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왕숴(王朔)와 최인호 문학의 청년 표상 연구

송향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왕숴(王朔)와 최인호 문학의 청년 표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학사, 비평
  • 과도기
  • 대중문화
  • 왕숴(王朔)
  • 청년
  • 청년문화
  • 최인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68 0

0.0%

' 왕숴(王朔)와 최인호 문학의 청년 표상 연구' 의 참고문헌

  • ,「최남선의 잡지 발간과 초기 근대문학의 재편」
    한기형 『대동문화연 구』45 [2004]
  • 허 수, 「년대 청년문화론」, 『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
    역 사비평사, 2009 [1970]
  • 편, 『현대사회와 대중문화』
    강현두 나남 [2005]
  • 죄의식과 부끄러움
    서영채 나무나무 [2017]
  • 조성면 편, 『한국근대대중소설 비평론』
    태학사 [1997]
  • 정하늬, 「일제 말기 소설에 나타난 청년 표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4]
  • 임 화, 「통속소설론」, 『한국근대대중소설 비평론』
    태학사 [1997]
  • 왕후이, 『탈정치시대의 정치』
    돌베개 [2014]
  • 쉬지린 뤄강, 『계몽의 자아와해』
    전남대학교출판부 [2014]
  • 브뤼넬, 『비교문학이란 무엇인가』
    미리내 [1993]
  • 베르그송, 『웃음』, 정연복 옮김
    세계사 [2008]
  • 문 화, 「전후소설에 나타난 ‘인간동물’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6]
  • 루카치, 『소설의 이론』
    문예출판사 [2014]
  • 등, 『박정희 모더니즘』
    권보드래 천년의상상, 2015 [1970]
  • 등, 「저개발의 멜로, 저개발의 숭고」
    권보드래 『상허학보』37 [2013]
  • 김 현, 『현대 한국 문학의 이론-사회와 윤리』
    문학과지성사 [1991]
  • 김 현, 『한국문학의 위상-문학사회학』
    문학과지성사 [1993]
  • 김 현, 『문학과 유토피아』
    문학과지성사 [1980]
  • 김 원,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
    현실문화 [2011]
  • 黄平, 「没有笑声的文学史」, 『文艺争鸣』, 2014(04).
  • 黄平, 「反讽、共同体与参与性危机」, 『中国现代文学研究』, 2013(07).
  • 黃玹,『梅泉野錄』
  • 顽主 ” 形象的变迁与王朔的文化立场」
    [2016]
  • 韓連琪, 漢代的田租口賦和徭役 , 文史哲 1956(7), 1956.
  • 雷达, 「论王朔现象」, 『作家』, 1989(03).
  • 难见真的人 ! ” 试说《轮回》改编原作的得失」 , 『电影艺术』
    [1989]
  • 趙偉·古廣東·何元慶, 2006, “外向FDI与中國技術進步:機理分析和嘗試性實證”, 「管理世界」, (7), 53-60.
  • 計成, 『園冶』
  • 葉朗, 『美在意象』, 北京:北京大學出版社, 2010.
  • 石濤, 『大滌子題畵詩跋』
  • 王輝(2017).《培智學校義務敎育課程標准》解讀. 南京特殊敎育學院.
  • 王朔电影 ” 新论
    [1990]
  • 王朔电影 ” 应當休矣 !
    [1990]
  • 王朔电影 ” ?
    [1990]
  • 王朔电影
    1990 ( 12 ) .
  • 王朔作品研讨会
    [1987]
  • 王敏, 「自我实现中的创痛与超越」, 『理论学刊』, 1989(05).
  • 王娟(2017), 「以跨文化?育??向的外?????外?比?究」, 『 海外英?』 10月刊, 90-91.
  • 王博, 『易傳通論』, 中圖書店, 2003.
  • 游戏 ” 中的认同困境」
    [2016]
  • 流氓文学 ” 、小说与你」
    1989 ( 04 ) .
  • 汪晖, 『去政治化的政治: 短20世纪的终结与90年代』, 三联书店,2008.
  • 朱立冬『王朔研究资料』
    [2005]
  • 智度 述, ??法華經疏義纘???觀音品?, ??續藏??29冊.
  • 思忖, 「论王朔电影的文化品格」, 『电影艺术』, 1989(06).
  • 徐 暢, 走馬樓吳簡竹木牘的刊布及相關硏究述評 , 魏晉南北朝隋唐史資料 第31輯, 2015.
  • 廖奔,『中國戱曲發展史 4』, 中國戱曲出版社, 2013.
  • 寻根 ” 与當代文学」
    1989 ( 02 ) .
  • 孟艶, 「民國時期西方美術史譯介槪述」, 浙江師範大學 碩士學位論文, 2014.
