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와 명리의 이론체계 분석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서양의 입지론과 적성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and Application of the Theory System of Feng Shui and Myeong Li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Eastern and Western Location and Aptitude Theory

문상덕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풍수와 명리의 이론체계 분석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서양의 입지론과 적성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and Application of the Theory System of Feng Shui and Myeong Li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Eastern and Western Location and Aptitude Theo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명리
  • 시간과 공간
  • 입지론
  • 자연관
  • 적성론
  • 직업 만족도
  • 풍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2 0

0.0%

' 풍수와 명리의 이론체계 분석과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동서양의 입지론과 적성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and Application of the Theory System of Feng Shui and Myeong Li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Eastern and Western Location and Aptitude Theory' 의 참고문헌

  • 최진석 등 역,『주역, 유가사상인가 도가사상인가』
    진고응 예문서원 [1996]
  • 이익성 역, 『택리지』
    이중환 을유문화사 [2016]
  • 이병도, 『고려시대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0]
  • 요시무라 미카(吉村美香, , “고전 『연해자평』의 이론적 연구”
    경기대학교 문화예 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안유경 역, 『주역전해(上) 』
    김경방 여소강 심산 [2013]
  • 심경호 역, 주역철학사
    강학위 양위현 요명춘 예문서원 [2014]
  • 송인창 안유경 역, 『오행, 그 신비를 벗긴다』
    유소홍 국학자료원 [2008]
  • 박형규 역, 『손에 잡히는 孟派命理(上)』
    단건업 상원문화사 [2016]
  • 김홍경 역, “음양오행학설사”, 『음양오행설의 연구』
    사송령 신지서원 [1993]
  • 김홍경 역, “음양오행설과 관련 문헌의 연구”, 『음양오행설의 연구』
    서복관 신 지서원 [1993]
  • 김홍경 신하령 역, 『음양오행이란 무엇인가』
    사송령 연암 [1995]
  • 김학권 역, 『주역산책』
    주백곤 예문서원 [2011]
  • 『한국의 원시사상』
    박용숙 일지사 [1985]
  • 『한국사상사』
    김득황 대지문화사 [1978]
  • 『진로상담이론』
    김봉환 학지사 [2010]
  • 『주역(周易)』
  • 『전통풍수의 이론과 방법』
    이세복 이우영 동학사 [1997]
  • 『적천수천미(滴天髓闡微)』
  • 『적천수(滴天髓)』
  • 『자평진전(子平眞詮)』
  • 『자평삼명통변연원(子平三命通變淵源)』
  • 『이허중명서(李虛中命書)』
  • 『연해자평(淵海子平)』
  • 『새로운 풍수이론』
    최창조 민음사 [2009]
  • 『삶의 政治思想』
    임효선 한길사 [1984]
  • 『산수지리서』
    이충우 세종문화원 [1997]
  • 『명리정종(命理正宗)』
  • 『명리약언(命理約言)』
  • 『땅의 논리 인간의 논리』
    최창조 민음사 [1992]
  • 『대학풍수강론』
    장영훈 담디 [2013]
  • 『김두규 교수의 풍수강의』
    김두규 비봉출판사 [2009]
  • 『기풍수연구』
    모종수 동학사 [1999]
  • 『궁통보감((窮通寶鑑)』
  • 『韋千里命學講義』
    위천리 台北 武陵出判有限公司 [2008]
  • 『窮通寶鑑講解』
    이을로 동학사 [2007]
  • 『Econometric Analysis』 , 4th
    [2000]
  • 「사주명리학에 근거한 건축 공간디자인 방법론 연구」
    최성수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회남자의 음양오행학설과 사주명리의 연관성 연구”
    강성인 동방문화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풍수지리사상의 변천과정”
    이몽일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한국 풍수사상의 자생적 특징”
    최창조 『풍수지리문화의 이해』, 공주대학교 정 신과학연구소 편저, 형지사, pp.111-156 [2008]
  • “한국 풍수론 전개의 양상과 특색”
    최원석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제6호 통권 171호, 대한지리학회, pp.695-715 [2015]
  • “한국 전통풍수의 연원 및 사상적 토대와 그 변모 양상”
    이진삼 인문학연구, 제 50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pp.193-225 [2015]
  • “풍수지리학에 있어서 사신(四神)의 유래와 운용에 관한 연구”
    박형규 동양학연 구, 공주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8]
  • “풍수지리적 입지해석에 관한 연구”
    문인곤 천인호 부동산학보, 제43집, 한국부동 산학회, pp.338-357 [2010]
