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대중저항운동과 정책변동 : 촛불집회 사례를 중심으로

전별 2020년
논문상세정보
' 대중저항운동과 정책변동 : 촛불집회 사례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공행정과 군사학
  • Candlelight rallies
  • Policy change
  • Policy defense mechanism
  • Popular protest movement
  • factors of policy change
  • 대중저항운동
  • 정책방어기제
  • 정책변동
  • 정책변동 요인
  • 촛불집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92 0

0.0%

' 대중저항운동과 정책변동 : 촛불집회 사례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활동공중 이해를 위한 촛불집회의 문화적 의미 고찰
    김자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4):162-173 [2019]
  • 환경운동과 가치변화 측면에서 본 천성산 사례연구
    진상현 환경사회학연구. 10(1):73-103 [2006]
  • 호주 이민정책의 변동과정 및 정책지향 분석: 단속평형이론을 중심으로
    임동진 한국비교정부학보. 22(1):57-87 [2018]
  • 호사라 전재현.미국의 사례가 학업성취도평가 중심의 학력향상 정책 개발에 주는 시사점
    교육평가연구. 19(1):73-99 [2006]
  • 헌법재판이야기: 살림지식총서238-노무현대통령 탄핵사건-대통령도 법을 어기면 물러나야
    오호택 살림 [2006]
  • 헌법재판소 결정과 단절적 정책변동: 집시법 제10조 야간옥외집회금지에 관한 결정을 중심으로
    김향미 이삼열 현대사회와 행정. 25(2):75-102 [2015]
  • 핵폐기장 갈등의 구조와 동학: 부안 사례를 중심으로
    김철규 조성익 경제와사회. 63:12-28 [2004]
  • 한전의 밀양 765kV 송전탑 건설 갈등 관리전략으로 인한 이해관계가 변화와 공동체 붕괴
    김우창 윤순진 ECO. 22(1):171-208 [2018]
  • 한국일보 홈페이지(www
    hankookilbo.com)
  • 한국의 정책중개자는 누구인가: ACF 정책변동을 중심으로 한 메타분석의 적용
    서인석 조일형 한국행정학보. 48(3): 227-256 [2014]
  • 한국의 정책변동과정에서 나타난 정책선도가의 유형, 역할과 전략은 무엇인가?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에 대한 메타분석
    장현주 한국정책학회보. 26(2):449-474 [2017]
  •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 빅카인즈(bigkinds
    or.kr)
  • 한국사회 집회 시위문화의 변동과 특징: 역사적 맥락에 따른 그 유형과 실태를 중심으로
    한기덕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067-1082 [2012]
  • 한국 전자정부 정책변동 연구: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이상윤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한겨레 홈페이지(www
    hani.co.kr)
  • 학업성취도 평가의 교육과정 질 관리 역할
    김경희 교육과정평가연구. 20(4):145-173 [2017]
  • 프랑스 대학입학제도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분석
    박상완 비교교육연구. 26(4):1-30 [2016]
  • 평택미군기지를 둘러싼 지역사회 갈등의 전개과정과 이의 해소를 위한 도시 거버넌스의 발전방향: 토지수용 전단계를 중심으로
    최승범 한국정책연구. 9(1):63-86 [2009]
  • 파이낸셜 뉴스 홈페이지(www
    fnnews.com)
  • 촛불항쟁과 지속가능한 대중 참여의 필요조건
    박태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1073-1082 [2009]
  • 촛불항쟁 이후의 시민정치와 공론장이 변화: 문빠 대 한경오, 팬덤정치와 반지성주의
    천정환 역사비평. PP386-406 [2017]
  • 촛불집회에 대한 보도경향과 이데올로기: 백선기의 기호네트워크구조 분석과 담론구조 분석 적용을 중심으로
    백선기 백은정 기호학연구. 29:227-269 [2011]
  • 촛불집회 이후 시민과 시민사회단체의 양자간 인식변화: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신상준 윤창원 이영동 NGO연구. 13(3):153-193 [2018]
  • 촛불시위와 한국 시위문화의 변동: 거시적 변화에 대한 미시적 설명
    김욱 한국정당학회보. 9(2):33-59 [2010]
  • 촛불시대의 도래와 남겨진 과제: 2000-2010 시기의 촛불집회를 중심으로
    김형주 현대사회과학연구. pp79-100 [2017]
  • 촛불 시위를 통해 본 비폭력 저항의 이론과 실천
    이재봉 한국동북아논총. 23(2):133-151 [2018]
  • 집회시위의 자유
    김승환 민주법학. 297-332 [1999]
  • 집합행동의 개인화와 사회운동 레퍼토리의 변화
    최재훈 113:66-99 [2017]
  • 지역사회에서의 저항과 참여적 의사결정 구조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고압 송전탑 설치와 지역주민의 저항을 중심으로
