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Model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in University

송나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Model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in Univers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개발
  • 단계
  • 대학
  • 모형
  • 비교과교육과정
  • 운영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14 0

0.0%

' 대학의 비교과교육과정 개발·운영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Model of Extracurricular Curriculum in University' 의 참고문헌

  •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현황 분석
    정선호 『교양 교육연구』, 11(4), 363-387 [2017]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학생의 핵심역량 진단 결과 분석」
    『KRIVET ISSUE Brief』 [2013]
  • 한국교육개발원, 「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편람 – 일반대학」
    『교육 부』, 2020. 2. 7 [2021]
  • 정한나 「대학생의 비교과 활동(extra-curriculum) 및 전공수업 방 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백원영 『교육재정경제연구』, 21(1), 261-284 [2012]
  • 유영의, 이상욱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분석과 시사 점」
    김정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773-791 [2017]
  •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특징 분석: 교육과 정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가은아 이근호 이병천 이주연 『교육과정평가』, 20(1), 1-30 [2017]
  • 대학생 핵심역량 기반 맞춤형 비교과 프로 그램 개발
    공성수 윤희정 정윤숙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학술대회지』, 4호, 213-241 [2018]
  • 남서울대학교
    「남서울대학교 홈페이지」, https://nsu.ac.kr/?m1=home%25년.01월.02일)191 [2020]
  • 교육과정 연구
    이귀윤 서울 : 교육과학사 [1996]
  •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과 실제
    박현주 서울 : 교육과학사 [2005]
  • 경동대학교
    「경동대학교 홈페이지」, https://kduniv.ac.kr/년.01월.02일) [2020]
  • 건국대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평가인증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가이드」
    『대학교육혁신원 WE人교육센터』, /2019 [2017]
  • 강원대학교, 「년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대학-지자체-공공기관-산업계 협력형) 수업사업계획서」
    『강원대학교』, 2019 [2019]
  •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 및 발전적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박은종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학습역량강화 비교과교육 참여 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정서, 학습 성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 분석』
    신혜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 『지방대학의 교육실태와 시사점』
    박성호 엄문영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14]
  • 『나사렛대학교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집중교육과정 모형개발연구』
    김수진 김현진 윤재홍 장병옥 황복선 천안 : 나사렛신학대학교 [2005]
  • 『교육과정탐구』
    이홍우 서울 : 박영사 [1977]
  • 『교육과정모형론(I)』
    조영태 서울 : 교육과학사 [2019]
  •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이성호 서울 : 학지사 [2006]
  • 『Tyler의 교육과정과 수업지도의 기본원리』
    진영은 서울 : 양서원 [1999]
  • 『TheoryConstruction for research on teaching . In R. M. W. Travers ( ed . ) ,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1973]
  • 『The theoretical andConceptual bases of instructional design』
    [1986]
  •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 4th ed
    [1996]
  • 『PCB / SMT / PACKAGE / DIGITAL 용어 해설집』
    남원기 신영의 장동규 최명기 홍태환 서울 : 도서출판 골드 [2005]
  • 『Interservice procedures for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ment
    [1975]
  • 『Disentangling the unique effects ofCocurricular engagement on selfreported student learning outcomes』
    [2010]
  • 『Curriculum Planning for Modern Schools』
    [1974]
  • 『Curriculum Development : Theory and Practinc』
    [1962]
  • 『Curriculum Development ( 4th ed
    [1992]
  • 『A naturalistic model forCurriculum developmentTylor K. A. Tye』
