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 쟁점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 A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to 2015 National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sues

서미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 쟁점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 A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to 2015 National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su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2015 개정 교육과정
  • 경향성 학습
  • 교과 역량
  • 기독교교육
  • 기독교적 핵심역량
  • 역량
  • 역량 중심 교육과정
  • 핵심 역량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008 0

0.0%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 쟁점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 = A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to 2015 National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sues' 의 참고문헌

  •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탐구
    백남진 온정덕 교육 과정연구, 33(2), 100-128 [2015]
  •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 는가?
    진미석 핵심역량교육연구, 1(1), 1-24 [2016]
  • 핵심역량과 국가 교육과정의 연계 방안: 문서상의 변 화를 중심으로
    이광우 홍원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 핵심역량 핵심인재
    김종인 이홍민 한국능률협회 [2005]
  •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박민정 박지만 이광우 이근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교실수업에서의 학생 평가 방안: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연구보고 RRE 2016-10)
    구남욱 이인화 이정우 학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 핵심역량 개발과 마음의 계발
    송경오 이종재 아시아교육연구, 8(4), 137-159 [2007]
  •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독일어 I 수업설계 및 실행
    권영숙 장신논 단, 48(4), 367-389 [2016]
  • 한국의 교육문화와 사회적 신분 욕망의 관계에 대한 연구
    강창동 교 육문제연구, 21, 143-164 [2004]
  • 한국의 교육 지표 지수 개발 연구(Ⅱ): 학생역량지수 개발 연구
  • 한국성서대학교[웹사이트]. (2019년 7월 27일). Retrieved from http://www.bib le.ac.kr/introduce/education_idea.aspx
    [2019]
  • 한국사회의 미래예측과 교육 의 대응전략 모색에 관한 연구(정책연구과제 2006-지정-44)
  • 한국교육철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서명석 교육철학, 49: 1-19 [2013]
  • 한국교육이념의 정립
    한기언 정신문화연구, 14(2), 3-22 [1991]
  • 한국 대학의 일반자유선택 교양교육 비판
    백승수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9(10), 913-922 [2019]
  • 한국 공교육체계 변천과 기독교사학의 기독교적 인성 교육 방안연구
    홍승철 황병준 대학과 선교, 33, 31-63 [2017]
  •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 및 교사교육 방안 연구 : 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연구보 고 RRI 2011-1)
    곽영순 노은희 최승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 학습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수 학습과 교사교육 방안 : 중학교 국어, 수학, 과학교과를 중심으로(연구보고 RRI 2011-1)
    최승현 교 육과정평가원 [2011]
  • 학습사회 실현을 위한 미래교육 비전과 전략(안)
    교육혁신위원회 대통령자문 교육혁 신위원회 보고서 [2007]
  • 학생의 꿈과 끼를 키워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 제 시행 계획(안)(보도자료 ’15.11.25.)
    교육부 교육부 [2015]
  • 학생 참여중심의 교수 학습 및 평가 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 학문중심 교육과정 및 이해중심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이해
    이주연 한혜정 한국교육과정학회, 35(3). 23-221 [2017]
  • 학교지식의 변화요구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방향 탐색
    소경희 교육과정연구, 24(3), 39-59 [2006]
  • 학교교육 평가의 방향과 사회과 평가에의 시사점
    박도순 사회과교육, 33, 5-15 [2000]
  • 학교 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의 의미와 교육 과정적 함의
    소경희 교 육과정연구, 25(3), 1-21 [2007]
  • 하나님을 사랑한 철학자 9인. (손봉호 외 편저), 헤르만 도여베 르트(pp.37-66)
    최용준 서울: IVP [2005]
  • 폴라니 인식론의 인성교육적 함의
    문민지 교육논총, 38(3), 289-306 [2018]
  • 파커 파머의 교육사상에 대한 고찰
    유명복 기독교교육정보, 16, 89-108 [2007]
  • 텅스텐 산화물의 환원을 이용한 나노/마이크로 크기 텅스텐 혼합분말 제조.
    김사훈 민용성 이광우 이근호 이미숙 이주연 정영근 국가교육과 정 각론 조정 연구Ⅱ(연구보고 CRC2015-25-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 탈북청소년의 인성교육과 교사의 다문화역량
    최성훈 기독교교육정 보, 48, 265-293 [2016]
  • 코메니우스의 교사상 연구
    노상우 신병준 교육의 이론과 실천, 8(2), 45-65 [2003]
  • 코메니우스 교육과의 만남
    구경선 서울: 교육아카데미 [2005]
  •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역량 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박정열 소경희 이상은 비교교육연구, 17(4), 105-128 [2007]
  • 총신대학교[웹사이트]. 년 7월 27일)
    Retrieved from https://www.chon gshin.ac.kr/mbs/csu/subview.jsp?id=csu_010306000000 [2019]
  • 초중등교육 선진화 방안 연구
    박순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고시제 2015-74호)
    교육부 교육부 [2015]
  • 초 중 등학교 교육과정 선진화 개혁 방안 연구(Ⅰ)-총괄(연구보고 CRC 2008-28-1)
  • 청소년과 대중매체
    황영훈 신학과 실천, 4, 91-106 [2001]
  • 청소년 신앙형성을 위한 입교교육과정 연구.
