 가입자간 보험료 부담 형평성 분석”
    「한국사회정책」 제19권 제1호(한국사회정책학회, , 199-231쪽 [2012]
  • 전학선, 헌법재판소 판례에 나타난 사회적 기본권과 비례의 원칙
    「세계헌법연 구」 제23권 제2호(세계헌법학회, , 1-38쪽 [2017]
  • 사회적 평등의 이념과 21세기적 과제“▒「토지공법연구」 제77권(한국토지 공법학회, , 385-417쪽▒차진아▒
    [2017]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백서』, 2019 [2018]
  •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다차원적 빈곤개념을 적용하여
    김태완 이주미 정진욱 「보건사회연구」 제35권(한국보건사회연구원, , 71-102쪽 [2015]
  • 고령사회의 노인복지학
    장인협 최성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 『효율적 의료비 지출을 통한 국민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방안』
    김대환 보험연구 원 [2017]
  • 『현대사회보장론』
    김영모 한국복지정책연구소 [1999]
  • 『헌법학개론』
    김철수 박영사 [2007]
  • 『헌법학』
    장영수 홍문사 [2020]
  • 『헌법학』
    성낙인 법문사 [2020]
  • 『헌법학 (중)』
    계희열 박영사 [2005]
  • 『헌법학 (상)』
    계희열 박영사 [2005]
  • 『헌법이론과 헌법』
    허 영 [2017]
  • 『헌법을 통한 아동인권 보호에 관한 연구』
    이상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2020]
  • 『헌법소송법』
    김하열 박영사 [2018]
  • 『한국헌법론』
    허 영 [2020]
  • 『한국의 노사관계와 노동정치Ⅰ -'87년 이후 사회적합의를 중심으로-』
    최영기 한 국노동연구원 [1999]
  • 『한국사회보장법론』
    전광석 집현재 [2019]
  • 『한국 노인의 정치정향이 노인권익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미성 한성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통일독일헌법원론』
    계희열 박영사 [2001]
  • 『지속가능한 고령사회를 위한 도전, 100세 시대 대비 저출산 고령사회포럼 -100세 시대 대비 고령자의 노동시장 및 사회참여-』
    최성재 한국보건사회연구 원 [2011]
  •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스웨덴-』
    김용하 이지현 정기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미국-』
    김용하 이지현 정기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주요국의 사회보장제도 -독일-』
    김용하 이지현 정기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 『주권과 인권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글로벌시대 새로운 관계 정립』
    김소연 고려대 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전국민연금 확대적용에 대비한 국민연금제도 개선 자료 집』, , 12
    국민연금제도개선기획단 [1997]
  • 『재정민주주의에 대한 헌법적 연구』
    홍종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논문 [2012]
  • 『장애인정책의 헌법적 기초와 개선방향: 복지와 평등의 이념을 중심으로』
    윤수정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 『장래인구추계: 2015~2065년』
    통계청 [2016]
  • 『장래인구 특별추계』
    통계청 [2011]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권중돈 김동배 학지사 [2004]
  • 『의료보장론』
    박은철 유승흠 신광출판사 [2010]
  • 『유럽복지모델 발전과 개혁의 시사점』
    안순권 한국경제연구원 [2006]
  • 『위험사회를 사는 소비자와 생활안전』
  • 『우리나라 국민연금제도의 개선방향』
    전영준 한도숙 한국조세연구원 [1998]
  • 『아동 및 청소년의 권리에 관한 헌법적 연구』
    김연정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법 학과 박사논문 [2012]
  • 『수가계약제의 이론과 현실』
    이상돈 세창출판사 [2006]
  • 『선진국의 고령화 대응정책 동향』
    이소정 이수연 이윤경 정경희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2011]
  • 『새로운 노인복지론』
    고수현 윤선오 양서원 [2009]
  • 『상법 (하)』
    정동윤 법문사 [2011]
  • 『사회정책의 제3의 길: 한국형 사회투자정책의 모색』
  • 『사회복지법제론』
    김기원 나눔의 집 [2009]
  • 『사회복지법제론』
    김종엽 탑북스 [2018]
  • 『사회복지법제론』
    박종팔 양서원 [2017]
  • 『사회복지법제론』
  • 『사회보험법』
    노병호 한경식 진원사 [2010]
  • 『사회보장재정에 대한 재정헌법적 분석』
    전광석 한국헌법학회 [1999]
  • 『사회보장법』
    이상윤 법문사 [2012]
  • 『사회보장론』
  • 『복지국가론』
    전광석 신조사 [2012]
  • 『보험 해상법』
  •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조화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서문희 유근춘 임완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독일사회보장법과 사회정책』
    전광석 박영사 [2008]
  • 『대한민국 헌법의 역사』
    장영수 고려대학교 출판원 [2019]
  • 『노인인권종합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2018]
  • 『노인의 사회경제적 박탈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강동훈 고려대학교 일 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 『노인복지법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용근 전북대학교 일반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2002]
  • 『노인복지론』
    권중돈 학지사 [2019]
  • 『노인복지론』
  • 『노인복지론』
    최해경 학지사 [2020]
  • 『노인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분석 -저소득지역의 가구유형별 차이를 중심 으로-』
    오인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노동행정 10년사』
    노동청 [1973]
  • 『국민연금재정안정화 방안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2]
  • 『국민연금의 개혁방향 과 과제, 연금연구; 연금개혁을 중심으로』
  • 『국민연금생생통계』, 2019
    국민연금연구원 [2018]
  • 『국민연금 중기재정전망-2022)』
    박성민 신경혜 한정림 국민연금연구원, 2018 [2018]
  • 『고령사회의 법적 과제』
  • 『고령사회의 노인복지 관련법제의 개선방안 연구』
