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신학회복운동으로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신학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Reformed Life Thrology as a Theology Reform Movement: Focusing on Theology is Not a Science

이순식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신학회복운동으로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신학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Reformed Life Thrology as a Theology Reform Movement: Focusing on Theology is Not a Scienc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개혁주의
  • 개혁주의생명신학
  • 신학 방법론
  • 칼빈
  • 현대주의 신학
  • 현대학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4 0

0.0%

' 신학회복운동으로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신학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Reformed Life Thrology as a Theology Reform Movement: Focusing on Theology is Not a Science' 의 참고문헌

  • 학교법인 백석대학교 역사편찬위원회. 「학교법인백석대학교 30년사」
    천안: 백석대학교 역사편찬위원회 [2007]
  • 크리스챤투데이
    “종교개혁 구원론 뒤집는 ‘새 관점’은 과연 새로운 가.” -4-13 [2010]
  • 백석정신아카데미.「개혁주의생명신학선언문 해설(초안)」
    충남: 백석정신 아카데미 개혁주의생명신학본부 [2010]
  • 「현대신학논쟁」
    목창균 서울: 두란노서원 [1995]
  • 「타협할 수 없는 성경의 기초, 오직 성경」
    박순용 서울: 아가페북스 [2016]
  • 「칼빈의 생애와 사상」
    이양호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2005]
  • 「진리와 백석」
    장종현 서울: 기독교연합신문사 [2001]
  • 「종교개혁사」
    오덕교 서울: 합동신학대학원출판부 [2005]
  • 「에바그리우스의 기도론 연구」
    유은호 서울: 예수영성 [2019]
  •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장종현 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 「세상을 살리는 교회」
    장종현 서울: 백석정신아카데미 [2016]
  •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
    강정인 서울: 휴머니스트 [2006]
  •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김용규 서울: 휴머니스트 [2010]
  • 「생명을 살리는 교육」
    장종현 서울: 백석대학교 백석신학연구소 [2010]
  • 「새로 쓴 세계사」
    주도홍 서울: 개혁주의시행협회 [2011]
  • 「백석학원의 설립정신」
    장종현 충남: 백석정신아카데미 [2014]
  • 「백석 장종현박사 육영30년」
    장종현 충남: 학교법인 백석대학교 편찬위 원회 [2007]
  • 「바르트에서 몰트만까지」
    김영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교회를 살리는 신학」
    장종현 서울: 기독교연합신문사 [2014]
  • 「교의신학서론」
    박형룡 서울: 백합출판사 [1972]
  •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 운동」
    장종현 백석연구소 총서 4 . 천안: 백석정신아카데미 [2019]
  • 「개혁신학이란 무엇인가」
    김영한 서울: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1995]
  • 「52주 스터디 도르트신조」
    김홍만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4]
  • 「21세기사이버 생명문화와 개혁신앙」
    김영한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7]
  • “펠라기우스주의.”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펠라기우스년 3월 18일 접근) [2019]
  • “테르툴리아누스.”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테르툴리아누스년 11월 22일 접근) [2018]
  • “칼빈의 생명신학: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심창섭 제4회 기독교 학술 원 발표회, 반도중앙교회 2층 교육실 [2010]
  • “칼빈, 웨슬리, 본회퍼의 생명이해.”
    김영한 「개혁주의 영성신학총 서」2 : 111-113 [2018]
  •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
    장종현 「백석춘추」3 : 29-55 [2003]
  • “은총은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완성한다.”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은총은_자연을_파괴하지_않고_완성한다.년 4월 7일 접근) [2019]
  • “울리히 츠빙글리.”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울리히_츠빙글리년 04월 20일 접근) [2019]
  • “오캄의 윌리엄.”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오컴의_윌리엄년 3월 20일 접근) [2019]
  • “오리게네스.”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 오리게네스년 4월 3일 접근) [2019]
  • “영지주의.”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영지주의년 4월 6일 접근) [2019]
  • “신학의 학문성에 관한 역사적 고찰(A Historical Study on the Academy of Theology)”
    김성욱 한국복음주의신학회 70차 정기논문발표회 및 제6차 학술대회, 총신대학교 양지 캠퍼스, ~11 [2017]
  •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말의 진의.”
    장종현 년도 강도사고 시 합격자연수교육,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백석)교육국 [2011]
  •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는 명제에 대한 역사 신학적 고찰.”
    조병하 「한국개혁신학」35 : 139-172 [2012]
  •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역사 신학적 고찰.”
    임원택 「생명과 말씀」6 : 57-95 [2012]
  • “신플라톤주의.”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신플라톤주의년 3월 18일 접근) [2019]
  • “신토마스주의.”
    두산백과 네이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cid=40942&categoryId=31 527 (2019년 1월 8일 접근) [1928]
  • “신칼뱅주의.”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신_칼뱅주의년 3월 5일 접근) [2019]
  • “신정통주의.”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신정통주의년 3월 4일 접근) [2019]
  • “신약성경과 생명사상에 대한 고찰.”
    배재욱 「선교와 신학」22 : 45-82 [2008]
  • “성령의 사역은 오늘도 지속된다.”
    김영한 「개혁주의 영성신학총서」 2 : 81-83 [2018]
  • “서양 신학의 문제점.”