    양승준 기독교교육정보, 39, 161-189 [2013]
  • 창의적 문제해결 기독교 학습모형 개발
    박은숙 기독교교육논총, 20, 359-388 [2009]
  • 지역 평생학습 추진 활성화와 개인 핵심역량 강화
    변종임 서울: 한 국교육 개발 [2006]
  • 지식의 구조와 교과
    이홍우 서울: 교육과학사 [2006]
  •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역할에 대한 철학적 반성
    한명희 교육철학, 27, 151-172 [2002]
  • 종교 교육론-학교에서의 기독교적 종교교육-
  • 제7차 교육과정개정안의 교육적 인간상 및 교육목표 연구
    곽병선 한국교육개발원 [1997]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교육부 교육부 [1997]
  • 제4차 산업혁명시대 대한민국 미 래교육보고서 초연결 초지능 사회, 교육이 바뀌어야 대한민국이 산 다!
  • 제4차 산업혁명. (성경진 역)
    Schwab, K. 서울: 새로운 현재(원전은 2016년에 출판) [2017]
  • 제4차 산업혁명, 더 넥스트. (김민주, 이엽 역)
    Schwab, K. 서울: 새 로운 현재(원전은 2017년에 출판) [2018]
  • 장래인구추계 2011-2060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 향과 보도자료 [2012]
  • 자연과 자득: 지행합일론에 주는 시사
    박종덕 도덕교육연구, 24(1), 1-27 [2012]
  • 임은영 (2017). 과정 중심 평가의 개념과 의미, 행복한 교육(교육부). https://h 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do?nttId=7238&bbsId =BBSMSTR_000000000192.에서 2019.08.21. 인출.
    [2017]
  • 인성회복을 이끄는 목회 : 우리들교회를 중심으로
    구병옥 신학과 실 천, 58, 525-550 [2018]
  • 인간발달과 기독교교육
    사미자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12]
  • 인간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 량의 특성과 차원
    김민성 박민정 윤순경 윤정일 교육학연구, 45(3), 233-260 [2007]
  • 인간 이해와 상담. (윤종석 역)
    Crabb, L. 서울: 두란노(원전은 1987 년에 출판) [2011]
  • 이해중심교육과정
    김경자 온정덕 서울: 교육아카데미 [2011]
  • 이지은, 전호재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개정의 요구조 사 에 나타난 교육과정적 의미 탐색
    강현석 교육문화연구, 21(5), 5-38 [2015]
  • 유아교사의 교직 적 인성 함양을 위한 코메니우스 교육이론의 시사점
    하수연 인문사회 21, 8(5), 1321-1338 [2017]
  • 유비쿼터스 시대의 학제 개편 방향 및 시사점 연구
    김형주 임진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 우리나라 공교육 제도에서 기독인 교사에 의한 신앙교육 가능성에 관한 연 구
    장화선 기독교교육논총, 14, 319-356 [2007]
  •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적용 사례 연 구 : 호주와 뉴질랜드, 캐나다,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연구 보고 RRC 2010-2)
    이근호 이은영 홍원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 외국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현장 적용 사례 연구(연 구보고: RRC 2010-2)
    이근호 홍원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 온전한 삶으로의 여행. (윤규상 역). 경기: 해토
    Palmer, P. J. (원전 은 2004년에 출판) [2007]
  •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방진하 교육철학, 48 [2010]
  • 예수님의 교육방법론. (박영호 역)
    Horne, H. H. 서울: 기독교문서선 교회(원전은 1971년에 출판) [1991]
  • 역량중심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역량 개념을 중심으 로
    손민호 한 국교육논단, 10(1), 101-121 [2011]
  •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오헌석 경영교육연구, 47, 191-213 [2007]
  • 역량기반교육의 맥락에서 사범계 기독교교육과의 동향: A 대학 교 신학대학 기독교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장화선 성경과 신학, 81, 31-50 [2017]
  • 역량기반교육과정 비판적 분석: 2012 경기도교육과정을 중심으 로
    노승현 인격교육, 8(1), 23-42 [2014]
  • 역량기반교육: 새로운 교육학을 위한 서설
  • 역량기반교육 연구보고서
    박은숙 배다현 한동교육개발 센터 보고서. 한동대학교 [2012]
