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합을 위한 탈북청년 사회교육 사례연구 : [해솔직업사관학교]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Social Education of Young North Korean Refugees for Social Intergration

최현숙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사회통합을 위한 탈북청년 사회교육 사례연구 : [해솔직업사관학교]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Social Education of Young North Korean Refugees for Social Intergr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대안교육
  • 사례연구
  • 사회 통합
  • 사회교육
  • 탈북 청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97 0

0.0%

' 사회통합을 위한 탈북청년 사회교육 사례연구 : [해솔직업사관학교]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Social Education of Young North Korean Refugees for Social Intergration' 의 참고문헌

  • 화성에서 온 사회교육, 금성에서 온 평생교육
    한승희 평생학습 사회. 5(1), 1-18 [2009]
  • 한국에서의 페스탈로치 사회교육사상 수용과정 연구
    오혁진 평 생교육학연구. 23(4). 3-25 [2017]
  • 한국 사회교육의 기저
    김도수 서울:학이시습 [2010]
  • 학교 밖 탈북청소년 효율적 대안교육 방 안
    신난희 엄현숙 전현준 남북하나재단 연구총서 [2016]
  • 통합은 사회갈등과 문제의 해결책-통합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전상진 한국사회과학논총. 16(2). 229-256 [2006]
  • 탈북청소년의 남한에서의 근로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방진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학위논문(박사) [2017]
  • 탈북청소년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길은배 맹영임 최현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3]
  •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Ⅳ)
    한만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 보고서 [2013]
  • 탈북이주민 직업훈련의 노동시장 성과에 관한 연 구
    김화순 박성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1-96 [2008]
  • 탈북민의 사회통합 모델과 통합 실태
    윤인진 문화와 정치. 6(1). 61-92 [2019]
  • 탈북민의 사회 부적응 실태와 정착 방안. 북한
    윤여상 통권 549 호. 32-37 [2017]
  • 취업성공패키지 취업역량평가 개선연구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노 동부 [2017]
  • 질적연구방법론Ⅰ: Bricoleur (2판)
    김영천 경기:아카데미프레스 [2012]
  • 제3국 출생 탈북 청소 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고윤정 김옥수 박연미 양혜린 이혜란 학교사회복지. 39. 205-229 [2017]
  • 인적자원개발의 기초
    임세영 서울:박영사 [2016]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연구
    곽은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7]
  • 신사회교육론
    오혁진 서울:학지사 [2012]
  • 신경식 서아영 송민채 역. (2016). 사례연구방법
    Robert K. Yin. 서울: 한경사 [2014]
  • 성인교육의 비판적 담론과 한국사회교육연구
    한승희 평생교육학 연구. 4(2), 23-50 [1998]
  • 새터민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직업능력개발지원 개선 방안
    강동완 박정란 직업능력개발연구. 11(1). 45-70 [2008]
  • 사회통합의 실태와 과제
    노대명 보건복지. 15. 1-8 [2009]
  • 사회통합 : 개 념과 측정, 국제비교
    서형준 우명숙 유명순 이재열 장덕진 조병희 한국사회정책, 21(2). 113-149 [2014]
  • 사회적응 지원을 위한 새터민 청소년의 생애사 연구
    김영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
  • 사회적 기능 중심의 사회교육 개념 탐색
    김미향 오혁진 평생교 육학연구. 23(1). 31-53 [2017]
  • 사회의 질, 경쟁, 그리고 행복
    이재열 아시아리뷰. 4(2). 3-29 [2015]
  • 사회발전이론과 사회의 질 기획
    장상철 사회와 이론. 22(-). 175-205 [2013]
  •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전문성에 관한 고찰
    이병준 사회교육학연 구. 4(2). 51-79 [1998]
  •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발전과정과 미래. 한국사회교육학 회 1997년 학술세미나 자료
    정우현 한국사회교육학회. 7-40 [1997]
  • 사회교육의 접근모형과 직업교육에의 시사점
    권두승 정우현 직 업교육연구. 7(1). 1-11 [1988]
  • 사회교육법 제정논의 30년. 평생교육과 사회교육
    김승한 서울: 교육과학사 [1991]
  • 사회교육 개론
    권이종 서울:교육과학사 [1997]
  • 사회과학에서 사례연구의 이론적 지위 : 비판적 실재론을 바탕으로
    이영철 한국행정학보. 40(1). 71-90 [2006]
  •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대안학교 운영방안
    김선혜 서울교육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의 운영특성 및 발전방안 연 구
    박길태 원광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의 분리교육 고찰: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오주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0(1). 135-175 [2015]
  • 북한이탈청년, 남한사회에서 성장하기 : 사회적응과 문 화변용을 중심으로
    이상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학위논문(석사) [2018]
  • 북한이탈주민의 고용에 미치는 요인 연구
    김화순 한국기술교육 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북한이탈주민 직업훈련의 효과 성 제고방안
    고혜원 김난주 박성정 오은진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연구보고서 [2012]
  • 북한이탈여성의 ‘주체적 삶’에 관한 생애사적 고찰
    김재숙 한 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남한거주 탈북 후기 청소년의 삶과 진로에 대한 내러티 브
    현순안 글로벌 청소년학 연구. 3-28 [2016]
  • 공공부문 지원정책에 기초한 탈북청소년의 사회통합 모형 에 관한 연구
    길은배 청소년복지연구. 17(4). 217-237 [2015]
  •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론』
    김진화 교육과학사 [2001]
  • 『2019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통일부 [2019]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권 연구”
    강보석 부산외국어 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5-46 [2018]
  • “북한이탈주민의 취업활동 추이분석을 통한 취업지원정책의 평가”
    강길봉 임안나 한국지방자치연구. 16(1). 53-81 [2014]
  • “북한이탈주민의 직업교육훈련에 관한 비판적 고찰”
    유기웅 이윤진 교육문제연구. 52(-). 27-52 [2014]
  • “북한 새터민에 대한 사회통합 방안: 독일 사례를 바탕으로”
    최승호 정치정보연구. 13(1), 161-190 [2010]
  • Social Pedagogy and Working withChildren and Young People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