    윤성복 시민과세계. 33:69-102 [2018]
  • 지방정부 정책과정에서의 NGO 참여와 역할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 명지대교 건설사례를 중심으로
    김상구 최병대 지방정부연구. 7(3):123-143 [2003]
  • 지방자치단체와 중앙정부간의 갈등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부안 방상성폐기물관리시설 유치를 주임으로
    김영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중앙일보 홈페이지(www
    joongang.joins.com)
  • 조진만.투표와 촛불집회: 참여요인 비교와 관계 분석
    의정논총. 12(2):117-136 [2017]
  • 조수원열사정신계승사업회 1991년5월 그때 무슨 일이? <추모>20주기 한진중공업 박창수열사 정신계승제
    출처: S&T대우 노동조합 홈페이지 [2012]
  • 조선족, 탈북자 그리고 한중관계
    정천구 통일전략. 6(1):189-214 [2006]
  • 조선일보 홈페이지(www
    chosun.com)
  • 제주 해군기지 정책변동과정에 대한 동태적 분석: 정책옹호연합모형의 적용을 통한 연구
    고종협 권용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0(3):139-178 [2009]
  • 정치참여 유형으로서의 촛불집회: 대표성과 변화
    이현우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7-26 [2008]
  • 정치적 요인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정책 변동유형 연구: 박 원순 서울시장의 취임 전후 정책비교를 중심으로
    강현철 임성은 GRI연구논총. 19(2):277-302 [2017]
  • 정치적 요인에 따른 복지정책 변동유형 분석
    임성은 도시행정학보. 28(2):85-106 [2015]
  • 정책학
    권기헌 박영사 [2012]
  • 정책변동의 유형에 대한 재평가와 정책변동원인
    박호숙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05-223 [2005]
  • 정책변동의 영향요인 연구: 제4차 공무원연금개혁을 중심으로
    신명주 가톨릭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정책변동의 관점에서 본 개발촉진지구정책과 신활력지역정책의 도입특성 비교
    김영단 지방행정연구. 31(3):301-322 [2017]
  •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Ⅱ)
    박해룡 한국행정논집. 2:119-130 [1990]
  • 정책변동과정에서 집행평가의 영향에 관한 연구: 외국어고등학교 정책추진과정을 중심으로
    공병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정책변동과 일관성 영향요인 연구-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 대북정책의 비교분석-
    조승연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정책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그린벨트정책사례를 중심으로-
    강은숙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책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국가보안법 개정과정을 중심으로
    이대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정책담론모형을 활용한 도서정가제 정책변동 분석: 구조와 행위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김성수 최창근 지방정부연구. 22(4):185-208 [2019]
  • 정세분석.탈북동포
    모퉁이돌 왜 모른체 하나(1), (2). blog.naver.com/chryvktkfkdg/30005452418 [2006]
  • 정부변동에 따른 정책변동의 사례분석: 고용노동부의 일자리장출 정책을 중심으로
    이시원 정준금 지방정부연구. 22(3):293-319 [2018]
  • 정보통신 규제정책 변동과정 분석: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금 규제정책을 중심으로
    김준연 김창영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2(1):1-26 [2019]
  • 전쟁기념관.끝나지 않는 전쟁: 북한의 핵 위협
    제공처: 전쟁기념관(www.warmemo.or.kr) [2012]
  •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Kingdon모형의 발전적 적용을 중심으로
    이정훈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전략관계적 접근(Strategic Relational Approach)을 통한 대학 구조개혁 정책 변동 분석
    김선희 국가정책연구. 32(4):27-57 [2018]
  • 전남조은뉴스 홈페이지(www
    jngoodnews.co.kr)
  • 자연재해에 대한 관광위기관리정책의 정책변동과정 분석: Birkland의 사건관련정책변동이론의 적용
