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신라 관음신앙 연구 : 관음성현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배금란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신라 관음신앙 연구 : 관음성현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종교
  • 관세음보살
  • 관음성현
  • 관음신앙
  • 삼국유사(三國遺事)
  • 신라불교
  • 진신(眞身). 화신(化身)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8 0

0.0%

' 신라 관음신앙 연구 : 관음성현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麟角寺普覺國師碑」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보시스템: http://gsm
    nricp.go.kr)
  • 「삼국유사의 사서로서의 특성」
    남동신 불교학연구 16 : 45-70 [2007]
  • 「한국문화와 불교」
    고익진 宗敎硏究13 [1987]
  • 「경주 낭산 출토 불⋅보살상 재검토」
    김동하 大丘史學 100 : 1-29 [2010]
  • 「統一新羅時代 前期의 佛像彫刻樣式」
    김리나 考古美術 154⋅155 : 61-95 [1982]
  • 「浮石寺圓融國師碑」(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http://gsm
    nricp.go.kr)
  • 「新羅密敎의 思想內容과 展開樣相」, 『韓國密敎思想硏究』
    고익진 동국대학 교출판부 [1986]
  • 「新羅 神印宗의 硏究」
    문명대 震壇學報 41 : 183-209 [1976]
  • 「慶州 石窟庵佛像彫刻의 比較史的 硏究」
    문명대 新羅文化 2 : 73-98 [1985]
  • 「慶州 石窟庵 諸佛像에 관한 佛敎圖像學的 考察」
    박형국 신라문화제학술발표 회논문집 21 : 39-86 [2000]
  • 「大乘思想の密敎化」密敎文化 98
    [1972]
  • 「唐代 五臺山信仰과 澄觀」
    박노준 關東史學 3 : 101-119 [1988]
  • 「元曉의 懺悔思想: 六乘六情懺悔를 中心으로」
    김현준 불교연구 2 : 53-78 [1986]
  • 「中國 四川省 川北지역 石窟의 初期密敎 造像」
    이숙희 미술사연구 13 : 29-82 [1999]
  • 歷史と敎理 第21-5 , 東京 : 山 川 出版社
    [1938]
  • 金剛頂經觀自在王如來修行法 (T19.931)
  • 三國遺事 史料批判: 三國遺事의 編纂과 刊行에 대한 硏究
    하정룡 민족 사 [2005]
  • 한국불교사의 연구
    홍윤식 교문사 [1988]
  • 신라불교설화 연구
    홍윤식 대원정사 [1986]
  • 高麗史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
    history.go.kr)
  • 高僧法顯傳 (T51.2085)
  • 阿毘達磨大毘婆沙論 (T27.1545)
  • 阿毘達磨俱舍論 (T29.1558)
  • 長阿含經 (T1.1)
  • 金光明最勝王經 (T16.665)
  • 說無垢稱經 (T14.476)
  • 觀音義疏 (T34.1728)
  • 觀音玄義 (T34.1726)
  • 觀無量壽經義疏 (T37.1749)
  • 觀佛三昧海經 (T15.643)
  • 華嚴經探玄記 (T35.1733)
  • 華嚴經問答 (T45.1873)
  •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章 (T45.1870)
  • 華嚴一乘敎義分齊章 (T45.1866)
  • 般舟三昧經 (T13.418)
  • 稼亭集 (한국고전종합DB: http://db
    itkc.or.kr)
  • 海東高僧傳 (T50.2065)
  • 法華義疏 (T34.1721)
  • 法華經義記 (T33.1715)
  • 法華文句記 (T34.1719)
  • 法華傳記 (T51.2068)
  • 法界圖記叢髓錄 (T45.1887B)
  • 東國李相國集 (한국고전종합DB: http://db
    itkc.or.kr)
  • 新華嚴經論 (T36.1739)