    김정순 한국법제연구원 [2015]
  • 『경제질서의 세계화에 따른 국가 역할의 변화: 합헌적 금융질서의 구축을 중심으로』
    이장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 『가족의 탄생: 가족 개념의 변화에 따른 미혼모와 입양인의 권리』
    이준일 고려대 학교 출판부 [2012]
  • 『KIST가 바라본 과학기술 전망』
    금동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3]
  • 『2018년도 회계연도 결산 총괄분석 Ⅱ』
    국회예산정책처 [2019]
  • 『2018년도 퇴직연금 적립 및 운용현황 분석』
    금융감독원 [2019]
  • 「헌법학원론」
    권영성 법문사 [2010]
  • 「한국헌법론」
    전광석 집현재 [2020]
  • 「보험법」
    박세민 박영사 [2019]
  • 「노동법」
    김형배 박영사 [2018]
  • “헌정사연구 ?건국헌법에서 현행 헌법까지-”
    신우철 「영남법학」 제9권(영남대학 교 법학연구소, , 23-67쪽 [2002]
  • “헌법총강에 대한 헌법개정 ?국가의 기본적 구성요소 및 헌법의 기본원리 와 관련한 헌법개정-”
    장영수 「공법연구」 제34집 제4호(한국공법학회, , 83-111쪽 [2006]
  • “헌법재판에서의 사회적 기본권의 심사기준과 그 적용”
    정극원 「세계헌법연구」 제17권 제2호(국제헌법학회, , 157-181쪽 [2011]
  • “헌법이론의 논제로서 국가에 대한 헌법적 고찰 ?독일 헌법이론을 중심으 로-”
    이부하 「법학연구」 제28권 제3호(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 33-58쪽 [2018]
  • “헌법으로 본 장애인의 생존권에 관한 고찰”
    권인희 「헌법재판연구」 제2권(헌법 재판연구원, , 219-244쪽 [2015]
  • “헌법상 혼인의 개념”
    이준일 「공법연구」 제37권 제3호(한국공법학회, , 153-176쪽 [2009]
  • “헌법상 보충성의 원리”
    홍성방 「공법연구」 제36권 제1호(한국공법학회, , 601-623쪽 [2007]
  • “헌법상 근로권의 실질화를 위한 전제와 대안의 모색 - 고용없는 성장의 현 실 인식과 그에 대한 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차진아 「법학논집」(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103-132쪽 [2010]
  • “헌법상 경제질서와 의료체계”
    박지용 「헌법학연구」 제20권 제2호(한국헌법학회, , 317-354쪽 [2014]
  • “헌법과 헌법재판을 통해 본 사회보장법의 전개”
    김복기 「저스티스」 제170권 제 3호(한국법학원, , 143-164쪽 [2019]
  •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이준일 세창출판사 [2010]
  • “헌법과 사회국가와 사회보장”
    허 영 「성곡논총」 제56집(성곡언론문화재단, , 56-91쪽 [1975]
  • “헌법개정과 사회적 기본권”
    윤수정 「법학연구」 제29권 제3호(충남대학교 법학연 구원, , 114-149쪽 [2018]
  • “헌법 제119조 제2항 ‘경제민주화’의 의미”
    이장희 「공법연구」 제42집 제2호(한 국공법학회, , 95-124쪽 [2013]
  • “헌법 50년과 사회보장법의 발전”
    전광석 「한림법학 FORUM」 제8권 제1호(한림 대학교 법학연구소, , 137-175쪽 [1999]
  • “한국형 국민연금제도의 전개와 발전방향 ?국민연금 도입 10년을 평가하 며-”
    김용하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 한국사회보장학회발표), 9-43쪽 [1998]
  • “한국이주정책의 성격과 전망”
    김희자 이병렬 「경제와 사회」 제90호(비판사회학 회, , 320-362쪽 [2011]
  • “한국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최윤철 「일감법학」 제33호(단국대학교 법학연구 소, , 505-532쪽 [2016]
  • “한국의 장기재정전망: 문헌연구”
    이강구 최종하 「입법과 정책」 제11권(국회입 법조사처, , 205-236쪽 [2019]
  • “한국의 인구고령화와 이민정책”
    설동훈 「경제와 사회」 제106호(비판사회학회, , 73-114쪽 [2015]
  • “한국의 산업구조변화와 노동법의 새로운 역할”
    이다혜 이철수 「법학」 제58권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135-191쪽 [2017]
  • “한국의 노인의료비 지출과 결정요인 ?연구현황과 과제-”
    김홍수 「보건경제와 정 책연구」 제21권 제1호(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 51-77쪽 [2015]
  • “한국의 경제발전과 산업구조 법제의 분석과 전망”
    정영화 「동북아법연구」 제10 권 제3호(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 35-69쪽 [2017]
  • “한국연금제도의 대안적 개혁 모형: NDC소득비례연금과 보충급여형 기초 보장연금”
    양재진 「사회보장연구」 제22권 제4호(한국사회보장학회, , 79-112쪽 [2006]
  • “한국에서의 ‘사회적 합의’의 실험과 평가 ?시기별 비교 분석의 관점에서 -”
    김순양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1권(서울행정학회, , 21-41쪽 [2000]
  •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박길성 「한국사회」 제12집 제1호(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 3-25쪽 [2011]
  • “한국사회의 구조적 변화와 사회보장정책”
    손영화 이호용 「법과정책연구」 제13 권 제4호(한국법정책학회, , 1469-1494쪽 [2013]
  •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역사적 발전에 관한 체계적 고찰”
    김경우 「한국행정사학지」 (한국행정사학회, , 307-336쪽 [2014]
  • “한국사회보험의 기원과 제도적 특징: 의료보험과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김영범 「경제와 사회」 제55권(한국산업사회학회, , 8-34쪽 [2002]
  • “한국복지행정의 역사적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조선구호령 제정 이후의 구빈행정을 중심으로”
    손능수 정우열 「한국행정사학지」 제22권(한국행정사학회, , 201-226쪽 [2008]
  • “한국과 EU의 고령화 비교연구”
    박명호 「EU학연구」 제16권(한국EU학회, , 99-126쪽 [2011]
  • “한국 헌법재판제도의 성과와 과제,”
    김하열 「저스티스」 제146권 제2호(한국법학 원, , 94-113쪽 [2015]
  • “한국 헌법의 장래와 정당민주화의 의미”
    장영수 「공법연구」 제30권 제3호(한국 공법학회, , 1-24쪽 [2002]
  • “한국 의료보장제도의 정치경제학”
    김록호 「한국의료보장연구」(보건사회연구회, , 135-168쪽 [1989]
  • “한국 사회복지 입법의 전개와 향후 과제”
    김인재 「법학논집」 제14권(이화여자대 학교 법학연구소, , 165-188쪽 [2009]
  • “한국 사회복지 발달에 대한 계급정치적 고찰”
    김영순 이영환 「비판사회정책」 제9권(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249-302쪽 [2001]
  • “한국 복지국가의 기원: 의료보험제도의 기원과 변화”
