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공적 장소 생산의 국내 공동체 참여 특성 연구

백선경 2020년
논문상세정보
' 공적 장소 생산의 국내 공동체 참여 특성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건물
  • 공공건축
  • 공공성
  • 공동체
  • 공적 장소
  • 생산
  • 참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389 0

0.0%

' 공적 장소 생산의 국내 공동체 참여 특성 연구' 의 참고문헌

  • 행정학사전
    이종수 대영문화사 [2009]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공디자인으로 행복한 공간만들기 결과자료집』, 2017 [2016]
  • 테일러, “특집인터뷰 마릴린 테일러: 영국의 혼합복지와 커뮤니티의 역할”
    마릴린 이영아 『국토』,: 85-99 [2005]
  • 조시은 외, “국외 공공건축 조성 및 관리 전문조직 사례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9(1): 91-101 [2013]
  • 정치학대사전편찬위원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서울 : 아카데미아 리서치 [2002]
  • 정석 외, “국내 ‘마을만들기’ 연구동향과 ‘사람’에 중점을 둔 연구의 특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지 도시설계』, 16(5): 123-138 [2015]
  • 이자은 외, “영국 도시재생의 지역사회 참여 성숙화 과정과 정책적 함의”
    『국토연구』, 98: 63-86 [2018]
  • 서울특별시
    『년 성곽마을 지원사업 성과보고서』, 2015 [2015]
  • 도시재생지원센터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 , 2010, 2013, 2015 [2009]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
    law.go.kr
  • 『한양도성 주변 성곽마을 보전 관리 종합계획』
    서울특별시 [2014]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백서』
    서울특별시 [2015]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4단계 공간개선 백서』
    서울특별시 [2018]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2단계 사업백서』
    서울특별시 [2018]
  •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예산제 발전방향』
    서정섭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 『좋은 공공건축 사례집』
    임유경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2017]
  • 『역사도심 기본계획 본보고서1』
    서울특별시 [2015]
  • 『알기쉬운 공공서비스디자인 국민디자인단 가이드』
    행정안전부, 한국디자인진흥원 [2019]
  • 『시민참여론』
    김혜정 이승종 서울 : 박영사 [2011]
  • 『성곽마을 행촌권 보전 관리 실행계획 수립 본보고서』
    서울특별시 [2016]
  • 『성곽마을 생활문화기록화사업 보고서』
    서울특별시 [2016]
  • 『년대 이후 한국 주요 공공건축물 조성과정의 사회적 담론 연구』
    엄운진 건축도시공간연 구소, 2017 [1950]
  • 『구산동 도서관마을 기본계획 보고서』
    은평구 [2013]
  • 『공동체 : 유토피아에서 마을만들기까지』
    이종수 박영사 [2015]
  • 『공공성 :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
    김세훈 파주 : 미메시스 [2008]
  •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용설명서』
    안전행정부 [2014]
  • 『공공건축의 정의와 유형 연구』
    이규철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2016]
  • 『공공건축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추진방향』
    서수정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07]
  • 『공공건축 통합마스터플랜 수립(영주편)』
    조준배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 [2008]
  •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김광현 공간서가 [2015]
  • “커뮤니티디자인의 전개와 논의의 특징”
    김연금 『한국조경학회지』, 40(30): 22-31 [2012]
  • “참여유형 기반의 공공디자인 실행 모형에 관한 연구”
    김영훈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참여에 의한 일본 공공문화시설의 기획 과정과 계획 특성 연구”
    박창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주민참여와 도시개발”
    이명규 『주택도시연구』, 85: 95-113 [2005]
  • “주민자치센터의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내 주민자치센터의 사례를 중심 으로”
    석은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7-64 [2010]
  • “일본 도서지역의 활성화와 관광개발의 문화정치 : 오도렬도(五島列島) 삼정악(三井樂)의 역 사마을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염미경 『한국도서(섬)학회 한국도서연구』, 10(1): 331-360 [1999]
  • “우리는 토론을 통해 이성적 상호성에 도달할 수 있는가 : 하버마스의 심의민주주의론에 관한 일고찰”
    이현아 『한국정치학회보』, 41(4): 69-90 [2007]
  • “우리나라 참여형 도시계획의 추세 및 특성에 대한 연구 : 청주, 수원, 서울의 년 도시기본계획을 중심으로”
    이희정 전철민 서울도시연구, 17(4) (2016) : 1-16 [2030]
  • “우리가 다닐 학교, 함께 만들어요! : 은로초등학교 사용자 참여형 설계”
    조도연 『교육시설』, 19(5): 30-35 [2012]