  • 역량기반 학교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특징 분석: 교육과 정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가은아 이근호 이병천 이주연 교육과정평가연구, 20(1), 1-30 [2017]
  •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 교육적 성경 탐 색
    소경희 교육과정연구, 27(1), 1-20 [2009]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 방안 연구: 캐나다 퀘벡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근호 홍원표 교육과정연구, 29(1), 67-86.- 192 - [2011]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특징과 비판적 쟁점분석: 내재된 가 능성과 딜레마를 중심으로
    박민정 교육과정연구, 27(4), 71-94 [2009]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국내 사례 분석: 두 교사의 수업 변화를 중심으로
    곽은희 홍원표 교육과정연구, 32(2), 163-186 [2014]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이론적 실 제적 쟁점을 중심으로
    홍원표 교육과정연구, 35(1), 239-254 [2017]
  •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이흔정 교육종합연구, 8(3), 151-171 [2010]
  •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국내 선행 연구의 이론적 논의 분석 및 쟁점 탐색
    김기철 이주연 장경숙 한혜정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1-24 [2018]
  •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 가능성 탐색
    박민정 송경오 한국 교육, 34(4), 155-82 [2007]
  • 역량기반 교과 교육과정에서 기준과 수행의 의미
    백남진 온정덕 교 육과정연구, 32(4), 17-46 [2014]
  •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이해를. 위 한 수업
    김경자 온정덕 이경진 서울: 교육아카데미 [2017]
  •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이해와 설계
    백남진 온정덕 서울: 교육아카 데미 [2018]
  • 언어학습자문학 기반 인문주의적 접근에 의한 영어교육의 현황 과 전망
    박성수 외국어교육, 20, 105-117 [2017]
  • 알기 쉬운 교육과정
    홍후조 서울: 학지사 [2012]
  • 안양대학교[웹사이트]. (2019년 7월 26일). Retrieved from http://www.anyan g.ac.kr/contents/contents.do?ciIdx=23&menuId=44
    [2019]
  •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에서 본 “믿음과 사랑의 관계” 재조명
    정홍열 한 국조직신학논총, 41, 121-157 [2015]
  • 아름다운 시를 노래하며: 신학적 미학과 기독교교육의 예술적 접근
    소태영 기독교교육논총, 23, 153-180 [2010]
  • 아동기와 사회. (윤진, 김인경 역)
    Erikson, H. E. 서울: 중앙적성출판 사(원전은 1988년에 출판) [1997]
  • 심리학의 눈으로 바라본 기독교교육
    사미자 서울: 장신대출판부 [2006]
  • 실천전통 교육관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교육의 목적에 관한 연구
    홍은숙 교육철학, 47, 225-247 [2010]
  • 실천적 지식의 일상적 속성에 비추어 본 역량 (competence) 의 의미: 지 식기반사회? 사회기반지식!
    손민호 교육과정연구, 24(4), 1-25 [2006]
  • 신앙 교육을 위한 "지식의 암묵적 내주성" 고찰
    한철희 한국기독교신 학논총, 31(1), 399-428 [2004]
  • 신본주의 교육. (이창국 역)
    Gabelein, F. E.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원전은 1985년에 출판) [2016]
  • 신 교육학개론
    정호표 서울: 교육과학사 [2002]
  • 스마트 환경에서의 교육사역 역량에 관한 연 구
    권성호 김효숙 정효정 기독교교육정보, 35, 291-324 [2012]
  • 스마트 환경에서 관계적 역량 증진을 위한 교 회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권성호 김효숙 성민경 기독교교육논총, 33, 67-90 [2013]
  • 세계화 시대의 교육제도 발전 방안 연구(연구보고 RR2008-04). 한국교육개발원. 온정덕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주요 개정 내용(현안보고 CP 2015-01-7)
  • 성경은 공동체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가?