  • 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고전종합DB: http://db
    itkc.or.kr)
  • 撰集百緣經 (T4.200)
  • 摩訶止觀 (T46.1911)
  • 摩訶摩耶經 (T12.1005)
  • 弘贊法華傳 (T51.2067)
  • 小品般若波羅蜜經 (T8.227)
  • 宋高僧傳 (T50.2061)
  • 妙法蓮華經玄贊 (T34.1725)
  • 妙法蓮華經 (T9.262)
  • 妙法蓮華經玄義 (T33.1716)
  • 妙法蓮華經文句 (T34.1718)
  • 大般涅槃經 ( T7.375)
  • 大智度論 (T25.1509)
  • 大方廣如來不思議境界經 (T10.301)
  • 大方廣佛華嚴經(80) (T10.279)
  • 大方廣佛華嚴經(60)(T9.278)
  • 大方廣佛華嚴經(40)(T10.293)
  •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T36.1736)
  • 大方廣佛華嚴經疏 (T35.1735)
  • 大唐西域記 (T51.2087)
  •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T19.945)
  • 大乘理趣六波羅蜜多經 (T8.261)
  • 大乘法苑義林章 (T45.1861)
  • 大乘同性經 (T16.673)
  • 增一阿含經 (T2.125)
  • 合部金光明經 (T16.664)
  • 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礙大悲心陀羅尼經 (T20.1060)
  • 千光眼觀自在菩薩袐密法經 (T20.1065)
  • 十一面神咒心經義疏 (T39.1802)
  • 十一面神呪心經 (T20.1071)
  • 兩卷無量壽經宗要 (T37.1747)
  • 修行本起經 (T3.184)
  • 佛說華積陀羅尼神咒經 (T21.1356)
  • 佛說般若波羅蜜多心經贊 (T33.1711)
  • 佛說灌頂七萬二千神王護比丘呪經 (T21.1331)
  • 佛說十一面觀音神呪經 (T20.1070)
  • 佛地經論 (T26.1530)
  • 三彌勒經疏 (T38.1774)
  • 三國遺事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
    history.go.kr)
  • 三國史記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
    history.go.kr)
  • 한국고고미술연구소편, 『미술사학지』 3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0]
  • 차차석, 서규리. 「관음보살의 천태선적 이해」
    불교문예연구 9 : 11-42 [2017]
  • 차차석, 「관음신앙의 중국적 변용과 그 문화적 특징」
    정토학연구 182012: 133-165 [2012]
  • 조선총독부
    『조선사찰사료』(상) [1911]
  • 장익. 「인도밀교의형성과정」
    한국불교학 74 : 7-32 [2015]
  • 이자랑. 「자타카 및 불전문학에 나타난 보살사상」. 대승불교의 보살, 안성두 엮 음, 3-35
    씨아이알 [2008]
  • 엮음. 대승불교의 보살
    안성두 씨아이알 [2008]
  • 엮음 , 「대승불교의 이념과 보살사상의 특징」. 대승불교의 보살, 안성두 엮 음, 36-57
    안성두 씨아이알 [2008]
  • 역주. 『대승기신론소 별기』
    은정희 일지사 [2004]
  • 역주, 『원효의 『無量壽經宗要』
    정목 도서출판 비움과 소통 [2015]
  • 역, 『중편조동오위』
    이창섭 최철환 대한불교진흥원 [2002]
  • 불교문화연구소 편, 『한국관음신앙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988]
  • 배금란, 「염불 공효의 실천적 의미 연구: 운제산 자장암 사리분신 영응 사례를 중 심으 로」
    한국불교학 90 : 71-105 [2019]
  • 배금란 , 「삼국유사「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조의 원효 설화 분석」
     교연구 78/3 : 235-262 [2018]
  • 박상란. 「낙산사 연기설화의 구전양상과 의미」
    선문화연구 3 : 271-293 [2007]
