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갈등 이슈의 재구성 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분석 : 네이버 데이터센터 전자파 위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ole of Media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Social Conflicts: Focusing on the Case of Electromagnetic Waves’ Risk of Naver Datacenter

정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사회갈등 이슈의 재구성 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분석 : 네이버 데이터센터 전자파 위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ole of Media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Social Conflicts: Focusing on the Case of Electromagnetic Waves’ Risk of Naver Datacenter'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네이버
  • 데이터센터
  • 사회갈등
  • 언론 프레임
  • 재구성
  • 전자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5 0

0.0%

' 사회갈등 이슈의 재구성 과정에서 언론의 역할 분석 : 네이버 데이터센터 전자파 위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ole of Media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Social Conflicts: Focusing on the Case of Electromagnetic Waves’ Risk of Naver Datacenter' 의 참고문헌

  • 한국인의 위험인지와 정책적 함의
    김영평 소영진 정익재 최병선 『한국행정학보』. 29(3) [1995]
  • 한국의 사회갈등 구조 연구: 갈등해결 시스템을 모색하며
    서문기 『한국사회학회』. 38(6) [2004]
  • 프레임, 해석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준웅 『언론과 사 회』. 29 [2000]
  • 언론보도의 프레임 유형화 연구: 국내 원자력관련 신문 보도를 중심으로
    김원용 이동훈 『한국언론학보』. 49(6) [2005]
  • 신문의 보도 프레임 형성과 뉴스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
    김원용 이동훈 『한국언론학보』. 48(4) [2004]
  •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의제설정효과 : 신문, TV, 포털의 비교
    양선희 『한국언론학보』. 52(4) [2008]
  • 대통령에 대한 감정과 정책 이슈의 유인가적 유사성이 뉴스매체의 점화효과에 미치는 영향: 접근가능성과 적용성 모형의 경험적 검증을 중심으로
    송현주 『한국언론학회』. 50(3) [2006]
  • 『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 프레임 이론과 커뮤니케이션』
    김원용 이동훈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12]
  • 『위험의 정치화 과정과 효과적 대응전략 마련』
    김동영 윤기웅 정지범 채종헌 함종석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2010]
  • 『위험사 회, 위험정치』
  •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현대사회의 위험, 위 기, 갈등에 대한 해석과 대응』
    김영욱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 『위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공론장』
    송해룡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 『위험 사회와 위험인식: 위험 커뮤니케이션 의 갈등 구조』
    송해룡 한스 페터 페터스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4]
  • 『위기관리론: 이론과 실제』
    백종천 이용필 전인영 정태동 서울: 인 간 사랑 [1992]
  • 『소셜미디어를 통한 위험정보 확산과 위험인식에 관한 연 구』
    류현숙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2013]
  • 『사회적 집단갈등의 영향요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윤종설 한 국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40 [2012]
  • 『The whole world is watching : Mass media in the making unmaking of the new left』
    [1980]
  • 『The reporter's environmental handbook』
    Greenberg, M. Sandman, P. West, B. 환경기자핸드북. 한국언론연구원 편역 [1996]
  • 『The politicalCulture of the welfare state』 . Teoksessa Shimon E. Spiro Ephraim Yuchtman-Yaar ( toim . )
  • 『The known , the unknown , and the unknowable in financial risk management』
    [2010]
  • 『The Mediation Process : Practical Strategies for ResolvingConflict』
    [1996]
  • 『The Functions of SocialConflict』 . London : Routledge . Dahrendorf , R. 1957 . 『Class andClassConflict in Industrial Society』
    [1956]
  • 『Talking Politics』
    [1992]
  • 『Steps to an ecology of mind』
    [1972]
  • 『Risk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
    [2010]
  • 『Risk governance :Coping with uncertainty in aComplex world』
    [2008]
  • 『Risk andCrisis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2007]
  • 『Risk Assessment : A Study Group Report』
