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숲, 집 : 기억의 공간을 위한 그리기

이혜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숲, 집 : 기억의 공간을 위한 그리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그림작품과 그리기
  • 공간
  • 긋기
  • 기억
  • 수묵
  • 시간
  • 여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478 0

0.0%

' 숲, 집 : 기억의 공간을 위한 그리기' 의 참고문헌

  • 李鈺,『鳳城文餘』
  • 李漁, 『閑情偶奇』
  •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진리와 방법1』, 이길우 외 역
    파주:문학동네 [2015]
  • 한국미술연구소 서울여대 조형연구소 편, 『드로잉』
    서울:시공사 [2001]
  • 하우스켈러, 『예술이란 무엇인가』, 이영경 역
    미카엘 서울:철학과현실사 [2004]
  •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김창석 역
    마르셀 서울:국일미디어 [1998]
  • 푸전위안, 『의경-동아시아 미학의 거울』, 신정근 임태규 서동신 역
    서울:성균관대 학교출판부 [2013]
  • 크리스티안 노버그 슐츠, 『장소의 혼』, 민경호 외 역
    서울:태림문화사 [1996]
  • 질 들뢰즈, 『프루스트와 기호들』, 서동욱 역
    서울:민음사 [2004]
  • 장파, 『중국미학사』, 백승도 역
    파주:푸른숲 [2012]
  • 장림 정우진 성종상, 「 한정우기(閑情偶寄)를 통해 본 이어(李漁)의 조원(造園) 이 론」
    『한국전통조경학회지』36: 137-148 [2018]
  • 이찬 최영재, 「메를로-퐁티의 신체지각을 통한 감성 공간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 회 논문집』 17: 39-46 [2008]
  • 이다혜, 「발터 벤야민의 산보객Flaneur 개념 분석」
    『도시연구』1: 105- 128 [2009]
  •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우, 『인간과 공간』, 이기숙 역
    서울:에코리브르 [2011]
  • 언규, 「중국회화에 나타난 ‘빔’의 미학」
    『글로벌문화콘텐츠』3: 108-134 [2009]
  • 앙리 베르그손, 『창조적 진화』, 황수영 역
    서울:아카넷 [2005]
  • 앙리 베르그손, 『사유와 운동』, 이광래 역
    서울:문예출판사 [1993]
  • 앙리 베르그손, 『물질과 기억』, 박종원 역
    서울:아카넷 [2005]
  • 스티븐 컨, 『시간과 공간의 문화사』, 박성관 역
    서울:휴머니스트 [2004]
  • 박은순, 「朝鮮時代의 樓亭文化와 實景山水畵」
    『미술사학연구』: 149-186 [2006]
  • 박은순, 「 조선후기 사의적 진경산수화의 형성과 전개 」
    『 미술사연구 』 16: 333-364 [2002]
  • 박은수, 「근대기 동아시아의 문인화 담론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20: 29-51 [2009]
  •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황수영 서울:그린비 [2006]
  • 메를로-퐁티, 『눈과 마음』, 김정아 역
    모리스 서울:마음산책 [2008]
  • 다우어 드라이스마, 『은유로 본 기억의 역사』, 정준형 역
    서울:에코리브르 [2015]
  • 다비드 르 브르통, 『걷기예찬』, 김화영 역
    서울:현대문학 [2002]
  • 雪巖, ?雪巖雜著?卷2, 1710 (http://kabc.dongguk.edu/Home/Search).
  • 遠藤誠, 「永山くんは一つの奇跡だった」, 阿部晴政編集, 『永山則夫 : ?りで誕まれて?た のでありとある日?りで死んで逝くのだ』, 河出書房新社, 2013.
  • 蘇軾, 『集註分類東坡詩』
  • 蘇軾, 『蘇東坡全集』
  • 蘇毅(2014),「國家文化安全戰略下的中國文化走出去戰略」,?南大學國際關係學院.
  • 葉舒憲, ?高唐神女維納斯?(?西人民出版社, 1997)
  • 華嚴論節要, 普照全書
  • 笪重光 『畫筌』
  • 石濤, 『畵譜』
  • 慧遠 著, ??大乘義章?? (??大正藏?? 44)
  • 吳道一, ?西坡集?, 韓國文集叢刊 152.
  • 劉洋(2008),“?放金融市?下我?商??行?人理???的?展?略,”商??代化, 2008(08), 349.
  • 『呂氏春秋』
  • 『論語』
  • 『한국전통건축과 동양사상』
    임석재 파주:북하우스 [2005]
  • 『풍경과 마음』
    김우창 서울:생각의 나무 [2003]
  • 『중국예술정신』
    서복관 권덕주 외 역, 서울:동문선 [1990]
  • 『인문정신으로 동양 예술을 탐하다』
    주량즈 서진희 역, 서울:알마 [2016]
  • 『완당평전』
    유홍준 서울:학고재 [2002]
  • 『시간의 철학적 성찰』
    소광희 서울:문예출판사 [2009]
  • 『베르그손의 잠재적 무의식』
    김재희 서울:그린비 [2010]
  • 『베르그손-지속과 생명의 형이상학』