    강명세 「사회과학연구」 제 14권(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6-33쪽 [2006]
  • “한국 건강보험법 시행 30년의 역사와 과제”
    신언항 「의료법학」 제8권(대한의료 법학회, , 9-35쪽 [2007]
  • “학생의 기본권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윤영미 「헌법학연구」 제14권 제3호(한국헌 법학회, , 471-496쪽 [2008]
  • “퇴직연금제 도입 현황과 문제점”
    송원근 「경제화 사회」 제73권(한국산업사회학 회, , 99-128쪽 [2007]
  • “케인즈주의적 복지국가의 위기와 실업”
    이우관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7권 제1 호(한국정책과학학회, , 29-52쪽 [2003]
  • “출산력 억제정책의 영향과 변천에 관한 고찰”
    홍문식 「한국인구학」 제21권 제2 호(한국인구학회, , 182-227쪽 [1998]
  • “최저생활보장의 규범적 기초 ?헌법 및 관련 법제의 형성과 과제를 중심 으로-”
    전광석 「저스티스」 통권 제156호(한국법학원, , 59-90쪽 [2016]
  • “최저생활보장을 위한 헌법소원청구에 관하여”
    오병선 「한국사회정책」 제1권(한 국사회정책학회, , 217-230쪽 [1994]
  • “초고령사회에 따른 노인건강의료분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이지원 「법학연구」 제25권 제4호(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 181-203쪽 [2017]
  • “지속가능한 국민연금제도의 모색”
    전영준 「응용경제」 제7권 제2호(한국응용경제 학회, , 5-37쪽 [2005]
  • “지능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 법제정비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김일환 「성균관법 학」 제30권 제1호(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 1-40쪽 [2018]
  • “조세정책과 사회적 기본권의 관계”
    차진아 「헌법학연구」 제15권 제4호(한국헌법 학회, , 43-76쪽 [2009]
  • “조세국가의 헌법적 근거와 한계”
    차진아 「공법연구」 제33권 제4호(한국공법학 회, , 307-330쪽 [2005]
  • “정치적 태도의 연속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박명호 「국제지역연구」 제15권(한국 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 145-162쪽 [2012]
  • “정책갈등의 구조와 사회적 합의의 조건 ?국책사업을 둘러싼 갈 등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창수 양기용 「한국행정논집」 제21권(한국정 부학회, , 967-998쪽 [2009]
  • “정보화와 복지정책의 변화: 노동시장정책을 중심으로”
    이우관 「한 독사회과학논 총」 제13권 제1호(한독사회과학회, , 117-141쪽 [2003]
  • “정보화 시대와 인권, 법”
    장영수 「법학논집」 제35권(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21-44쪽 [1999]
  • “정보기술 발달에 따른 정보인권의 패러다임”
    김일환 「법학연구」 제3권(가톨릭대 학교 법학연구소, , 5-36쪽 [2008]
  • “정년제의 의의와 법적 문제”
    김유성 「법학」 제33권(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71-92쪽 [1992]
  • “적응인가, 위기인가?: 현대 한국 가족의 변화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서선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1권 제4호(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17-33쪽 [2017]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이장희 「고려법학」 제79호(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85-128쪽 [2015]
  • “저출산 고령화 사회와 가족관계의 변화”
    손승영 「젠더연구」 제10호(동덕여자대 학교 한국여성연구소, , 5-25쪽 [2005]
  • “저소득고령자의 노후기초소득보장제도 비교 고찰”
    김 훈 「토지공법연구」 제73 집 제2호(한국토지공법학회, , 377-415쪽 [2016]
  • “재산권 보장과 헌법재판소의 역할”
    윤영미 「헌법학연구」 제21권 제3호(한국헌법 학회, , 227-265쪽 [2015]
  • “입법의 의의와 기능에 부합하는 입법절차형성의 방향”
    차진아 「인권과 정의」 제 382호(대한변호사협회, , 101-122쪽 [2008]
  • “인구고령화와 국민연금: 정부재정의 지속가능성을 중심 으로”
    김대철 윤석명 조준행 「재정논집」 제21집 제1호(한국재정학회, , 115-148쪽 [2006]
  •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실현을 위한 공적 부양의 개선방안”
    이정식 「세계헌법 연구」 제16권 제3호(세계헌법학회, , 381-420쪽 [2010]
  • “의료보장체계 충실화를 위한 민영건강보험 제도 개선 방향”
    신기철 「사회보장연 구」 제26권(한국사회보장학회, , 121-146쪽 [2010]
  • “의료급여 사례관리제도 도입의 효과분석과 시사점”
    김진수 이기주 「보건복지포 럼」 제191권(한국보건사회연구원, , 50-59쪽 [2012]
  • “의료개념의 다층적 이해와 법”
    김나경 「의료법학」 제11권 제2호(대한의료법학 회, , 75-112쪽 [2010]
  • “유럽선진국의 인구, 가족정책의 전개과정 -프랑스와 독일의 경우-”
    전광희 「사 회과학연구」 제16권(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211-236쪽 [2005]
  • “위임입법의 한계와 국회에 의한 통제”
    김춘환 「공법연구」 제34권 제3호(한국공 법학회, , 51-90쪽 [2006]
  • “우리나라 퇴직연금제도의 현황 및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법적 문제”
    장인봉 「증 권법연구」 제17권(한국증권법학회, , 509-545쪽 [2016]
  • “우리나라 사적연금의 현황과 개선방안”
    정배성 「세무회계연구」 제17권(한국세무 회계학회, , 55-79쪽 [2005]
  •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65세 미만자 노인성 질병의 재검토 및 범위 확대 의 필요성”
    권석범 김도훈 김복남 나영균 노융균 윤종률 윤태형 전아영 「장기요양연구」 제2권(한국장기요양학회, , 78-107쪽 [2015]
  • “우리나라 고령화 대응정책 평가를 위한 고령화 대응지수 개발 -OECD 21개 국가 간 비교 결과를 중심으로-”
    김정은 노승용 양재진 정홍원 「사회보장 연구」 제29권(한국사회보장학회, , 139-168쪽 [2013]
  • “요양보호사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
    김광병 심의경 「사회복지법제연구」 제8권 (사회복지법제학회, , 79-98쪽 [2017]
  • “외국 노인의 정치참여와 권익운동”
    고양곤 「노인복지연구」 제14권(한국노인복지 학회, , 7-33쪽 [2001]
  • “연령통합적 관점에 기초한 노인연령기준 상향 방안 연구.”