    송인규 서울: IVP [1996]
  • 산업통상자원부 지식경제용어사전. 대한민국정부. https://terms.naver.co m/entry.nhn?docId=303212&cid=50298&categoryId=50298에서 2019071 0
    인출(검색어: 지식기반사회) [2010]
  • 사회심리학
    고영복 서울: 진명사 [1971]
  •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 일반사회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
    강대현 모경환 사회과교육, 52(2), 61-76 [2012]
  • 백석대학교[웹사이트]. (2019년 10월 9일). Retrieved from http://www.bu.ac.k r/sub1/sub1_6_2.jsp
    [2019]
  • 백경선, 이수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역량과의 관계
    이광우 교육과정연구, 35(2), 67-94 [2017]
  • 발달의 이론(개념과 적용 제5판). (송길연 외 역)
    Crain, W. 서울: 시 그마프레스(원전은 2005년에 출판) [2011]
  • 미래연구백서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 미래사회를 위한 신앙중심 핵심역량의 능력단위 분석
    이은철 이정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1-154 [2019]
  •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과 기독교학교의 과제
    강영택 신앙과 학문, 20(1), 7-37 [2015]
  • 미래비전 2040-미래 사회경제구조 변화와 국가발전 전략
    한국개발연구원 [2010]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총괄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 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 (Ⅱ)-핵심역량 영역별 하위요소 설정을 중 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 학교 교 육과정 비전 연구 (Ⅰ)-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 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교육과정 비전 연구(Ⅰ) -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연구보고 RRC 2007-1)
    김영준 윤현진 이광우 전제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Ⅱ) - 핵심역량 영역별 하위 요 소 설정을 중심으로(연구보고 RRC 2008-7-1)
    김미영 김혜진 민용성 이광우 전제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 을 위한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방안 연구(연구보고 RRC 2009-10-1)
    김문숙 이광우 전제철 허경철 홍원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 미래 학교 모형 탐색 연구(연 구보고 RR2008-03)
  •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 계 구축 (Ⅱ)
    최상덕 한국교육 개발원 [2014]
  •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핵심역량 교육 및 혁신적 학습생태 계 구축 (Ⅰ)
    최상덕 한국교육 개발원 [2013]
  • 미래 사회 및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기독교교육의 관 제 제안-기독교적 인재 역량 모형을 중심으로-
    이은철 이정기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85-94 [2018]
  •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 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연구보고 RRC 2012-4)
    곽영순 이근호 이승미 최정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 미국 공립학교의 성경교육.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 com/News/Read/201906101500019473 에서 2019.08.10
    최윤필 인출 [2019]
  • 명지대학교[웹사이트]. 년 7월 27일)
    Retrieved from https://www.mju.a c.kr/mbs/mjukr/subview.jsp?id=mjukr_011104000000 [2019]
  •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현대 공교육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 구
    박경하 기독교교육정보, 56, 71-106 [2018]
  • 루터와 칼빈의 기독교학교교육관과 오늘날에의 적용점
    김웅기 개혁논 총, 45, 109-137 [2018]
  • 디지털 문화 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 개발
    김효숙 기독교교육논 총, 36, 395-421 [2013]
  • 듀이 종교론에 함의된 종교교육의 성격
    박철웅 종교교육연구, 18, 3-27 [2004]
  • 두산백과사전[웹사이트]. (2019년 12월 13일) Retrieved from http://www.doopedia.c 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448 (검 색어: 학문중심교육과정)
    [2019]
  • 대학에서의 기독교역량 교육모형 개발 및 적용
    박은숙 기독교교육정 보, 37, 93-121 [2013]
  •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지위와 자아정체감 유형에 따른심리사회적 성숙의 차이
    박진희 이상희 . 상담학연구, 14(2), 1015-1032 [2013]
  •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 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 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박민정 교육과정연구, 26(4), 173-197 [2008]
  • 답이 되는 기독교. (윤종석 역)
    Keller, T. 서울: 사단법인 두란노서원 (원전은 2016년에 출판) [2018]
  • 뉴질랜드 교육과정 개혁동향: 핵심역량 심 교육과정의 실천 사례
    소경희 이상은 이정희 허효인 비교교육연구, 20(2). 27-50 [2010]
  • 네이버국어사전[웹사이트]
    년 7월 10일) Retrieved from https://ko.dict.nav er.com/seo.nhn?id=24122501(검색어: 심미적) [2019]
  • 나는 누구인가
    손봉호 서울: 샘터 [2018]
  • 기획주제 : 칼빈의 『기독교강요』에 나타난 믿음 개념
    이경직 기독 교철학, 15, 91-115 [2012]