  • 字林西报 ” 的发展演变及研究价值初探」
    [2017]
  • 姜濤, ≪古代散文文體槪論≫, 太原:山西人民出版社, 1990
  • 奧平康弘, 治安維持法小史, 筑摩書房, 1977.
  • 大地原誠玄 譯, 矢野道雄 校訂(1993).『スシュルタ本集』, 東京: たにぐち 書店.
  • 大众文艺 ” 与普罗价值主体确立的矛盾」
    [2013]
  • 垮掉的一代 ” 和 “ 顽主 ” 形象比较研究」
    [2013]
  • 吴俦, 「文学的调侃」, 『文学自由谈』, 1988(06).
  • 何军 , 「灰色的太阳」
    [1989]
  • 丁若鏞, ?與猶堂全書?, ?家禮酌儀?
  • 『향락의 전이』
    지젝 인간사랑 [2001]
  • 『한국출판과 베스트셀러』
    이임자 경인문화사 [1998]
  • 『한국민족독립운동사연구』
    신용하 을유문화사 [1985]
  • 『한국근대 대중소설의 미학적 연구』
    김강호 푸른사상 [2008]
  • 『풍경이 온다』
    서영채 나무나무 [2019]
  • 『최인호 문학의 명랑성과 미학적 정치성 연구』
    심재욱 강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7]
  •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돌베개』
    이기훈 [2014]
  • 『천국에서 온 편지』
    최인호 누보 [2010]
  • 『인문학 개념 정원』
    서영채 문학동네 [2013]
  • 『웃음의 철학』
    가이어 만프레트 글항아리 [2018]
  • 『예술의 사회학』
    아놀드 하우저 한길사, 년 [1983]
  • 『예감의 실현』
    김주연 문학과지성사 [2016]
  • 『사회학적 파상력』
    김홍중 문학동네 [2016]
  • 『사랑아 나는 통곡한다』
    최인호 여백 [1996]
  • 『보들레르의 작품에 나타난 제2제정기의 파리』
    김영옥 도서출판 길 [2010]
  • 『별들의 고향』
    최인호 여백 [2013]
  • 『바보들의 행진』
    최인호 예문관 [1974]
  • 『문화와 반문화』
    김병익 문장 [1979]
  • 『문학청년의 탄생』
    소영현 푸른역사 [2008]
  • 『동아일보』, 『경향신문』,『매일경제』
  • 『동백아가씨는 어디로 갔을까』
    이영미 인물과사상사 [2017]
  • 『년대의 독립선언서 연구』
    김소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1910]
  • 『년대 대중문학의 욕망과 대중서사의 변주』
    김성환 소명출판, 2019 [1970]
  • 『나는 나를 기억한다』
    최인호 여백 [2015]
  • 『김치수 문학전집1』
    김치수 문학과지성사 [2016]
  • 『근대의 책 읽기』
    천정환 푸른역사 [2003]
  • 『국가와 혁명과 나』
    박정희 향문사 [1963]
  • 『고통의 언어 삶의 언어』
    성민엽 한마당 [1986]
  • 『文艺 理论与批评』
    1989 ( 04 ) .
  • 『卡尔.曼海姆精粹』 , 南京大学出版社
    [2002]
  • 『八次危机』东方出版社
    [2016]
  • 『中国现代文学史』上册,高等教育出版社
    [2008]
  • 『20世纪中国文学史』上·下卷, 中山大学出版社, 2012
  • 「환상적 리얼리즘의 허실-최인호론」
    이보영 『현대문학』, 년 1 월호 [1980]
  • 「현대의 신화」
    남진우 최인호, 『타인의 방』, 문학동네 [2017]
  • 「한국소설은 어디에 와 있는가-최인호와 황석영을 중심으로」
    김치수 『문학과지성』, 년 가을호 [1972]
  • 「한국 모더니티의 기원적 풍경」
    김홍중 『사회와 이론』07 [2005]
  • 「파국의 기원과 멜랑콜리: 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좀비 서사 연구 」
    박하림 『비교문학』71, 2017 [2000]
  • 「타인의식의 극복」
    오생근 『문학과 지성』, 년 여름호 [1974]
  • 「최인훈의 이상(李箱) 다시 쓰기」
    이유경 『한국현대문학연구』59 [2019]
  • 「최인호의 실패와 미덕」
    성민엽 『고통의 언어 삶의 언어』, 한마당 [1986]
  • 「최인호」
    김윤식 『한국현대문학사』, 일지사 [1983]
  • 「최인호, ‘조커-작가’의 기원」
    권철호 『작가세계』28 [2016]
  • 「최인호 소설의 반공주의 연구」
    김진기 『우리어문연구』59 [2017]
  • 「최인호 소설에 나타난 모더니즘과 저항의 서사」
    김인경 『국제어 문』39 [2007]
  • 「최인호 문학에 나타난 개인의 의미 연구」
    김지윤 서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16]
  • 「초월과 고문-한 소설가의 세계인식에 대하여」
    김현 『문학사상』, 년 4월호 [1973]
  • 「초기 『신청년』에서 전개된 ‘청년‘ 담론의 기원과 성격」
    송인재 『인문과학』45 [2010]