    [1983]
  • 『Risikogesellschaft: auf dem Weg in eine andere Moderne. Frankfurt am Main. Suhrkamp Verlag』. 홍성태(역). 1997. 『위험 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위하여』
    Beck, U. 서울: 새물결 [1986]
  • 『Mediating the message : Theories of Influences on Mass MediaContents』
    [1996]
  • 『Making sense of intractable environmentalConflicts :Concepts andCases』
    [2003]
  • 『Framing public life : Perspectives on media and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world』
    [2001]
  • 『Deciding what 's news : A study ofCBS evening news , NBC nightly news , Newsweek , and Time』
    [2004]
  • 『Concepts of risk : aClassification』
    [1992]
  • 「환경재난 뉴스의 프레이밍: 국내 주요 일간지의 ‘허베이 스 트리트호’ 원유 유출사고 보도 사례」
    양정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9 [2008]
  • 「환경관련 보도: 대안제시 없는 일과성 보도 범람」
    오택섭 『저널 리즘비평』. 12 [1994]
  • 「현대사회의 위험과 위험보도의 쟁점에 대한 고찰」
    이정춘 『한국 언론학보』. 37 [1996]
  • 「현대 위험사회에서의 위험 연구」
    노진철 『한국위기관리논집』. 1(1) [2005]
  • 「현대 사회의 위험과 위험 관리」
    이승훈 『현대사회와 문화』. 29 [2009]
  • 「한국지방자치 연구경향분석」
    정석환 최호택 『한국지방자치학회 보』. 23(4) [2011]
  • 「한국의 저널리즘과 사회갈등: 갈등유발형 저널리즘을 극복 하려면」
    이재경 『커뮤니케이션 이론』. 4(2) [2008]
  • 「한국사회의 위험인식에 대한 문화론적 연구」
    정기성 『정치정보 연구』. 7(1) [2004]
  • 「프레임 분석을 통한 수자원 갈등 각 이해집 단의 의미구성 이해: 한탄강댐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주경일 주재복 최홍석 『행정논총』. 41(4) [2003]
  • 「철도노조의 민영화 파업과 언론보도: 조선일보와 한겨레를 중심으로」
    이효성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43 [2016]
  • 「집단적 갈등이슈에 대한 방송뉴스 프레임 비교연구: 용산참 사에 대한 MBC, KBS, SBS 저녁뉴스를 중심으로」
    임양준 『한국언론학보』. 5 [2009]
  • 「제주 해군기지 건설을 둘러싼 지역주민과 공무원의 갈등프 레임 비교분석」
    심준섭 『행정논총』. 50(4) [2012]
  • 「정책집행과정의 집단갈등 분석에 관한 연구」
    김석용 최낙범 『지 방정부연구』. 5(2) [2001]
  • 「유권자의 투표선택과 뉴스 미디어의 점화효과: 17대 총선의 선거 이슈를 중심으로」
    반 현 신성혜 최원석 『한국방송학보』. 18(4) [2004]
  • 「위험커뮤니케이션의 개념화, 구조 분 석 및 영역 설정에 관한 연구」
    김원제 송해룡 이윤경 조항민 『분쟁해결연구』. 10(1) [2012]
  • 「위험은 소통될 수 있는가?: 위험사회와 커뮤니케이션학의 과제」
    원용진 『한국방송학회 2004년 봄철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2004]
  • 「위험시설 입지정책결정의 합리성: 방폐장 입지선정 사례를 중심으로」
    정정화 『지방정부연구』. 11(2) [2007]
  • 「위험사회의 사회심리학: 위험인식의 주관적 구성 을 중심으로」
    김수아 임동균 『한국사회』. 17(2) [2016]
  • 「위험사회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위험에 대한 성찰과 커뮤니 케이션의 필요성」
    김영욱 『커뮤니케이션 이론』. 2(2) [2006]
  • 「위험보도의 위기구축 기제 프레임 분석: 식품안전 보도를 중심으로」
    박성희 『한국언론정보학보』 [2005]
  • 「위험 의사소통의 제도화 방안」
    소영진 『사회과학』. 39 [2000]
  • 「위험 수용성 및 정책적 함의: 심리측정패러다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
    차용진 『한국정책과학학회』. 10(4) [2006]
  •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 의 이용, 제 3자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중심으로」
    김인숙 『언론과학연구』. 12(3) [2012]
  • 「언어 네트워크분석을 통한 국내 문화정책 연구동향 분석 (2008-2017)」
    박양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1) [2017]
  • 「언론의 공공의제 설정 및 정책결정 과정과 사례적용에 관한 연구」
    박기묵 『한국정책학회보』. 24(3) [2015]
  • 「언론과 여론: 구성주의적 접근」
    양승목 『언론과 사회』. 17 [1997]
  • 「쓰레기 소각장 입지과정에서의 집단행동의 틀과 틀짓기 행 위 분석: 군포시 사례를 중심으로」
    주경일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4(4) [2002]
  • 「식품위기 위험보도의 특징 분석: 멜라민 사례를 중심 으로」
    신경아. 최윤형 『한국광고홍보학보』. 14(2) [2012]
  • 「수정한 SARF를 적용한 위험의 사회적 증폭 메커니즘 분 석」
    김영대 『한국위기관리논집』. 11(10) [2015]
  • 「세종시 갈등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7개 전국 일 간지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마정미 유영돈 『한국언론학보』. 59(3) [2015]
  • 「사회적 갈등 이슈를 다루는 뉴스 프레임에 관한 고찰」
    유영돈 『사회과학연구』. 23 [2014]
  • 「사회갈등의 의미 구성하기: 의료분쟁 보도의 프레임 분석」
    양정혜 『한국언론학보』. 45(2) [2001]
  • 「사회갈등과 방송의 사회적 기능」
    이정춘 『한국언론학회 심포지 움 및 세미나』 [2000]
  • 「사회갈등과 미디어: 제주해군기지 건설 관련 방송 뉴스의 취재원 특성 분석」
    김세은 이승선 『한국방송학보』. 26(5) [2012]
  • 「사회갈등 이슈에 대한 방송뉴스보도 비교 연구: 중앙과 지 역의 보도 프레임 비교를 중심으로」
