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작품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연구

홍세희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홍세희
    • 기타서명 A Study of Dance Work 「Me, Natasha, and A White Donkey」
    • 형태사항 vii, 154 p.: 비디오디스크 1매: 삽화 +
    • 일반주기 지도교수: 조기숙, 딸림DVD: 공연 동영상, 참고문헌: p. 110-114
    • 학위논문사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2020. 8. 졸업, 무용학과,
    • DDC 700
    • 발행지 서울 :
    • 언어 kor
    • 출판년 2020
    • 발행사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556)
' 무용작품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예술 순수와 응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04 0

0.0%

' 무용작품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연구' 의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이트
    [검색]. https://encykorea.aks.ac.kr [2020]
  • 한국 현대시의 반복 기법과 언술구조 :1930년대 후반기의 백 석 이용악 서정주 시를 중심으로
    이경수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한국 현대시의 감각 지향성 연구 :정지용과 백석의 시를 중심으 로
    류경동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토마스 하나의 소마이론
    김정명 『무용역사기록학』, (36), 127-149 [2015]
  • 춤의 새로운 비전을 위한 고찰-몸의 체험을 기반으로 한 연구와 성찰을 위하여
    조기숙 한국무용기록학회지, 17, 169-195 [2009]
  • 체화를 통한 무용 의사전달의 존재론적 가치 고 찰
    고현정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0(1), 41-53 [2019]
  • 체화 개념을 통한 우울증의 전인적 이해
    강천구 『목회와 상담』, 13, 71-101 [2009]
  • 주체적인 몸 살아있는 춤-몸학 (Somatics) 에 기반한 안무방식에 관한 탐구
    조기숙 『대한무용학회논문집』, 61, 259-276 [2009]
  • 유리로트만, 유재천 역 『예술텍스트의 구조』
    고려원 [1991]
  • 예술지성 소마의 논리
    김정명 명지대학교출판부 [2016]
  • 알마 M. 호킨스, 이숙재 역『안으로부터의 움직임』
    현대미학사 [1996]
  • 시텍스트의 상징 해석 교육 내용 연구
    박주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14]
  • 시텍스트를 활용한 무용창작 연구
    김하람 『한국무용연구』31권, 2호, 41~56 [2013]
  • 시인과 화가의 예술적 교감 혹은 백석과 정현웅의 경우
    윤범모 『인물 미술사학』, (8), 249-283 [2012]
  • 시의 텍스트성과 시 교육 제재 -80년대 시텍스트를 중심으로-
    장혜경 『국어교과교육연구』, 10, 127-174 [2005]
  • 수용미학의 관점에서 본 무용텍스트 개념과 텍스트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손수현 『한국무용교육학회지』, 17(1),p.194 [2006]
  • 사이트
    나무위키 [검색]. https://namu.wiki/w [2020]
  • 사이트
    위키백과 [검색]. https://ko.wikipedia.org/wiki [2020]
  • 백석의 수필과 시의 연관성 연구-[가재미, 나귀], [무지개 뻗치듯 만세교], [선우사],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를 중심으로
    고형진 『우리어문 연구』, 63, 7-36 [2019]
  • 백석의 북방 시편 연구
    이희중 『우리말글』, 311-342 [2004]
  • 백석시의 언어와 미적 원리
    고형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55, 7-38 [2012]
  • 백석 시의 형상화 방식 고찰
    우대식 『우리문학연구』, 11, 261-278 [1998]
  • 백석 시의 전통성 연구
    이민지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백석 시의 시어 연구
    한예찬 『인문과학연구』, 28, 223-246 [2011]
  • 백석 시의 시간 의식 연구
    류지연 『인문학연구』, 13, 103-126 [2009]
  • 백석 시의 낭만성과 동양적 상상력
    이경수 『한국학연구』, 21, 49-85 [2004]
  •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
    최정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백석 시에 나타난 자아와 대상의 관계
    이숭원 『한국시학연구』(19), 211-237 [2007]
  • 백석 수필의 미적 특성 연구
    허만욱 『어문론집』, 63, 265-300 [2015]
  • 무용작품< 매듭처럼 맺히는 외침>에서 몰입체험에 관한 몸학적 연구
