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학교 밖 음악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한울소리 판소리 교육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윤혜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학교 밖 음악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한울소리 판소리 교육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음악
  • 몸의 학습
  • 문화기술지
  • 선형적 체계와 순환적 체계의 상호보강
  • 정서적 학습 공동체,개별성과 관계성의 조화
  • 정형과 비정형의 상호보완
  • 판소리 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63 0

0.0%

' 학교 밖 음악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 한울소리 판소리 교육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홈스쿨링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참여관찰 연구
    서덕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현상학과 교육학 : 현상학적 교육학에서 육체의 문제
    조상식 서울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2]
  •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
    백대웅 서울 : 대광 [1999]
  • 한국 음악교육학계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원영실 국악과교육, 24: 7-29 [2006]
  • 한국 음악교육 연구의 분석 및 개관 : 1980년 이후 국내 연구 논문을 중심으로
    박기범 예술교육연구, 9(2): 57-76 [2011]
  • 학원의 교육체제 및 학습관리를 위한 전략적 대응에 관한 사 례연구
    김혜숙 청소년학연구, 18(18): 127-152 [2011]
  • 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전반적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전환 장벽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우종필 상품학연구, 29(2): 39-49 [2011]
  • 학교 교육 안에서의 판소리 교육 현황과 실태
    채수정 판소리연구, 30: 319-351 [2010]
  • 피아노 학원(교습소)의 창업 위험인식이 창업의도 및 창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희승 정완규 음악교수법연구, 20(2): 195-215 [2019]
  • 피아노 학원 경영자들이 생각하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박지영 최진호 음악교육공학, 23: 177-196 [2015]
  • 피아노 교육의 문제 및 개선방안 : 피아노교수법 학 회와 피아노학원 연합회를 중심으로
    박지영 최진호 음악교육공학, 27: 87-105 [2016]
  • 판소리제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예술연구실 [편]. 한국음악학논문집
    이보형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 판소리의 특징에 따른 주제별 지도내용 연구
    성기련 국악교육연구, 2(1): 111-156 [2008]
  • 판소리의 전승론적 연구-敍事巫歌와의 대비에서
    서대석 현상과 인식 3(3): 122-142 [1979]
  • 판소리의 요소별 감상지도방안 연구
    김주경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세미나, 2009(2): 171-194 [2009]
  • 판소리의 개괄적 이해에 관한 고찰
    조운조 국악교육, 22: 21-86 [2004]
  • 판소리 지도방안 연구
    윤원아 국악교육연구, 2(1): 179-197 [2008]
  • 판소리 전승사에 나타난 도제교육의 양상과 원리
    신기현 최성욱 교 육원리연구, 5(1): 215-256 [2000]
  • 판소리 동편제 연구
    유영대 최동현 서울 : 태학사 [1998]
  • 판소리 도제관계 연구
    조세훈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판소리 고수의 음악학적 역할과 의미
    노복순 국악교육, 43: 37-62 [2017]
  • 판소리 ‘자진 사랑가’ 지도 방안 연구
    정미영 국악교육연구, 3(1): 99-125 [2009]
  • 초창기 명창론. 최동현ㆍ유영대 [공편]. 판소리 동편제 연구
    이보형 서울 : 태학사 [1998]
  • 청소년센터에서의 대안적 학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배은주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질적 연구와 질적교육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7(2): 55-75 [2004]
  •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조용환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 질적 사례연구
    고미영 서울 : 청목출판사 [2013]
  • 주제중심의 판소리 지도방안 연구
    장윤정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학 술세미나 자료집, 2009(2): 129-149 [2009]
  • 정재은ㆍ석문주음악교육연구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연구의 동향
    음악교육연구, 43(1): 165-188 [2014]
  • 임방울 흥보가의 바디 연구