  • “풍수지리적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영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풍수지리적 요인이 명동 입지에 미치는 영향”
    심재열 부동산경영, 제19집, 한국 부동산경영학회, pp.217-231 [2019]
  • “풍수지리이론의 유형별 비교 분석”
    지종학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29권 제1호 통권 67호, 한국사진지리학회, pp.13-21 [2019]
  • “풍수지리의 형기론적 접근방법”
    장태상 『풍수지리문화의 이해』, 공주대학교 정 신과학연구소 편저, 형지사, pp.15-56 [2008]
  • “풍수지리의 현대적 재해석”
    옥한석 정택동 대한지리학회지, 제48권 제6호, 대한지리 학회, pp.967-977 [2013]
  • “풍수지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성우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풍수지리설이 도읍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손정목 도시문제, 제8권 11 호, pp.57-103 [1973]
  • “풍수지리설의 현대적 의미”
    강길부 정신문화, 16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155-164 [1983]
  • “풍수지리설의 실제”
    장용득 정신문화, 16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155-164 [1983]
  • “풍수지리설”
    이종항 정신문화, 6권 1호, 통권 제16호, 한국학중앙연구원, pp.149-154 [1983]
  • “풍수지리사상이 부동산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분석”
    문인곤 이창석 대한부동산학 회지, 제25권, 대한부동산학회, pp.205-235 [2007]
  • “풍수지리를 고려한 도로 노선 계획”
    이희건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풍수지리 고문헌 속 동기감응론 재해석”
    최승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제28권 제 1호 통권 63호, 한국사진지리학회, pp.79-90 [2018]
  • “풍수의 아파트먼트 적용에 관한 이론 분석 연구”
    은덕수 디자인지식저널, 제20 권, 한국디자인지식학회, pp.193-202 [2011]
  • “풍수원리에 의한 전통공간의 체계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은덕수 한국디자인문화 학회지,제13권 제4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pp.282-295 [2007]
  • “풍수사상의 환경지리학적 고찰”
    오세창 사회과학연구, 제4집 2호,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pp.377-394 [1997]
  • “풍수사상의 입지선정 영향에 관한 연구: 전통적 풍수지리와 현대적 입지 요건의 비교”
    심재열 인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풍수비보이론을 적용한 현대주거환경 계획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송대선 영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진로지도에 있어서 명리학적 보완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영창 공주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지속가능한 디자인 방법론으로서의 풍수이론에 관한 고찰”
    은덕수 최성호 디자인지 식저널, 제16권, 한국디자인지식학회, pp.1-10 [2010]
  •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김승완 전주대학교 행정학 박 사학위논문 [1998]
  • “주택입지선정의 풍수지리적 고찰”
    김승완 자치행정연구, 제2호, 전주대학교 지방 자치연구소, pp.363-387 [1997]
  • “주역과 사주명리의 운명관에 관한 비교 연구”
    최영준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 “조선 궁궐 입지선정의 기준과 지형에 관한 연구: 경복궁과 창덕궁을 중심 으로”
    김규순 문화재, 제52권 제3호 통권 제85권, pp.130-144 [2019]
  •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및 직업만족도 차이 분석”
    이은우 경제연구, 제27권 제3호, 한국경제학통상학회, pp.55-78 [2009]
  • “적천수천미 연구”
    박성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재운이 부자를 만드는가? : 사주가 소득에 미치는 영향분석”
    남성일 전재식 한 국경제학회 연합학술대회 발표논문 [2001]
  • “이허중명서의 명리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영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이른바 ‘초자연현상’연구의 학문적 위상정립 가능성에 대한 진단”
    정종호 한국정치 학회보, 제26집 3호 별쇄본, 한국정치학회, pp.46-66 [1993]
  • “음양오행설의 주자학적 적용양상에 관한 연구”
    김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 “음양오행사상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황희경 『동양철학과 한의학』, 아카넷 [2005]
  • “용신결정의 방법과 사례분석”
    박영창 『사주명리학 총론』, 공주대학교 정신과학 연구소, 명문당, pp.309-340 [2010]
  • “양택풍수입지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평가간의 실증분석, 부동산학연구, 제 13집 제2호
    천인호 한국부동산분석학회, pp.63-78 [2007]