    황수영 서울:이룸 [2003]
  • 『미학으로 동아시아를 읽다』
    이성희 서울:실천문학 [2012]
  • 『追憶 : 中國古典文學中的往事再現』 , 鄭學勤 譯
    [2004]
  • 『莊子』
  • 『老子』
  • 『益州名畵錄』
  • 『畵旨』
  • 『淮南子』
  • 『歷代名畵記』
  • 『偃曝餘談』
  • 『21세기의 동양철학』
    신정근 이동철 최진석 서울:을유문화사 [2005]
  • 「凌壺觀 李麟祥의 藝術精神 硏究」
    신은숙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한시 의상설과 조선 중기 한시의상 연구」
    임준철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추사 김정희 <세한도>의 재해석: <세한도>와 <쌍송도>의 관계, 그 동인(同人) 의 철학적 의미」
    조송식 『美學 藝術學硏究』52: 167-203 [2017]
  • 「중국원림의 차경이론 연구」
    이유직 『한국전통조경학회지』16: 35-45 [1998]
  • 「중국산수화에서 의경의 의미」
    이광수 『미술문화연구』1: 239-266 [2012]
  • 「정서적 공간체험의 현상으로서 공간적 분위기의 의미와 공간 디자인 구현 방법」
    김윤정 박찬일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24: 88-99 [2015]
  • 「여백(餘白)의 생명미학(生命美學)에 관한 고찰」
    김응학 『동양예술』19: 287-317 [2012]
  • 「수용자 해석 공간으로서 '여백'에 대한 연구」
    오세권 『기초조형학연구』5: 14-24 [2004]
  • 「생태주의로 본 의경, 그 감각의 시작」
    김자림 『동양예술』23: 55-73. 1 [2013]
  • 「산수화의 여백에 관한 고찰」
    윤세열 『한국예술연구』20: 117-136 [2018]
  • 「산수화의 ‘의경(意境)’에 관한 연구」
    김인숙 『동아인문학』38: 299- 317 [2017]
  • 「산수화에 반영된 자연관과 집의 의미」
    박영택 『한민족문화연구』33: 31- 63 [2010]
  • 「산수화 준법의 조형성 연구」
    지순임 『상명여자사범대학』16: 387-422 [1985]
  • 「부벽준과 운두준의 개념 및 조선 후기 부벽준과 운두준 표현」
    김성희 『동양미술사 학』8: 173-204 [2007]
  • 「보르헤스 작품에 나타난 시간의 철학적 의미」
    김재희 『철학연구』 74: 43-62 [2006]
  • 「베르그송, 들뢰즈 그리고 베케트 문학의 '잠재태' 혹은 '순수과거'의 시간」
    윤화영 『비평과 이론』10: 39-72 [2005]
  • 「베르그손의 의식과 지속에 관하여」
    이선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베르그손의 무의식 개념에 대한 연구」
    김재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베르그손 철학에서 의식의 주관성과 객관성」
    황수영 『철학』105: 21- 46 [2010]
  • 「매체의 관점으로 본 "시서화일률(詩書畵一律)"론」
    김백균 『미학』48: 1-28 [2006]
  • 「망각과 회상- 년대 에리히 아우어바흐와 발터 벤야민의 문학적 친화력 연구」
    김영룡 『독일어문화권연구』20(2011): 141-165 [1920]
  • 「도시, 기억, 산보- 벤야민의 거리의 산보객 이론에 관하여」
    윤미애 『오늘의 문예 비평』51: 209-225 [2003]
  • 「董仲舒의 미학사상 연구: 天人感應論의 구성을 중심으로」
    서진희 서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1996]
  • 「東洋畵의 線- 그 성질과 경향성」
    김기주 『미술사학보』32: 89-126 [2009]
  • 「『물질과 기억』에 나타난 베르그송의 이미지 존재론 연구」
    김선주 서울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09]
  • 「 현대미술에서 드로잉의 가치와 미학적 평가기준 」
    김승호 『 예술과 미디어 』 15: 75-103 [2016]
  • 「 미학적 사고로 본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인식연구 」
    이승숙 『 한국디자인포럼 』 16: 291-301 [2007]
  • 「 “ 태극 ” 의 세계관 안에서 필력에 대한 이해 」
    김백균 『 동아시아문화와예술 』 1: 215-235 [2004]
  • [13] 高娥(2010),"中國電視公益廣告的美學闡釋”, 山東師範大學,碩士論 文.
  • The Primacy of Perception
    [1964]
  • Holl, Steven, Anchoring, New York: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1.
    [1991]
  • Hills beyond a River : Chinese Painting of the Yüan Dynasty , 1279– 1368
    [1976]
  • ??산수화의 미학??
    조송식 파주:아카넷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