    [1971]
  • 「현단계 한국 대학의 위기 양상과 대학 체제 개편논의」
    윤지관 『동향과 전망』, 99호, 201-226 [2017]
  • 「학교 통일교육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이영문 『인문사회교육연구』, 8권, 111-132 [2005]
  • 「질적 연구에서의 윤리적 문제 : 질적 연구자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
    신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9]
  •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김현주 『교 양교육연구』, 11(1), 761-790 [2017]
  • 「워커 모형에 비추어 본 한국의 직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의 특징」
    안미숙 『敎育課程硏究』, 15(1), 267-297 [1997]
  •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질적 전환과 학교교육에의 시사점 탐구: 뉴질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강현석 조인숙 『중등교육연구』, 65(3), 601-631 [2017]
  • 「어린이전문사서를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 연구」
    박현주 이상복 『한 국비블리아학회지』, 21(2), 97-110 [2010]
  • 「앨빈토플러가 말하는 직업」, 『한국경제신문』, 52, 년6월8일 건국대학교, 「건국대학교 홈페이지」
    이영대 https://www.konkuk.ac.kr/do/Index.do(2020년.01월.02일) [2007]
  • 「성인학습자로서 PBL의 가능성」
    강인애 『Journal of Nursing Query』, 11(1), 26-54 [2002]
  • 「비교과프로그램이 대학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K대학 교를 중심으로」
    박창남 정원희 『교양교육연구』, 11(1), 39-71 [2017]
  • 「비교과교육을 통한 융합적 사고력 증진 방안 연구: 대학생 의 다문화 수용성,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김지일 장상필 『교육종합연구』, 13(4), 135-156 [2015]
  • 「비교과 활동 참여 정도가 중학생의 인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탐색」
    구남욱 이나리 『교육평가연구』, 31(1), 181-200 [2018]
  • 「비교과 프로젝트 교육프로그램 참 여 대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학습몰입, 창의성과 학업성취 차이」
    김옥분 김혜림 김혜진 정찬호 조영명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4), 543-551 [2018]
  •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교양교과목의 수업효과 분석」
    강선영 김현우 『교양교육연구』, 12(3), 39-61 [2018]
  • 「대학정원정책을 중심으로 본 한국의 대학구조개혁정책의 변화와 쟁점」
    이보경 최강식 『교양교육연구』, 11(1), 313-363 [2017]
  • 「대학의 연계전공 운영 현황과 그 교육과정 개발모형 탐구」
    손충기 『未 來敎育硏究』, 13-2(1), 1-26 [2006]
  • 「대학의 역량기반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문희정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19(3), 59-80 [2019]
  •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위한 메타분석 연구: ~2016 국내 초기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를 중심으로」
    이형주 『교 육문화연구』, 25(1), 273-290, 2019 [2015]
  • 「대학의 변화와 변화의 대학」
    서강목 『대학: 담론과 쟁점』, 1호, 32-42 [2016]
  • 「대학의 교수 학습의 질에 대한 재인식-미국 대학 교수학습센터의 활동을 중심으로」
    민혜리 『한국비교교육학회』, 12(1), 75-92 [2002]
  • 「대학의 교수 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IV) - 대학 유 형별 교수 학습 역량 평가체제 구축 : 4년제, 전문대학 -」
    최정윤 『한국교육 개발원』 [2016]
  • 「대학생의 핵심학습역량에 대한 인식분석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개 발을 위한 연구」
    성민경 『평생학습사회』, 11(1), 171-188 [2015]
  • 「대학생의 학습상과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대학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이병식 최정윤 『교육행정학연구』, 27(1), 199-222 [2009]
  • 「대학생의 비교과교육과정 및 비교과졸업인증 인식에 대한 혼합연 구」
    김정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3), 245-266 [2018]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연 민경석 정지영 『교양교육연구』, 12(3), 63-87 [2018]
  • 「대학생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스마트러닝기반 비교과교육 의 효과」
    강선영 김현우 『디지털융복합연구』, 16(3), 27-35 [2018]
  • 「대학교육에서의 비교과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이림 『敎育問題硏 究』, 31(4), 155-182 [2018]
  • 「대학 책무성으로서의 기초역량 교육과 그 의의」
    김혜영 『한국교양교육 학회 학술대회자료집』, (6), 2018 [2018]
  • 「대학 비교과 활동의 예약부도 방지를 위한 운영방안 탐 색」
    안수현 이상준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0), 195-204 [2019]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김수연 이명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585-609 [2016]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 방향성 제고」