  • “양택풍수와 음택풍수 논리구성의 특징 비교 분석”
    박정해 국토연구, 통권 제84 권, 국토연구원, pp.95-109 [2015]
  • “양택풍수 현대화를 위한 한 중 일 삼국의 비보풍수 비교 연구 Ⅰ,Ⅱ”
    최성수 한국문 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문화공간연구, 통권 제60권, pp.210-233 [2017]
  • “양택풍수 요인이 부동산 입지선정에 미치는 영향”
    이홍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4]
  • “양기풍수이론의 도시입지론적 해석”
    문인곤 이창석 부동산학보, 제42집, 한국부 동산학회, pp.244-262 [2010]
  • “성격유형이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범죄에 미치는 영향”
    이종화 광운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서자평의 명통부에 대한 사주학 연구”
    김훈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비정규직 유형별 직무 및 일상생활 만족도 차이 연구”
    배화숙 이인숙 제9회 한 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 한국노동연구원 [2008]
  • “비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노용진 박우성 인사관리연구, 제26집 1 호, 한국인사관리학회, pp.151-173 [2002]
  • “부동산입지의 이론적 고찰”
    권호근 장민영 부동산경영, 제8집, 한국부동산경영학 회, pp.75-102 [2013]
  • “부동산과 풍수지리 입지요인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기찬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명리학의 적천수, 자평진전, 궁통보감 용신론 비교 연구”
    박재범 국제뇌교육종합 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명리학의 연원에 관한 연구: 역을 중심으로”
    손순호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명리학의 연원과 이론체계에 관한 연구”
    심규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03]
  • “명리학의 성격유형분류 연구”
    정하룡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명리학, 미신인가 학문인가?”
    김학목 퇴계학논집 25, 퇴계학부산연구소, pp.215-236 [2015]
  • “명리정종 연구”
    송지성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명리이론을 활용한 선천적성검사 도구개발에 관한 연구”
    김기승 국제문화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동서양 모두 운명은 개척할 수 있다고 믿어 도전과 응전 펼치며 기회 만 드는 것이 중요”
    김성회 이코노미조선, vol. 190, pp.74-75 [2017]
  • “도시계획에 있어서 풍수적용에 관한 연구”
    김상휘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 “도선의 생애과 라말여초의 풍수지리설”
    최병헌 한국사연구, 제11호, 한국사연구 회, pp.101-146 [1975]
  • “대구한의대학교 풍수지리 입지 특성 연구”
    김미송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9]
  • “기를 바탕으로 한 주거 환경의 현대적 해석”
    이동화 서울시립대 박사학위논문 [2006]
  • “교통 입지요인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환승역세권을 중심으로”
    김용래 백승준 부동산연구, 제29권 제3호, 한국부동산연구원, pp.105-123 [2019]
  • “공간(空間)과 천지(天地): 동서양 건축에서의 공간관”
    김성우 건축역사연구, 제 14권 4호 통권 44호, 한국건축역사학회, pp.7-28 [2005]
  • “간지와 음양오행의 결합시대”
    김학목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철학논집, 제25집, pp.169-194 [2011]
  • “『연해자평』 해석연구”
    송부종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풍수지리설 발생배경에 관한 분석 연구?
    박시익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 ?풍수의 현대적 해석과 주거공간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은덕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직업적성에 대한 사주명리학적 연구?
    심광숙 대구한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명리학의 한국적 수용 및 전개 과정에 관한 연구?
    김만태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명리원전 ??자평삼명통변연원?? 연구?
    김면수 동방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
    박시익 일빛 [1999]
  • ??한국의 풍수사상??
    최창조 민음사 [1984]
  • ??우주변화의 원리??
    한동석 대원출판 [2013]
  • ??성격특성의 예측을 위한 사주명리학에 관한 연구??
    정국용 동의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3]
  • ??명리학의 직업이론과 적성에 관한 연구??
    정의록 동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명리직업상담론??
    김기승 창해 [2009]
  • 10인, 『부동산학개론』
    김승희 이루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