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교회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현직교육방안

이재영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교회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현직교육방안'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영유아
  • 영유아 전문사역자
  • 영유아 전문사역자 자질
  • 직전교육
  • 한국교회
  • 현직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05 0

0.0%

' 한국교회 영유아 전문사역자를 위한 현직교육방안' 의 참고문헌

  • 호레스 부쉬넬(Horace Bushnell)의 기독교적 양육이론에 대한 개혁주의적 비판
    김은미 신학정론, 29(2), 632-652 [2011]
  •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박상완 한국교원교육연 구, 31(2), 227-254 [2014]
  • 한신대학교(2019).신학전공 교과과정. http://www.hs.ac.kr/kor/5297/subview. do에서 2019, 9, 4 인출
    [2019]
  • 한신대학교(2019). 기독교교육전공 교과과정. http://www.hs.ac.kr/kor/5301/ subview.do에서 2019, 9, 4 인출
    [2019]
  • 한국에서의 신학대학원 기독교교육 교과 분석과 교회교육 전문 가 양성 과제
    나삼진 기독교교육논총, 36, 169-193 [2013]
  • 한국교회교육에 대한 교육지도 자의 인식도 연구
    신승범 이현철 전병철 조철현 함영주 성경과 신학, 75, 1-33 [2015]
  • 한국교회 교회교육 지도자 양성방안 연구
    나삼진 성경과 신학, 71, 59-84 [2014]
  • 한국 유치원 교육년사(1945년 이전)
    이상금 한국문화연구원논총, 50, 231-292 [1986]
  • 한국 교회 교육사 제도의 현황과 과제
    김소연 기독교교육정보, 38, 235-260 [2013]
  • 코메니우스 유아교육론의 의의. 교육사상연구, 18, 55 –79. 김순환 (2015). 미래교회의 주역, 영유아 및 아동 층 예배를 위한 소고
    김숙이 복음 과 실천신학, 34, 51-74 [2006]
  • 칼빈주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유아교육
    강은주 유아교육학논집, 2(2), 69-86 [1998]
  • 칼빈의 교육목회
    황성철 서울: 이레서원 [2002]
  • 칼뱅과 바르트의 유아세례 논쟁에 관한 고찰
    최종호 기독교교육정보, 31, 57–81 [2011]
  • 카도쉬비전센타(2017. 9. 25). 카도쉬 비전 센터는_ 이영희 대표 소개. http: //www.holyi.com/g5/bbs/board.php?bo_table=07_02&wr_id=35에서 2019, 8, 24 인출
    [2017]
  • 충신아기학교지도자과정(2019. 6. 20).운영자세미나안내. http://babyschool. choongshin.or.kr/seminar/sub02.asp 에서 2019, 8, 24 인출
    [2019]
  • 최신유아교육개론
    한임순 서울: 동문사 [2006]
  • 총회교육정책을 통한 교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예장'합 동 교단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양재권 총신대학교대학원 [2014]
  • 총신대학교(2019). 유아교육전공 교과과정. http://wiz.chongshin.ac.kr/user/ csuchild/index.action에서 2019, 9, 4 인출
    [2019]
  • 총신대학교(2019). 신학전공 교과과정. http://www.chongshin.ac.kr/mbs/csu/ subview.jsp?id=csu_030101010000#goto03에서 2019, 9, 4 인출
    [2019]
  • 총신대학교(2019). 기독교교육전공 교과과정. http://wiz.chongshin.ac.kr/user/ cseducation/index.action에서 2019, 9, 4 인출
    [2019]
  • 초임 유치부 교육전도사의 적응에 관한 연구
    이혜정 기독교교육정보, 44, 193-219 [2015]
  • 창조론적 관계성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탐색
    권미량 아동 연구, 19, 91-105 [2010]
  • 지역사회 여성을 위한 아기학교 연구 : 은성교회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성종국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0]
  • 좋은교사의 자질
    김희용 교육철학, 38, 27-46 [2007]
  • 조선적 주일학교의 선구자 배덕영의 기독교교육
    손원영 기독교교육정 보, 5, 302 – 337 [2002]
  • 저출산과 교회의 역할
    정갑순 총신대논집 29, 24-61 [2009]
  • 장애유아 통합교육 유아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 사학위논문
    김현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 장로회신학대학교(2019). 신학전공 교과과정. http://www.puts.ac.kr/www/ sub/haksa_db/sub.asp?m1=2&m2=2&m3=undefined에서 2019, 9, 4 인 출