    한철하 경기: 아세아연합대학출판부, , 90-106 [2003]
  • “생명신학과 신학교육.”
    장종현 기독신학대학원 특강 [2008]
  • “삼위일체의 신학과 언약사상의 관점에서 본 칼빈의 신학.”
    김윤태 「조직 신학연구」1 : 32-67 [2002]
  • “보편논쟁.”
    두산백과 네이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02859&cid=40942&categoryId=31 500 년 11월 22일 접근) [2018]
  • “루터, 칼빈, 웨슬리, 카이퍼의 영성.”
    김영한 「개혁주의 영성신학총 서」2 : 13-17 [2018]
  • “논리실증주의.”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논리실증주의년 1월 18일 접근) [2019]
  • “기독교 영성이란 무엇인가.”
    안영권 「목회와 신학」52 : 38-47 [1993]
  • “구약성경이 말하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창세기 1:1-2:3을 중심.”
    김진섭 「생명과 말씀」1 :119-188 [2010]
  • “교회일치운동.”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교회_일치_운동년 11월 20일 접근) [2018]
  • “과정신학.”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과정신학년 12월 5일 접근) [2018]
  • “계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답변.”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계몽이란_무엇인가에_대한_답변년 10월 23일 접근) [2018]
  • “개혁주의생명신학이 말하는 ‘중생한 순수학문으로서의 신 학’.”
    김진섭 「파노라마 구약개론」 (서울: 이스트윈드 글로벌, , 417-439 [2019]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토대인 백석총회 신앙고백연구.”
    용환규 「생명 의말씀」7 : 119-175 [2013]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최갑종 「개혁주의생명 신학」. 서울: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 102-115 [2013]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신학회복운동: 존 오우언의 교리문답을 중 심으로.”
    한유진 「생명과 말씀」9 : 67-98 [2014]
  •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당위성과 방향:요한복음서에 나타난 생명신 학을 중심으로.”
    최갑종 「생명과 말씀」1 : 87-118 [2010]
  • “개혁주의생명신학과 한국교회의 개혁과제.”
    장종현 제9회 개혁주의생 명신학 포럼, 백석대학교 천안캠퍼스 국제회의실 [2016]
  • “개혁주의생명신학과 한국교회: 신학은 학문인가, 삶의 체계인 가.”
    이상규 「생명과 말씀」1 : 9-38 [2010]
  • “개혁주의생명신학과 신학교육.”
    박찬호 「생명과 말씀」1 : 39-86 [2010]
  • “개혁주의생명신학과 성령님 안에서의 기도.”
    김진섭 제3회 개혁주의생 명신학의 성경적 토대모색Ⅱ, 백석대학교 백석 아트홀 [2010]
  • “개혁주의생명신학 신학회복운동에 대한 소고.”
    조용석 「생명과 말 씀」24 : 121-148 [2019]
  •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
    장훈태 「생명과 말씀」4 : 45-84 [2011]
  • “가브리엘 비엘.”
    위키백과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가브리엘_비엘년 2월 15일 접근) [2019]
  • Wells, David F. 편.「개혁주의 신학: 현대 개혁주의 역사」. 박용규 역
    서울: 한국기독교사연구소 [2017]
  • Vahanian, Gavriei.「신의 죽음」. 김기석 역
    서울: 청하 [1988]
  • Theologia : The Fragmentation and unity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1983]
  • The Study of Theology : From Biblical interpretation to contemporary Foundation .
    [1991]
  • The Study of Theology . Translated by Duane Prieve
    [1978]
  • The Origins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Reformed Idea of the Covenant. ” Ph.D . diss.
    [1979]
  • The Knowledge of God in Calvin ’ s Theology ,
    [1952]
  • The Enlightenment : The Rise of Modern Paganism
    [1966]
  • The Benedict Option : A Strategy for Christians in a Post-Christian Nation
    [2017]
  • Systematic Theology
    Vol . 3 [1977]
  • Radical Theology and the Death of God . Indianapolis , IN : Bobbs-Merrill , 1966.
    [1968]
  • Process Theism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The Metaphysics Research Lab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2004]
  • Outlines of Theology .
    [1977]
  • Nissel, Wilhelm.「칼빈의 신학」. 이종성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3]
  • Murrey, John.「칼빈의 성경관과 주권사상」. 나용화 역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1990]
  • Mouw, Richard J.「아브라함카이퍼」. 강성호 역
    서울: SFC출판부 [2017]
  • McGrath, Alister E.「과학신학: 자연과학과 신학의 대화」. 박세혁 역
    서울: IVP [2011]
  • M. The Cambridg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1450– 1700 .
    [1995]
  •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967]
  • God at War : the Bible and Spiritual Conflict
    [1997]
  • Gereformeerde DongmatickKampen : J. H. Kok
    3 rd ed , Vol . 1 [1908]
  • Erasmus and the Age of Reformation . Translated by F. Hopman and Barbara Flower
    [1924]
  • Eagleton, Terry.「신을 옹호하다」. 강주헌 역
    서울: 모멘토 [2010]
  • Donald K.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1996]
  • Commentary on the Book of the Isaiah
    [1948]
  • Commentary on the Book of the Gen
    [1948]
  • Calvin, John.「기독교강요」. 원광연 역
    서울: 크리스찬다이제스트, -2012 [2010]
  • Berkhof, Louis.「조직신학」. 권수경 이상원 역
    경기: 크리스찬다이제스 트 [2006]
  • Benjamin B. Biblical and Theological Studies
    [1952]
  • Bavinck, Herman.「개혁파신학」. John Bolt 편. 김찬영 장호준 역
    서 울: 새물결플러스 [1991]
  • Apologetics in studies in Theology N.Y. 1932 .
  • A. E. Reformation Thought : An Introduction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