    오은비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인터넷 감성이 온라인 항의 참여와 오프라인 시위 참여에 미친 영향: 2008년 촛불집회 분석
    김상돈 정일준 한국과 국제정치. 25(4):217-255 [2009]
  • 이슈형 사이버 커뮤니티 네트워크의 시민참여
    송경재 국가전략. 17(2):91-121 [2011]
  • 이슈관심주기모형을 적용한 관광위기관리정채의 정책변동 분석: 경주 9.12 지진을 사례로
    김경희 오은비 이연택 관광연구논총. 29(4): 55-79 [2017]
  • 이라크파병반대운동의 전개와 그 동학에 관한 연구: 정치과정론적 관점에서
    김현미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유훈.정책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35(1):17-32 [1997]
  • 유훈 『정책변동론』
    서울: 대영문화사 [2009]
  • 위협 경직성 논제를 적용한 ‘초점사건 이후 정책과정 모형’ 연구: 한국의 입법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정책과정 이론과 모형 적실성 검토를 중심으로
    이동규 한국정책학회 춘계학술대회 [2013]
  • 우리나라 치안정책의 변동요인에 관한 연구: AHP 기법활용 및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이창원 임용환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8(2):221-247 [2018]
  • 우리나라 집회 시위의 폭력적 특징과 대처방안
    윤시영 지방정부연구. 11(1):227-248 [2007]
  •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한 감정노동자 보호 정책의 변동: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원수연 이혜경 한국행정학보. 52(3):151-184 [2018]
  • 오마이뉴스 홈페이지(www
    ohmynews.com)
  • 오마이뉴스 생명의 대안은 없다
    그 자체가 질문이고 답 [2006]
  • 오마이뉴스 명지대교 건설 허가
    녹색연합 농성돌입 [2005]
  • 영화사전(propaganda)
    스크린 쿼터
  • 연합뉴스 홈페이지(www
    yna.co.kr)
  • 언론의 점화효과와 정책결정: MBC PD수업이슈를 중심으로
    박기묵 한국행정논집, 29(1):1-26 [2017]
  • 신행정수도 건설정책과정의 이론적 해석 -Hogwood & Peters의 정책동태론의 관점
    안형기 양승일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8(3):81-100 [2006]
  • 시사포커스.보수단체
    북한 핵실험 반대 촛불집회 [2006]
  • 시사파주
    주민생존권 보장과 무건리 훈련장 확장반대 기자회견 [2011]
  • 시간강사처우 개선정책 변동과정 분석: 이익집단위상 변동과 정책딜레마 결합모형의 ‘강사법’ 적용사례
    배용수 국자정책연구. 33(2):59-88 [2019]
  • 소프트웨어산업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이익집단위상변동 모형 및 정책변동유형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강혜연 엄태호 국가정책연구. 30(4):139-166 [2016]
  • 세종시 정책변동 과정에 관한 연구: 정책옹호연합모형과 다중흐름모형모형을 중심으로
    최성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
  • 세계일보 홈페이지(www
    segye.com)
  • 세계문화사전: 지식의 세계화를 위하여-스크린쿼터제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2005]
  • 석면위험과 석면정책변동
    김창수 남명숙 양기용 지방정부연구. 20(4):187-212 [2017]
  • 서울신문 홈페이지(www
    seoul.co.kr)
  • 서울시 뉴타운정책변동의 유형학적 특성분석: 서울 시장(정책리더)을 중심으로
    김영단 임성은 최근희 한국행정연구. 23(2):63-84 [2014]
  • 사회운동의 미시적 결과와 정치화: 2008년 촛불집회 청소년 참여자의 분화와 변동을 중심으로
    이해진 한국사회. 18(2):71-110 [2017]
  • 사회운동의 래퍼토리: 2016-2017년 촛불집회이 참여강도
    장우영 사회과학논집. 49(2):137-154 [2018]
  • 사회운동과 공공정책의 역동적 관계연구
    권해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 사회갈등의 확산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촛불시위를 중심으로
    임도빈 허준영 행정논총. 48(4):55-80 [2010]
  • 사이버 공간의 의사소통 구조와 사이버 시민성의 교육
    임상수 윤리연구. 37:51-77 [2009]
  • 북한인권과 탈북자 문제
    김인혁 통일전략. 5(2):69-112 [2005]
  • 법원 이야기: 살림지식총서 390-도롱뇽 소송
    오호택 살림 [2011]
  • 방폐장입지정책에서 나타난 ‘주민투표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울산시와 경주시의 정책갈등을 중심으로
    김도희 10(4):91-111 [2006]
  • 박근혜탄핵 촛불집회의 정치 참여 유형: 혁명인가, 정치적 항의인가