  • 기독교적 종교교육. (이기문 역)
    Groome, T. H. 서울: 대한예수교장 로회총회교육부(원전은 1980년에 출판) [1983]
  • 기독교적 역량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본적 원리들
    김웅기 개혁논 총, 41, 101-131 [2017]
  • 기독교적 교육과정 디딤돌. (이부형 역)
    Brummelen, H. 서울: 한국기 독교학생회출판부(원전은 2002년에 출판) [2006]
  • 기독교적 교수설계
    박은숙 경기: 교육과학사 [2015]
  • 기독교대학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CTL 특성화 프로그램개 발-신앙과 학문 통합 역량 중심으로
    박은숙 기독교교육논총, 36, 247-268 [2013]
  • 기독교대학생의 상호문화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 향 연구
    최봉도 대학과 선교, 32, 7-34 [2016]
  • 기독교교육학 개론. (오인탁 편), 왜 교육하는가?(p.215-242)
    한춘기 서울: 도서출판 기독한교 [2008]
  • 기독교교육의 기초. (조혜정 역)
    Karen, B. T. 경기: 크리스찬출판사 (원전은 2000년에 출판) [2009]
  • 기독교교육의 기초. (기독교학문연구회 교육학분과 역)
    Edlin, J. R. 서울: 도서출판 그리심(원전은 1999년에 출판) [2015]
  • 기독교교육에서의 교육 평가에 관한 한 연구: Nicholas Wolterstorff의 기독교교육 사상을 중심으로
    강연정 소진희 기독교교육논총, 33, 1-29 [2013]
  • 기독교교육과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증보판)
    박상진 서울: 장로회신 학대학교 출판부 [2018]
  • 기독교교육 인식론. (박원호 역)
    Palmer, P. J. 서울: 도서출판 광나루 (원전은 1983년에 출판) [1991]
  • 기독교교육 인간학의 현대적 과제
    오인탁 기독교교육논총, 10, 177-201 [2004]
  • 기독교교육 관점에서 역량 중심 교육에 관한 고찰
    장화선 기독교교육 논총, 43, 109-136. [2015]
  • 기독교교육 개론. (고용수, 장종철 역)
    Miller, D. E. 서울: 한국장로교 출판사(원전은 1987년에 출판) [1988]
  • 기독교 학교 교육론
    박상진 예영커뮤니케이션: 서울 [2013]
  • 기독교 종합대학의 소명교육을 위한 제안
    정정미 기독교교육정보, 19, 49-72 [2008]
  • 기독교 유아교육의 생태적 핵심역량과 실천 방안 탐색
    계영희 권미량 생태유아교육연구, 14(2), 25-53 [2015]
  • 기독교 목회자의 온정적 합리주의 리더십과 교수 역량, 교회의 학습조직문화, 성도의 신앙성숙도와 서번트 리더십 간의 구조 적 관계
    연지연 최은수 Andragogy Today, 19(2): 1-27 [2016]
  • 기독교 대학에서의 리더십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연구- K대학교를 중심으로-
    조철현 기독교교육논총, 37, 261-293 [2014]
  • 기독교 교육목회자 교육의 목적
    연구원자료 신학과 선교, 32, 1-13 [2006]
  • 기독교 교육과정 탐구
    박상진 서울: 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 [2004]
  • 글로벌 교육환경의 변화와 한국교육의 과제국제연구기관 국제회의 모형을 중심으로-(연구보고 OR 2010-08)
    김영식 김왕준 이종재 한 국교육개발원 [2010]
  • 근대 기독교교육 사상
    양금희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 근대 교육의 사도 코메니우스
    한미라 기독교교육정보, 43, 353-378 [2014]
  • 극단적 미래예측. (김민주, 송희령 역)
    Canton, J. 서울: 김영사(원전 은 2006년에 출판) [2007]
  •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자아정체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 는 영향
    김순자 최윤희 한국심리학회지, 30(3), 743-762 [2011]
  •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방침(09~13)(안)
    국가과학 기술위원회 [2008]
  •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09-’13)
    교육과학기술부 KISTEP 정책 기획실 [2008]
  •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추구하는 인간상에 나타난 가치 분석
    박지혜 백혜조 한국교육학연구(구 안암교육학연구), 20(3), 59-77 [2014]
  • 국가 수준의 생애능력 표준 설정 및 학습체제 질관리 방안 연구(Ⅲ)
    유현숙 한국교육개발원 [2003]
  • 국가 교육과정의 교육적 인간상 진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홍은숙 교 육과정연구, 33(4), 227-250 [2015]
  • 국가 교육 과정 총론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김사훈 김진숙 박순경 백경선 변희현 안종욱 한혜경 한국교육과 정평가원(연구보고 CRC-2014-1) [2014]
  • 교회학교 교사의 역량, 헌신도, 만족도, 그리고 교사사역 인식에 대 한 양적연구: 장로교 K 교단을 중심으로
    조철현 개혁논총, 43, 157-181 [2017]
  • 교회학교 교사상의 패러다임 전환 : 교사 리더십 기술역량을 중심으로
    조철현 기독교교육논총, 43, 261-291 [2015]
  • 교회학교 교사 리더십 역량 연구
    조철현 기독교교육정보, 43, 265-294 [2014]
  • 교회에서의 성경 교수-학습을 위한 방법적 접근: 심장, 손 그 리고 오성과 함께하는 성경학습
    윤화석 성경과 신학, 73, 281-306 [2015]
  • 교육학 대백과사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서울: 하우동설 [2011]
  • 교육이념인 “홍익인간”의 유교철학적 고찰
    선우미정 동양철학연구, 70, 181-220 [2012]
  • 교육이념으로서 홍익인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신창호 한국교육학연 구, 9(1), 51-69 [2003]
  • 교육의 개념: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홍은숙 서울: 교육과 학사 [2007]
  • 교육에서의 관계회복을 위한 파커 파머(Parker J. Palmer) 의 진리공동체모델과 교사론에 대한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백 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김성실 서울 [2012]
  • 교육비전 중장기 계획 연구
    강영혜 김태은 박재윤 이혜영 한준 한국교육개발원(연 구보고 RR 2007-2) [2007]
  • 교육부 (2016a).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일반) 연수자료. http://www.edunet. net/에서 2019.05.29. 인출.