    [2019]
  • 장로회신학대학교(2019). 기독교교육학전공. 교과과정 http://www.puts.ac. kr/www/sub/haksa_db/sub.asp?m1=3&m2=2&m3=undefined에서 2019, 9, 4 인출
    [2019]
  • 유치원 기관유형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 계
    김현미 장영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4), 335-360 [2013]
  • 유치부주일학교 교육체제 및 운영의 유형 연구
    장화선 기독교교육논 총, 7, 83-114 [2001]
  • 유치부 주일학교 교육체계 및 운영의 유형 연구
    장화선 신학지평, 13, 259-285 [2000]
  • 유아학교. (이원영 . 조래영 역). 서울: 양서원
    Comenius, J. A. (원전 은 1633년에 출판) [2003]
  • 유아를 위한 기독교 교육의 이론과 실제
    이경우 이혜상 서울: 창지 사 [1998]
  • 유아를 위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개발
    고은님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189-212 [2010]
  • 유아기어린이 바로보기
    양금희 교육교회 389, 14-20 [2010]
  •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현직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윤복남 계명연구논 총, 18(1), 97-114 [2000]
  • 유아교육과정 및 누리과정 연구동향 분석 : 2007년∼ 2017년을 중심으로
    김미애 나인선 한국유아교육연구, 20(1), 57-82 [2018]
  • 유아교육과정
    이기숙 서울: 교문사 [2015]
  • 유아교사의 역할수행과 관련 변인들 간의 구조모 형 분석: 교사의 정서지능, 조직풍토, 직무만족도를 중심 으로
    권정심 김성민 이경옥 최현미 유아교육학 논집, 13(6), 323-343 [2009]
  • 유아교사를 위한 계속교육의 의미와 경로
    정수경 변형영유아교육연 구, 2(1), 31-45 [2008]
  • 유아교사론
    박은혜 서울: 창지사 [2009]
  • 유아교사론
    배소연 이은화 조부경 서울: 양서원 [2001]
  • 유아 기독교 교육 프로그램
    김숙령 송영란 서울: 교육아카데미 [1998]
  • 유아 교사 자질에 대한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연 수 참여 교사의 기대와 자기평가
    엄은나 이경민 유아교육학논집, 19(4), 133-152 [2005]
  • 유니게학교지도자과정(2008. 4. 14). 세미나소개 및 교육과정. http://eunice. youngnak.net/sub3_1.html 에서 2019, 8, 24 인출
    [2008]
  •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에 기초한 유치부 예배모형. 박사학위 논문
    양윤정 백석대학교 대학원 [2011]
  • 우리나라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진단과 발전방향
    정갑순 서울: 총 신유아교육연구회 [1998]
  • 옥스퍼드 원어성경대전(6권)
    제자원 서울: 제자원 [2006]
  • 오늘의 기독교 연구.(맹용 길, 임영금, 이달, 김재동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Miller, D. E. Seymour, J. L. (원전은 1982 년에 출판) [2006]
  • 예수님과 어린이. (양금희역).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Weber, H. R. (원전은 1983년에 출판) [2000]
  • 예비교사와 현직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유아교사의 자 질
    석은조 이경하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167–187 [2010]
  • 영한 기독교강요(편집부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Calvin, J. (원 전은 1536년에 출판) [1993]
  • 영유아보육법영유아보육법개정안. https://www.lawnb.com/Info/ ContentView?sid=L000004216 에서 2019, 8
    24 인출 [2019]
  • 영유아발달과 교육
    이명조 서울: 양서원 [2005]
  • 영유아기부터 아동기 어린이를 위한 영성교육
  • 영유아교회교육연구소 영유아교회교육연구소소개. https://blog. naver.com/abrine2 에서 2019, 8
    24 인출 [2017]
  • 영유아교사론
  • 영아부 예배의 커뮤니케이션 방법: 기초화와 베이비 사인 을 중심으로
    김성애 기독교교육정보, 45(2), 1-26 [2015]
  • 영아부 예배의 소그룹 모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법 연구
    문연경 이지형 종합예술과음악학회지, 3(2), 1-20 [2009]
  • 영아부 예배를 통한 영아와 부모의 신앙 변화
    나유미 기독교교육정 보, 50, 53-80 [2016]
  • 영아부 교육론.