  • “영국의 공공건축 : 영국 도시개발에서 제도와 참여를 통한 도시 공공성 확보방안”
    이영범 『건축과 사회』 : 31-45 [2006]
  • “시애틀공공도서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담론과 참여를 통한 공공 성 구현”
    김승범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2): 131-138 [2012]
  • “생산자로서의 작가 : 발터 벤야민이 읽은 소비에트 팩토그래피”
    김수환 『비교문학』, 73: 33-55 [2017]
  • “보편적 ‘참여 수준’을 전제한 공공 건축물의 ‘커뮤니티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 구”
    박남용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2(1): 127-141 [2016]
  • “민주화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 부활과 지속적 발전”
    임혁백 『OUGHTOPIA』, 24(1): 137-169 [2009]
  • “남한산 초등학교의 UPDP와 영국 DQIfs 절차의 비교 분석”
    고인룡 『교육시설논문지』, 19(6): 15-23 [2012]
  • “기술과 예술의 열린 변증법”
    최성만 『뷔히너와 현대문학』, 32: 183-204 [2009]
  • “국내 지역 공공건축 건립 과정에 나타난 참여 양상에 관한 연구 : 구산동 도서관마을 건립 과정에서의 주체별 담론 및 행위, 관계 고찰을 중심으로”
    백선경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63: 79-88 [2018]
  • “공동체주의의 이론적 전개와 자유주의와의 논쟁 고찰”
    이종수 『지방정부연구』, 4(3): 5-22 [2010]
  • “공동체 참여형 도시재생의 의미와 정책 내 반영실태에 관한 고찰 : 영국의 New Deal for Communitie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태희 『국토연구』, 86: 139-159 [2015]
  • “공공디자인을 통해 발현되는 건축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박소영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8): 83-90 [2008]
  • “공공건축물 생산과정에서 토론장과 작업장의 관계”
    김승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공공건축 작업에서 시민참여로 귀결된 장소성 논의 및 공공성 구현 양상에 관한 연구”
    백선경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37(2): 1149-1154 [2017]
  • “공공 건축을 위한 커뮤니티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교육연구시설 사례 분석 을 중심으로”
    박남용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1(3): 321-337 [2015]
  • Yin, Robert K. 『사례연구방법(Case Study Research : Design and Methods, 』, 신경식 외 역
    한경사, 2016 [1984]
  • Volf, Miroslav, 『배제와 포용(Exclusion and Embrace, 』, 박세혁 역
    IVP, 2012 [1996]
  • Urban policy and the turn to community
    68 ( 3 )347-362 [1997]
  • Understanding your community
    [1969]
  • The impact of citizen participation on public administration
    32 ( [1972]
  • The concept of political participation : Toward a Definition
    20 ( 2 ) (241-249 [1988]
  • The Public participation handbook
    [2005]
  • The Negotiation of Hope , ” Architecture and Participation , Eds . Peter Blundell Jones
    23-41 [2013]
  • The Crux of Minimalism ” , Individuals : A Selected History of Contemporary Art 1945-1986
    pp.162-218 [1986]
  • The Community Planning Handbook : How People Can Shape Their Cities , Towns and Villages in Any Part of the WorldEarthscan Tools for Community Planning )
    [2000]
  • Taylor, Charles, 『자아의 원천들 : 현대적 정체서으이 형성(Sources of the Self, 』, 권기돈 외 역
    새물결, 2015 [1989]
  • Some Uses and Abuses of RussianConstructivismArt into Life
    241-253 [1990]
  • Sense ofCommunity : A Definition an Theory
    14 ( [1986]
  • Schroer, Markus, 『공간, 장소, 경계 : 공간의 사회학 이론 정립을 위하여(R ume, Orte, Grenzen : auf dem Weg zu einer Soziologie des Raums, 』, 정인모 외 역
    에코리브르, 2010 [2005]
  • Sandel, Michael J.,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 What's the right thing to do?, 』, 김명철 역
    와이즈베리, 2014 [2008]
  • Relph, Edward, 『장소와 장소상실(Place and Placelessness, 』, 김덕현 외 역
    논형, 2005 [1976]
  • Public Policy in theCommunity
    [2011]
  • Public Participation : A Manual Pamphlet
    [1997]
  • Political participation in Latin America : An Agenda for Research
    11 ( 3 )95-119 [1976]
  • Political participation : How why do people get involved in politics ?