    [2016]
  • 교육법신론
    허재욱 서울: 형설출판사 [2003]
  • 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교육부 [1999]
  • 교육과정평가원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평가자료 개발 및 적용 방안- 의 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연구자료 ORM 2017-66-12)
    교육과정평가원 [2017]
  • 교육과정탐구(증보판)
    이홍우 서울: 박영사 [2010]
  • 교육과정이론의 두 측면 : 교과의 내면화와 교과의 정당화
    진영석 도 덕교육연구, 22(2), 143-159
  • 교육과정의 이해
    소경희 서울: 교육과학사 [2017]
  • 교육 목적으로서 “일반 능력” 설정에 대한 논의 고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에 주는 함의
    김영은 이주연 한혜정 교육과정연구, 34(2), 1-18 [2016]
  • 교실에서 하나님과 동행하십니까(전면 개정판). (안 종희 역)
    Brummelen, H. 서울: IVP(원전 2009년에 출판) [2014]
  • 교사의 다문화역량과 탈북청소년 대상 기독교대안교육
    최성훈 기독 교교육논총, 47, 255-311 [2016]
  • 교과의 내면화와 교과의 정당화의 관련
    정은영 도덕교육연구, 28(2), 101-124 [2016]
  • 교과의 내면화: 폴라니를 중심으로
    조영태 도덕교육연구, 18(1), 241-261 [2006]
  • 교과 특수 역량에 기반한 성취기준 개발의 방향 탐색
    백남진 교육과 정연구, 32(4), 163-194 [2014]
  • 교과 교육과 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연구보고 CRC 2014-7)
  • 과학과 세속화 시대에 직면한 신앙교육의 위기와 과제
    박화경 기독교 교육정보, 60, 1-35 [2019]
  • 공동체를 회복하는 교육의 영성
    임영택 기독교교육정보, 40, 219-244 [2014]
  • 공교육과 기독교. (김진우, 임종화 편)
    정병오 한국 공교육의 전개와 기독교(pp.213-285). 서울: 좋은교사운동 출판부 [2014]
  • 고통의 교육에서 희망의 교육으로
    강영택 서울: 하늘유통 [2009]
  • 고신대학교[웹사이트]. (2019년 7월 26일). Retrieved from http://home.kosin.a c.kr/home/bbs/board.php?bo_table=cnt_about&wr_id=5
    [2019]
  • 고등교육 미 래비전 2040 수립을 위한 정책 연구(연구보고 CR2011-24)
  • 개혁주의신학 7대 실천운동
    장종현 백석정신아카데미 [2018]
  • 가치관과 교육
    정범모 서울 배영사신서 [1980]
  • 가르침은 예술이다. (김성수 역)
    Dyk, J. 서울: IVP(원전은 2000년에 출판) [2003]
  •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이종태 역)
    Palmer, P. J. 서울: 한국기독학 생회(원전은 1993년에 출판) [2008]
  •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이종인, 이은정 역)
    Palmer, P. J. 서울: 한문 화(원전은 1997년에 출판) [2008]
  • 가르칠 수 있는 용기. (이종인 역)
    Palmer, J. P. 서울: 한문화(원전은 1997년에 출판) [2000]
  •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이칭찬 황선경 서울: 동문사 [2004]
  • “역량”과 “심성”
    신춘호 : 초등교육의 성격에 관한 성찰. 초등교육연구, 23(4), 1-20 [2010]
  •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부 일반고 교육역량강 화 방안(‘보도자료 13.10.29.). 교육부 [2012]
  • ‘취업난의 불편한 진실: 일할 사람도 없다’
    금재호 한국선진화포럼 제 66차 월례토론회 [2012]
  • ‘역량기반’ 대학교육의 통치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민정 사고와표 현, 12(1), 195-220 [2019]
  • Where faith begins ?
    [1967]
  • W 신앙의 발달단계. (사미자 역)
    Fowler J.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원전은 1979년에 출판) [2002]
  • Toward coherent pluralism in management science
    50 ( 1 ) , 12-22 [1999]
  • Think: 생각하라. (전의우 역)
    Piper, J.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원전은 2011년에 출판) [2014]
  • The trouble with competence
    1 ( 3 ) , 331-341 [1991]
  •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curriculum 1893-1958
    [2004]
  • The school and society , in J ohn Dewey : The middle works vol.1
    [1976]
  • The process of education
    [1960]
  •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1997]
  • The importance of teaching : The schools white paper 2010
    [2010]
  • The hollow crown .