    정갑순 서울: 총신대학교출판부 [2005]
  •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 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이정화 최란 한희승 어린이미디어연 구, 11(2), 89-109 [2012]
  • 연동교회편 연동주일학교 100년사: 1907 2007
    서울: 연동교회 역사 위원 [2008]
  • 어린이 초신자의 영성형성을 위한 교육과정 재개념화. 호서 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최현섭 박사학위논문 [2014]
  • 아동의 기독교교육개발. (홍철화. 이원종 역). 서울:컨콜디 아사
    Cully, I. V. (원전은 1979년에 출판) [1991]
  • 아동발달의 이해
    유안진 서울: 문음사 [2001]
  • 아동발달론
    강문희 김매희 유정은 경기:공동체 [2007]
  • 아동발달
    김미영 서울: 정민사 [2010]
  • 아기학교 이렇게 운영하라
    임순덕 조용선 서울: 겨자씨 [2010]
  • 신학과 기독교 교육. (채위 역). 서울: 대한
    Schreyer, G. M. (원전은 1970년에 출판) [1998]
  • 신앙의 발달단계. (사미자 역).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출판국
    Fowler, J. W. (원전은 1981년에 출판) [1995]
  • 성경적 영아 이해에 기초한 영아부 운영에 관한 연구
    장화선 신학연 구소, 18, 6-30 [2005]
  • 성경에 기초한 영아 오감 프로그램 개발
    김성원 이지영 기독교교육 정보, 52, 1-33 [2017]
  • 선교원 교사의 자질, 역할, 만족도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강은주 유아 교육학논집, 2(2), 69–86 [2001]
  • 서울신학대학교 유아교육과 전공 교과과정. https://www.stu.ac.kr/C msHome/stu03_01_05.eznic201에서 2019, 9
    4 인출 [2019]
  • 사람을 세우는 사람 : 엘리야와 엘리사를 통해 배우는 멘토링의 원리. (박경범 역). 서울 : 디모데
    Hendricks, H. G. (원전은 1995에 출 판) [2016]
  • 보건복지부영유아보육법개정 https://www.lawnb.com/Info/ContentVi ew?sid=L000004216에서 2019, 7
    30 인출 [2019]
  • 범교육학. (정일웅 역). 서울: 여수룬
    Comenius, J. A. (원전은 1935년 에 출판) [1996]
  • 백석대학교(2019). 유아교육전공 교과과정. http://community.bu.ac.kr/infant/ sub2/sub2_2.jsp 에서 2019, 9, 4 인출
    [2019]
  • 백석대학교(2019). 신학전공 교과과정. http://community.bu.ac.kr/cfcu/sub2/ sub1.jsp 에서 2019, 9, 4 인출
    [2019]
  • 백석대학교(2019). 기독교교육학전공 교과과정. http://community.bu.ac.kr/ cfcu/sub2/sub3.jsp 에서 2019, 9, 4 인출
    [2019]
  • 백석대평생교육원(2018. 2. 20).교회학교영유아전문지도자과정교육과정소개. http://community.bu.ac.kr/bscon/sub5/sub5_1.jsp 에서 2019, 8, 24 인 출
    [2018]
  • 미국에서의 현직교육과 직전교육의 연계 : NBPTS를 중 심으로
    왕한신 윤기옥 교육논총, 27(1), 65-83 [2007]
  • 목원대학교(2019).유아교육전공 교과과목.http://ece.mokwon.ac.kr/sub/sub05/ sub_01.jsp 에서 2019, 9, 4 인출
    [2019]
  • 루터의 소명론 및 직업윤리와 그 현대적 의의
    우병훈 한국개혁신학, 57, 72-132 [2018]
  •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제103회 총회 회의록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19]
  • 대학에서의 유아교사(보육ㆍ유 치원교사) 양성교육과정의 일원화
    김선영 신화식 이순영 이윤경 임승렬 한국교원교육학논집, 1(1), 15-33 [2007]
  • 대교수학. (정일웅 역). 서울: 창지사
    Comenius, J. A. (원전은 1657년 에 출판) [2002]
  • 달크로즈 교수법을 활용한 교회학교 유아부 예배 후 찬양활동 프로그램 연구 : 만 3-6세를 중심으로
    송세라 한국달크로즈논집, 2(1), 51-72 [2011]
  • 노블부인의 선교활동과 한국살이
    조선혜 한국여성신학, 78, 91-110 [2013]
  • 기독교적 양육.(김도일 역).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Bushnell, H. (원전은 1861년에 출판) [2004]
  • 기독교유아교사의 질 향상을 위한 고찰
    김동춘 총신대논집, 27, 26-51 [2007]
  • 기독교영아교육
    김동춘 김미경 정갑순 정희영 최영해 서울: 총신대 학교출판부 [2009]
  • 기독교아동교육. (정희영 역). 서울: 엠마오서적
    Fennema, J. (원전은 1977년에 출판) [1994]
  • 기독교대한감리회 감리교통계표. 서울: 감리회교육국
    (미간행) [2019]
  • 기독교교육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커리 큐럼 분석을 중심으로
    강용원 김선영 성경과 신학, 34, 310-361 [2003]
  • 기독교교육사
  • 기독교교육론
    고용수 김재은 오인탁 은준관 정웅섭 서울: 대한기독 교교육협회 [2006]