  •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원, 『韓國觀音信仰』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7]
  • 대한불교 천태종 황해사 엮음. 관세음보살 33응신의 종합적 탐구: 황해사 관 음 33응신 봉안 기념 논집
    대한불교 청태종 황해사 [2011]
  • 가면 문화를 만난다
    변산에 양규태 부안문화원 [1997]
  • 靜谷正雄 외, 『大乘의 世界 : 大乘佛敎의 탄생과 발달』, 정호영 역
    대원정사 [1991]
  • 閔漬, 五臺山事蹟記
    「奉安舍利開建寺庵第一祖師傳記」(『국문학논집』7 8合 集 [1975]
  • 觀世音菩薩の硏究
    1976
  • 虎關師鍊, 元亨釋書, 정천구 역주
    씨아이알 [2010]
  • 玄奘 譯 ) ( T31.1597 )
  • 濱田 隆, 「密敎觀音像の成立と展開」, 『密敎美術大觀』 제2권
    朝日新聞社, , 192-200 [1984]
  • 武內紹晃, 「불타관의 변천」. 대승불교 개설, 히라가와 아키라 외 엮음, 정승석 옮김, 181-208
    김영사 [1984]
  • 松長有慶, 『密敎經典成立史論』, 張益 譯
    불광출판사 [1993]
  • 東都 : 漆交社 )
    [1982]
  • 平川彰, 「대승불교의 특질」. 대승불교개설, 히라가와 아키라 외 엮음, 정승석 옮 김, 20-81
    김영사 [1984]
  • 平川彰 외, 『대승불교 개설』, 정승석 역
    김영사, 2001 [1995]
  • 封?·胡岩. 2008. “中?城???力提前退休行?的?究.” ?中?人口科?? 4: 88-94.
  • 印度學佛敎學硏究 12/1
    182-185 . [1964]
  • 佛陀扇多 譯 ) ( T31.1592 )
  • 佛敎說話硏 究 第3卷
    [1978]
  • 中國自然神與自然崇拜
    [1992]
  • 中國基本古籍庫 : http : //library.snu.ac.kr/ )
  • 『六朝古逸觀世音應驗記の硏究』京都 : 平樂寺書店
    [1970]
  • 『화엄의 세계』
    전해주 민족사 [2011]
  • 『한국의 불교사상』
    고익진 동국대학교출판부 [1987]
  • 『한국불교사연구』
    고영섭 한국할술정보(주) [2012]
  • 『한국밀교사상사』
    서윤길 운주사 [2006]
  • 『한국고대불교사상사』
    고익진 동국대학교출판부 [1989]
  • 『천수경과 관음신앙』
    김호성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6]
  • 『진정국사와 호산록』
    허흥식 민족사 [1995]
  • 『중국관음보살상 연구』
    강희정 일지사 [2004]
  • 『종교사회학』
    김종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종교, 상징, 인간』
    유요한 (주)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14]
  • 『원효』
    남동신 도서출판 새누리 [1999]
  • 『연화장 세계의 도상학』
    배진달 일지사 [2009]
  • 『엘리아데 종교와 신화』
    정진홍 주) 살림출판사 [2003]
  •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김두진 일조각 [2007]
  • 『신라초기불교사연구』
    신종원 민족사 [1992]
  • 『삼국의 관음신앙』
    김영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편 [1997]
  •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遊行)』
    고영섭 서울: 박문사 [2015]
  • 『불전해설사전』
    정승석 민족사 [1989]
  • 『불교의식각론(佛敎儀式各論) Ⅵ』
    심상현 서울: 영산불교문화원 한국불교출 판부 [2001]
  • 『묵조선연구』
    김호귀 민족사 [2001]
  • 『교감번역화엄경문답』
    김상현 도서출판씨아이알 [2013]
  • 『관음과 미륵의 도상학』
    강희정 학연문화사 [2006]
  • 『請觀世音菩薩消伏毒害陀羅尼』(T20)
  • 『觀無量壽佛經疏』 (T37.1753)
  • 『義湘 華嚴思想史 硏究』