    김주현 장철준 「법 학논총」 제40권 제4호(단국대학교 법학연구원, , 39-64쪽 [2016]
  • “연령주의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김주현 「사회와 역사」 제82집(한국사회사학 회, , 361-391쪽 [2009]
  • “연령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고령자 고용차별 인식”
    김동선 모선희 「사회과학연 구」 제23권 제4호(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93-112쪽 [2012]
  • “연령기준에 관한 입법평론”
    홍완식 「입법학연구」 제10권 제2호(한국입법학회, , 105-126쪽 [2013]
  • “연금개혁의 ‘제3의 길’ -스웨덴의 명목확정기여방식 연금개혁과 한국에의 도입 필요성”
    양재진 「행정논총」 제40권 제2호(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 63-83쪽 [2002]
  • “시장질서의 헌법적 의미와 구체화 방향”
    이장희 「안암법학」 제36권(안암법학회, , 1-52쪽 참고 [2011]
  • “시민으로서의 노인: 노년층의 제도적, 비제도적 정치참여 동인에 대한 탐 색”
    민 영 「한국언론학보」 제63권(한국언론학회, , 80-109쪽 [2019]
  • “스웨덴의 사회정책”
    송호근 「지역연구」 제5권(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 115-144쪽 [1996]
  • “수권법률의 개폐에 따른 행정입법 통제기준”
    장영수 「유럽헌법연구」 제5호(유럽 헌법학회, , 313-342쪽 [2009]
  • “세계화와 기업규율 -주식회사와 다국적기업을 중심규율 대상으로 본 기 업규율에 대한 년대 이래의 세계화의 영향에 관한 서론적 고찰-”
    이영종 「국제거래법연구」 제23권(국제거래법학회, 2014), 449-459쪽 [1990]
  • “선진국(미국)의 사회보장제도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제도 확립의 배경을 중심으로”
    김익현 「사회과학연구」(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55-80쪽 [1982]
  • “선별적 vs. 보편적 복지지출과 빈곤에 관한 실증연구: EU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진영 황상현 「재정학연구」 제11권(한국재정학회, , 1-22쪽 [2018]
  • “선거운동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김일환 홍석한 「미국헌법연구」 제25권 제1호(미국헌법연구, , 31-63쪽 [2014]
  • “산업화로 인한 가족의 변천”
    장명숙 「사회학연구」 제9권(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 과 사회학회, , 54-63쪽 [1971]
  • “산업화, 정보화와 가족의 변화”
    이기숙 「논문집」 제34권(신라대학교, , 375-400쪽 [1992]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정사”
    김재희 「법학논총」 제29권 제2호(국민대학교 법학 연구소, , 55-97쪽 [2016]
  • “산업국가에서의 제2차 인구변천”
    정성호 「한국인구학」 제32권 제1호(한국인구학 회, , 139-164쪽 [2009]
  • “사회정책과 사회보장법 ?사회보장기본법과 개별 사회보장법의 관계를 중 심으로-”
    전광석 「사회보장법학」 제1권 제1호(한국사회보장법학회, , 31-50쪽 [2012]
  • “사회적 평등의 의미와 실현구조”
    차진아 「안암법학」 제21호(안암법학회, , 227-256쪽 [2005]
  • “사회적 약자의 인권에 관한 연구 사회적 약자의 유형에 따른 인 권보장의 구체화방향을 중심으로 - ”
    차진아 「공법학연구」 제13권 제2호(한국비교공법 학회, , 193-226쪽 [2012]
  • “사회적 약자의 기본권과 실질적 보장의 실현 ?노인의 권리 보장 실현을 위한 유럽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세주 「공법학연구」 제20권 제3호(한국비 교공법학회, , 145-172쪽 [2019]
  • “사회적 기본권의 법적 성격과 보호범위에 관한 고찰”
    김일환 「헌법학연구」 제4 권 제3호(한국헌법학회, , 126-147쪽 [1998]
  • “사회적 기본권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심사기준”
    이준일 「헌법재판연구」(헌법재판 연구원, , 85-110쪽 [2015]
  • “사회적 기본권과 사회보장법제의 문제점과 개선을 중심으로”
    이종걸 「세계헌법 연구」 제15권 제1호(세계헌법학회, , 257-280쪽 [2009]
  • “사회서비스정책 현황분석과 정책적 과제”
    김은정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4권 (서울행정학회, , 111-136쪽 [2013]
  • “사회복지의 헌법적 기초로서 사회적 기본권”
    한수웅 「헌법학연구」 제18권 제4호 (한국헌법학회, , 51-104쪽 [2012]
  • “사회복지법체 현황 및 개선방향 -사회복지법제의 법치주의적 수용-”
    방동희 「공 법학연구」 제12권(한국비교공법학회, , 27-53쪽 [2011]
  •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법체계의 개선방안”
    이중호 「복지상담교육연구」 제4권 제1 호(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 435-476쪽 [2015]
  • “사회복지법의 개념 정립을 위한 소고”
    박정선 「사회보장연구」 제30권(한국사회 보장학회, , 81-103쪽 [2014]
  • “사회보험제도 보험료 부과기준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김용하 「보험학회지」 제 53권(한국보험학회, , 137-176쪽 [1999]
  • “사회보험법과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기본원리에 입각한 현행 사회보 험법제 검토-”
    박귀천 「사회보장법학」 제1권 제1호(한국사회보장법학회, , 121-154쪽 [2012]
  • “사회보장제도의 성립과 우리 입법의 양태”
    김영문 「원광법학」 제4권(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112-147쪽 [1977]
  • “사회보장의 헌법적 실현방식”
    정 철 「세계헌법연구」 제23권 제3호(세계헌법학 회, , 115-156쪽 [2017]
  • “사회보장의 법리와 체계에 관한 연구”
    장 훈 「사회복지연구」 제5권(대구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21-69쪽 [1976]
  • “사회보장의 개념에 관한 연구 -개념성립의 변천을 중심으로-”
    유광호 「사회보장 연구」 제1권(한국사회보장학회, , 1-23쪽 [1985]
  • “사회보장수급권의 헌법적 근거와 제한사유의 합헌성에 대한 검토”
    차진아 「사회 보장법학」 제2권 제2호(한국사회보장법학회, , 5-51쪽 [2013]
  • “사회보장법과 헌법의 규범력”
    전광석 「사회보장법학」 제7권 제1호(한국사회보장 법학회, , 13-45쪽 [2018]
  • “사회보장법 형성의 풍토적 특징 -‘전문집단 헌신’ 주도 속의 ‘국민저항과 집권층대응’의 ‘정치적 산물’-”
    이흥재 「법학」 제52권 제3호(서울대학교 법학연 구소, , 381-414쪽 [2011]
  • “사회보장법 총론의 가능성 ?사회보장기본법 개정논의와 관련하여-”