    한상익 한국정치연구. 28(2):117-141 [2019]
  • 미디어워치.북핵실험 반대
    대규모 촛불집회 [2006]
  • 미디어스.언론악법 8년
    그들은 목적을 달성했다 [2017]
  • 물관리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물관리기본법 제정사례를 중심으로
    노은경 배수호 국정관리연구. 14(2):137-166 [2019]
  • 문화일보 홈페이지(www
    munhwa.com)
  • 문화이론적 관점에서의 환경갈등 분석: 위천공단조성과 명지대교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강성철 문경주 지방정부연구. 9(3):223-246 [2005]
  • 문채, 김광구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기무사 과 천 이전사업을 사례로
    국토계획. 41(6):177-193 [2006]
  • 머니투데이 홈페이지(www
    mt.co.kr)
  • 매일경제. 전시작전통제권
    제공처: 매경닷컴(www.mk.co.kr)
  • 디트뉴스24.헌재
    행정도시특별법 합헌 판결(blog.naver.com/liglig416) [2005]
  • 동아일보 홈페이지(www
    donga.com)
  • 동북아의 힘겨루기와 중국의 저울. 통일한국
    정상현 10월호:46-47 [1999]
  • 동물보호 정책변동의 시민참여 정책환류 기제 연구: 자원효과와 해석효과를 중심으로
    박형준 주지예 한국행정학보. 53(2):151-182 [2019]
  • 대형국책 건설사업의 환경분쟁 딜레마 상황에 관한 연구: 밀양송전탑건설 을 중심으로
    윤학수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 대통령의 중점정책 변동 과정에서 언론과 여론의 영향 관계분석-행정수도와 4대강 사업 정책을 중심으로
    최영해 성균관대학교 규정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대통령 탄핵 촛불 집회의 교육적 의미
    김용기 임동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6):311-318 [2017]
  • 다중흐름분석을 적용한 가정폭력방지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정책의 초기개입의무를 중심으로
    손영진 허경미 한국공안행정학회보. 65:197-232 [2016]
  • 다중흐름모형을 이용한 과학기술 연구회제도의 정책변동 분석
    이찬구 장문영 기술혁신학회지. 20(4):858-887 [2017]
  • 다음 블로그(blog.daum.net/peace_corea). 훈련장 백지화 주민대책위 블로그. 한미공동훈련장 무건리 훈련장 확장반대!
    오현리를 함께 지켜 주세요!
  • 뉴시스.폐지되는 일제고사...거부 교사 31명 징계
    해임 13명 교단 돌아와 [2017]
  • 뉴시스.천영석 탁구협회장 탄핵안 통과
    친회장파는 법적 대응 [2008]
  • 눈사람클럽(cafe.naver.com/poletopole2)
    고전재규 연구원 국립묘지안장 추진 경과보고서
  •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21세기사 [2019]
  • 노무현이 선택한 사람들:2. 여풍당당, 금녀의 벽을 허물다_강금실 법무장관
    최광웅 더굿북 [2016]
  • 내일신문 홈페이지(www
    naeil.com)
  • 내일신문 기무사 이전 관련 다자간 협의체 구성 했지만
    1년 만에 마주 앉고도 평행선 [2005]
  • 군사시설 입지갈등에 관한 연구: 기무사령부 이전과 제주 해군기지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김길웅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군사시설 입지갈등에 관한 연구: 기무사령부 이전과 제주 해군기지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서휘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 국책사업의 갈등관리 성패요인에 관한 연구: 미군기지 평택이전과 기무사령부 과천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윤일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국민일보 홈페이지(www
    kmin.co.kr)
  • 국낸 민-군 관계 갈등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군 부대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윤 우석대학교 국방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교장공모제와 정책변동 방향에 관한 연구
    이광현 교육정치학연구. 25(3):185-214 [2018]
  • 교육정책 변동과정 분석에서 ACF의 유용성과 한계: 옹호연합, 신념체계, 정책지향적 학습을 중심으로
    김동현 박준회 변기용 선애경 장정현 교육정책학연구. 24(3):27-52 [2017]
  • 교부.미국개항: 한 미 자유무역협정(FTA)
    출처: 외교부(www.mofa.go.kr) [2009]
  • 교부.미국개항: 북핵문제
    출처: 외교부(www.mofa.go.kr) [2009]
  • 관료제와 민주주의의 딜레마: 천성산 원효터널 분쟁의 프레임 분석
    김창수 지방정부연구. 12(1):61-86 [2008]