    전해주 민족사 [1993]
  • 『密敎美術論』 , 便利堂
    [1955]
  • 『密敎の歷史』平樂寺書店
    [1969]
  • 『大樂金剛不空眞實三昧耶經般若波羅蜜多理趣釋』 (T19.1003)
  • 『合部金光明經』 (T16)
  • 『中國の佛敎と文化』11 , 賺田茂雄博士還曆記 念論集
    [1988]
  • 「「낙산이대성(洛山二大聖)」조와 일연의 세계 인식, 질의」
    고운기 고전문학연구 8 : 28-49 [1993]
  • 「「洛山 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의 은유적 이해」
    조현우 한국고전연구 11 : 186-211 [2005]
  • 「「南白月二聖」조에 보이는 <塔像>의 성격과 8세기 불교 신앙의 흐 름」
    박미선 신라문화제 학술발표논문집 37 : 175-207 [2016]
  • 「화엄경의 선재동자 순례」
    전해주 불교학연구 7 [2003]
  • 「화엄경문답연구」
    장진영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신화엄경론에 보이는 이통현의 법계관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고승학 불 교학연구 52 : 173-198 [2017]
  • 「섭대승론의 삼신설」
    정호영 불교연구 33 : 99-129 [2010]
  • 「삼국유사의 고승과 성사 이해: 일연의 역사인식과 관련하여」
    고영섭 한 국불교사연구 13 : 4-50 [2018]
  • 「삼국유사에 실린 분황사 관음보살 설화 역주」
    신종원 신라문화제학술발 표논문집 20 : 31-50 [1999]
  • 「삼국유사를 통해 본 일연 불교사상의 실천적 의지: 重編曹洞五位의 논리에 입각하여」
    김나영 韓民族語文學 66 : 253-298 [2011]
  • 「삼국유사「남백월이성조」의 화엄경 보현행원사상」
    김영재 한국 사상과 문 화 19 : 279-305 [2003]
  • 「삼국유사 탑상편 「백률사조」의 종합적 검토」
    신선혜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 문집 36 : 35-71 [2015]
  • 「삼국유사 탑상편 「민장사」⋅「영취사」조의 성격」
    한기문 신라문화제학술발표 논문집 36 : 5-34 [2015]
  • 「삼국유사 탑상 편에 보이는 삼소관음중생사조에 대한 몇 가지 새로운 검토」
    조범환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36 : 193-219 [2015]
  • 「삼국유사 소재의 불교 설화에 대한 일고찰」
    이동하 삼국유사연구논찬선집 (1), 백산자료원 엮음, 백산자료원 [1986]
  • 「삼국유사 소재 불교설화의 ‘불⋅보살 現身’ 양상과 그 의미」
    김기종 불 교학보 75 : 179-201 [2016]
  • 「삼국유사 고판본과 파른본의 위상」
    김상현 東方學志 162 : 3-27 [2013]
  • 「삼국유사(三國遺事) 「남백월이성(南白月二聖)」의 서술층위와 인물층위」
    신태수 국학연구론총 13 : 76-106 [2014]
  • 「大智度論의 불신론(佛身論) 연구」
    윤미경 韓國佛敎學 37 : 65-102 [2004]
  • 「三國遺事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條의 분석적 이해」
    신연우 韓國民俗 學 33 : 175-98 [2001]
  • 「三國遺事 高僧說話에 나타난 民衆意識」
    윤중배 東洋古典硏究 4 : 3-30 [1995]
  • 「三國遺事 感通篇 「廣德嚴莊」조와 阿彌陀信仰」
    김영미 신라문화제학술 발표논문집 32 : 173-200 [2011]
  • 「三國遺事 感通篇 '憬興遇聖'조를 통해 본 憬興의 생애」
    박찬홍 신라문화제 학술발표논문집 32 : 59-89 [2011]
  • 「한국의 천수관음 신앙과 천수관음도」
    김정희 정토학연구 17 : 149-196 [2012]
  • 「한국의 관음신앙에 관한 연구: 불전과 문화재를 중심으로」
    송법엽 중앙승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한국의 관음신앙 연구」