    이호근 「사 회보장법학」 제1권 제1호(한국사회보장법학회, , 51-119쪽 [2012]
  • “사회보장기본법의 변화를 통해본 한국 복지국가의 전개과정”
    남찬섭 「한국사회 복지조사연구」 제36권(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103-139쪽 [2013]
  • “사회국가적 요청과 과세”
    차진아 「헌법학연구」 제11권 제2호(한국헌법학회, , 457-502쪽 [2005]
  • “사회국가의 이념과 그 현실적 한계 ?소득세를 통한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호에 관한 한국과 독일의 (연방)헌재판례를 중심으로-”
    차진아 「헌법학연구」 제13권 제3호(한국헌법학회, , 167-211쪽 [2007]
  • “사회국가의 실현조건과 국민연금 개혁의 방향”
    차진아 「고려법학」 제56호(고려 대학교 법학연구원, , 293-333쪽 [2010]
  • “사회국가의 실현구조와 토지공개념의 헌법상 의미”
    차진아 「공법학연구」 제19권 제1호(한국비교공법학회, , 3-41쪽 [2018]
  • “사회국가의 개념과 한계”
    홍성방 「서강법학연구」 제90권 제2호(서강대학교 법학 연구소, , 135-159쪽 [2007]
  • “사회 헌법론 -국가정치 헌법에서 초국가적 사회 헌법으로-”
    김연식 「법철학연 구」 제21권 제1호(한국법철학회, , 111-164쪽 [2018]
  • “비정규직근로자의 근로형태별 소득차이 변인분석과 국민연금 납부율 및 수급요건 조정을 통한 대안 연구”
    강병창 「직업과 고용서비스연구」 제4권(직업 과고용서비스연구학회, , 49-65쪽 [2009]
  • “불안정 노동과 국민연금: 노후 소득 보장 체계의 개혁 필요성을 중심으 로”
    오상호 「동향과 전망」 제102호(한국사회과학연구회, , 110-143쪽 [2018]
  • “복지패러다임 전환의 경제적 효과 -보편적 복지 vs. 선 별적 복지-”
    김성태 김진영 전영준 「경제학 연구」 제61권(한국경제학회, , 69-111쪽 [2013]
  • “복지재정과 재원조달”
    최성은 「재정학연구」 제6권(한국재정학회, , 57-93쪽 [2013]
  • “복지사각지대 축소를 위한 관련 법령의 평가”
    임병인 정지운 「예산정책연구」 제4권(국회예산정책처, , 56-81쪽 [2015]
  • “복지국가의 사상적 연원에 관한 연구”
    박형오 「연구원 논집」(경남대학교 경남지 역문제연구원, , 541-568쪽 [1997]
  • “복지국가에서 복지의 의미”
    김영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3권 제3호(서울행 정학회, , 91-104쪽 [2002]
  • “복지국가 유형과 소득불평등 및 빈곤율과의 관계”
    채구묵 「비판사회정책」 제37 권(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325-365쪽 [2012]
  • “보험사업에 있어서 위험관리에 관한 연구 : 보험사업의 안전성과 건전성 의 제고측면에서”
    조해균 「한국보험학회」 제41권(한국보험법학회, , 3-37쪽 [1993]
  • “보편적 복지에 대한 규범론적 분석”
    권혁주 김효정 송재환 「한국행정학보」 제 46권 제2호(한국행정학회, , 161-184쪽 [2012]
  • “보건의료이용의 형평성”
    권순만 양봉민 오주환 이수형 이태진 「보건경제연 구」 제9권 제2호(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 13-23쪽 [2003]
  • “박근혜 정부 기초연금제도의 도입 과정과 평가”
    김원섭 이용하 「한국사회」 제 15집(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 69-102쪽 [2014]
  • “민영건강보험 활성화를 통한 바람직한 의료보장체계 구축”
    김세환 「보험동향」 제45권(보험연구원, , 10-18쪽 [2008]
  • “미국 의료개혁의 정치경제학”
    최병호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7권 제1호(한국 보건경제정책학회, , 71-101쪽 [2011]
  • “동아시아 복지체제론의 재검토: 복지체제 유형비교의 방법론적 문제와 동 아시아 복지체제 유형화의 가능성”
    김연명 「사회복지정책」 제20권(한국비교사회 학회, , 133-154쪽 [2000]
  • “독일의 일-가족 양립정책에 대한 연구”
    이진숙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8권 제3 호(한독사회과학회, , 165-190쪽 [2008]
  • “독일의 건강보험체계와 통일 이후의 제도 변화”
    김영미 「사회보장법학」 제6권 제2호(한국사회보장법학회, , 67-102쪽 [2017]
  • “독일사회보험법상 보험원리”
    오상호 「법학논문집」 제35집 제1호(중앙대학교 법 학연구원, , 251-279쪽 [2011]
  • “독일복지국가 재구조화의 양상과 성격”
    김주일 김철주 홍성대 「한독사회과학 논총」 제19권(한독사회과학회, , 59-88쪽 [2009]
  • “독일기본법과 사회적 기본권”
    홍성방 「서강법학」 제11권 제2호(서강대학교 법학 연구소, , 47-71쪽 [2009]
  • “독일 의료보험제도 변화과정에서의 공공성에 관한 연 구”
    배귀희 여영현 이건형 「국가정책연구」 제30권 제4호(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 431-460쪽 [2016]
  • “독일 사회보험제도의 고찰: 독일 사회적 시장경제체제 하의 사회정책을 중심으로”
    남기창 「경상논총」 제34권 제4호(한독경상학회, , 185-207쪽 [2016]
  • “독일 건강보험의 고령화적립금 연구와 정책적 시사점”
    김대환 정남기 「경상논 총」 제35권 제2호(한독경상학회, , 41-56쪽 [2017]
  • “독립성 및 책임성 제고를 위한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 개선방안”
    원승연 「사회 보장연구」 제34권 제1호(한국사회보장학회, , 167-191쪽 [2018]
  • “다원화된 사회에서 헌법해석의 이해”
    김연식 「법학연구」 제20권 제3호(경상대학 교 법학연구소, , 23-50쪽 [2012]
  • “농업생산력의 변화에 따른 농업생산조직의 발전과정”
    조성백 최민호 「농촌지도 와 개발」 제3권(한국농촌지도학회, , 1-16쪽 [1996]
  • “노후소득보장수단으로서의 기초연금제도의 적정성에 대한 검토”
    임 현 정다은 「법과 정치연구」 제16권(한국법정책학회, , 111-147쪽 [2016]
  • “노후소득보장수단으로서의 기초노령연금에 관한 연구”
    손미정 「법학연구」 제37 권(한국법학회, , 345-361쪽 [2010]
  • “노인입원환자의 질병유형과 양상에 관한 연구: 종합전문요양기관 중심으 로”
    박우성 「한국노년학」 제22권(한국노년학회, , 47-63쪽 [2002]
  • “노인의 의료보장 사각지대 진입 및 탈출요인”
    김제선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4 호, 한국사회보장학회, , 295-325쪽 [2011]
  • “노인의 건강상태와 의료비부담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이호성 「한국노년학」 제 24권 제2호(한국노년학회, , 163-179쪽 [2004]
  • “노인성질환의 추세와 대책”
    김건열 「한국노년학」 제9권 제5호(한국노년학회, , 7-14쪽 [1989]
  • “노인복지정책의 헌법철학적 정당화 ?사회적 기본권의 자유주의적 해석 가능성을 매개로 하여-”
    장철준 「공법연구」 제38집 제4호(한국공법학회, , 107-131쪽 [2010]