    배연형 국악교육, 32: 65-84 [2011]
  • 인류학 민족지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 인류무형문화유산 생생체험 별별수업
    변미혜 전구슬 한윤이 서울 : 민속원 [2015]
  • 이장열1960년대 중요무형문화재 보호정책 : 원형 보존 관련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31: 71-98 [2003]
  •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음악교육연구'를 중심으로
    김현미 음악교육연 구, 44(4): 49-68 [2015]
  • 음악학원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지영 벤 처창업연구, 6(3): 43-59 [2011]
  • 음악학원 운영특성요인이 경영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박동훈 한세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음악학원 운영특성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동훈 국제경상 교육연구, 11(1): 111-133 [2014]
  • 음악학원 강사의 직업적 프로필(Professional Profile) 에 관한 조사연구 : 서울시 소재 음악학원 강사를 중심으로
    김성미 장선희 교과교육 학연구, 6(1): 39-62 [2002]
  • 음악읽기 세상읽기 : 음악학을 통한 한국 문화의 이해
    주성혜 서울 : 중앙일보사 [1996]
  • 음악교육철학
    권덕원 석문주 최은식 서울 : 교육과학사 [2012]
  • 음악교육의 최근 연구경향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교육 연구의 새로운 접근
    석문주 음악교육연구, 27, 91-128 [2004]
  • 음악교육의 철학적 사고에 대한 최근 경향. 북미 지역을 중심 으로
    주대창 음악교육연구, 42(3): 301-328 [2013]
  • 음악교육의 철학적 발전을 위한 건설적인 철학적 태도 제안
    김기수 음악교육연구, 47(1): 37-59 [2018]
  • 음악교육의 심리연구 동향 분석
    현경실 음악교육연구, 47(1): 147-168 [2018]
  • 음악교육의 기초
    권덕원 석문주 최은식 함희주 서울 : 교육과학사 [2005]
  • 음악교사의 교수행동에 있어서 비언어적 교수방법 변인의 상 호관련성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최은식 음악교육연구, 20: 175-199 [2001]
  • 음악 현장과 국악 전문교육의 변화 : 전승과 현대화 사이의 줄타기
    이소영 음악과 문화, 11: 71-91 [2004]
  • 오지은판소리 <수궁가>를 활용한 음악극 만들기 지도방안 연구
    학 국국악교육연구학회 학술세미나 자료집, 2019(2): 1-24 [2019]
  • 연구논문 : 판소리의 교육현황과 발전방안
    김기형 판소리연구, 17: 7-25 [2004]
  • 심청가의 형성과 전승계보. 이기우ㆍ최동현 [편]. 판소리의 지 평 : 과제와 전개
    유영대 전주 : 신아 [1990]
  • 실전판소리의 종합적 연구-판소리사의 전개와 관련하여
    김종철 판소 리연구, 3(1): 87-153 [1992]
  • 실용음악학원의 입시교육 문제점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학 술대회 자료집, 867-870. 박이문 (2007). 현상학과 분석철학
    박성식 서울 : 지와 사랑 [2010]
  • 시민정치의 문화기술지
    김의영 이현정 서울 : 푸른길 [2019]
  • 시각 장애인 이료 교육에서 “느낌”의 체득에 관한 생애사 연구
    이정희 교육인류학연구, 21(1): 341-376 [2018]
  • 수업설계 :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방법론
    윤관식 서울 : 양서원 [2017]
  • 성인전문음악학원 학습자들의 피아노 학습 환경에 대한 교육 서비스품질 및 만족도 조사
    정완균 경영교육연구, 31(5): 101-121 [2016]
  • 성인 전문 피아노 학원 학습자실패조사를 통한 교육 발전 방 안 연구
    김수영 음악교수법연구, 9: 25-59 [2012]
  • 새로운 공교육의 이해와 실천
    조용환 서울 : 한국방송통신 대학교 종합교육연수원
  • 분석 : 저자 선정 주제어를 중심으로
    음악교육연구, 1-21
  • 박지은구전심수 교육방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국악지도방안 : 3~6학 년 가창 기악영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박주만판소리를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극 창작활동 지도방안 연구
    예술교육연구, 11(1): 69-84 [2013]
  • 미디어 기술 기반의 학원 음악교육 혁신체계 설계
    김근호 한희 음악 교육공학, 15: 237-259 [2012]
  • 문화와 역사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윤택림 서울 : 아르케 [2013]
  • 문화와 교육의 갈등-상생관계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4(2): 1-27 [2001]
  • 문화와 교육 개념의 실존성 : “살아있는” 교육인류학을 위 한 소고
    서덕희 교육인류학연구, 12(2): 1-44 [2009]
  • 문화와 교육
    윤여각 이혁규 조용환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6]
  • 문화기술지 연구
    조용환 2019년 서울대학교 질적 연구 워크숍 자료집 [2019]
  •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재검토
    윤여각 교육원리연구, 8(1): 143-163 [2002]
  • 몸의 세계, 세계의 몸
    조광제 서울 : 이학사 [2004]
  • 몸에 관한 哲學的 談論과 그 敎育學的 示唆
    이병승 교육철학, 18(2000): 227-251 [2000]