    이효원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0]
  • 「한국불교 수행 전통과 그 현대적 의미」
    윤원철 동양철학연구 23 : 57-71 [2000]
  • 「한국불교 聖山인식의 시원과 전개: 五臺山 金剛山 寶盖山을 중심으 로」
    염중섭 사학연구 126 : 81-118 [2017]
  • 「한국 관음신앙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연구: 경전과 전통사찰을 중심 으로」
    송법엽 중앙승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한국 관음신앙과 천수경의 위상: 독송 천수경의 형성을 중심으로」
    최상림 위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한국 고대의 제천의례」
    서영대 한국사시민강좌 451-24. 일조각 [2009]
  • 「한국 고대불교사상사 연구」
    고익진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 「한국 고대 신관념의 사회적 의미」
    서영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신라적 변용과 특성」
    이숙희 미술사학연구 250⋅251 : 39-82 [2006]
  • 「통일신라시대 밀교계 도상 연구」
    이숙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통일신라 관음신앙」
    정병삼 한국사론 8 : 3-62 [1982]
  • 「통일신라 관음신앙 연구」
    정병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2]
  • 「통일신라 관음보살상 연구 시론」
    강희정 『인문논총』 63 : 3-33 [2010]
  • 「토함산석굴의 십일면관음보살상 연구」
    강삼혜 강좌미술사 44 : 65-96 [2011]
  • 「캠벨의 신화론」
    김현자 『종교와 문화』 16 : 41-64 [2000]
  • 「초기불교에 나타난 대승공관의 기초: 맛지마 니까야의 『소공경』과 『대공경』을 중심으로」
    담마끼띠 『인도철학』 41 : 297-325 [2014]
  • 「초기 대승경전에 나타난 보살의 이념」
    이영진 대승불교의 보살, 안성두 엮음, 58-84. 씨아이알 [2008]
  • 「천태 지의의 일불승 사상」
    이기운 천태학 연구 4 : 424-451 [2002]
  • 「천궁으로서의 석굴암」
    남동신 미술사와 시각문화 13 : 84-127 [2014]
  • 「중국 화엄과 밀교 교섭의 양상에 대한 고찰: 다라니(陀羅尼)의 수용 (受容)을 중심으로
    정성준 선문화연구 14 : 185-221 [2013]
  • 「중국 중세 관음신앙의 민간 사회 확산 과정: 위진 남북조 수당시기 관음 설화와 밀교 의식의 보급을 중심으로」
    김한신 중국고중세사연구 39 : 97-128 [2016]
  • 「중국 보타도와 한국 변산반도의 관음신앙 비교」
    송화섭 비교민속학 35 : 287~325 [2008]
  • 「중국 남북조시대 ‘생천(生天)’원망(願望) 금동불에 보이는 ‘천(天)’의 개념」
    강희정 미술사와 시각문화 2 : 84-107 [2003]
  • 「자장의 불교사상과 불교 치국책」
    남동신 『한국사연구』 76 : 1-45 [1992]
  • 「일연의 불교사상: 조동선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윤천근 동서철학연구 60 : 115-45 [2011]
  • 「일연의 보편학: 연기 패러다임을 통한 보편적 인간학의 탐색」
    고영섭 동국 사상 27 28 : 88-127 [1996]
  • 「인도 중앙아시아의 圓形堂과 석굴암」
    이주형 중앙아시아 연구 11 : 141-71 [2006]
  • 「의적의 법화경집험기에 대하여」
    김상현 동국사학 34 : 20-32 [2000]
  • 「의적의 법화경집험기 편찬 배경과 특징」
    박광연 역사와 현실 66 : 273-301 [2007]
  • 「의상화상 발원문 연구」
    전해주 불교학보 29 [1992]
  • 「의상 화엄종의 정토신앙 수용태」
    이효걸 불교학연구 1 : 87-125 [2000]
  • 「의상 화엄사상의 역사적 이해」