  • “노인복지서비스의 사각지대 분석: 사회참여 지원서비스를 중심으로”
    이소정 「한 국노년학」 제33권(한국노년학회, , 699-715쪽 [2013]
  • “노인단체 활동에 관한 연구: 미국의 AARP를 중심으로”
    김영래 「공공정책연구」 제5권(한국공공정책학회, , 221-240쪽 [1999]
  • “노동시장의 유연화와 양극화”
    황종률 「일자리 정책 연구」 제5호(국회예산정책 처, , 4-19쪽 [2010]
  • “노동시장의 양극화해소를 위한 주요 노동입법과제”
    한인상 「노동법논총」 제29권 (한국비교노동법학회, , 783-815쪽 [2013]
  • “노동기본권과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
    이흥재 「법학」 제39권 제4호(서울대학 교 법학연구소, , 109-127쪽 [1999]
  • “기초연금법에 대한 법적 검토”
    손윤석 「법학연구」 제56권(한국법학회, , 287-307쪽 [2014]
  • “글로벌시대 주권과 인권에 대한 이해의 변화와 양자의 관계정립”
    김소연 「공법 학연구」 제18권 제3호(한국비교공법학회, , 139-172쪽 [2017]
  • “근대화와 -70년대 여성노동자 -여성노동자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장미경 「경제와 사회」 제61권(한국산업사회학회, 2004), 100-126쪽 [1960]
  • “국민연금제도의 형성과정과 입법변천에 관한 연구”
    오정수 「사회보장연구」 제3 권(한국사회보장학회, , 143-164쪽 [1987]
  • “국민연금제도 전개의 한국적 특징과 지속가능성”
    김용하 석재은 「한국사회복지 학」 제37호(한국사회복지학회, , 89-118쪽 [1999]
  • “국민연금재정의 관리 운용체계에 대한 법적 고찰”
    김영미 「사회법연구」 제22호 (한국사회법학회, , 27-57쪽 [2014]
  • “국민연금의 명목확정기여방식 도입 타당성 분석: 스웨덴과 노르 웨이 사례를 중심으로”
    유현경 유호선 「유럽연구」 제36권 제3호(한국유럽학회, , 253-294쪽 [2018]
  • “국민연금보험료 부과대상에 대한 헌법적 고찰”
    최 원 「사회보장연구」 제25권 (한국사회보장학회, , 135-169쪽 [2009]
  • “국민연금기금 지배구조의 현황과 개선과제”
    정우영 「보험법연구」 제3권 제1호 (한국보험법학회, , 81-107쪽 [2009]
  • “국민연금공단과 국민연금기금의 법적 성격과 손해전보체계”
    이중기 「BFL」 제78 권(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 , 6-21쪽 [2016]
  • “국민연금개정법안에 대한 분석 평가”
    정홍원 「한국사회정책」 제5집 제 2호(한국사회정책학회, 1998), 189-219쪽 [1998]
  • “국민연금 실업크레딧의 실효성에 대한 연구: 급여수준 적정성 및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권소영 김진수 유혜림 「사회보장연구」 제31권 제3호(한국 사회보장학회, , 49-74쪽 [2015]
  • “국민연금 사회보험료 지원의 현황과 과제”
    조영은 최옥금 「비판사회정책」 제45 호(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304-339쪽 [2014]
  • “국민연금 개혁방안 연구 ?개인계정 도입 및 분권적 자산운용 허용을 중 심으로-”
    이재희 「규제연구」 제16권 제1호(한국규제학회, , 67-116쪽 [2007]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안병영 「행정논총」 제38권 제1호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1-50쪽 [2000]
  •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위기 원인분석과 평가”
    최병호 「사회보장연구」 제18권(한국 사회보장학회, , 37-66쪽 [2002]
  • “국민건강보험에 함의된 가족규범과 피부양자제도 변천 ?30년의 역사 ~2007-”
    이미숙 「한국사회학」 제42권(한국사회학회, 2008), 38-67쪽 [1977]
  • “국민건강보험법상 의사결정구조의 문제와 개선방안”
    권오탁 「사회보장법학」 제5 권(한국사회보장법학회, , 5-38쪽 [2016]
  • “국민건강보험과 민영건강보험의 합리적인 역할 설정-해외사례를 중심으로”
    이현복 이호용 「한국사회보장학회 정기학술발표논문집」(한국사회보장학회, , 93-119쪽 [2012]
  • “국가복지의 (탈)가족화 효과: 한국과 대만의 의료보험 피부양자 제도 비교연구”
    류석춘 왕혜숙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5호(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소,38-87쪽 [2013]
  • “공적연금제도 재정방식 비교분석: 경제성장과 소득재분배 논의를 중심으 로”
    고민창 「질서경제저널」 제12집 제1호(한국질서경제학회, , 1-18쪽 [2000]
  • “공적연금의 사각지대: 실태, 원인과 정책방안”
    석재은 「한국사회복지학」 제53권 (한국사회복지학회, , 285-310쪽 [2003]
  • “공적연금과 사적퇴직급여의 연계 -퇴직준비금 전환에 따른 과제와 대책 -”
    박경숙 「사회보장연구」 제9권(한국사회보장학회, , 1-49쪽 [1993]
  • “공무담임권의 보장내용”
    한수웅 「중앙법학」 제16권 제3호(중앙법학회, , 7-43쪽 [2014]
  • “공무담임권에 관한 소고-보호영역을 중심으로”
    윤영미 「법학논총」 제23권 제2 호(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129-150쪽 [2006]
  • “고령화시대 사회보험의 발전방향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차진아 「고려법학」 제79호(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1-50쪽 [2015]
  • “고령화시대 국민건강보험의 발전방향”
    차진아 「강원법학」 제49권(강원대학교 비 교법학연구소, , 335-380쪽 [2016]
  • “고령화사회의 고용정책: OECD 국가들의 고령화 경험과 정책 검토”
    김동헌 「East Asian Economic Review」 Vol. 9(대외경제정책연구원, , 223-253쪽 [2005]
  • “고령화 시대의 대안으로서 노인 노동 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평가와 개 선 방향에 대한 소고”
    김연식 「고려법학」 제79호(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51-83쪽 [2015]
  •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세대간 해결방안”
    김호식 손경숙 정미녀 「한 국정책과학학회보」 제9권 제1호(한국정책과학학회, , 73-93쪽 [2005]
  • “고령화 사회와 사회국가의 미래 -노인복지의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장영수 「안 암법학」 제43호(안암법학회, , 761-796쪽 [2014]
  •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기업 정년제의 문제점과 법적 과제”
    고준기 「원광법학」 제22권(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63-105쪽 [2006]
  • “고령자 고용과 정년제의 법적 과제”
    이철수 「노동법연구」 제15권(서울대학교 노 동법연구회, , 95-120쪽 [2003]