  • 공공정책의 갈등관리: 평택미군기지이전사업을 중심으로
    서보경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공공시설 이전 정책의 집행과정 연구: 기무사 과천 이전과 특전사 이천 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이연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공공갈등 관리의 관점에서 본 청선산 갈등
    박재묵 분쟁해결연구. pp5-37 [2005]
  • 고형면.사회적 응집을 통해서 본 한국사회의 질: 2008년 촛불집회에 대한 분석을 사례로
    한국사회사학회. 82:393-423 [2009]
  • 경향신문 홈페이지(www
    khan.co.kr)
  • 결사체 활동, 시민성, 그리고 촛불집회 참여의 경로구조
    도묘연 현대정치연구. 10(2):5-41 [2017]
  • 거버넌스를 통한 정책갈등 예방 모색: 부안사태와 제주해군기지 사례를 중심으로
    강영진 국정관리연구. 4(2):67-92 [2009]
  • 강원일보
    혁신도시 7개 등급평가 [2005]
  • 『정책변동론: 이론과 적용』
    양승일 박영사 [2014]
  • 『연합뉴스』
    ‘경찰이 X파일 수사해야’ 집회에 경찰관 참가 [2005]
  • “단절과 점진의 화해 : 경로생성과 경로조정의 관점에서 본 노동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한종희 한국행정연구. 27(2):211-242 [2018]
  • ‘통일교육지원법’ 정책변동에 관한 연구: 킹던(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이미혜 이은미 사회과학논집. 49(1):121-142 [2018]
  • the Policy Studies Journal
    40 ( 1 ) : 89-107 . [2012]
  • pmg지식엔진연구소(www.pmg.co.kr). 시사상식사전
    한국군 이라크 파병
  • Upsetting the agenda : the clout of external focusing events in the European council
    35 ( 3 ) :505-530 [2015]
  • Understanding Policy Change Using a Critical Junctures Theory in Comparative Context : The Cases of Ireland and Sweden
    40 ( 2 ) : 324-350 [2012]
  • Timing Successful Policy change : Lesson from the Civil Service
    [2000]
  • The Rally 'Round the Flag Effect in U.S. Foreign Crises , 1950-1985
    17 ( 4 ) :379-401 . [1995]
  • The Outcomes of Homeless Mobilization : The Influence of Oraganization , Disruption , Political Mediation , and Framing
    105 ( 4 ) : 1063-1104 [2000]
  • The Move from Protectionism to Outward-looking Industrial Development : A Critical Juncture in Irish Industry Policy ?
    58 ( 3 ) :107-129 . [2010]
  • The Limits of Policy Change : Incrementalism , Worldview , and the Rule of Law
    [2001]
  • The Benefit of the Doubt : Testing an Informational Theory of the Rally Effect
    [2007]
  • Social Protest and PolicyChange : Ecology , Antinuclear , and Peace Movements inComparative Perspective
    [2004]
  • Social Movement Tacits , OrganizationalChange and the Spread of African-American Studies
    84 ( 4 ) :2147-2166 . [2006]
  • SPSS/AMOS 논문 통계분석
    양지안 이현실 한나래 [2017]
  • Public Attention to a Local Disaster versusCompeting Focusing Events : Google Trends Analysis Following the 2016 Louisiana Flood
    [2019]
  • Protests , Rallies , Marches , and Social Movement as OrganizationalChange Agents
    21 ( 2 ) : 150-174 . [2019]
  •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 Collective action Events , and Meaningful Citizen Engagement : Social Media Use During Mass Protests
    10 ( 2 ) : 70-75 [2018]
  • Naver. blog/naver.com/parkpolsoon
    BBK 주가조작 사건
  • Naver. blog/naver.com/lbj
    천영석 대한탁구협회장이 사퇴 하여야할 이유
  • Media Framing and Policy Change after Columbine.