  • 기독교교육 지도자로서 교육사역자의 자격과 역할
    박경순 교수논총, 17(1), 133-154 [2005]
  • 기독교 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김남임 정희영 유아교육논집, 17(4), 113-138 [2013]
  •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 램 개발
    방승미 정희영 한국유아교육학회, 34(4), 227-249 [2014]
  •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방승미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 기독교 유아 아동교육
    양금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1]
  • 기독교 교육과정 탐구
    박상진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4]
  • 그리스도의 제자 만드는 기독교교육. (이승구 역). 서 울: 토라
    Harper, N. E. (원전은 1981년에 출판) [2005]
  • 규범적 현실적 조명을 통한 기독교 유아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 한 연구
    이상욱 진리논단, 8, 595-621 [2003]
  • 국립국어원 한국어기초사전 https://www.korean.go.kr/front/search/ searchAllList.do 에서 2019, 9
    4 인출 [2019]
  • 교회행정가의 목회지도력과 미래교회 인식에 관한 연구 : 한 국기독교장로회 목회자를 중심으로.
    최철기 박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대학원 [2017]
  • 교회학교의 교사자질 연구 분석 및 평가
    윤혜림 복음과 교육, 6(1), 165-192 [2010]
  • 교회학교교사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기룡 복음과 교육, 16, 75-112 [2014]
  • 교회학교 진단 침체와 부흥
    양금희 서울: 쿰란출판사 [2008]
  • 교회학교 유치부 교사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 식 및 요구
    강란혜 김성혜 보육지원학회, 8(6), 77-97 [2012]
  • 교회학교 영유아부 교사의 갈등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곽연미 정대현 신앙과학문, 19(2), 213-235 [2014]
  • 교회학교 영아부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권미량 박미화 하연희 신 앙과 학문, 24(1), 59-93 [2019]
  • 교회학교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ㆍ유아ㆍ유치부교사를 중심으로
    방은영 신앙과 학문, 22(3), 103-140 [2017]
  • 교회학교 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신언혁 기독교교육정 보, 9, 425-451 [2004]
  • 교회의 전문 교육사역자의 역할
    이석철 복음과 실천, 47(1), 245-271 [2011]
  • 교회의 아동교육. (신청기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Brubaker, J. Clark, R. Zuck, R. (원전은 1975년에 출판) [1989]
  • 교회의 교사교육 실태와 성서적 대안
    한미라 기독교교육정보, 21, 275-314 [2008]
  • 교회 교육전도사의 리더십 역량모델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 문
    신명희 침례신학대학교 대학원 [2017]
  • 교회 교사교육의 현실과 방향
    오인탁 정웅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 사 [1994]
  • 교육행정과 교육경영
    남정걸 서울: 교육과학사 [2015]
  • 교육신학
    은준관 서울: 동연 [2019]
  • 교육사역자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경순 복음과 교육, 72-98 [2004]
  • 교육목회에 있어서 교사의 자질과 역할에 관한 연구
    신현광 신학과 실천, 32, 514-515 [2012]
  • 교육목회 커리큘럼. (고용수 역). 서울: 한국장로교 출판사
    Harris, M. (원전은 1989년도에 출판) [2013]
  • 교육목사론 : 교회교육 디렉터로서의 소명과 역할. (김진선 역)
    Stubblefield, J. M. 서울 : 디모데(원전은 1993에 출판) [2017]
  • 교육(목)사 제도의 역사적 형성 과정과 한국적 적용
    김희자 기독교교 육연구, 1(1), 124-156 [1990]
  • 교사론
    김희자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출판부 [2014]
  • 계속교육 : 주일교회학교 교사교육과정 2
    김재은 서울: 대한기독교 서회 [1989]
  • 개혁주의적 유아세례의 정당성과 바른 시행에 관한 연구
    박영실 복음 과 실천신학, 44, 108-142 [2017]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육신학적 의미와 교회교육
    주정관 한국실천신 학회, 44, 395-423 [2015]
  • 개혁주의생명신학에 근거한 영성교육과 사이버교회
    주정관 생명과말 씀, 23(1), 295-325 [2019]
  • 개혁영성에 기초한 교회교육행정에 관한 연구