    남동신 역사와 현실 20 : 39~65 [1996]
  • 「의상 화엄사상 연구: 그 사상사적 의의와 사회적 성격」
    정병삼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1]
  • 「월출산의 관음신앙에 대한 고찰」
    최연식 천태학연구 10 : 208-26 [2007]
  • 「양양 불교설화 속에 보이는 원효와 의상의 역학 관계」
    이한길 구비문학연구 23 : 391-420 [2006]
  • 「신라중고기 법화신앙」
    박광연 韓國思想史學 31 : 67-99 [2008]
  • 「신라의 백률사와 관음보살상」
    여성구 한국고대사탐구 27 : 311-350 [2017]
  • 「신라의 백고좌법회」
    김복순 신라문화 36 : 81-112 [2010]
  • 「신라의 관음신앙과 바다」
    변동명 한국학논총 34 : 417-442 [2010]
  • 「신라불교의 현신 성불관」
    김영태 신라문화 1 : 95-111 [1984]
  • 「신라불교의 巫覡수용과 神聖空間의 재구성」
    김영진 불교학보 68 : 159-184 [2014]
  • 「신라 초기 천신신앙과 산악숭배: 종교문화의 측면에서 본 사회통합 과 지배체제의 정비」
    나희라 한국고대사연구 82 : 131~157 [2016]
  • 「신라 중대 왕권과 밀교」
    이세호 동국사학 49 : 265-292 [2010]
  • 「신라 의적의 法華經集驗記(Ⅰ)」
    이기운 불교원전연구 5 : 39-76 [2003]
  • 「신라 오대산신앙의 성립시기」
    박미선 한국사상사학 28 : 131-160 [2007]
  • 「신라 사천왕사 쌍탑에 관한 연구」
    곽경순 『경주사학』 23 : 33~77 [2004]
  • 「신라 불국토 사상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신동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0]
  • 「신라 불교사에 나타난 願力의 의미: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고승학 한국불교 학 63 : 363-392 [2012]
  • 「신라 문무왕대의 낙산 관음신앙」
    소은애 한국학논총 30 : 45-86 [2008]
  • 「신라 낭산의 역사성」
    주보돈 신라문화 44 : 1-27 [2014]
  • 「신라 上代의 佛寺造營과 그 社會⋅經濟的 基盤」
    이인철 白山學報 52 : 47-81 [1999]
  • 「숨은 천제(天祭)」
    최종성 종교연구 53 : 63-84 [2008]
  • 「석굴암본존불고 2」
    신현숙 한국불교학 22 : 83~127 [1997]
  • 「석굴암 십일면관음의 교학적 해석」
    이경화 불교미술사학 17 : 71-96 [2011]
  • 「석굴암 불교조각의 도상적 고찰」
    강우방 미술자료 56 : 1-48 [1995]
  •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1)」
    박진태 한국민속학 29 : 501-51 [1997]
  • 「삼국시대의 법화신앙과 그 수용」
    김영태 한국천태사상연구, 불교문화연구 소 엮음, 11-40. 동국대학교 출판부 [1983]
  • 「삼국시대 관음보살상에 대한 연구」
    박선영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불교학과 종교학」
    윤원철 불교학연구 18 : 19-40 [2007]
  • 「불교의 수용과 신라인의 죽음관의 변화」
    김영미 한국고대사연구 20 : 145-195 [2000]
  • 「불교 영험서사의 전통과 법화영험전」
    정환국 고전문학연구 40 : 123-159 [2011]
  • 「불교 관음설화의 여성성과 중세적 성격 연구: 삼국유사 소재 자료를 중심으로」
    김헌선 口碑文學硏究 9 : 21-50 [1999]
  • 「변산반도의 관음신앙」
    송화섭 지방사와 지방문화 5 [2002]
  • 「법화영험전의 신앙유형 고찰」
    오지연 천태학연구 11 : 381-401 [2009]
  • 「백화도량발원문의 몇가지 문제」
    김영태 한국불교학 1 : 11-32 [1988]
  • 「백률사 관음보살의 도리천왕래설화의 형성 배경 연구」