    김도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585-609 [2016]
  •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연구: 전남대학교 교수 학습지원 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재윤 『敎育硏究』, 40(1), 93-120 [2018]
  •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관리 및 인증시스템 U-CAAM의 구축 및 운영」
    양근우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15-131 [2015]
  • 「대학 교수-학습센터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고찰: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권경빈 송상호 『교육공학연구』, 22(3), 167-185 [2006]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과-비교과 교육과정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및 운영」
    한안나 『한국문화융합학회』, 39(6), 171-202 [2017]
  • 「국내 기업교육을 위한 수업체제설계모형 개발 사례연구」
    엄우용 『산업 교육연구』, 6, 121-139 [1999]
  • 「국 내외 교수학습센터의 프로그램 현황 비교 분 석」
    김명랑 엄미리 조형정 『비교교육연구』, 19(2), 269-293 [2009]
  • 「구성주의 교육관에 기초한 중등음악교수모형 개발 연구」
    최은식 『음악 교육연구』, 25권 [2003]
  • 「교육과정의 고전모형과 그 대안」교육과정연구회」
    이홍우 『교육과정 연구』, 38(1), 11-33 [1974]
  • 「교육과정 운영 모형으로서의 R&D 모형에 대한 검토 : 합리주의적 해석 비판」
    조영태 『교육과정연구』, 15(1), 325-366 [1997]
  • 「교육과정 모형의 개념 메타프락시스 모형과 내용」
    박창남 정원희 『도 덕교육연구』, 27(1), 93-123 [2015]
  • 「교육과정 모형의 개념 메타프락시스 모형과 내용」
    조영태 『도덕교육연 구』, 27(1), 93-123 [2015]
  • 「교수학습센터 역할 수행 및 요구 분석 연구」
    김경이 김주안 남민우 민혜리 우정원 『교육학연구』, 56(3), 227-257 [2018]
  •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효과 연구」
    박소연 유지현 이숙정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6), 2013 [2013]
  • 「경북대학교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 램의 운영 실태와 성과 글쓰기 센터 운영~2013)과 글쓰기말하기 통합 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귀원 김종현 남금희 이원동 전은경 『교양교육연구』, 8(6), 233-269, 2014 [2008]
  • 「TheConfidence to do things that I know nothing about–skills development through extracurricular inquiry activity」
    3 , 2-21 [2011]
  • 「The role of schoolbas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olescent development : AComprehensive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75 ( 2 ) , 159-210 [2005]
  • 「Positive eff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students」
    9 ( 1 ) , 84-87 [2011]
  • 「Organiz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 Are in school and out of school activities associated with different outcomes forCanadian youth ?
    84 ( 5 ) , 317-325 [2014]
  •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신혜성 『교양교육연 구』, 11(6), 303-332 [2017]
  • 「Faculty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
    18 ( 3 ) , 167-176 [1994]
  •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ir effect on the student 's grade point average : Statistical study」
    10 ( 20 ) , 2737-2744 [2015]
  • 「Clarifying the meaning of extracurricular activity : A literature review of definitions」 , 『American Journal of B usiness Education ( Online )
    5 ( 6 ) , 693-704 [2012]
  • 「ACE사업 참여 대학의 핵심역량 및 실천전략에서의 교육적 함 의」
    이민정 『아시아교육연구』, 18(2), 339-364 [2017]
  • 「4년제 D대학교의 비교과교육과정 내실화 방안 연구」
    김수동 최헌철 『문화와 융합』, 41(3), 937-962 [2019]
  • Rationalism in Politics and Other Essay』
    [1962]
  •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 2nd ed. )
    [1979]
  • Hattie, J., 『Visible learning: A synthesis of over 800 meta-analyses relating to achievement 1st Edition』, New Zealand : Routledge, 2008. Lunenburg, F. C., & Ornstein, A. O., 『Educational ad m inistration : Concepts and practices (5th ed.)』, Belmont, CA : Wadsworth / Cengage Learnin, 2008.
  •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