  • 명인들의 살풀이춤과 소리꾼들의 산공부
    유제호 열린전북, 2008(10): 66-68 [2008]
  •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질적 연구
    조용환 2013년 한국교육인류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13]
  • 메를로-퐁티의 지식론에 대한 교육적 분석
    최정실 교육철학연구, 12(2): 99-135 [1994]
  • 리머 음악교육철학의 변천에 관한 연구 : 심미적 철학에서 경 험적 철학까지
    최은식 음악교육연구, 30: 201-222 [2006]
  • 도제식 교수-학습의 방법과 구조에 관한 질적 연구: 성악 레 슨을 중심으로
    김한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대구지역 피아노 페다고지 활성화 기반조성에 관한 연구
    박혜경 음 악교수법연구, 8: 61-90 [2011]
  • 대구지역 피아노 페다고지 활성화 기반 조성에 관한 연구
    박혜경 한 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다시 보는 판소리
    백대웅 서울 : 도서출판 어울림 [1996]
  • 다문화 교육의 교육인류학적 검토와 존재론적 모색
    조용환 교육인류 학연구, 14(3): 1-29 [2011]
  • 느낌 예찬
    조용환 교육인류학소식, 12(1): 1-2 [2006]
  • 구전심수를 활용한 판소리 가창 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2학 년을 중심으로
    이밀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교육적 관계와 교육공동체에 관한 소고
    장상호 교육원리연구, 7(1): 1-31 [2016]
  •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15(2): 1-21 [2012]
  • 교육의 실존론적 이해를 위한 토대로서 Heidegger [존재와 시 간]을 통해 본 “세계”개념 분석
    서상문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하계학술 대회 자료집, 111-121 [2012]
  • 교육원형 탐구 : 판소리의 사례
    이용남 교육원리연구, 6: 37-55 [2001]
  • 검도 수련 과정의 교육학적 해석
    차성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강미라우리는 어떻게 공감하는가? : 메를로퐁티의 대답
    해석학연구, 36: 21-52 [2015]
  • “음악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2] [2015]
  • ‘소리판’을 주제로 한 통합적 판소리 교수 학습 방법 연구
    성기련 판소리연구, 28: 219-262 [2009]
  • van Manen, M.Researching Lived Experience. 신경림ㆍ안규남(공역) (1994). 체험연구
    서울: 동녘 [1990]
  • Young people 's music in and out of school
    20 ( 3 ) : 229-241 [2003]
  • Unsafe suppositions ? Cutting across cultures on questions of music 's transmission
    3 ( 2 ) : 215-226 [2001]
  • Toward hip-hop pedagogies for music education .
    34 ( 2 ) : 247-260 . [2016]
  • Toward a Theory of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32 ( 3 ) : 465-491 [1995]
  • They was n't makin ’ my kinda music ’ : a hip-hop musician 's perspective on school , schooling , and school music
    [2015]
  • The power of music in the lives of older adults
    35 ( 1 ) : 87-102 . [2013]
  • The effects of the study of popular music on music education
    36 ( 1 ) : 23-34 [2000]
  • The Impact of Informal Music Learning Practices in the Classroom , or How I Learned How to Teach from a Garage Band
    22 ( 3 ) : 189-200 [2004]
  •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홍용희ㆍ노경주ㆍ심종 희(공역)(2000). 질적 사례 연구
    Stake, E. R. 서울 : 창지사 [1995]
  • The Apprenticeship of Embodied Knowledge In A TAIKO Drumming EnsembleKnowing Bodies , Moving , Minds
    pp . 183-195/Liora Bresler ( [2004]
  • The Anthropology of Music. 이기우(역)(1988). 민족음 악학
    Merriam, A. P. 전주 : 신아 [1988]
  • Sein und Zeit. 이기상(역)(2018). 존재와 시간
    Heidegger, M. 서울 : 까치글방 [1979]
  • Qualitative research and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 Revised and expanded from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1998]
  • Problems of Political Philosophy. 김용환(역)(1988). 정 치철학의 문제들
    Raphael, D. D. 서울 : 서광사 [1970]
  • Posturing in Qualitative Research . The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 M. LeCompte ed.