  • “고령사회를 대비한 헌법적 논의 ?국가의 노인보고의무와 노인의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홍일선 「공법학연구」 제9권 제2호(한국비교공법학회, , 139-159쪽 [2008]
  • “경제위기 이후의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평가와 효율화 방안”
    박순일 「한국사회정 책」 제8권(한국사회정책학회, , 39-74쪽 [2008]
  • “경제와 사회보장의 관점에서 본 스웨덴모델의 특징과 시사점”
    심재승 「한국사회 정책」 제19권(한국사회정책학회, , 49-78쪽 [2012]
  • “건설 노동자들의 낮은 사회보험 가입현황에 대한 산업적, 제도적 요인에 대한 연구 ?국민연금을 중심으로-”
    이균호 「사회학대회 논문집」(한국사회학회, , 296-309쪽 [2016]
  • “건강보험통합논쟁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원석조 「사회복지정책」 제25권(한국 사회복지정책, , 159-180쪽 [2006]
  •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를 위한 법제도의 개선방안”
    윤진아 「법학논총」 제36권 제4호(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535-565쪽 [2019]
  • “건강보험에 있어 임의비급여 규제에 대한 헌법적 평가”
    박지용 「법학연구」 제21 권 제3호(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 63-88쪽 [2013]
  • “건강보험법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과제”
    전광석 「의료법학」 제20권 제3호(대한 의료법학회, , 3-45쪽 [2019]
  •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 평가 및 향후 과제”
    문용필 정창률 「사회보장연구」 제33권(한국사회보장학회, , 223-251쪽 [2017]
  • “건강보험 재정확충으로 인한 실제적 문제점과 대책에 관한 고찰”
    남선모 「법학 연구」 제18권 제3호(한국법학회, , 265-284쪽 [2018]
  • “건강보험 재원조달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사회보험방식 9개 OECD회원 국을 중심으로-”
    신기철 「사회보장연구」 제31권 제3호(한국사회보장학회, , 119-144쪽 [2015]
  • “건강보험 수가결정 과정에서의 거버넌스 변화 연구”
    김수흥 「의정논총」 제10권 (한국의정연구회, , 269-296쪽 [2015]
  • “건강보험 수가 결정 체계의 재정비 방향”
    신영석 「보건복지포럼」 제272권(한국 보건사회연구원, , 39-52쪽 [2019]
  • “건강보험 본인부담률의 인상이 건강보험재정에 미치는 영향”
    박지연 채희율 「보험학회지」 제64권(한국보험학회, , 109-136쪽 [2003]
  • “개혁주의적 재정론 ?케인즈주의를 중심으로-”
    강병구 「재정정책논집」 제9권 제 1호(한국재정정책학회, , 97-121쪽 [2007]
  • “개정된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른 사회보장법체계의 재검토”
    조만형 「공법연구」 제 41집 제3호(한국공법학회, , 461-495쪽 [2013]
  • “개인연금과 퇴직연금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노혁준 「법제연구」 제52호(법제 연구원, , 37-88쪽 [2017]
  • “가족의 변화에 따른 가족복지서비스의 대응”
    양심영 이영분 「한국가족복지학」 제3호(한국가족복지학회, , 118-148쪽 [1999]
  •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법적 성격과 보호범위에 관한 고찰”
    김일환 「성균 관법학」 제10권 제1호(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 285-305쪽 [1999]
  • “‘위험사회’와 한국의 사회보험체계”
    김연명 「문화과학」 제35호(문화과학사, , 135-149쪽 [2003]
  • “IMF구제금융 이후의 한국의 노동법제 발전”
    이철수 「법학」 제55권 제1호(서울 대학교 법학연구소, , 205-252쪽 [2014]
  • “?기본법?의 행정법학상 위치에 관한 법실증적 고찰”
    오준근 『현대공법학의 과 제』(최송화교수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 615-631쪽 [2002]
  • “1976년 의료보험법 ?낮은 수준의 보편적 평등의 기원-”
    전광석 「사회보장법학」 제7권 제2호(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8), 79-118쪽 [2018]
  • “1973년 국민복지연금법과 1986년 국민연금법은 왜 제정되었는 가?: 인구보너스에 대한 대응이라는 시점”
    박이택 이헌창 「응용통계연구」 제28권 제4호 (한국통계학회, 2015), 781-805쪽 [2015]
  • “1960-1970년대 기계산업 노동자의 여가 및 소비생활, 그리고 노동자 정 체성”
    신원철 「경제와 사회」 제68호(한국산업사회학회, 2005), 44-70쪽 [2005]
  • in : ders./ Werner Maihofer/ Hans-Jochen Vogel ( Hrsg . ) , Handbuch des Verfassung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17 , S. 447-553 [1983]
  • in : Friedhelm Boll/ Anja Kruke ( Hrsg . ) , Der Sozialstaat in der Krise -Deutschland im internationalen Vergleich-
    [2008]
  •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 Wirtschaftskrisen und die Transformation des Sozialstaats im 20 . Jahrhundert , in : Friedhelm Boll/ Anja Kruke ( Hrsg . ) , Der Sozialstaat in der Krise -Deutschland im internationalen Vergleich-
    [2008]
  • United Nations Department for Economic and Social Information and Policy Analysis: Ageing and the family -proceedings of the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eing Populations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New York 1990.
  • The Aging of Populations and Its Economic and Social Implications -Summary of Proceedings-
    [1956]
  • Stefan : Sozialrecht
    [2009]
  • Sozialversicherungsrecht -Leitfaden fur Praxis und Ausbildung mit Schaubildern und Beispielen-
    [1987]
  • Sozialer Wandel in Westeuropa -Verhandlungen des 19
  • Rolfs,Christian: Das Versicherungsprinzip im Sozialversicherungsrecht, Habil. Mu? nchen 2000.