    [1992]
  • The frame work for the national curriculum : A report by the expert panel for the national curriculum review
    [2011]
  •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 Executive summary
    [2019]
  • The curriculum : theory and practice ( 6th ed. )
    [2009]
  • The concept and implication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36 ( 1 ) , 16-22 . [1978]
  • The competent manager :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4 , 385-387 [1982]
  • The competence movement and the liberal arts tradition : Enemies of allies ?
    51 ( 6 ) , 685-692 [1980]
  • The New Zealand curriculum
    [2007]
  • The McREL database : a tool for constructing local standards
    52 ( 6 ) , 42-47 . [1995]
  • Test less , assess more .
    [2013]
  • Teaching religion in public schools : Review of Warren A. Nord , does God make a difference ? : Teaching religion in public schools
    63 ( 4 ) , 431-438 [2013]
  • Stages of faith .
    [1981]
  • Spirit and beauty : An introduction to theological aesthetics
    [1992]
  • Reviewing theCase for geography , and the ‘ knowledge turn ’ in the English NationalCurriculum
    22 ( 2 ) , 243–264 [2011]
  • P학교[웹사이트]. (2019년 7월 28일) Retrieved from http://www.poolmoo.or.kr
    [2019]
  • P기독교고등학교[웹사이트]. (2019년 7월 28일) Retrieved from http://www.paicha i.hs.kr
    [2019]
  • Parker J. Palmer 교육사상의 배경에 관한 연구
    김정준 기독교교육 정보, 29, 65-98 [2011]
  • Outcome-based education : Critical issues and answers
  • On competence : A critical analysis of competence-based reforms in higher education ( pp . 1-17 )
  •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OECD. Rychen, D. S. & Salganik, L. H. & McLaughlin, M. E. (2002).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Contributions to the Second DeSeCo Symposium, Geneva, Switzerland, 11-13
  • Motivation Reconsidered : The Concept of Competence
    66 ( 5 ) , 297-333 . [1959]
  • Liberal education and the nature of knowledge . In R. D . Archambault ( Ed. ) . P hilosophical analysis and education
    pp . 113-138 [1965]
  • Key competencies-for a successful life and well-functioning society
  • JC학교[웹사이트]
    년 7월 28일) Retrieved from https://jireh.school.nz/ [2019]
  •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nd personal income distribution
    66 ( 2 ) . 281-302 [1958]
  • Introduction . In L. Spencer & S . Spencer ( Eds . ) , Competence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 pp . 3-8 )
    [1993]
  • Integrat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and understanding by design : Connecting content and kids
    [2006]
  • Institute of the Christian religion . In J. T. McNeill , et al. ( Eds . )
    [1960]
  • In the christian educator ’ s handbook on teaching . In K. O. Gangel & H. G . Hendricks ( Eds . ) , Following the master teacher
    pp . 13-31 [1988]
  • Implications of competence - based education
    [1979]
  • Identity in the context of adolescent psychology
    30 , 5-24 [1985]
  • IT-BT-NT 기술 융합에 따른 산업육성전략
    전황수 허필선 전자통신 동향분석. 21(2). 15-25 [2006]
  • God our teacher . Grand Rapids : Baker Academic . Pring , R.Closing the gap :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preparation
  • From knowledge to action : shaping the fut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in Alberta . Edmonton
    [2012]
  •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51 ( 8 ) , 73-77 [1997]
  • Emerging international trends in curriculumReinventing the curriculum : New trend s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
    pp . 141-163 [2013]
  • Educational responses to the concern for proficiencyOn competence : A critical analysis of competence-based reforms in higher education ( pp.66-94 )
    [1979]
  • Educating for shalom : Essays on Christian higher education
    [2004]
  • Educating for responsible action . Grand Rapeds : Christian Schools International and Wm
    [1980]
  • Educating for character : how our schools can teach respect and responsibility
    [1991]
  • D학교[웹사이트]. (2019년 7월 28일) Retrieved from http://www.dreamschool.or.kr
    [2019]
  • D기독교고등학교[웹사이트]. (2019년 7월 28일) Retrieved from http://www.dgh.h s.kr.