    52 ( 20 ) :1405-1425 . [2009]
  • Mechanism of Policy Change : A Proposal for a Synthetic Explanatory Framework
    11 ( 1 ) :117-143 [2009]
  • Making Policy Making Change : How Communities are taking Law into Their Own Hands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통한 자유학기제 정책형성 및 자유학년제로의 정책변동 분석
    박대권 이예슬 정양순 교육정치학연구. 25(1):143-172 [2018]
  • Integrating Health System Preparedness and Community Resilence : Using the CMS Preparedness Rule as a Focusing Event
    16 ( 5 ) :356-363 . [2018]
  • How to do ( or not to do ) ... Assessing the impact of a policy change with routine longitudianl data
    27 : 76-83 [2012]
  • How our Understanding of Policy Change is affected by the Measurement of Public Policy , Hypothetical Determinants of Change ,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2011]
  • Hogwood와 Peters의 이론을 적용한 여성과학기술 인력 육성 지원정책 변동 분석
    김은미 손주연 이찬구 한국행정논집. 30(2):411-436 [2018]
  • Focusing on the Backgrounding Events Simultaneously : The Past-Present-Future Relationship of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2018]
  • Focusing on Focusing Events : Event Selection , Media Coverage , and the Dynamices of Contentious Meaning-Making
    33 ( 3 ) : 757-781 . [2018]
  • Focusing Events and Public Opinion : Evidence from the Deepwater Horizon Disaster
    36 ( 1 ) :1-22 [2014]
  • Focusing Events , Risks , and Regulation . In Balleisen , Edward j. , Bennear , Lori S. , Krawiec , Kimberly D. & Wiener Jonathan
    [2018]
  • Focusing Events , Mobilization , and Agenda Setting.
    18 ( 1 ) :53-74 [1998]
  • Elections as Focusing Events : Explaining Attitudes toward the Police and the Government in Comparative perspective
    42 ( 2 ) :337-366 [2008]
  • Crisis and Policy Change : The Role of the Political Entrepreneur . Risk
    3 ( 2 ) :1-24 [2012]
  • Creating Change : Sexuality , Public Policy , and Civil Rights
    [2000]
  • Conduit or contributor ? The role of media in policy change theory
    41 : 115-138 . [2008]
  • Collective Movements , Digital Activism , and Protest Events :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Concerning the Organization of Large-Scale Political Participation
    10 ( 2 ) :64-69 [2018]
  • Citizen Action and National Policy Reform : making change happen
    [2010]
  • Barriers to Knowledge Production , Knowledge Translation , and Urban Health Policy Change : Ideological , Economic , and Political Considerations
    pp [2012]
  • Archer의 형태발생론을 활용한 2007년 의료급여정책변동 사례연구
    김창엽 정성식 비판사회정책. 53:7-47 [2016]
  • An Assessment of Aggregate Focusing Events , Disaster Experience , and Policy change
    8 ( 3 ) :201-219 [2017]
  • 9 2 정책행위유형론을 활용한 정책과정 간 정책산출물의 정책변동 요인 분석: 의약분업정책을 중심으로
    양승일 한국행정학보. 53(1):285-315 [2019]
  • 5
    위키백과 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 2016년-2017년 촛불집회 참여가 시민성에 미친 영향력 분석
    도묘연 한국지방자치연구. 19(2):25-52 [2017]
  • 2016년-2017년 박근혜 퇴진 촛불집회 참여의 결정요인
    도묘연 의정연구. 23(2):110-146 [2017]
  • 2016 촛불집회 현상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오세정 장시연 언론문화연구. 24:1-47 [2017]
  • 2008년 촛불집회와 사회운동
    하승창 노동사회. 2008년9월. pp54-64 [2008]
  • 2008년 촛불과 정치참여 특성의 변화: 행위자, 구조, 제도를 중심으로
    윤성이 세계지역연구논총. 27(1):315-334 [2009]
  • 1990년대 이후 일본 의료정책 네크워크의 변화와 정책변동
    김성조 국정관리연구. 12(2):113-135 [2017]
  • 1987년 6월항쟁과 2016년 촛불항쟁에서 정당과 사회운동조직의 역할
    최종숙 한국사회사학회. 117:7-43 [2018]
  • (www.doopedia.co.kr)
    두산백과 혁신도시
  • (www
    나무위키 namu.wiki) 밀양 여중생 집단 성폭행 사건 [2019]