    남종훈 『한국디지털콘텐트 논문지』. 12(4) [2011]
  • 「사회갈등 보도의 새로운 방향 찾기」
    김동규 『한국언론학보』. 45(1) [2000]
  • 「사회갈등 보도기사의 비판적 읽기」
    강내원 『한국언론학보』. 46(3) [2002]
  • 「사드 루머 보도에 나타난 한국 언론의 정파성」
    손영준 홍주현 『한국언론정보학보』. 84 [2017]
  • 「미세먼지 재해보도의 프레임 분석: 구조적 주제모형 의 적용」
    김성희 이준웅 『한국언론학보』. 62(4) [2018]
  • 「미디어를 통해 본 의제설정 효과」
    장혜영 『미래정치연구』. 4(1) [2014]
  •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이미나 홍주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2016]
  • 「기술위험 유형에 따른 관리 전략과 기술위험 거버넌스 비교 분석: 광우병(BSE)을 중심으로」
    성지은 『행정논총』. 46(1) [2008]
  • 「국제테러범죄에 대한 언어네트워크분석」
    박상호 『한국위기관리 논집』. 11(2) [2015]
  • 「국내 중앙일간지와 지역일간지의 위험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구미 불산가스 누출사고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송해룡 이윤경 『정치커뮤 니케이션연구』. 28 [2013]
  • 「구성주의 시각에서의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논리」
    박춘서 『언론 과학연구』. 12(3) [2012]
  • 「광우병 위험성 인식의 사회적 증폭요인에 관한 연구」
    최진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9]
  • 「과학기술 위험보도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GMO 유전자변형식품 사례를 중심으로」
    김원제 송해룡 조항민 『한국언론학보』. 49(3) [2005]
  • 「공공사업에 따른 집단갈등 해소방안」
    손진상 『고려법학』. 50(0) [2007]
  • 「공공사업 관련 사회적 갈등보도에 대한 뉴스 프레임 분석: 한반도 대운하 건설 사업을 중심으로」
    임양준 『한국언론정보학보』. 49 [2010]
  • 「갈등이론과 스포츠」
    이근모 『한국 스포츠사회학회 학술발표 논 문집』 [2010]
  • 「갈등연구에서 프레임 분석의 적용 가능성: 문헌연구 를 중심으로」
    김지수 심준섭 『국가정책연구』. 25(3) [2011]
  • 「갈등 당사자의 프레임과 프레이밍 변화과정 분석: 청 주시 화장장 유치 사례」
    김지수 심준섭 『행정논총』. 48(4) [2010]
  •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 AConceptual framework」
    8 ( 2 ) .
  • 「The role of media relations in riskCommunication」
    37 ( 4 ) . [1992]
  • 「The risk perception paradox—implications for governance andCommunication of natural hazards」
    33 ( 6 ) . [2013]
  • 「The rise and fall of social problems : A public arenas model」
    94 ( 1 ) [1988]
  • 「The new ecological paradigm in social-psychologicalContext」
    27 ( 6 ) . [1995]
  • 「The function of mass media agenda setting」
    69 ( 4 ) . [1992]
  • 「The emergence of riskCommunication studies : social and politicalContext」 , 『Science , Technology , Human Values』
    12 ( 3/4 ) . [1987]
  • 「TV방송의 사회갈등 조정역할에 관한 연구」
    권혁남 『한국방송학 보』. 15(1) [2001]
  • 「TF-IDF를 이용한 군집분석 연구」
    김종원 이종화 『한국경영정보 학회 학술대회』 [2019]
  • 「TF-IDF 기반 키워드 추출에서의 의미적 요소 반영 을 위한 결합벡터 제안」
    김화종 박대서 『한국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6(2) [2018]
  • 「Stigma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 Towards a framework of analysis : 161-180」 . In J. Kasperson R. Kasperson . ( Eds ) , The socialContours of risk
    [2005]
  • 「Social benefit versus technological risk」
    [1969]
  • 「Six propositions on public participation and their relevance for riskCommunication」
    6 ( 3 ) . [1986]
  • 「RiskCommunication and the social amplification of risk」 , InCommunicating risks to the public
    [1991]
  • 「RiskCommunication : paradigm and paradox」
    9 ( 2 ) . [1989]
  • 「Risk perception is not what it seems : The psychometric paradigm revisited」 , In K. Andersson ( Ed . ) , VALDORConference 2003
    pp . 14-29 Stockholm : VALDOR . [2003]
  • 「Risk perception and social anthropology :Critique ofCultural theory」
    61 ( 1-2 ) [1996]
  • 「Risk objectivism and risk subjectivism : When are risks real」
    1 . [1990]
  • 「Perception of risk posed by extreme events」 ( prepared for discussion at theConference “ Risk Management strategies in an Uncertain World
    [2002]
  • 「News that matters : Agenda-setting and priming in a television age」 , 『News that Matters : Agenda-Setting and Priming in a Television Age』
    [1987]
  • 「Living in the world risk society」
    35 ( 3 ) . [2006]