    여성구 신라사학보 42 : 329-62 [2018]
  • 「밀교의 현신사상의 형성 고찰」
    배관성 불교학보 43 : 153-170 [2005]
  • 「밀교의 관세음보살의 수행이념」
    정성준 천태학연구 7 : 356-377 [2005]
  • 「만남과 깨달음으로 본 「낙산이대성 관음⋅정취⋅조신」의 의미」
    유광수 연세 어문학 32 : 115-46 [2000]
  • 「동북아 밀교의 수행이념 고찰」
    정성준 한국불교학 44 : 160-94 [2006]
  • 「나려시대 불교 영험서사의 유형과 서사적 특질」
    정환국 대동문화연구 93 : 135-168 [2016]
  • 「나⋅당 동해 관음도량, 낙산과 보타산: 동아시아 해양 불교교류의 역 사 현장」
    조영록 정토학연구 17 : 197-235 [2012]
  • 「관정의례(灌頂儀禮)의 변천에 관한 고찰」
    국광희 정성준 인도철학 54 : 93-122 [2018]
  • 「관음신앙의 현대적 의의」
    정병조 관세음보살 33응신의 종합적 탐구: 황해사 관음 33응신 봉안 기념 논집, 대한불교천태종 황해사 엮음, 95-113, 대한불교 천태종 황해사 [2011]
  • 「관음신앙연구」
    천종환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관음시식에 내재된 불성과 고찰」
    곽성영 『불교문예연구』6 : 269-300 [2016]
  • 「관음상 영험기와 통일신라시대 사실적 조가양식의 확립」
    주수완 민족문화 연구 81 : 11-40 [2018]
  • 「관음보살 신행연구: 대승경론을 중심으로」
    이종섭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09]
  • 「관음보살 신앙의 설화화 양상과 의미연구」
    김용덕 한국언어문화 30 : 21-48 [2006]
  • 「고려후기 법화경 영험담 유포와 그 의의」
    김영미 이화사학연구 45 : 107-140 [2012]
  • 「고대 동아시아 서왕모 신앙 속의 신라 선도산 성모」
    김태식 문화사학 27 : 381-417 [2007]
  • 「경설상의 관음신앙」
    이지관 韓國觀音信仰,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엮음, 10-77. 동국대학교 출판부 [1997]
  • 「變化觀音の諸形式とその作例 ( その二 ) 」 . 『變化觀音の成立と展開』 , 上野 記念財團助成硏究會報告書 6 , 上野記念財團助成硏究會 編 , 18-21
    [1979]
  • 「義湘의 行路와 사상적 변화에 대한 고찰」
    석길암 『불교학보』59 : 85-107 [2011]
  • 「義湘과 元曉의 관음신앙 비교: 三國遺事 「洛山二大聖 觀音 正趣 調信」
    박미선 을 중심으로」. 韓國古代史硏究 60 : 197-230 [2010]
  • 「石窟庵 造營 배경과 본존불상 도상의 화엄교의적 해석」
    서지민 불교미술사학 28 : 195-220 [2019]
  • 「智異山의 山神, 聖母에서 老姑까지」
    송화섭 남도문화연구 20 : 245~78 [2007]
  • 「斷俗寺神行禪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http://gsm.nricp.go.kr)
  • 「新羅의 佛敎受容과 天神觀念」
    서영대 『한국사상사학』 10 : 1-30 [1998]
  • 「新羅五臺山事蹟과 聖德王의 卽位背景」
    신종원 崔永禧先生華甲紀念韓國史 學論叢. 探求堂 [1987]
  • 「新羅 五臺山信仰의 구조」
    신동하 人文科學硏究 3 : 1-28 [1997]
  • 「報身佛 思想의 展開에 대한 一考」
    정성준 불교학보 42 : 19-36 [2005]
  • 「吐含山 石窟의 點定과 그 背景」
    장충식 新羅文化祭學術發表會論文集 21 : 87~106 [2000]
  • 「十一面観音菩薩の成立」『東海佛敎』 21
    13-31 . [1971]
  • 「中國 古代 觀音菩薩像의 圖像 연구: 觀音名像을 中心으로」
    강희정 서울대 학교박사학위논문 [2001]
  • 「三身佛의 전개와 그 의미」
    노권용 韓國佛敎學 32 : 51-74 [2002]
  • 「一然의 禪思想과 삼국유사의 상관성」
    오대혁 동악어문학 60 : 39-73 [2013]
  • 「『삼국유사』를 통해 본 고대사회의 제의문화」
