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동향 분석
홈
알림
이용안내
오류접수
API
서비스소개
인기 연구 키워드 :
인기 활용 키워드 :
전문상담사들의 직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confrontation experienc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박세은
2020년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Analysis
논문 Analysis
연구자 Analysis
활용도
공유도
영향력
논문상세정보
저자
박세은
형태사항
26 cm
일반주기
지도교수: 양유성
학위논문사항
평택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2020. 2, 신학과
발행지
평택
언어
kor
출판년
2020
발행사항
평택대학교 대학원
주제어
내담자
역전이
인지왜곡
인지행동 치료
자기
전문상담사
직면
참고문헌( 78)
유사주제 논문( 440)
인지행동 치료 179건
자기 116건
내담자 44건
역전이 40건
전문상담사 29건
인지왜곡 17건
직면 15건
인용/피인용
전문상담사들의 직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
' 전문상담사들의 직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confrontation experienc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내담자
역전이
인지왜곡
인지행동 치료
자기
전문상담사
직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7
0
0.0%
자세히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주제
주제별 논문수
주제별 피인용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
주제어
내담자
45
0
0.0%
역전이
41
0
0.0%
인지왜곡
18
0
0.0%
인지행동 치료
180
0
0.0%
자기
117
0
0.0%
전문상담사
30
0
0.0%
직면
16
0
0.0%
계
447
0
0.0%
* 다른 주제어 보유 논문에서 피인용된 횟수
0
닫기
' 전문상담사들의 직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confrontation experienc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의 참고문헌
주은선 박영주. “상담자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및 상담 성과에 영향 을 주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분석
” 「한국심리학회지」34 , 453-84
[2013]
외. Learning Cognitive-Behavior Therapy. 김정민 역. 『인지행동치료』
Wright, J. H.
Wright, J. H.
서울: 학지사
[2009]
상담자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및 상담 성과에 영향 을 주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분석
박영주
주은선
” 「한국심리학회지」34 , 453-84
[2013]
네이버 국어사전. “직면이란
” 접속. https://search.naver.com
[2018]
『현대목회상담학자 연구』
양유성
양유성
서울: 돌봄
[2011]
『카운슬링의 원리』
정원식
정원식
서울: 교육과학사
[1999]
『초심 상담사들이 궁금해 하는 집단상담』
김영경
김영경
서울: 학지사
[2018]
『정신역동적 상담』
정방자
정방자
서울: 학지사
[1998]
『임상심리학』
안창일
안창일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3]
『이야기 치료』
양유성
양유성
서울: 학지사
[2009]
『융의 심리학과 종교』
김성민
김성민
서울: 동명사
[1998]
『상담의 원리와 기술』
노안영
노안영
송현종
조철기
서울: 학지사
[2006]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천성문
천성문
서울: 학지사
[2015]
『상담심리학의 기초』
이장호
이장호
서울: 학지사
[2005]
『상담 면접의 기초』
김환
김환
송현종
이장호
서울: 학지사
[2009]
『사랑이 흐르는 공동체 만들기』
심수명
심수명
서울: 다세움
[2008]
『목회상담이론 입문』
안석모
안석모
서울: 학지사
[2009]
『목회상담 실천 입문』
이상억
이상억
서울: 학지사
[2009]
『기독교 상담의 이해와 원리』
김용태
김용태
서울: 학지사
[2018]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와 실제」
홍영숙
홍영숙
숭실대학교 부부가족상담 연구소
[2017]
“프로이트와 정신분석학.”
양유성
양유성
「평택대 상담학박사과정 수업교재」
[2017]
“치료적 요인으로서 상담자 요인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 차원.”
김영근
김영근
「상담 및 심리치료」 25 , 203-26
[2013]
“체육대학 교육경험을 통한 체육전문인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 구.”
김동학
김동학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집단상담 참가자가 경험한 ‘직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현실역 동 집단상담 중심으로.”
박수영
박수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16 , 623-43
[2016]
“직면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 상담자의 준비.”
안경승
안경승
「복음과 상담」 4 , 155-177
[2005]
“직면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이해와 활용 가능성.”
전요섭
전요섭
「신앙과 학 문」 13 , 242-50
[2008]
“직면과 ‘아가페 상담’ : 일반상담의 기법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기 독교 복음적 상담이론의 만남.”
김태수
김태수
「복음과 상담」4 , 29-67
[2005]
“직면 유형이 인지적 판단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홍리정
홍리정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직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직면 기술의 조건적인 활용 방 안의 제안.”
박윤정
박윤정
「복음과 상담」 26 , 93-126
[2018]
“전문상담학.”
양유성
양유성
「평택대 상담학 박사과정 수업교재」
[2014]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치유 의례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효숙
박효숙
평택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자기 직면법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손은희
손은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인간의 고통스러운 경험과 치유에 관하여: 상담관계의 맥락 안에 서.”
김영근
김영근
「인간 환경 미래」 15 , 37-66
[2015]
“인간 변화를 촉진하는 다섯 가지 조건에 관한 가설: 상담 이론의 관점에서.”
김창대
김창대
「인간 이해」 30 , 21-43
[2009]
“예비 교사의 교육 실습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권선미
권선미
조철기
「교사교육연구」 52 , 63-78
[2013]
“예배의 목회상담적인 역할과 가능성.”