    주정관 성경과 신학, 70(0), 339-372 [2014]
  • 개신교 교회의 교사교육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박사학 위논문
    신언혁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5]
  • 감리교신학대학교(2019). 신학전공 교육과정. http://www.mtu.ac.kr/mtu/c3/ sub1_1.jsp 에서 2019, 9, 4 인출
    [2019]
  • 감리교신학대학교(2019). 기독교교육학전공 교육과정. http://www.mtu.ac.kr/ mtu/c3/sub1_2.jsp 에서 2019, 9, 4 인출
    [2019]
  • 가정과 예비교사의 전문자질 및 실천적 교수역량에 관 한 연구
    양지선 유태명 실과교육연구, 16(4). 101-124 [2010]
  • 『한국교회 교육사』
    한춘기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2004]
  • 『교회교육 행정론』
    홍정근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 『개신교 교회교육』
    한미라 서울: 기독교대한서회 [2005]
  • 「기독교교육 현장론」
    은준관 서울: 한들출판사 [2007]
  • 「교회교육의 이해」
    한춘기 서울: 한국로고스연구원 [1996]
  • “한국초기 주일학교의 특성에 대한 연구”
    손원영 기독교교육논총, 18, 153-178 [2008]
  • “기독교교육과 커리큘럼의 진단과 제안(A 대학교 기독교교 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장화선 기독교교육논총, 33, 121-143 [2013]
  • ‘아기학교’를 통한 교회 활성화 방안 연구 : 마산동부교회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이삼균 장로회신학대학교대학원 [2007]
  • Young Children ’ s God Concepts : Influences of Attachment and Religious Socialization in a Family and School Context
    101 ( 1 ) . 84-103 [2006]
  • Worship , old and new
    [1982]
  •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 strategic ,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6 ) , 1173-1182 . [1986]
  • The early childhood at work
    [1975]
  • The director or minister of christian education inprotestant churchesChanging patterns of Christian education . ( 193-204 )
    [1984]
  • The child in Christian thought
    [2001]
  • Teaching theological concepts to children . In R. E. Clark , J. Brubaker , & R. B. Zuck ( Eds . ) , Childhood education in the church
    pp . 363-379 [1986]
  • Student 's and teachers ' cognitions about good teachers
    71 ( 2 ) , 185-201 [2001]
  • Stages of faith : The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quest for meaning
    [1981]
  • Self-efficacy in human agency
    37 , 122-147 [1982]
  • Revisioning the DRE . Birmingham
    [1989]
  •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005]
  • Multivariate Data Analysis , ( 6th ed.
    [2006]
  • Leadership : Perspectives in theory and research
    28 ( 3 ) . 315-336 [1982]
  • Improving church education
    [1979]
  • From sunday school to church school : Continuities in protestant church education in the united sates , 1860-1929
    [1982]
  • Factor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3 ( 2 ) , 107-122 [1988]
  • Development of salt taste in infancy
    26 , 534-538 . [1990]
  • Childhood and Society
    [1963]
  • A curriculum for preschools ( 2nd ed. )
    [1980]
  • 4년제 예비기독교영유아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분석
    김미경 유아교 육학논집, 12(6), 259-280 [2008]
  • 21세기 기독교 전인유아교육
    이상욱 서울: 교문사 [2009]
  • . “개혁주의 교육신학에 기초한 교회 어린이 신앙교육의 이론과 적 용”
    장화선 기독교교육논총, 24, 93-122 [2010]
  • (교회학교 부흥을 위한) 교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박상진 서울: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