  • 「HowClose isClose enough : Public perceptions of the risks of industrial facilities」
    3 ( 4 ) . [1983]
  • 「From bias to objectiviy and back :Competing paradigms for news analysis and a pluralistic alternative」 , 『Studies inCommunications』
    [1986]
  • 「Explaining risk perception : An evaluation ofCultural theory」
    85 [2004]
  • 「Environmental hazards in the 1960s」
    78 ( 339 ) . [1993]
  • 「DifferentConcepts of risk : AChallenge for riskCommunication」
    296 [2006]
  • 「Defining Risk」
  • 「Cultural theory and risk perception : a proposal for a better measurement」
    5 ( 2 ) [2002]
  •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raming and ideology」 , 『Frames of protest : Social movements and the framing perspective』
    205 [2005]
  • “한국사회의 갈등지형과 경향”
    박길성 『한국사회』. 9(1) [2008]
  •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 해가 위험정보소통체계에 주는 함의.”
    박희제 『환경사회학 연구 ECO』. 6(8) [2004]
  • “위험사회학 : 위험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이론화.”
    노진철 『경 제와 사회』. 63 [2004]
  • “언론은 미세먼지 위험을 어떻게 구성하는 가? - 미세먼지 위험보도 프레임과 정보원 분석.”
    김영욱 이현승 이혜진 장유진 『한국언론학 보』. 59(2) [2015]
  • “국내 신문의 가축 전염병 위험 보도에 대한 프레임 연구: 중앙지와 지역지의 구제역 보도를 중심으로”
    이민규 이예리 『언론과학연구』. 12(2) [2012]
  • “TF-IDF 의 변형을 이용한 전자뉴스에서의 키워드 추출 기법”
    김한준 이성직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4(4) [2009]
  •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 A treatise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1991]
  • The elements of journalism
    [2001]
  • The Agenda-Setting Role of the Mass Media in the Shaping of Public Opinion
    [2002]
  • Switching Trains of Thought : The Impact of News Frames on Readers ’ Cognitive Responses
    24 ( 5 ) . [1997]
  • Risk andCulture
    [1982]
  • Risk Society ; Towards a New Modernity
    [1992]
  • Reporting on Risk : How the Mass Media Portray Accidents , Diseases , Disasters and Other Hazards.
    『Risk』 . 5 [1994]
  • Perception of Risk
    [1987]
  • Objective News Reporting : General Premises
    10 ( 3 ) . [1983]
  • News Coverage of the Gulf Crisis and Public Opinion A study of Agenda-Setting , Priming , and Framing
    20 ( 3 ) . [1993]
  • Media discourse and public opinion on nuclear power : A constructionist approach
    95 ( 1 ) . [1989]
  • Making news :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1978]
  • M. L. 1976 . 「A dependency model of mass-media effects」
    3 ( 1 ) .
  • L. 1973『The sociology of social conflicts』
  • Is anyone responsible ? : How television frames political issues
    [1991]
  • How safe is safe enough ? A psychometric study of attitudes towards technological risks and benefits
    9 ( 2 ) . [1978]
  • Framing in discourse
    [1993]
  • Framing as A Theory of Media Effects
    49 ( 1 ) . [1999]
  • Framing analysis : an approach to news discourse
    10 ( 1 ) . [1993]
  • Framing European Politics : A Content Analysis of Press and Television News
    50 ( 2 ) . [2000]
  • Framing : Toward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43 ( 4 ) . [1993]
  • Frame Analysis: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1974]
  • F. C. 1932 . 『Remembering : A study in experimental and social psychology』
  • C. F. 1968「Some Conceptual Difficulties in the Theory of Social Conflict」
    12
  • A. M. 1990Confronting uncertainty in risk management . Center for Risk Management , Resources for the Future
  • 1999.Framing Friction : Media and Social Conflict
  • /2001. 「Ereignis, Newes und Rezpient」, In, Merten, Klaus/Schmidt, Siegfried/Weisenberg, Siegfried(Hrsg)(1994), Die Wirklichkeit der Medien. Opladen. 박춘서․송해룡 편역(2001). 『미디 어의 실제』
    Ruhrmann, G. 서울: 커뮤니케이션북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