    [2019]
  • Developing key competencies in education : Some lessons from international and national experience , Geneva : UNESCO-IBE , Studies in Comparative Education
    [2004]
  • Democracy and education ,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1916]
  • Democracy and education
    [1966]
  •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 Contributions to the second DeSeCo symposium ( 109-116 ) , Geneva , Switzerland
  •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 ( DeSeCo ) -Summary of the final report
    [2003]
  •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pp . 41-62
  • DC학교[웹사이트]. 년 7월 28일)
    Retrieved from https://www.denverchristia n.org/ [2019]
  • Could do better : using international comparisons to refine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22 ( 2 ) , 121-150 [2011]
  • Could do better : Using international comparisons to refine the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2010]
  • Competency at work :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
    [1993]
  •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training : Progress or villainy ?
    30 ( 3 ) , 361-376 [1996]
  • Competence reexamined
    34 ( 3 ) , 201-207 . [1984]
  • Competence , knowledge and education
    27 ( 1 ) , 57-68 [1993]
  • Competence , competency and competencies : performance assessment in organization
    51 ( 6 ) , 314-319 . [2002]
  • Christian spirituality : An introduction
    [2003]
  • Christian formation : Integraing Theology and Human development .
    [2010]
  • Choosing outcomes with significance
    51 ( 6 ) , 18-22
  • B학교[웹사이트]. (2019년 7월 28일). Retrieved from http://www.bmrschool.net/
    [2019]
  • Awakening the creative spirit : Bringing the arts to spiritual direction
    [2010]
  • Aspects of the competence-performance distinction : Educational , psychological and measurement issues
    19 ( 5 ) , 409-424 [1987]
  • Analyzing the impact of competence-based approaches on liberal educationOn competence : A crit-ical analysis of competence-based reforms in higher education
    pp . 160-198 [1979]
  • American society . New York : Alfded A. Knopf . Ryan , T. ( 2008 ) . Soul fire : Accessing your creativity
    [1952]
  • Ability-based learning outcomes , teaching and assessment college
    [2005]
  • A life-span ,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16 ( 3 ) , 282-296 . [1984]
  • A frame of reference for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2003]
  • A CBC P rimer : Competency-based curriculums in general undergraduate P rograms
    [1975]
  • 91-112.
  • 4차산업혁명, 이미와 있는 미래. (김정희, 조원영 역)
    Burger, R. 서 울: 다산(원전은 2017년에 출판) [2018]
  • 4차 산업혁명과 교육의 과제
    오인탁 기독교교육 논총, 52, 417- 445 [2017]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호모 에두칸두스
    김도일 장신논단, 50(5), 247-275 [2018]
  •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전략 연구(연구보고 RR 2011-01)
  • 2030 미래의 직업생활 연구(기본연구, 2011-20)
    서용석 이지연 장주희 한상근 한국업능력개발원 [2011]
  • 2015 문 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시안). 창의인재 정책(교육과 정정책과 보도자료 2004. 9)
    교육부 교육부 [2014]
  • 2015 국가 교육과정 전문가 포럼 운 영 종합보고서
    김대현 김두정 김평국 백남진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부 서울특별시교육청 [2015]
  •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의 방향 및 경과
    이미숙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 교육과정 시안 검토 공청회 자료집, 3-16 [2015]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 공통 교육과정 ‘국어’를 중심으로
    서영진 청람어문교육, 56, 67-106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제시 방식 검토와 스코틀랜드 ‘Curriculum for Excellence’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임유나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6(5), 143-167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교과 연계 방안 연구-역량과 범교과 학습 주제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쟁점과 교육철학의 과제: 핵심역량과 교육목적으로 중심으로
    김유라 박창언 교육철학, 59, 1-25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정책 연구진 합동워크숍(5차) 자료집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 정책 연구진 합동워크숍(4차) 자료집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력 개념 정립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백은진 사총(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86, 245-273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해설서(중․고등학교) 개발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교육부 교육부 [2016]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 [최종안] 개발 연구
    교육부 국가교 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보도자료 ’15.09.23.)
    교육부 교육부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 점 탐색
    소경희 교육과정연구, 33(1), 195-214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각론 확정 발표(보도자료 2015. 9. 23))
    교육부 교육부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응답 자료(보도자료 ’15.09.23.)
    교육부 교육부 [2015]
  • 2015 개정 교육과정 연수자료
    교육부 교육부 [2016]
  • 2015 개정 교과교육과정 적용 방안(I): 초 중학교를 중심으로
    강민규 권점례 김현경 박은아 서영진 송민영 이영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 2016-8-1) [2016]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상연 초등교육 연구, 28(3), 199-227 [2015]
  • 2015 개정 교 육과정 총론 시안 최종안 개발 연구
    곽상훈 김경자 백남진 송호 온정덕 이승미 홍은숙 교육부 국가 교육과정개정연구 원회 [2015]
  • 2012년 경기도 교육과정
    경기도 교육청 [2012]
  • 2009개정 교육과정: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 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별책 1호. 교육과학기술부. [2009]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 운영 방안
    곽상훈 민용성 백경선 정지훈 한혜정 한국교 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2011-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