    [1977]
  • Political action : Mass participation in five western democracies
    [1979]
  • Participation and DemocracyParticipation in America : Political democracy and social equality
    [1972]
  • One Place after Another : Notes on Site Specificity
    80 (
  • 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 , 4rd ed.
    [2007]
  • Miwon, Kwon, 『장소 특정적 미술(One Place after Another, 』, 김인규 외 역
    현실문화, 2013 [2002]
  • Method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 A complete guide for practitioners
    [2003]
  • Lefebvre, Henri, 『공간의 생산(La production de l’espace, 』, 양영란 역
    에코리브르, 2011 [2000]
  • Latour, Bruno 외, 『인간 사물 동맹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홍성욱 엮음
    서 울 : 이음 [2010]
  • Harvey, David,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The Condition of Postmodernity, 』, 구동회 외 역
    한울, 1994 [1989]
  • Habermas, J rgen, 『사실성과 타당성(Faktizit t und Geltung, 』, 한상진 외 역
    나남출판, 2000 [1992]
  • Habermas, J rgen, 『공론장의 구조변동(Strukturwandel der Offentlichkeit : Untersuchungen zu einer Kategorie, 』, 한승완 역
    파주 : 나남, 2011 [1962]
  • Foster, Hal, 『실재의 귀환(The Return of the Real, 』, 이영욱 외 역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6 [1996]
  • Foster, Hal, “포스트 모더니즘 : 서로을 대신하며”, 『반미학 : 포스트 모던 문화론 (Anti-Aesthetic : Essays on Postmodern Culture, 』, 윤호병 역
    현대미학사, 15-27 [1983]
  • Derrida, Jacques, 『다른 곶(The Other Heading, 』, 김다은 역
    동문선, 1997 [1992]
  • Definitions of Community : Areas of Agreement
    20 [1955]
  • Consensus Design
    [2003]
  • Community Design : Idealism and Entrepreneurship
    1 ( 4 ) (227-243 [1984]
  • Communitarianism revisited
    19 ( 3 ) (241-260 [2014]
  • Bollnow, Otto Friedrich, 『인간과 공간(Bollnow, Otto Friedrich, 』, 이기숙 역
    에코리브 르, 2011 [1963]
  • Benjamin, Walter, 『발터 벤야민 선집 9 : 서사 기억 비평의 자리』, 최성만 역
    도서출판 길 [2012]
  • Benjamin, Walter, 『기술 복제시대의 예술작품(Das Kunstwerk im Zeitalter seiner technischen Reproduzierbarkeit, 』, 최성만 역
    도서출판 길, 2007 [1934]
  • Benjamin, Walter, “생산자로서의 작가(The Author as Produser, ”,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 론』, 반성완 편역
    민음사, 2003 [1934]
  • Arendt, Hannah, 『인간의 조건(The Human Condition, 』, 이진우 역
    한길사, 2002 [1958]
  • A new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77 ( 3 ) ( [1988]
  •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35 ( 4 ) (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