    [2000]
  • Ritter, Gerhard A.(전광석 역), 『복지국가의 기원』
    법문사 [2005]
  • Report of the world assembly on aging
    [1982]
  • Reinhard : Versicherungsvertragsgesetz -mit einfuhrungen und erganzenden Bestimmungen, Mun ?
    [2002]
  • Rechtsstaat und Sozialstaat in der modernen Industriegesellschaft , in : ders. ( Hrsg . ) , Nationalstaat und Verfassungsstaat . Studien zur Geschichte der modernen Staatsidee , Stuttgart : Kohlhammer 1965 , S. 249-272 , jetzt in : Ernst Forsthoff ( Hrsg . ) , Rechtsstaatlichkeit und Sozialstaatlichkeit
  • Rechtsgeschichtliche Entwicklung der Versicherung , in : Dieter Farny/ Elmar Helten/ Peter Koch/ Reimer Schmidt ( Hrsg . )
  • Otto : Solidaritat im Verfassungsstaat -Grundlegung einer normativen Theorie der VerteilungHabil
    [2016]
  • Mittel staatlichen Handelns , in : Josef Isensee/ ders. ( Hrsg . ) , Handbuch des Staat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 Bd
    Ⅴ , 3 . Aufl. , Heidelberg [2007]
  • Meinrad : Die Versicherung als Rechtsprodukt -die Privatversicherung und ihre rechtliche Gestaltung-
    [1991]
  • Maximilian/ Preis
    [2009]
  • Maximilian : Privatversicherung und Sozialversicherung
    [1991]
  • Matthias : Familiengerechtigkeit als Gestaltungsgebot fur die staatliche Ordnung -Zur Abgrenzung von Eingriff und Leistung bei Maßnahmen des sog
    [1994]
  • Margarete : Die Beschaftigungsverantwortung der Rentenversicherung
    [1990]
  • Legitimation der Alterssicherung als staatliche Aufgabe , in : Ulrich Becker/ Franz-Xaver Kaufmann/ Bernd Baron von
  • Kurt : Allgemeine Sozialversicherungslehre
    [1980]
  • Krise und Reform der Alterssicherung in Europa , in : Friedhelm Boll/ Anja Kruke ( Hrsg . ) , Der Sozialstaat in der Krise -Deutschland im internationalen Vergleich-
    [2008]
  • Kriele, Martin(국순옥 역), 『민주적 헌정국가의 역사적 전개』
    종로서적 [1983]
  • Josef : Umverteilung durch Sozialversicherungsbeitrage ? Eine finanzverfassungsrechtliche Studie uber den Solidarausgleich in der Gesetzlichen Krankenversicherung-
    [1973]
  • Josef : Ordnungspolitische Aspekte im Wandel der sozialen Frage , in : Norbert Achterberg/ Werner Krawietz/ Dieter Wyduckel ( Hrsg . ) , Recht und Staat im sozialen Wandel , Festschrift fur Hans Ulrich Scupin zum
    80 . Geburtstag , Berlin [1983]
  • Jina : Sozialstaatliche Gebote und Besteuerung -Verwirklichung der sozialstaatlichen Gebote durch den Steuergesetzgeber i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in der Republik Korea-
    [2005]
  • Helmut : Schutz von Ehe und Familie , in : Josef Isensee/ Paul Kirchhof ( Hrsg . ) , Handbuch des Staat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 Bd . Ⅵ
    2 . Aufl. , Heidelberg [2001]
  • Handbuch des Staat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 Bd . Ⅲ
    3 . Aufl. , Heidelberg§42 , S. 389-424 [2005]
  • Grundfragen der Sozialversicherungsreform -Ein Beitrag zur Theorie und Technik der Sozialversicherung-
    [1931]
  • Geschichte der sozialen und privaten Versicherung im Mittelalter in den Gilden Europas
    [2000]
  • Geschichte der Versicherung , in : Dieter Farny/ Elmar Helten/ ders./ Reimer Schmidt ( Hrsg . )
  • Gerhard/ Estelmann , Martin : Grundzuge des Sozialrechts , Mun ?
    [1998]
  • Gerhard A. : Soziale Frage und Sozialpolitik in Deutschland seit Beginn des 19 . Jahrhunderts , Mun ?
    [2013]
  • Gerhard A. : Der Sozialstaat -Entstehung und Entwicklung im internationalen VergleichMun ?
    [2010]
  • Gerhard : Sozialpolitik und soziale Lage in Deutschland ? Grundlagen , Arbeit , Einkommen und Finanzierung-
    [2000]
  • Friedhelm : Versicherungsprinzip und sozialer Ausgleich ? Eine Studie zu den verfassungsrechtlichen Grundlagen des deutschen Sozialversicherungs- rechts-
    [2000]
  • Fremdlasten in der Sozialversicherung -Zugleich ein Beitrag zu den verfassungsrechtlichen Vorgaben fur die Sozialversicherung-
    [2001]
  • Ferdinand : Sozialversicherungsbeitrag und Finanzverfassung
    [1999]
  • Ferdinand : Finanzierung der Sozialversicherung , in : Josef Isensee/ Paul Kirchhof ( Hrsg . ) , Handbuch des Staatsrechts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93 , S. 395-423 [1990]
  • Eike v. : Der Schutz des Schwacheren
    [1982]
  • Eigentumsschutz und sozialer Ausgleich in der Sozialversicherung
    [1973]
  • Die `` Erfindung der Versicherung und die Bedingungen fur ihre Entwicklung in den letzten 150 Jahren
    S. 155-173 [1991]
  • Bernhard : Gesellschaftlicher Wandel in Deutschland -Ein Studienbuch zur Sozialstruktur und Sozialgeschichte der Bundesrepublik-
    [1995]
  • Astrid : Versicherung im Sozialstaat
    [2009]
  • Armenpolitik und Arbeiterpolitik -Zur Entwicklung und Krise der traditionellen Sozialpolitik der Verteilungsformenin : ders. ( Hrsg . )Politik der Armen und die Spaltung des Sozialstaats
    [1985]
  • Alterssicherung in Deutschland , Festschrift fur Franz Ruland zum
    65 . Geburtstag [2007]
  • ?헌법학강의?
    이준일 홍문사 [2019]
  • ?헌법강의?
    김하열 박영사 [2020]
  • : Vorsorge in der Sozialversicherung, in: Dieter Farny/ Elmar Helten/ Peter Koch/ Reimer Schmidt(Hrsg.), Handworterbuch der Versicherung, Karlsruhe 1988, S. 1291-1295.
  • : Einfuhrung in die Sozialversicherung und in die sonstigen Bereiche des Sozialrechts -mit Schaubildern und Beispielen-, Berlin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