  • 「청년문화론」
    남재희 『세대』 [1970]
  • 「청년, 그 이상의 이념을 생각한다」
    황호덕 『당대비평』21 [2003]
  • 「찰리 채플린의 신체 움직임과 해학성」
    김주희 『대한무용학회논문 집』71(04), . [2013]
  • 「중산층 삶과 의식」
    김병익 『지성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1982]
  • 「재능과 성실성」
    김현 『문학과 유토피아』,『김현문학전집4』 [1974]
  • 「잡지 『소년』과 국민문화의 형성」
    조윤정 『한국현대문학연구』21 [2007]
  • 「작품해설-별들의 고향 수수께끼」
    신동한 『별들의 고향』, 예문관 [1977]
  • 「잃어버린 실재를 찾는 탐색 이야기」
    정현기 『술꾼』, 열림원 [1987]
  • 「일탈과 수락-최인호 초기소설 연구」
    정재원 『원우론집』23 [1996]
  • 「위기의 시대와 상품소설」
    김태현 『문학의시대』, 년 12월 [1984]
  • 「왕숴 소설 연구」
    최재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왕숴 王朔 초기 소설의 서정성과 그 변화 양상」
    박민호 『외국문학 연구』56 [2014]
  • 「영악한 아이들, 아버지를 그리워하다」
    권은수 『작가세계』28 [2016]
  • 「억압과 에로스」
    한수영 최인호 지음, 『황진이』, 문학동네 [2002]
  • 「선전과 시장」
    한기형 『대동문화연구』79 [2012]
  • 「상업 문명 속 소외와 복귀」
    김주연 『세대』, 년 6월호 [1974]
  • 「사랑으로 감싸야 하는 악의 고뇌-최인호 장편소설 ‘불새’」
    이연철 『중앙일보』 [1987]
  • 「불화와 허위의 세계의 비극성」
    성민엽 『다시 만날 때까지』, 나남 [1987]
  • 「범죄소설과 추리소설의 간극」
    김외현 『신영어영문학』71 [2018]
  • 「마르쿠제 미학이론의 재구성 :에로스와 기억을 중심으로」
    신은숙 서 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두 개의 “별들의 고향”과 “청년문화”의 의도적 접속」
    송아름 『인문 논총』73(02) [2016]
  • 「동아시아라는 장소와 문학의 근대성」
    서영채 『비교문학』72 [2017]
  • 「도피와 긍정」
    이동하 『타인의 방』 [1983]
  • 「도시중산층의 사고와 감각의 정직한 반영」
    이동하 『이상한 사람들 -이상문학상 수상작가 대표작품선 2』, 문학과지성사 [1986]
  • 「대중문화 현상으로서의 최인호 소설」
    송은영 『상허학보』15, ; [2005]
  • 「단군과 만주, 아첨의 영웅주의」
    서영채 『한국현대문학연구』32 [2010]
  • 「누구도 나를 대표하지 않는다」
    최원식 한중일 청년작가회의 발 표문 자료집, 2019 [2019]
  • 「년대 한국 문화에 나타난 좀비 서사 연구」
    박하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000]
  • 「년대 대중소설의 죄의식 연구」
    김지혜 『현대소설연구』52, 2013 [1970]
  • 「년대 대중소설의 ‘청년‘ 표상 연구」
    최은영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7 [1970]
  • 「년대 대중소설에 나타난 욕망 구조 연구」
    김성환 서울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9 [1970]
  • 「년대 ‘증상으로서의 대중소설‘과 최인호 문학 연구」
    심재욱 『국 어국문학』171, 2015 [1970]
  • 「년 『세대』지 필화사건과 황용주(1918-2001)」
    이완범 『21세기 정치학회보』25(01), 2015 [1964]
  • 「김병익의 초기 대중문화론과 4.19세대의 문화민주주의」
    송은영 『대 중서사연구』20(03) [2014]
  • 「근대문학 종언론」
    김홍중 『사회와 역사』83 [2009]
  • 「개성과 다양성-최인호론」
    김치수 『문학사상』, 년 12월호 [1982]
  • 「개발 독재 체계의 알레고리」
    서은주 『상허학보』11 [2003]
  • 「강준식의 ‘증세’, 최인호의 ‘모범동화’」
    김현 『대학신문』 [1970]
  • 「감춰진 역사탐험에 갈수록 흥미-일본답사 떠나는 ‘잃어버린 왕국’ 작가 최인호씨」
    조양욱 『조선일보』 [1987]
  • 「갈증과 소외-소설에 나타난 도시인상」
    김병익 『문화와 반문화』, 문장사 [1979]
  • 「가해자의 자리를 향한 열망과 죄책감」
    서영채 『한국현대문학연구』 50 [2016]
  • 「黑色的颓废」 , 『當代作家评论』 , 1989 ( 05 )
  • 「顽主与都市的冲突—论王朔小说的价值选择」
    [1989]
  • 「边缘人 : 一种新的银幕主人公形象-论王朔电影和刘恒电影的社会 意蕴」
    1990 ( 02 ) .