    [1992]
  • Popular Music andClassical Musicians : Strategies and Perspectives
    97 ( 3 ) : 30-34 [2011]
  • Phenemenologie de la Perception. 류의근 (역)(2002). 지각의 현상학
    Merleau-Ponty, M. 서울 : 문학과지성사 [1945]
  • Participant Observation. 이희봉(역)(1989). 참여관찰 방 법
    Spradley, J. P. 서울 :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80]
  • Musical Expeditions of the Venda .
    3 ( 1 ) : 54-78 . [1962]
  • Music matters : a new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1995]
  • Music , informal learning and the school : a new classroom pedagogy
    [2008]
  • L’etre et le neant. 정소성(역)(2016). 존재와 무 1
    Sartre, J. P. 서울 : 동서문화사 [1956]
  • JRME (1991년-2000년) 논문 경향에 대한 소고
    김미숙 음악교육연구, 20. 1-19 [2001]
  • Informal Learning of Musical Instruments :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4 ( 1 ) : 93-104 [2002]
  • In Search of Music Education
    [1997]
  • How popular musicians learn : a way ahead for music education
    [2002]
  • How hip-hop musicians learn : Strategies in informal creative music making
    6 ( 3 ) , 313-326 [2004]
  • How does analysis cure ?
    [1984]
  •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situations or practices vs formal and informal ways of learning
    23 ( 2 ) : 135-145 [2006]
  • Ethnographic Interview. 박종흡(역)(2003). 문화기술적 면접법
    Spradley, J. P. 서울 : 시그마프레스 [1979]
  • Embodied Knowledge : Possibilities andConstraints in Arts Education andCurriculum . Liora Bresler ( ed ) , Knowing Bodies , Moving , Minds
    [2004]
  • Embodied Knowledge :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in Arts Education and Curriculum . Liora Bresler ( 2004 ) . ( ed ) , Knowing Bodies , Moving , Minds
    [2004]
  • Education and The Philosophy of the Body : Bodies of Knowledge and Knowledges of The BodyKnowing Bodies , Moving , Minds
    pp . 13-27/Liora Bresler ( [2004]
  • Crossfading music education : Connections between secondary students ’ in- and out-of-school music experience
    33 ( 1 ) : 18-35 . [2015]
  • Creative Schools : Revolutionizing Education from the Gound up. New York ; Penguin Group 정미나(역)(2018). 학교혁명
    Robinson, K. 서 울 : 21세기북스 [2016]
  • Cognition And The Body : Perspectives From Music EducationKnowing Bodies , Moving , Minds
    pp . 29-50/Liora Bresler ( [2004]
  • Bringing the Outside In : Blending Formal and Informal Through Acts of Hospitality
    64 ( 1 ) : 71 [2016]
  • Blacking. J.How Musical is Ma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이기 우(역)(1994). 민속음악. 전주 : 신아 [1973]
  •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 Am Introduction, 5th Edition. 안혜준(역)(2017). 질적 연구자 되기
    Glesne, C. 서울 : 아카데미프레스 [2016]
  • An emerging theory of human relatedness
    25 ( 4 ) , 291-296 [1993]
  • Affect regulation and the breadth of interpersonal engagement
    67 : 105-114 [1994]
  • ??현상학과 상호문화성??
    박인철 서울 : 아카넷 [2015]
  • <춘향가> 중 ‘사랑가’ 감상교재 개발 및 지도 내용 연구
    김선희 국악교육연구, 7(1): 51-80 [2013]
  • 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교육의 창의력
    성민정 모드니 예술, 14. 25-37 [2017]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판소리 지도 내용 연구
    성기련 국악교육연구, 9(1): 127-152 [2015]
  • /1934). La Vie Intellectuelle (2nd Ed.). 이재만(역) (2013). 공부하는 삶: 배우고 익히는 사람에게 필요한 모든 지식
    Sertillanges, A. G. 서울 : 유유 [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