    정이와 조기숙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5, 105-121 [2012]
  • 무용연구에서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조기숙 『무용역사 기록학』, (33), 35-61 [2014]
  • 무용에서 ‘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에 관한 고찰-개념과 과정 을 중심으로
    조기숙 『한국무용기록학회지』, 31, 229-255 [2013]
  • 무용수의 '몸 주체성'인식에 기반 한 작품분석
    조정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무용기록학의 새로운 인식: 무용 에크프라시스의 개념 및 방식 에 대한 시론
    조기숙 무용역사기록학, 49, 9-31 [2018]
  • 몸학적 무용접근법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황인주 『우리춤과 과학 기술』, 41, 9-27 [2018]
  • 몸적학습을 통한 ‘몸의 인격성’체험연구
    한무용수D 『무용역사기록 학』, (40), 271-302 [2016]
  • 립택, 주석 김석. 『백석시선』
    피터 아시아 [2017]
  • 동아일보 사이트
    [검색]. https://www.donga.com/news/ Culture/ article/all/20070719 [2020]
  • 데이비드 베스트, 김말복 역 『움직임과 예술에 있어서 표현』
    현대미 학사 [1995]
  • 날고 싶은 인간의 욕망 발레
    조기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국민일보 사이트. [2020.04.12. 검색].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 =0005797528.
    [2020]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사이트
    [검색]. https://stdict.korean.go. kr [2020]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검색]. https://url.kr/u2DdvN [2020]
  • 공연과 텍스트의 관계에 나타난 연구
    최치림 『한국연극학』, 15, 375-429 [2000]
  • 공간과 예술, 몸: 탈신체화와 재신체화
    김종갑 『새한영어영문학』, 50(1), 43-61 [2008]
  • 고전문학텍스트의 공연예술로의 창작방법 연구-몸의 원초 성에 기반한<노틀담 드 파리:광인들의 축제>공연을 중심 으로-
    송갑석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고유수용감각'에 기반한 무용 창작과정 연구
    강현숙 조기숙 무용역사 기록학 (SDDH), 40, 55-78 [2016]
  • 『텍스트언어학의 이론과 실제』
    이석규 도서출판 박이정 [2001]
  • 『백석평전』
    안도현 다산책방 [2014]
  • 『백석의 시와 서술적 서정성』
    지주현 푸른사상 [2013]
  • 『백석의 시를 읽는다는 것』
    고형진 (주)문학동네 [2013]
  • 『백석을 찾아서』
    정철훈 도서출판 삼인 [1966]
  • 『백석 시의 심층적 탐구』
    이숭원 태학사 [2007]
  • 『백석 시어의 힘』
    최정례 서정시학 [2008]
  • 『백석 시 바로읽기』
    고형진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
  • 『무용예술론』
    김말복 금강출판사 [2013]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조향미 푸른글터 [2007]
  • 『그들의 문학과 생애 「백석」』
    오양호 한길사 [2008]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무용수 인터뷰녹취자료년3월8일 ~ 6월18일) [2019]
  •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작업일지
  • ‘춤추는 몸’의 인식에 관한 탐구-무용작품 <Body’s monologue> 의 체험분석을 통하여
    조기숙 조정희 『한국무용기록학회지』, 24, 149-167 [2012]
  • ‘체화된 인지 (Embodied Cognition)’접근과 학문간 융합
    이정모 『철 학사상』, 38, 27-66 [2010]
  • ‘가난한 나’의 무섭고 쓸쓸하고 서러운, 그리고 좋은
    고형진 『비평 문학』, (45),7-36 [2012]
  • Royal allet Site. [2020.03.23. 검색]. ]http://www.roh.org.uk/people/greg-haines.
    [2020]
  • Perspecticese on Embodiment
    [1999]
  • Embodied Minds in Action
    [2009]
  • Dancing Text : Intertextua ; ity in Interpretation
    [1999]
  • D 작품 「순례」연구 – 몸의 인격성을 찾아
    한무용수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 An Analysis of Sang-gun Han’s [Kkocksin] (Flower Shoes) -Intercultural Strategy and Gender Discourse
    조기숙 무용예술학연구, 12, 177-198 [2003]
  • 1930년대 시의 상상력 연구 :정지용, 백석, 윤동주 시의 자기 동 일성을 중심으로
    박민영 한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