    박진태 『비교민속학』 21 : 367-94. 박진태 외, 『삼국유사의 종합적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2002 [2001]
  • 「‘진신’에 관하여」
    이주형 인문논총 45 : 227-261 [2001]
  • 「‘관음사연기설화’와 형성기 심청전의 불교사상」
    오대혁 동악어문학 44 : 69-102 [2005]
  • 「Kailas산의 수미산설에 관한 종합적 고찰」
    염중섭 불교학연구 17 : 317-352 [2007]
  • 「9세기 후반 해양불교의 전개」
    조영록 장보고 선단과 해양불교. 해상왕장 보고기념사업회, , 89-98 [2004]
  • 「8세기 신라 불교의 동향과 동아시아 불교계」
    최연식 불교학연구 제12호 [2005]
  • 「7-8세기 당, 신라, 일본의 국가제사체계 비교」
    나희라 한국고대사연구 22 : 291-324 [2004]
  • Weber, Max,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 박성수 역
    서울: 문예출판사 [2006]
  • Vermeersch, Sem, “The Samgukyusa and National History: From Local Narrative to National Icon (and Back?)
    ” 코기토 66 : 179-203 [2009]
  • The Early Chinese Buddhist Mitacle Tale : A Preliminary Survey
  • T8 ) ( T13.397 )
  • T26 ) ( T44.1851 )
  • T17 ) ( T33.1710 )
  • T16 ) ( T32.1646 )
  • Paden, William E.., 『비교의 시선으로 바라본 종교의 세계』, 이진구 옮 김
    청년사 [2004]
  • Paden, William E., 성스러움의 해석, 이민용 옮김
    청년사 [2005]
  • Otto, Rudolf, 『성스러움의 의미』, 길희성 역
    분도출판사 [1987]
  • Mircea, Eliade, 샤머니즘: 고대적 접신술. 이윤기 옮김
    까치 [2007]
  • Mircea, Eliade , 『성과 속』, 이은봉 역
    한길사, [1998] [2004]
  • Mason, David A, 산신: 한국의 산신과 산악숭배의 전통. 신동욱 옮김
    한림출 판사 [2003]
  • Lincoln, Bruce, 『신화 이론화하기(Theorizing Myth)』 김윤성, 최화선, 홍윤 희 옮김
    (주)이학사 [2010]
  • Kuan-Yin : The chinese Transformation of Avalokitesvara ,
    [2001]
  • Jonathan Z. Imagining Religion-From Babylon to Jonestown
    [1982]
  • James, William,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김재영 역
    한길사 [2018]
  • Is the Samgukyusa Reliable ?
  • H6 : http : //kabc.dongguk.edu )
  • H4 : http : //kabc.dongguk.edu )
  • H2 : http : //kabc.dongguk.edu )
  • H1 : http : //kabc.dongguk.edu )
  • Chandra, Lokesh 「입법계품(화엄경)과 석굴암」
    『慶州史學』4 [1985]
  • Capps, Walter H, 『현대 종교학 담론』, 김종서 외 역
    까치글방 [2006]
  • Campbell, Joseph・Moyers, Bill D, 『신화의 힘(Power of Myth)』, 이윤 기 역
    고려원 [1994]
  • Autobiography , volum Ⅱ : 1937-1960 : Exile 's Odyssey , tr . Mac Linscott Rickets
    188-189 [1988]
  • A Koreanist ’ s Musings on the Chinese Yishi Genre ,
    6/1 (31-59 .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