신명숙
신명숙
「신학연구」 6 , 99-113
[2013]
“영어 관념의 유동성과 교사 정체성의 다중성: 한 초등영어교과 전담교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홍영숙
홍영숙
「언어학연구」 19 , 183-206
[2014]
“역전이의 역사적 이해.”
오동원
오동원
「한국정신치료학회」 5 , 1-22
[2003]
“역전이 활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최명식
최명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아더 피어선의 미래 이야기에 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양유성
양유성
「피어 선신학논단」 6 , 31-53
[2017]
“십오통활 집단상담에 참여한 남자중학생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채선기
채선기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신임 교수의 일과 삶: 교수되기의 의미.”
염지숙
염지숙
「열린 유아교육」 8 , 135-60
[2003]
“성경적 자가 상담에서의 직면.”
최민지
최민지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상담자의 역전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경은
박경은
평택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9]
“상담자 자기 효능감과 상담 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동 및 내담자 협력관계의 매개 효과.”
강석영
강석영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상담의 직면과 거짓 자아”
김준수
김준수
「복음과 상담」4 , 103-31
[2005]
“상담 전공 내담자가 지각한 효과적인 상담자 요인.”
김창대
김창대
「상담학 연구」 10 , 83-107
[2009]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김창대
김창대
「상담학 연구」 9 , 961-86
[2008]
“빈곤한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류소영
류소영
이화여자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4]
“목회상담의 중요성과 목회에서의 적용.”
노원석
노원석
「개신논집」 2 , 171-88
[2014]
“목회상담에서의 이야기 치료를 통한 개인적 정체성의 이야기로부 터 하나님과의 관계적 정체성의 이야기로의 전환.”
최민수
최민수
「한국기독교상담학 회지」 16 , 233-63
[2008]
“목회상담에서 은유의 치료적 함의.”
양유성
양유성
「피어선신학논단」 4 , 76-94
[2015]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입장과 탐구 과정 에 대한 이해.”
김병극
김병극
「교육인류학연구」15 , 1-28
[2012]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유아 세계 이해: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 년으로의 전이 경험 연구를 중심으로.”
염지숙
염지숙
「교육인류학연구」 2 , 57-82
[1999]
“기독교 인지행동치료-인지왜곡에 대한 기독교 상담.”
김찬규
김찬규
「성경과 신학」64 , 113-37
[2012]
“기독교 상담에서의 직면 사용.”
한숙자
한숙자
「복음과 상담」 4 , 68-102
[2005]
“기독교 상담에서 직면의 역할과 적용.”
강경미
강경미
「복음과 상담」4 , 178-203
[2005]
“기독 청년과 비기독 청년의 사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우금
이우금
평택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그림책을 통한 가정폭력 가해자의 동일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조난영
조난영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염지숙
염지숙
「교 육인류학 연구」 6 , 119-40
[2002]
“공감과 직면의 반응 순서가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모의상담 관찰자의 지각을 통한 연구.”
김영석
김영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개인 의미도법: 박물관 교육을 위한 질적 연구 조사방법.”
서원주
서원주
「박물 관 교육연구」 4 , 63-90
[2010]
“강박장애의 인지행동치료”
신민섭
신민섭
「한국임상심리학회 자료집」8 , 224
[2017]
Teyber, Edwar 외. Interpersonal Process in Therapy: An Integrative Model. 장미경 외 역.『상담 및 심리치료 대대인과정 접근』
서울: Cengage Learning
[2013]
Ledley, Deborah 외. Mak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ork. 김정 모 전미애 역. 『초보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서울: 학지사
[2015]
Jean. and Connelly F. Michael. Narrative Inquiry. 소경희 외 역. 『내러티브 탐구』
Clandinin, D.
Clandinin, D.
파주: 교육과학사
[2007]
Hill, Clara E. and Karen M. O’Brien Helping Skills. 주은선 역. 『상담 의 기술』
서울: 학지사
[2012]
Heaton, Jeanne Albronda. Therapeutic Skills. 김창대 역. 『상담 및 심리 치료의 기본 기법』
서울: 학지사
[2006]
Hakney, Harold L. and Sherilyn Cormier. The Professional Counselor. 임성문 외 역. 『심리상담의 과정과 기법』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4]
Egan, Gerard. The Skilled Helper. 제석봉 외 역. 『유능한 상담자』
서울: 시 그마프레스
[1999]
Egan, Gerard. Exercises in Helping Skills. 서미진 역. 『제럴드 이건의 상담기술 연습서』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5]
D. H. and C. D. Claiborn ,Interpretation and Arousal in the Counseling Process.
37 (
[1990]
Counseling and the Problem of the Past.
12
[1994]
Corey, Gerald.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천성문 외 역.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Cengage Learning
[2017]
Collins, Gary R. Christian Counseling. 피현희, 이혜련 역. 『크리스천 카운슬링』
서울: 두란노
[1980]
Beck, Judith S. Cognitive Behavior Therapy: Basics and Beyond. 최영희 외 역. 『인지행동 치료 이론과 실제』
서울: 하나 의학사
[2017]
Anderson, Herbert and Edward Foley. Mighty Stories, Dangerous Rituals. 안석모 . 『예배와 목회상담』
서울: 학지사
[2012]
Adams, Jay E. Competent to Counsel. 정정숙 역. 『목회상담학』
서 울: 총신대학출판부
[2001]
' 전문상담사들의 직면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confrontation experiences of professional counselors'
의 유사주제(
)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