  • 「访米家山谈《顽主》」 , 『电影艺术』 , 1989 ( 05 )
  • 「论话语电影中的清代历史表述、想象与意义生产」
    [2010]
  • 「论王朔的顽主世界
    [1991]
  • 「茅盾硏究-혁명문학과 리얼리즘의 문제를 중심으로」
    전형준 『인문학 지』2, , 86쪽 [1987]
  • 「社会心里的深度在罪与罚中显示」 , 『作品与争鸣』
    [1987]
  • 「石岜该不该死」 , 『电影评介』
    [1989]
  • 「當前中国电影的几个问题」
    [1985]
  • 「略论王朔电影」 , 『电影艺术』 , 1989 ( 05 )
  • 「电影向文学要什么」 , 『电影艺术』,1989 ( 08 )
  • 「王朔小说与社会阅读」 , 『小说评论』
    [1990]
  • 「王朔、刘恒作品与都市青年心态」 , 『中国青年研究』
    [1990]
  • 「狂躁与不安」 , 『电影评介』
    [1989]
  • 「潘晓讨论是非功过评说」 , 『青年研究』
    [1993]
  • 「潇洒梦 : 反叛的失落—评王朔电影中的城市青年形象」
    [1989]
  • 「泛媒介场中的京味文学第三代」 , 『當代中国文艺研究』 , 2005 ( 05 )
  • 「杂谈王朔、方方等人的小说」 , 『文学自由谈』
    [1990]
  • 「有人喜欢有人愁的王朔及其电影」
    [1989]
  • 「新文學 時期의 리얼리즘 理論에 대한 硏究」
    전형준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2]
  • 「意识形态症候 : 王朔式 “ 反叛文化 ” 的时髦性与毁坏性」
    1989 ( 06 ) .
  • 「想象的革命-王朔与王朔主义」 , 『文艺争鸣』 , 2005 ( 05 )
  • 「性犯罪的教科书」 , 『作品与争鸣』
    [1987]
  • 「徘徊在人与非人之间的灵魂」
    [1986]
  • 「应该怎样看待牛仔裤、迪斯科」 , 『上海党校学报』
    [1985]
  • 「对中篇小说《一半是火焰 , 一半是海水》的讨论」
    [1987]
  • 「娱乐片的主体创造和接受心里」 , 『當代电影』 , 1989 ( 05 )
  • 「垮掉的一代与中国當代文学」武汉大学博士学位论文
    [2005]
  • 「在罪与罚中显示社会心里的深度」 , 『啄木鸟』
    [1986]
  • 「卡拉OK ” 的兴起」
    [1990]
  • 「倾斜与补偿:王朔电影的都市二重奏」 , 『光明日报』 , 1989.11.09
  • 「『大陆报 ( TheChina Press ) 』—美国在华的主要报纸」
    [2003]
  • 「93回眸 : 青年文化无热点」
    [1994]
  • 「90년대 중국문학담론의 확장과 전변」
    이정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5]
  • 「70년대 인기소설 리바이벨 붐」
    양헌석 『중앙일보』 [1987]
  • 「70년대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김병익 『상황과 상상력』, 문학 과지성사 [1979]
  • 「60년대 의식의 편차」
    김병익 『문학과 지성』, 년 봄호 [1974]
  • 「-1970년대 베스트셀러 현상과 대학생의 독서문화」
    이용희 『한 국학연구』41, 2016 [1960]
  •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여성의 재현 양상 연구?
    신수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마음의 사회학?
    김홍중 문학동네 [2009]
  • ?년을 묻다?
    권보드래 천정환 천년의상상, 2014 [1960]
  • 20.B. Munson, T. Okiishi, W. Huebsch, A. Rothmayer, Fundamentals of fluid mechanics 7th edition, John Wiley & Sons lnc., 2012, pp. 290-292, 435
  • 1980 : 场域和历史关联 学术研讨会综述」 , 文艺争鸣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